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수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수어는 중국, 미얀마, 인도, 태국 등지에 사용되는 언어이다. 주로 중국 윈난성에 거주하는 리수족이 사용하며, 미얀마, 인도, 태국, 라오스, 베트남 등지에서도 사용자를 찾아볼 수 있다. 방언은 북부, 중부, 남부로 나뉘며, 북부 방언이 표준어로 사용된다. 리수어는 프레이저 문자, 폴라드 표기법, 리수 문자 등 다양한 문자로 표기되어 왔으며, 현재는 프레이저 문자가 널리 사용된다.

2. 사용 지역 및 화자 수

리수어는 주로 중국 윈난성 누장 리수족 자치주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며, 미얀마, 태국, 인도 등 인접 국가에도 화자가 분포한다. 각 국가별 자세한 분포는 하위 문단을 참조하라.[1]

2. 1. 중국

중국 내 리수족은 주로 윈난성에 거주하며, 대부분은 누장 리수족 자치주웨이시에 거주한다.[1] 그 외에도 바오산, 더훙, 린창, 추슝 이족 자치주, 루취안 이족·묘족 자치현, 다리 백족 자치주에도 거주한다.[1] 쓰촨성에는 소수만이 거주하며 리포어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때로는 이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남부 티베트에도 일부 리수족이 거주한다.

2. 2. 미얀마

미얀마에서는 샨 주, 카친 주, 사가잉 지방, 만달레이 지방에서 사용된다. 이 두 주는 윈난성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1] 프레이저 문자는 미얀마에서 사라 바 타우에 의해 고안되었다.

2. 3. 인도

인도에서 리수족은 요빈(Yobin)이라고 불린다.[1]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창랑 구와 아삼 주 틴수키아 구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2. 4. 태국

태국 북부에서는 주로 치앙마이 주, 치앙라이 주, 매홍손 주, 캄팽펫 주에서 사용된다.[1]

2. 5. 기타

아마도 라오스의 퐁살리 주와 베트남의 라이쩌우 주에도 일부 리수어 사용자가 있을 수 있다.

3. 방언

리수어는 크게 북부, 중부, 남부 방언으로 나뉘며, 북부 방언이 표준어로 간주된다.[2] 리수어 방언에 대한 연구는 여러 학자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대표적으로 브래들리(Bradley, 2003)와 Mu와 Sun (2012)의 연구가 있다.

3. 1. Bradley (2003)의 분류

브래들리(Bradley, 2003)는 리수어 방언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한다.[3]

3. 2. Mu and Sun (2012)의 분류

Mu와 Sun (2012)의 연구에 따르면 리수어는 세 가지 방언으로 나뉜다.[4]

방언지역화자 수
누장 방언누장 리수족 자치주 (모든 현), 바오산 현 (모든 현),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일부 현), 린창 현 (일부 현), 다리 백족 자치주 (일부 현), 웨이시 리수족 자치현55만 명
루취안 방언추슝 이족 자치주의 일부 지역 (루취안 이족 먀오족 자치현, 우딩 현 등)과 인접 주의 일부 지역6만 5천 명
용성 방언용성 현, 화핑 현, 펀즈화, 무리 티베트족 자치현, 옌위안 현 등의 현1만 8천 명



Mu와 Sun (2012)은 비교 어휘표에서 총 다섯 개의 데이터 지점을 비교한다.[4]

방언지역화자 수
푸궁푸궁 현, 궁산 독롱족 누족 자치현, 란핑 백족 푸미족 자치현 등14만 명
루취안 (리포어)빈촨 현, 우딩 현, 위안모 현, 다야오 현, 야오안 현, 용런 현, 더창 현, 후이리 시, 후이둥 현, 옌위안 현 등4만 5천 명 이상
웨이시웨이시 리수족 자치현, 더친 현, 샹그릴라, 리장 등10만 명 이상
텅충롱링 현,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긍마 타이족 와족 자치현, 쓰마오 구, 루수이 현, 샨주 (미얀마), 치앙마이 (태국) 등12만 명 이상
용성용성 현, 화핑 현, 닝랑 이족 자치현, 다야오 현, 용런 현, 더창 현 등9만 명 이상


