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니콜라 장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 장송은 15세기 베네치아에서 활동한 프랑스 출신 인쇄업자이자 활자 디자이너이다. 그는 프랑스 왕 샤를 7세의 명으로 금속활자 기술을 배우기 위해 마인츠로 파견되었으며, 베네치아에서 인쇄소를 열어 약 150종의 서적을 출판했다. 장송은 금세공인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로마자체 디자인을 완성하여 로마자체의 부활을 이끌었으며, 그의 활자체는 윌리엄 모리스, 브루스 로저스 등 여러 서체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인쇄업자 - 레티프 드 라 브르통느
    레티프 드 라 브르통느는 18세기 프랑스의 작가로, 200권이 넘는 책을 저술하며 사회 현실주의, 초기 SF, 공산주의 사상, 성적 묘사 등을 다루었고, 대표작으로 《팡셰트의 발》 등이 있다.
  • 오트마른주 출신 - 드니 디드로
    드니 디드로는 18세기 프랑스의 계몽주의 철학자이자 작가이며, 특히 《백과전서》 편집을 주도하여 계몽주의 사상을 집대성하는 데 기여했다.
  • 오트마른주 출신 - 뤼시 데코스
    뤼시 데코스는 프랑스의 유도 선수로,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세계 주니어 유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시작으로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에서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하고 2013년 은퇴했다.
니콜라 장송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니콜라 장송의 초상
직업식자공
프랑스 조각가
서체 디자이너
알려진 업적로마자 서체 창조, 블랙레터 스타일로부터의 최종적인 단절
인물 정보
출생일1420년경
출생지솜므부아르, 프랑스
사망일1480년
사망지베네치아, 베네치아 공화국
국적프랑스
활동지베네치아 공화국

2. 생애

니콜라 장송은 프랑스 출신의 인쇄업자이자 활자 디자이너로, 15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주로 베네치아에서 활동하며 인쇄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남겼다. 프랑스 왕립 조폐국 기술자였던 그는 샤를 7세의 명으로 독일 마인츠에서 금속활자 기술을 배운 후,[4][5] 1468년 베네치아로 이주하여 1470년에 자신의 인쇄소를 열었다.[6]

베네치아에서 그는 뛰어난 로만체 활자를 개발하여 명성을 얻었으며,[21] 그리스식 활자와 블랙레터 활자도 디자인했다.[22] 그의 인쇄소는 약 150종의 서적을 출판하며 활발히 운영되었다.[5][23] 장송은 기술적 성취뿐만 아니라 사업적으로도 성공하여,[10] 말년에는 상당한 부를 축적하고 주로 고딕체전례서, 신학서, 법률 서적 등을 제작했다.[7][24] 그의 활동은 베네치아를 이탈리아 출판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기여했으며,[4] 그가 완성한 로만체는 후대 활자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니콜라 장송의 인쇄 표지


1458년 10월, 투르에서 프랑스 왕립 조폐국 기술자로 일하던 장송은 프랑스 왕 샤를 7세의 명을 받아 금속활자 기술을 배우기 위해 마인츠로 파견되었다. 그가 마인츠에 도착했을 때는 기술을 배울 수 있는 여러 인쇄업자들이 있었다. 장송은 1461년에 마인츠를 떠났다.

일부에서는 장송이 요하네스 구텐베르크 밑에서 직접 기술을 배웠다고 추측하기도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만한 명확한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다.[4][5][20] 당시 구텐베르크의 첫 번째 인쇄소는 요한 푸스트에게 넘어간 상태였으며, 이 시기 구텐베르크의 활동에 대해서는 역사가들도 확실하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2. 2. 베네치아에서의 활동



1468년 장송베네치아로 이주하여 1470년인쇄소를 열었다.[6] 그가 처음 제작한 책에 사용된 로만체 소문자는 비례, 형태, 배치가 뛰어나 단순한 필기체 모방을 넘어 이후 수 세기 동안 사용될 스타일의 전환을 보여주었다. 장송은 동시대에 활동한 슈파이어의 요한과 벤델린(Johann und Wendelin von Speyer|요한 운트 벤델린 폰 슈파이어deu, 또는 이탈리아 이름으로 Giovanni and Vindelino da Spira|조반니 에 빈델리노 다 스피라ita)과 더불어 블랙레터에서 로만체로의 발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21] 그는 또한 그리스식 활자와 블랙레터 활자도 디자인했다.[22]

