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족은 노강과 메콩강 유역에 거주하는 민족이다. 남녀 모두 린넨으로 옷을 지어 입고, 지역에 따라 티베트 불교, 애니미즘, 기독교 등을 믿으며, 부족 꽃요정 축제와 지질라무 축제 등 다양한 축제를 지낸다. 주요 생업은 농업이며, 옥수수, 메밀 등을 재배한다.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여러 언어를 사용하며, 윈난성에 곤산더우롱족누족자치현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중국의 민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누족 | |
---|---|
기본 정보 | |
![]() | |
인구 | 27,000명 |
거주 지역 | 카친 주(미얀마), 윈난 성(중국) |
사용 언어 | 누쑤어 러우뤄어 두룽어 눙어(아농어) 라왕어 |
종교 | 기독교(대다수) 티베트 불교 애니미즘 |
관련 민족 | 리수족 타론족 눙 라왕족 더룽족 티베트족 |
기타 정보 | |
관련 지역 | (누 강) |
일본어 표기 | ヌー族 |
한국어 표기 | 누족 |
언어 관련 상세 정보 | |
사용 언어 | (러우뤄어) (누쑤어) |date=2016년8월}} (두룽어) 阿儂語 (아눙어) 리스어 (리수어) |
2. 역사
누족은 노강과 란창강 유역에 예부터 살아온 민족 중 하나이다.
누족은 남녀 모두 린넨으로 옷을 지어 입는다. 여성들은 보통 면이나 린넨으로 만든 상의를 입으며 왼쪽으로 단추를 달게 옷을 짓고, 화려한 색상의 목걸이를 건다. 산호, 마노, 조개껍데기, 은화로 만든 끈으로 머리나 가슴 장식을 하거나, 어깨까지 내려오는 큰 구리 귀걸이를 착용하기도 한다. 남성들은 반바지 위에 린넨 소매 튜닉을 입고, 왼쪽 귀에 산호 끈을 차고 허리 왼쪽에 마체테를 착용한다. 외출할 때는 마체테, 활, 화살통을 휴대하고, 머리에 검은 터번을 두른다.[1]
3. 문화
누족은 산 근처에 대나무 조각이나 나무 판자로 집을 짓는데, 나무 판자로 지은 집이 더 튼튼하여 더 흔하다. 집은 2층 구조로, 아래층은 가축, 식량 등을 보관하고 위층은 거주 공간이다. 2층은 안방(침실 겸 창고)과 바깥방(부엌 겸 손님방)으로 나뉜다.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대나무와 나무로 만든 농기구를 사용하여 옥수수, 메밀, 보리, 감자, 고구마, 콩 등을 재배한다.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는 원시적인 경작 기술로 인해 수확량이 적어, 연간 곡물 수확량은 1인당 필요량보다 약 100kg 부족하다. 부족한 식량은 사냥과 어업으로 보충한다.[1]
3. 1. 종교
누족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교를 믿는다. 북부에서는 주로 티베트 불교를 믿고, 중부와 남부에서는 전통적인 애니미즘 신앙이 강하다.[1] 19세기 후반부터는 기독교를 믿는 사람들도 늘어났다.[1]
3. 2. 축제
누족은 다양한 축제를 지낸다. 대표적인 축제로는 부족 꽃요정 축제와 지질라무(Jijilamu) 축제가 있다.
'''부족 꽃요정 축제'''는 음력 3월 15일에 열리며, 아롱이라는 소녀의 전설과 관련이 있다. 옛날 누 강이 자주 범람했는데, 아롱이라는 누족 소녀가 거미줄에서 영감을 얻어 밧줄 다리를 만들어 사람들이 강을 건널 수 있게 했다. 후족 족장이 아롱과 강제로 결혼하려 했지만, 아롱은 산으로 도망쳐 동굴 속에서 돌상이 되었다. 이를 기리기 위해 매년 3월 15일에 요정 축제를 기념한다. 축제가 되면 사람들은 진달래를 따서 요정 동굴로 알려진 동굴에서 요정 처녀에게 제사를 지낸다. 의식 후에는 집에서 함께 술을 마시고, 남녀노소 모두 전통 의상을 입고 꽃을 들고 모여 노래하고 춤추며 이야기를 나눈다. 축구와 유사한 공 던지기 경기와 활쏘기 대회도 열린다.
'''지질라무 축제'''는 음력 12월 말부터 1월 초까지 약 15일간 지속되며, 새해 풍년과 가축 번성을 기원한다. 주로 운남성 비장, 복공, 공산, 란핑, 웨이시 현에 사는 누족이 기념하며, 티베트 불교를 믿는 누족은 로살(Losar)도 기념한다. 축제 전날에는 각 마을의 가정에서 돼지를 잡고, 찹쌀떡을 만들고, 술을 빚고, 마당을 청소하는데, 이는 중국 설날과 유사하다. 설날 저녁에는 식사 전에 옥수수와 음식을 삼각대 바비큐 위에 올려놓는다. 삼각대 위에는 세 개의 컵과 세 조각의 고기를 올려놓고, 가족 구성원들은 나이에 상관없이 새해 풍년과 가축의 번성을 기원한다.
4. 생활
누족은 산 근처에 대나무 조각이나 나무 판자로 집을 짓는데, 나무 판자로 지은 집이 더 튼튼하여 더 흔하다. 집은 2층 구조로, 아래층은 가축, 식량, 기타 저장품을 보관하는 곳으로 사용되고, 위층은 주거 공간이다. 2층은 안방과 바깥방으로 나뉘는데, 안방은 침실이자 창고로 사용되고, 바깥방은 부엌이자 손님방으로 사용된다.
주요 생업은 농업이다. 대나무와 나무로 만든 농기구를 사용하여 옥수수, 메밀, 보리, 감자, 고구마, 콩 등을 주로 재배한다.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원시적인 경작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확량이 적다. 연간 곡물 수확량은 1인당 필요량보다 약 100kg 부족하며, 사냥과 어업으로 부족한 식량을 보충한다.
5. 언어
누족은 집단에 따라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여러 언어를 사용한다. 민족어 목록 제19판에서 누족의 언어로 분류되는 것은 아농어(Anung language), Nusu language|누수어영어, Zauzou language|자우자우어영어 세 종류이다.[1] 그러나 이들 언어 화자는 모두 리수어를 사용하며, 특히 아농어 화자의 경우 리수어가 모어가 되어가는 추세이다.[1] 누족 대부분이 리수어를 구사할 수 있는 것은 오랜 기간 리수족과 혼거해 온 결과로 여겨진다.[1]
6. 자치 지방
누족은 윈난성에 자치현과 민족향을 두고 있다.
유형 | 이름 |
---|---|
자치현 | 궁산두룽족누족자치현 |
민족향 | 복공현 척하누족향 |
6. 1. 자치현
윈난성 궁산두룽족누족자치현6. 2. 민족향
복공현 척하누족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