3. 3. Mu and Sun (2012)의 5개 데이터 지점

위치지역화자 수
푸궁푸궁 현, 궁산 독롱족 누족 자치현, 란핑 백족 푸미족 자치현 등14만 명
루취안 (li33 pʰɒ31|리포lis)빈촨 현, 우딩 현, 위안모 현, 다야오 현, 야오안 현, 용런 현, 더창 현, 후이리 시, 후이둥 현, 옌위안 현 등4만 5천 명 이상
웨이시웨이시 리수족 자치현, 더친 현, 샹그릴라 시, 리장 시 등10만 명 이상
텅충롱링 현,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긍마 타이족 와족 자치현, 쓰마오 구, 루수이 현, 샨주 (미얀마), 치앙마이 (태국) 등12만 명 이상
용성용성 현, 화핑 현, 닝랑 이족 자치현, 다야오 현, 용런 현, 더창 현 등9만 명 이상


4. 음운

리수어는 성조 언어이며,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갖추고 있다.[3]

리수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리수어 모음
rowspan="2"|전설 모음후설 모음
비원순원순비원순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리수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


4. 1. 모음

/i/와 /ɨ/는 상보적 분포를 보이며, /ɨ/는 연구개-치경음 뒤에만 나타난다.[3] 중앙 리수어에서는 치경 마찰음 뒤에서 /i/가 음절적인 /z̩/로, 치후 마찰음 뒤에서는 /ʐ̩/로 발음된다. /ɑ/는 연구개-치경음 뒤에서 /a/에 더 가깝게 발음된다.[6]

/y/는 방언에 따라 다르며, /ʉ/ 또는 /u/와 합쳐지기도 한다. /ɯ/와 /ɤ/의 구분은 미미하며, 핀인 표기에서는 모두 e로 표기된다.[3]

리수어 모음[3]
rowspan="2"|전설 모음후설 모음
비원순원순비원순원순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4. 2. 성조

리수어는 여섯 가지 성조를 가지고 있다. 높은 성조, 중간 쉰 목소리 성조, 중간 성조, 낮은 성조, 상승 성조, 그리고 낮은 막힌 성조(즉, )이다. 일부 방언에서는 쉰 목소리 성조가 중간 성조보다 높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같다. 상승 성조는 흔하지 않지만, 아기 말투(전형적인 이음절 저-상승 패턴을 가짐)에서는 흔하다. 높은 성조와 상승 성조는 유성 자음 뒤에 오는 경우 드물다.[3]

4. 3. 자음

/v/와 /w/는 상보적 분포를 이루며, /v/는 전설모음 앞에 나타난다. /f/는 주변적이며, /u/ 또는 /y/ 앞의 소수 단어에 나타난다. 일부 방언에서는 설후음 계열인 /tʂ tʂʰ dʐ ʂ ʐ/도 구별하지만, /ɑ/ 앞에만 나타난다.[3]

중간 활음은 /ɑ/ 앞에 나타난다. 경음과 함께 /w/가, 순음과 鼻音|비음중국어 /h̃/과 함께 /j/가 나타난다. /ɣ/는 /ɑ/ 앞과 일부 방언에서만 구별되며, 일부 방언에서는 /j/와 합쳐진다.