1472년 니콜라 장송의 로마자체


1476년 베네치아에서 출판된 플리니우스(Pliny the Elder)의 'in Fiorentina'(이탈리아어) 번역본에서 발췌한 니콜라 장송의 로마자체의 대문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활자 디자이너이자 펀치 커터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장송의 명성은 그의 에우세비우스의 ''복음 준비''(Praeparatio Evangelica|프라이파라티오 에반겔리카lat) 판에서 처음 사용된 활자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로만체 디자인의 완전한 성숙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8][9] 장송의 글자는 이전의 서예적 형태인 littera Antica|리테라 안티카lat에서 그 형태를 가져왔는데, 이는 다시 카롤링거 소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고대 로마 대문자에서 차용한 세리프가 추가된 형태였다. 이 활자는 1470년 에우세비우스 판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1471년에는 인용문에 사용될 그리스어 활자가, 1473년에는 의학과 역사 서적에 사용될 고딕 활자가 뒤따랐다.

금세공인으로서의 초기 경험은 장송이 활자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뛰어난 감각을 갖게 해주었다. 그가 사용한 글자들은 로마의 정신을 연상시키는 아름다운 대문자로 평가받는다. 1470년대에 장송의 기술적 능력과 사업 수완은 베네치아가 이탈리아 출판의 중심지로 부상하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그는 후대에 로마자체를 완성하고 라틴 비문의 부활을 이끈 인물로 칭송받았다.[4]

장송은 동시대 다른 인쇄업자들과 달리 재정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477년에는 한 번에 12대의 인쇄기를 가동할 수 있을 정도였다.[10] 그는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생산성이 낮은 경쟁자들을 압도하기 위해, 필기체 스타일의 고딕체를 개발하여 본문과 주석을 같은 페이지에 처음으로 인쇄하기도 했다. 또한 1475년과 1480년에 각각 'Johannes de Colonia, Nicolaus Jenson et socii|요하네스 데 콜로니아, 니콜라우스 옌손 에트 소키이lat'라는 이름의 서적 거래 회사를 설립하는 데 참여하며 사업 기반을 확장했다.[11]

그의 인쇄소는 활발한 출판 활동을 통해 약 150종에 달하는 서적을 제작했다.[5][23] 말년에 장송은 상당한 부를 축적했으며, 주로 다양한 고딕체를 사용하여 전례서, 신학서, 법률 서적 등을 제작했고, 로만체는 특별히 주문 제작된 작품에만 사용했다.[7][24]

장송의 활자체는 후대의 활자 디자인에도 영향을 미쳐 골든 타입(Golden Type)과 클로이스터 올드 스타일(Cloister Old Style) 등이 그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12]

3. 인쇄술과 활자체 개발

1470년대 니콜라 장송의 기술적 능력과 사업 수완은 베네치아를 이탈리아 출판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크게 기여했다.[4] 그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활자 디자이너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특히 로마자체를 완성하여 라틴 비문의 부활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4]

장송은 세공사 출신으로서 활자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아름다운 활자를 디자인했다. 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에우세비우스의 ''복음 준비''(Praeparatio Evangelicala) 초판에 사용된 로마자체로, 이는 로마자체 디자인의 정점으로 평가받는다.[8][9][25] [26] 그는 로마자체 외에도 인용문을 위한 그리스 문자 활자(1471년)와 의학 및 역사 서적을 위한 고딕체 활자(1473년)를 개발했다.

또한 장송은 인쇄 기술 혁신과 사업 확장에도 힘썼다. 그는 본문과 주석을 같은 페이지에 인쇄하는 방식을 도입했으며, 1477년에는 최대 12대의 인쇄기를 동시에 가동할 정도로 생산 규모를 키웠다.[10][27] 더불어 1475년과 1480년에 각각 'Johannes de Colonia, Nicolaus Jenson et socii'라는 이름으로 두 개의 서적 거래 회사를 설립하여 재정적 기반을 다졌다.[11][28] 장송의 활자와 인쇄 방식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쳐 알두스 마누티우스 등에게 계승되었고, 골든 타입(Golden Type), 클로이스터 올드 스타일(Cloister Old Style) 등 여러 현대 폰트 디자인의 기초가 되었다.[12][29]

