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수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수족은 중국, 미얀마, 인도, 태국 등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그 기원은 티베트 동부에서 시작되어 윈난성 북서부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리수족의 역사는 노래로 구전되어 왔으며, 8세기 당나라 시대 문헌에도 등장한다. 명나라 시대에는 주변 민족의 지배를 받으며 서쪽으로 이동하여 누강 일대에 자리를 잡았고, 청나라 시기에는 일부가 인도, 미얀마, 태국으로 흩어졌다. 리수족은 전통적으로 화전 농업과 기독교, 애니미즘 등의 종교를 믿으며, 리수어를 사용한다. 중국에는 리수족 자치주와 자치현, 민족향이 존재하며, 미얀마 샨주 북부에는 리수족의 분파로 여겨지는 코론리쇼가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수족 - 리수어
리수어는 중국 남서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로, 프레이저 문자로 문자화되었으나, 사용자 감소 문제와 다양한 방언 및 문자 체계가 존재한다. - 태국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 태국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카렌족
카렌족은 미얀마,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언어, 문화, 종교가 다른 이질적인 민족 집단의 총칭으로, 지정학적 중요성과 자치권 확보를 위한 투쟁, 난민 문제, 디아스포라 형성 등의 특징을 지닌다. - 미얀마의 민족 - 라카인족
라카인족은 미얀마 라카인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오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상좌부 불교 중심의 독특한 문화를 이루며 아라칸어를 사용하고, 독립 후에도 로힝야족과의 갈등과 군부 탄압 속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투쟁하며 방글라데시와 인도에도 거주한다.
리수족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민족 이름 | 리수족 |
고유 이름 | ꓡꓲ‐ꓢꓴ (리수어), လီဆူ (미얀마어), 傈僳 (중국어) |
인구 | 약 1,400,000명 (추정) |
거주 지역 | |
중국 | 윈난성, 쓰촨성 |
중국 인구 | 700,000명 |
미얀마 | 샨주, 카친주 |
미얀마 인구 | 600,000명 |
태국 인구 | 55,000명 |
인도 |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
인도 인구 | 5,000명 |
언어 | |
사용 언어 | 리수어 리포어 래매어 아농어 중국어 남서관화 버마어 태국어 |
종교 | |
종교 | 기독교 애니미즘 불교 |
관련 민족 | |
관련 민족 | 이족 나시족 창족 투자족 |
2. 역사
리수족의 역사는 노래로 구전되어 왔다. 이 노래는 매우 길어서 밤새도록 불러야 할 정도이다.[31] 리수족은 티베트 동부에서 기원하여 윈난성 북서부로 이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오샨과 텅충 평야에서 수천 년간 머물렀다.
당나라 시대 번초가 지은 『만서』에는 “율속량성만”이라는 표현으로 등장하며, 당시 “오만”이라 불리는 민족 집단을 구성하고 있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나시족의 지배를 받아 강제 노역에 동원되기도 하였으나, 서쪽으로 이동하여 누장 리수족 자치주 일대에 정착하였다. 윈난성 인장의 태평 마을은 약 1,000년 전 루시(Lu Shi) 리수족에 의해 건설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만주족의 압력을 받아 일부는 인도 아삼주와 미얀마 카친주까지 분포 지역을 넓혔고, 다른 집단은 살윈강을 따라 남하하여 20세기에는 태국에 이르렀다. 18세기 중반에는 미얀마 모메익(Momeik)으로, 19세기 후반에는 태국 북부로 이동하였다.
2. 1. 기원
리수족은 티베트 동부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며,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윈난성 북서부로 이동했다.[4][5][6][7] 이들은 바오샨과 텅충 평야 지대에서 수천 년간 거주했다. 리수어, 이어, 라후어, 아카어는 티베트-버마어족에 속하며, 버마어 및 티베트어와 친척 관계이다.[4][5][6][7]명나라(1140~1644년) 시기, 동부와 남부 리수족의 언어와 문화는 한족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8][9]
윈난성 누장 리수족 자치주에 전해지는 전승에 따르면, 리수족의 조상은 쿠두네이(九つの川の源流が交わる地, 아홉 개 강의 발원지가 만나는 곳)라 불리는 곳에서 점차 남하했다고 한다. 역사서에 리수족이 등장하는 것은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당나라 시대 번초가 지은 『만서』에는 “栗粟両姓蛮(율속량성만)”이라는 표현이 보이는데, 당시 “오만(烏蛮)”이라 불리는 민족 집단을 구성하고 있었다.