중앙 리수어에서는 /i/ 앞에서 /j/가 치경구개음 [ʑ]로 들린다.[6] 남부 리수어에서는 전설 모음 앞에서 경음이 치경구개음으로 된다. /u/와 /e/ 모음은 앞선 자음에 미끄럼을 유발하므로, /tu du te de/는 [tfu dvu tje dje]로 발음된다.[3]

리수어 자음[3]
colspan=2 rowspan=2|순음치음설후음(치경)구개음경음성문음
비음,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rowspan="2" |
유음


5. 정서법

리수어는 여러 문자로 표기되어 왔다. 1915년경 제임스 오. 프레이저가 개발한 프레이저 문자는 로마자 대문자와 그 변형을 사용한 독특한 문자였다. 프레이저는 이 문자로 성경을 번역했고, 리수족에게 널리 보급했다. 1957년 중국 정부는 병음 기반의 새 문자를 만들었으나, 많은 리수족은 프레이저 문자를 계속 사용했다. 1992년 중국 정부는 프레이저 문자를 공식 인정했고, 이후 사용이 장려되었다.[1] 이 외에도 폴라드 표기법, 리수 문자(죽서), 라틴 리수 문자, 미얀마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미얀마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는 버마 리수 문자 등이 존재한다.

5. 1. 프레이저 문자

1915년경 기독교 선교사 제임스 오. 프레이저(James O. Fraser)가 리수어 알파벳을 개발했다. 이 문자는 로마자의 대문자 및 그 변형만을 사용한 독특한 것이다.[1] 프레이저는 성경 번역에 이 문자를 사용했고, 리수족에게 널리 보급되었다.[1] 1957년 신중국 정부는 한어병음에 기반한 로마자 정서법을 개발했지만, 많은 리수족들은 프레이저 문자를 계속 사용했다.[1] 1992년 중국 정부는 프레이저 문자를 공인했고, 이후 프레이저 문자 사용이 장려되었다.[1] 선교사 등이 발명한 신문자가 로마자보다 더 널리 쓰인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1]

현재 중국, 미얀마, 태국 등 리수어 사용 지역에서 사용되는 리수 문자는 주로 서로 다른 선교 단체 출신의 두 개신교 선교사에 의해 개발되었다.[2] 그중 더 유명한 사람은 중국내지선교회(China Inland Mission) 소속의 영국 복음 전도사인 제임스 오. 프레이저이다.[2] 프레이저와 함께 문자를 수정하고 개선한 동료는 미얀마 미치이나에 거주하던 미국침례교선교회(American Baptist Mission) 소속의 카렌족 설교가인 사라 바 타우였다.[2]

바 타우는 1915년까지 간단한 리수어 교리 문답을 준비했다.[2] "프레이저 문자"로 널리 알려진 문자는 1939년에 완성되었는데, 당시 운남성(중국) 리수족 거주 지역에 있는 프레이저의 선교소에서 새로 인쇄된 리수어 신약 성경을 받았다.[2]

5. 2. 폴라드 표기법

샘 폴라드의 아흐마오어 표기법은 리수족이 사용하는 또 다른 리소어 계열 언어인 리포어(Lipo language)를 표기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리포어는 때때로 '동부 리수어'라고 불린다.)

5. 3. 리수 문자 (리수 죽서)

리수 문자


1924년부터 1930년까지, 응아제보(ŋua˥ze˧bo˦|응아제보lis; 汪忍波/哇忍波중국어)라는 리수족 농부가 한자, 동바 문자, 게바 문자를 바탕으로 리수 문자를 창제했다. 그러나 중국 문자보다는 주자산딥(장족 표의문자)과 더욱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응아제보가 처음에는 대나무에 글자를 새겼기 때문에 이 문자는 리수 죽서(傈僳竹书)로 알려져 있다.

총 1250개의 글자와 880개의 자가 있다.

5. 4. 라틴 리수 문자

1957년에 병음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리수 문자가 만들어졌지만, 대부분의 리수족은 기존 문자를 계속 사용했다.[1] 프레이저 문자는 1992년 중국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었으며, 그 이후로 사용이 장려되었다.[1]

5. 5. 버마 리수 문자

미얀마의 일부 지역에서는 미얀마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개발되어 화자들에게 가르치고 있으며, 여러 출판물과 교과서에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문서 omniglot
[2] harvp
[3] harvp
[4] harvp
[5] harvp
[6] harv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