3. 1. 로마자 활자체의 완성



베네치아에 도착했을 당시, 장송은 예술가로서뿐만 아니라 재정적으로도 성공했다. 세공사로서 일찍 훈련받은 경험은 그에게 활자의 조형적인 특성에 대한 더 큰 감성을 갖게 했으며, 장송이 사용한 글자들은 종종 로마의 정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아름다운 대문자였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활자 디자이너이자 펀치 커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장송의 명성은, 그가 에우세비우스의 ''복음 준비''(Praeparatio Evangelicalat) 판에서 처음 사용된 활자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로마자체 디자인의 완전한 개화를 보여준다.[8][9][25] [26]

장송의 글자는 이전의 서예적 형태인 리테라 안티카(littera anticala)에서 분명히 그 형태를 차용하고 있다. 이는 다시 카롤링거 소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제국 로마 대문자에서 차용한 세리프가 추가되었다. 이는 1470년 에우세비우스 판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1471년에는 인용문에 사용된 그리스 문자 활자가, 1473년에는 의학과 역사에 관한 책에 사용된 고딕체 활자가 뒤따랐다.

3. 2. 기타 활자체 개발

장송의 활자 개발은 로마자체에 그치지 않았다. 1470년 에우세비우스의 ''복음 준비'' 판에서 로마자체를 처음 선보인 후, 1471년에는 인용문에 사용하기 위한 그리스어 활자를 개발했다. 이어 1473년에는 의학 및 역사 관련 서적에 사용할 고딕체 활자를 만들었다.

3. 3. 인쇄 기술 혁신

1470년대 니콜라 장송의 기술적 능력과 사업 수완은 베네치아를 이탈리아 출판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4] 그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활자 디자이너이자 펀치 커터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데, 이러한 명성은 그의 에우세비우스의 ''복음 준비''(Praeparatio Evangelica) 판에서 처음 사용된 활자에서 비롯되었다. 이 활자는 로마자체 디자인의 완전한 개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8][9][25] [26]

장송의 활자는 이전의 서예적 형태인 리테라 안티카(littera Antica)에서 형태를 가져왔다. 리테라 안티카는 카롤링거 소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제국 로마 대문자에서 차용한 세리프가 추가된 형태이다. 이 로마자체는 1470년 에우세비우스 판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이후 1471년에는 인용문에 사용된 그리스 문자 활자가, 1473년에는 의학과 역사 서적에 사용된 고딕체 활자가 뒤따랐다. 세공사로서의 초기 경험은 그가 활자의 조형적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게 했으며, 그가 사용한 글자들은 로마의 정신을 담은 아름다운 대문자로 평가받는다.

기술 혁신과 더불어 장송은 뛰어난 사업 수완을 발휘했다. 그는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 생산성이 낮은 경쟁자를 압도하기 위해, 필기 고딕체를 개발하여 본문과 주석을 같은 페이지에 인쇄하는 방식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또한, 1477년에는 한 번에 최대 12대의 인쇄기를 동시에 가동할 정도로 생산 규모를 확장했다.[10][27] 그는 1475년과 1480년에 각각 'Johannes de Colonia, Nicolaus Jenson et socii'라는 이름으로 두 개의 서적 거래 회사를 설립하여 재정적 기반을 더욱 공고히 했다.[11][28]

장송의 활자와 인쇄 방식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사후, 활자들은 알두스 마누티우스의 인쇄소로 넘겨졌으며, 윌리엄 모리스의 골든 타입(Golden Type), 브루스 로저스(Bruce Rogers)의 센토(Centaur), 모리스 풀러 벤턴(Morris Fuller Benton)의 클로이스터 올드 스타일(Cloister Old Style), 로버트 슬림바흐(Robert Slimbach)의 어도비 젠슨(Adobe Jenson) 등 수많은 현대 폰트 디자인의 기초가 되었다.[12][29]