2. 2. 명나라 시대
명나라(1140년~1644년) 통치 기간 동안 동부와 남부 리수족의 언어와 문화는 한족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8][9] 중국 윈난성 인장의 태평 마을은 약 1,000년 전 루시(Lu Shi) 리수족에 의해 처음으로 건설되었다.2. 3. 근현대
18세기 중반, 리수족은 미얀마 모메익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19세기 후반, 남부 리수족은 태국 북부로 이동했다. 인도에 거주하는 리수족은 요빈으로 불리며,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 주로 거주한다. 1980년대 초까지 인도 내 리수족은 미얀마 난민으로 간주되어 인도 시민권을 갖지 못했으나, 1994년에 인도 시민권을 부여받았다. 그러나 지정부족 지위는 부여받지 못했다.[19]2. 4. 카친족과의 관계
2010년대 이후, 많은 리수족은 카친 독립군(KIA)이 리수족을 강제로 징집하고 민간인을 살해했다는 주장으로 카친족과 갈등을 겪었다.[14][15] 미얀마 내전 기간 동안 리수족 민족 개발당은 타마도를 지지하는 민병대를 조직하여 카친 독립군(KIA)과 인민방위군(PDF)과 싸웠다. 청년과 노인 모두 이러한 "인민 민병대"에 징집되었다. 우 슈웨 민이 2024년 3월 7일 사망할 때까지 이 민병대를 이끌었다.[16] [17][18]3. 문화
리수족은 58개 이상의 씨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씨족은 고유한 이름과 성을 가지고 있다. 리수족 마을은 주로 물 가까이에 위치하는데, 이는 세탁과 식수를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서이다. 리수족의 가옥은 흙바닥에 대나무 벽으로 짓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에는 부유한 리수족들이 목재나 콘크리트로 집을 짓는 경우도 늘고 있다.[31]
리수족은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뉘는데, 중국 한족은 민족 의상의 특징에 따라 리수족을 흰 리수족, 검은 리수족, 꽃 리수족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그러나 리수족 자신은 살윈강을 기준으로 상류 지역의 리수족을 로브 리스, 하류 지역의 리수족을 루시 리스로 나누는 등 살윈강을 구별의 지표로 삼는 경우가 많다.
3. 1. 생계
리수족은 전통적으로 화전 농업을 통해 벼농사, 산간지역 벼농사, 과일 및 채소 재배를 하며 생계를 유지해 왔다.[27] 19세기 초에는 아편 재배가 도입되어 경제적 안정을 이루기도 했으나,[27] 100년 이상 지속된 아편 생산은 태국과 중국에서 금지되면서 거의 사라졌다.[27]리수족은 화전(화전 농업)을 실천해 왔는데,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한 원예 형태였다.[30] 그러나 국가의 도로 건설, 벌목, 국립공원 내 토지 제한, 저지대 이민자 유입 등으로 인해 화전 농업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게 되었고, 광범위한 산림 벌채를 초래하였다.[30] 이러한 상황에서 리수족은 새로운 농업 방식으로 전환해야 했다.[30] 리수족은 전통적으로 이동식 개척형 화전농업을 생업으로 하는 산간 지역 주민이다.