4. 대표적인 출판물

니콜라 장송은 15세기 베네치아에서 활동한 프랑스 출신의 인쇄업자로, 당대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책들을 다수 제작했다.[15] 그의 인쇄소에서는 약 100여 종에 달하는 책이 출판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주요 출판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 저작집 (1471)''': 고대 로마 비문에서 영감을 얻은 명료하고 아름다운 로만체 활자로 인쇄된 초기 판본 중 하나이다.[14]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대 플리니의 《박물지》 (1476)''': 스트로치 가문의 재정 지원을 받아 총 1,025부가 인쇄되었으며, 인문학적 필체를 모방한 서체와 넓은 여백이 특징이다.[16]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 '''라틴어 성경 (1479)''': 장송 인쇄소에서 발행된 최초의 성경으로, 이 책의 출판으로 교황 식스토 4세로부터 팔라티노 백작 칭호를 받았다.[15]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율리우스 카이사르 저작집 (1471)

니콜라 장송이 인쇄한 카이사르의 저작집은 가장 초기에 나온 아름다운 판본 중 하나이다.[14] 특히 이 판본에 사용된 로만체 활자는 고대 로마의 기념비에 새겨진 글자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으며, 놀라울 정도로 명료하고 단순한 형태가 특징이다.[14] 책의 첫 페이지에는 훌륭한 일루미네이션 기법으로 장식된 이니셜과 테두리를 감상할 수 있다.[14]

4. 2. 라틴어 성경 (1479)

VK 405, 라틴어 성경, 니콜라 장송, 베네치아, 1479


1479년 베네치아에서 니콜라 장송이 인쇄한 라틴어 성경(VK 405)은 장송 인쇄소에서 발행된 최초의 성경이다. 이 성경 발행의 공로로 교황 식스토 4세는 장송에게 팔라티노 백작이라는 명예 칭호를 수여했다.[15]

4. 3. 플리니우스의 박물지 (1476)

니콜라 장송은 1476년 베네치아에서 대 플리니의 《박물지》를 인쇄했다. 총 1,025부를 인쇄했는데, 이 중 1,000부는 종이에, 25부는 양피지에 인쇄되었다. 이 작업은 장송과 재정적으로 지원을 제공한 스트로치 가문의 협력을 통해 이루어졌다. 책의 내용은 크리스토포로 란디노가 번역한 통속 텍스트였다.[16]

인쇄된 《박물지》는 몇 가지 특징을 지닌다. 당시 필사본에 사용되던 인문학적 필체를 거의 모방한 서체로 인쇄되었으며, 넓은 여백을 두었다. 또한 장(chapter)의 시작 부분에 대문자를 사용하지 않았고, 표제 페이지에는 삽화나 장식을 위한 빈 공간을 남겨두고 표제만 인쇄했다.[16]

대 플리니의 ''박물지'', 인쇄업자 니콜라 장송, 1476

5. 영향과 유산

니콜라 장송은 인쇄술의 역사, 특히 활자 디자인 분야에서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로마자체 활자 디자인을 완성하여 후대 서체 개발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이다. 장송이 만든 활자는 가독성과 심미성을 높이 평가받으며, 이후 여러 세대의 활자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그의 유산은 현대의 폰트 디자인에도 이어지고 있다.

5. 1. 활자 디자인에 미친 영향



니콜라 장송이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활자 디자이너이자 펀치 커터 중 한 명으로 명성을 얻게 된 것은, 그가 에우세비우스(Eusebius)의 ''복음 준비''(De praeparatio evangelica) 판에서 처음 사용한 활자 덕분이다. 이 활자는 로마자체 디자인의 완전한 개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는다.[8][9][25] [26]

장송의 활자는 이전의 서예적 형태인 리테라 안티카(littera Antica)에서 그 형태를 분명히 차용했다. 리테라 안티카는 카롤링거 소문자를 기반으로 하며, 여기에 고대 로마 제국 시대 대문자에서 영감을 받은 세리프가 추가된 형태이다. 이 활자는 1470년 에우세비우스 판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1471년에는 인용문에 사용된 그리스 문자 활자가, 1473년에는 의학과 역사 서적에 사용된 고딕체 활자가 뒤따랐다.

장송의 인문주의 서체에 기반한, 가독성이 높고 균일한 색상을 가진 활자 디자인은 수 세기 동안 여러 서체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그의 사후, 장송이 사용했던 각 서체들은 알두스 마누티우스 인쇄소에 인계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사용되는 수많은 폰트 디자인의 기초가 되었다.