3. 2. 종교
20세기 초부터 인도와 미얀마의 많은 리수족이 기독교로 개종했다.[32] 제임스 오트램 프레이저, 앨린 쿡, 그리고 중국내륙선교회(현재 OMF 인터내셔널) 소속의 아이소벨 쿤과 그의 남편 존 등의 선교사들이 윈난성의 리수족에게 활발하게 선교 활동을 펼쳤다.[32] 그중 제임스 오트램 프레이저(1880~1938)는 중국 리수족에게 복음을 전한 최초의 선교사였다. 미얀마 리수족에게 복음을 전파한 또 다른 선교사로는 타라 소 바 타우(1889~1968)가 있었다. 제임스 프레이저와 소 바 타우는 1914년 함께 리수 문자를 창제했다.[33] 데이비드 피시는 "리수족에게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 헌신한 선교사가 100명이 넘는다. 그들은 중국내륙선교회, 그리스도의 제자회(그리스도의 교회), 하나님의 조립, 오순절 교회 등 다양한 교파와 선교단체에서 왔다. 리수족은 이러한 선교사들과 그들의 복음 가르침을 받아들였고, 그리하여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기 위해 기독교로 빠르게 개종했다."라고 말했다.[34]중국과 미얀마 최초의 선교사는 러셀 모스와 그의 아내 거트루드 어르마 하우(결혼 후 거트루드 모스)였다. 미얀마의 기독교 교회 또는 그리스도의 교회 선교사는 모스 가족이었다.[35] 그들의 선교 기록에 따르면 모스 가족은 1926년 중국에서 선교를 시작했지만 정치적 혼란으로 인해 1930년 버마로 이동하여 리수족에게 가르치기 시작했다.[36]
리수족의 기독교 개종은 비교적 빨랐다. 많은 리수족과 라왕족이 애니미즘에서 기독교로 개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중국 윈난성과 미얀마 아자르 강 유역에 거주하는 리수족은 티베트 리술랜드 선교회와 리술랜드 그리스도의 교회 선교사들에 의해 복음을 전파 받았다. 그 후 많은 리수족이 기독교로 개종했다.[37]
선교사들은 교육, 농업, 의료를 장려했다. 선교사들은 리수 문자를 만들고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다. 데이비드 피시는 "J. 러셀 모스는 워싱턴, 오렌지, 루비, 킹오렌지, 자몽 등 다양한 종류의 과일을 가져왔다. 과일 재배는 푸타오에서 미얀마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 중요한 국가 자산이 되었다. 그는 또한 사람들에게 목공과 건축 기술을 가르쳤다. 그리고 리수족은 그들로부터 교회 설립 전략도 배웠다."라고 보고했다.[38]
선교사들은 기독교를 빠르게 전파하기 위해 리수 문화를 연구했다. 그들은 찬송가를 가르치고, 의약품과 의사를 보내고, 빈곤층을 돕고, 국내 선교사와 전도사를 위한 자금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다. 그들은 또한 리수 농업 발전에도 기여했다.
중국 정부의 종교 사무국은 기독교를 리수족의 공식 종교로 고려할 것을 제안했다.[39]
2008년 기준으로 윈난성에는 70만 명 이상의 기독교 리수족이 있었고, 미얀마(버마)에는 45만 명이 있었다. 태국의 리수족만이 기독교의 영향을 받지 않고 남아 있다.[40][41]
기독교가 리수족에게 전파되기 전, 그들은 애니미즘을 믿었다. 아치볼드 로즈는 리수족의 종교가 애니미즘 또는 자연숭배의 단순한 형태로 보이며, 산신령에게 제물을 바친다고 지적한다.[42] 가장 중요한 의례는 무당에 의해 행해진다. 주요 리수족 축제는 중국 설날에 해당하며 음악, 연회, 음주와 함께 축하되며, 결혼식도 마찬가지이다. 사람들은 이때 성공을 과시하는 수단으로 많은 은 장신구를 착용하고 가장 좋은 옷을 입는다. 전통 마을마다 마을 꼭대기에 신성한 숲이 있으며, 하늘의 영 또는 중국에서는 조상신에게 제물을 바쳐 기린다. 각 집에는 집 뒤편에 조상 제단이 있다.[43][44][45]
3. 3. 언어
리수어는 중국티베트어족의 이어 또는 누수어 분파에 속한다.[46]제임스 O. 프레이저가 개발한 프레이저 알파벳과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개발한 병음 기반 문자가 사용된다. 1992년, 중국 정부는 프레이저 알파벳을 리수어의 공식 문자로 인정했다.[47] 리수어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초등 교육을 통해 현지 언어(중국어, 태국어, 버마어)를 읽고 쓰는 법을 배운다.
4. 리수족 자치 지방 (중국)
리수족은 중국에서 여러 자치 지방을 가지고 있다. 윈난성 누장 리수족 자치주가 대표적이며, 윈난성 북부와 사천성 남부, 더천 티베트족 자치주 웨이시 리수족 자치현 등지에 분포한다.[1]
4. 1. 자치주
윈난성의 누장 리수족 자치주를 중심으로 윈난성 북부 일대에서 사천성 남부에 걸쳐 분포하며, 윈난성 북부의 더천 티베트족 자치주에도 웨이시 리수족 자치현이 있다.[1]4. 2. 자치현
윈난성 웨이시 리수족 자치현은 더천 티베트족 자치주에 있다.4. 3. 민족향
지역 | 민족향 |
---|---|
미이 현 | 신산 리수족향 |
더창 현 | 난산 리수족향, 진사 리수족향 |
룽링 현 | 무청 이족 리수족향 |
위룽 나시족 자치현 | 리밍 리수족향 |
융성 현 | 류더 리수족 이족향, 둥산 리수족 이족향, 광화 리수족 이족향, 쑹핑 리수족 이족향 |
화핑 현 | 신좡 리수족 다이족향, 퉁다 리수족향, 융싱 리수족향, 촨팡 리수족 다이족향 |
닝랑 이족 자치현 | 추이위 리수족 푸미족향 |
전캉 현 | 쥔싸이 와족 라후족 리수족 더앙족향 |
다야오 현 | 완비 다이족 리수족향 |
빈촨 현 | 중잉 리수족 이족향 |
윈룽 현 | 먀오웨이 리수족향 |
잉장 현 | 쑤뎬 리수족향 |
더친 현 | 퉈딩 리수족향, 샤뤄 리수족향 |
5. 코론리쇼 (Kholon Lishaw)
미얀마 샨주 북부 남캄 주변에는 코론리쇼(Kholon Lishaw, 庫弄傈僳중국어, ခိုလုံလီရှောmy)라고 불리는 소수민족 집단이 거주한다. 이들은 리수족의 분파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중국인의 후손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다카하시(2004)는 코론리쇼를 "중국인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기록했으며, 남캄군에는 14,441명의 코론리쇼가 거주한다고 했다.[48]
1994년 en에서 코론리쇼 민족문화회 회장 우 꺄우 민트(U Kyaw Myint, 별명: 李永祥중국어)는 "코론리쇼는 미얀마 국내에 7만 명, 남캄 산지에 4만 명이 거주하고 있다"고 발언하며 리수족 자치구 설치를 요구했다.[49] JICA 보고서는 코롱리쇼(コロンリショー)를 “600년 전 버마의 왕을 섬겼다고 자칭하는 귀주성(貴州省) 출신 동족(洞族)의 후손인 중국인”으로 기술하고 있다.
Ma Le' Shwe Sin Myint(2000)는 코롱리쇼의 기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 옛날, 중국의 왕과 미얀마의 왕은 친선 사절을 서로 보냈다. 옛날 중국의 왕이 미얀마의 왕에게 아름다운 딸을 보냈고, 네 명의 중국 대신과 시종들이 그 딸을 중국 운남성에서 미얀마까지 호송했다. 그들은 살윈강 동쪽 기슭을 마차로 따라 내려갔다. 네 명의 대신은 젊은 딸을 미얀마 왕에게 전달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또한, 마차 안을 들여다보는 것도 금지되었다. 네 명의 대신과 시종 일행이 쿠카이 지역에 도착하자, 그들은 마을에서 쉬었다. 대신과 시종이 몰래 마차 안을 들여다보니, 놀랍게도 못생긴 노파였다. 그들은 크게 웃었지만, 그녀를 미얀마 왕에게 전달할 용기는 없었다. 네 명의 대신과 시종과 노파는 그 자리에 정착하여 마을을 만들었다. 그들은 오늘날까지 그곳에 살고 있으며, 민족은 서서히 증가하여 퍼져나갔다. “코롱(コロン)”은 “매우 웃긴”이라는 의미이며, 그들의 민족은 그들이 크게 웃었던 곳에서 시작되었다. 그래서 오늘날 그들은 “코롱리쇼(コロンリショー)”로 알려져 있다.
2020년 미얀마 총선거에서 코롱리쇼는 리수족이 아닌 중국인(외국인)으로 간주되어 선거권을 박탈당했다.[48] 버마어로 “피난하다”를 의미하는 “코롱(ခိုလှုံ)”으로 해석되어 “코롱리쇼(コロンリショー)”는 중국에서 온 소수민족으로 간주되지만, 원래는 샨어(တႆးshn)로 “큰 머리”(머리 장신구를 가리킴)를 의미하는 “호롱(ႁူဝ်လူင်)”인 리수족이라고 남캄의 리수족은 주장하고 있다.[48] 한편, 리수민족발전당의 도 킨마우(ドー・キンマウー) 서기는 코롱리쇼와 리수족은 전혀 다른 민족임에도 불구하고 혼동되고 있다고 주장했다.[49]
참조
[1]
웹사이트
Ethnies chinoises
http://www.chine-inf[...]
2018-08-17
[2]
웹사이트
Miss Arunachal 2017 pageant to have quotas for tribes with China roots
https://www.hindusta[...]
[3]
논문
'We try to not be Thai': the everyday resistance of ethnic minorities
https://www.newmanda[...]
2020-04-20
[4]
문서
1996
[5]
문서
2001
[6]
문서
1997
[7]
문서
1986
[8]
문서
1972
[9]
문서
2001
[10]
문서
1915
[11]
문서
1921
[12]
문서
1900-1901
[13]
간행물
လီဆူတိုင်းရင်းသားတို့၏ဘဝဓလေ့
စာပေဗိမာန်
2008
[14]
뉴스
‘The blood spoke’: Lisu deaths stir unrest in Kachin
https://www.frontier[...]
Frontier Myanmar
2019-07-11
[15]
뉴스
Thousands of Ethnic Lisu Protest Killings by Myanmar’s Kachin Independence Army
https://www.rfa.org/[...]
Radio Free Asia
2017-05-22
[16]
뉴스
Kachin Resistance Attacks Myanmar Junta-Allied Outposts
https://www.irrawadd[...]
The Irrawaddy
2022-08-04
[17]
뉴스
Lisu Ethnic Individuals in Kachin State Recruited as New Militia Members
https://www.bnionlin[...]
Burma News International
2023-11-08
[18]
뉴스
Junta-allied Lisu militia leader killed in battle with Kachin forces
https://myanmar-now.[...]
Myanmar Now
2024-03-08
[19]
이미지
British Indian Empire 1909 Imperial Gazetteer of India
:File:British Indian[...]
[20]
웹사이트
Forgotten Frontier(1945)
https://archive.org/[...]
2018-08-17
[21]
웹사이트
The Governor of Arunachal Pradesh :: Governor visits remote Vijoynagar
http://arunachalgove[...]
2018-08-17
[22]
웹사이트
A profile of Changlang District
http://changlang.nic[...]
2008-06-07
[23]
서적
Contributions to Sino-Tibetan Studies
BRILL
1986
[24]
웹사이트
Prisoners of geography
http://www.frontline[...]
2018-08-17
[25]
웹사이트
THE WILDLIFE (PROTECTION) ACT, 1972 (No. 53 of 1972)
http://nbaindia.org/[...]
1972-09-09
[26]
뉴스
Miao-Vijaynagar road foundation laid
https://timesofindia[...]
The Times of India
2018-08-17
[27]
문서
1976
[28]
문서
2000
[29]
문서
1995
[30]
문서
1997
[31]
웹사이트
Amazing People – doco stories & places
http://www.amazing-p[...]
2018-08-17
[32]
웹사이트
Yunnan Province of China Government Web
http://www.eng.yn.go[...]
2008-02-15
[33]
서적
The History of Church of Christ in Myanmar
75 Jubilee Press
2008
[34]
논문
The Lisus and Church of Christ in Myanmar
Eastern Bible Institute
2005
[35]
서적
A Church History in Yangon
2012
[36]
서적
Exodus To A Hidden Valley
William Collins World Press
[37]
보고서
ပြည်ထောင်စုမြန်မာနိုင်ငံတော်အစိုးရသို့ တင်တွင်းသည့် တရုပ်မြန်မာနုယ်စပ်ဒေ သ စုံစမ်းရေးကော်မရှင်၏ အစီရင်ခံစာ
[38]
문서
[39]
논문
To Every Tribe
2008-03-01 #Spring 2008을 3월 1일로 추정
[40]
웹사이트
Lisu of China
https://web.archive.[...]
2008-02-20
[41]
서적
OMF International
[42]
서적
Lisu (Yawyin), Tribes of the Burma-China Frontier
The Baptists Mission Press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웹사이트
Omniglot writing systems &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omniglot.[...]
2008-02-20
[48]
뉴스
Lisu Youth Congress formed for Federal Democracy and the eradication of military dictatorship
https://thadinn.com/[...]
2024-02-11
[49]
뉴스
လီဆူတိုင်းရင်းသားများ မှတ်ပုံတင် ရရှိရေး ခက်ခဲနေသဖြင့် အစိုးရ ဆောင်ရွက်ပေးရန် တောင်းဆို
https://www.popularm[...]
2017-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