장송에게서 직접적인 영감을 받아 제작된 대표적인 활자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12][29]

  • 윌리엄 모리스의 골든 타입(Golden Type)
  • 브루스 로저스의 센토(Centaur, 1914년)
  • 모리스 풀러 벤턴의 클로이스터 올드 스타일(Cloister Old Style, 1926년)
  • 로버트 슬림바흐의 Adobe Jenson(1996년)

6. 참고 문헌


  • 로우리, 마틴: 《베네치아 인쇄: 로마 문자체의 부상》. 조지 에이브럼스의 에세이 포함. 폴 스틴 라르센 편집, 서문, 덴마크어 번역. 헤르닝: 폴 크리스텐센스 포르라그, 1989. 조지 에이브럼스가 디자인한 서체 에이브럼스 베네치안을 소개하는 최초의 책.
  • 리에레스, 비타 박사: "니콜라우스 옌손". in: 슈리프트기세라이 D. 슈템펠 AG [편]: 《인쇄 서체의 거장》. 프랑크푸르트암마인, 1940. (35–40쪽). 독일어de

참조

[1] 서적 Nicolas Jenson, Printer of Venice: His famous type designs and some comment upon the printing types of earlier printers John Henry Nash 1926
[2] 웹사이트 Nicolas Jenson and the success of his roman type https://articles.c-a[...] University of Reading 2017-05-07
[3] 서적 Nicholas Jenson and the rise of Venetian publishing in Renaissance Europe B. Blackwell 1991
[4] 웹사이트 Type, Typography and Fonts http://www.graphic-d[...]
[5] 웹사이트 Nicholas Jenson | Typophile http://typophile.com[...] 2011-12-08
[6] 웹사이트 Nicolas Jenson | French printer https://www.britanni[...]
[7] 서적 Nicholas Jenson and the rise of Venetian publishing in Renaissance Europe
[8] 웹사이트 William Morris – Printing https://www.marxists[...]
[9] 웹사이트 Nicolaus Jenson – Linotype Font Designer Gallery https://www.linotype[...]
[10] 간행물 Type and Typography Sage Reference 2009
[11] 웹사이트 Columbia University Libraries Online Exhibitions | Type to Print: The Book & The Type Specimen Book https://exhibitions.[...]
[12] 웹사이트 Typographic Milestones http://www.designhis[...] 2011-12-08
[13] 웹사이트 "[Linotype] Orcutt and Bartlett: THE MANUAL OF LINOTYPE TYPOGRAPHY [Prepared to aid Users and Producers of Printing in Securing Greater Unity and Real Beauty in the Printed Page]. Brooklyn: Mergenthaler Linotype Company, 1923" http://www.modernism[...] 2011-11-30
[14] 웹사이트 Winter 2004 Volume 101 Issue 1 - Vassar, the Alumnae/i Quarterly https://vq.vassar.ed[...]
[15] 웹사이트 The Van Kampen Collection http://www.solagroup[...]
[16] 서적 Worldly Goods: A New History of the Renaissance W.W. Norton & Company, Inc. 1998
[17] 서적 Nicolas Jenson, Printer of Venice: His famous type designs and some comment upon the printing types of earlier printers John Henry Nash 1926
[18] 웹사이트 Nicolas Jenson and the success of his roman type https://articles.c-a[...] University of Reading 2017-05-07
[19] 서적 Nicholas Jenson and the rise of Venetian publishing in Renaissance Europe B. Blackwell 1991
[2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typophile.com[...] 2011-12-08
[2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esignhis[...] 2021-05-25
[22] 웹사이트 Nicolas Jenson | French printer https://www.britanni[...] 2021-05-25
[2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typophile.com[...] 2021-05-25
[24] 서적 Nicholas Jenson and the rise of Venetian publishing in Renaissance Europe
[25] 웹사이트 William Morris - Printing https://www.marxists[...] 2021-05-25
[26] 웹사이트 Nicolaus Jenson - Linotype Font Designer Gallery https://www.linotype[...] 2021-05-25
[27] 간행물 Type and Typography Sage Reference 2009
[28] 웹사이트 Columbia University Libraries Online Exhibitions | Type to Print: The Book & The Type Specimen Book https://exhibitions.[...] 2021-05-25
[2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designhis[...] 2021-05-25
[3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odernism[...] 2021-05-25
[31] 웹사이트 Winter 2004 Volume 101 Issue 1 - Vassar, the Alumnae/i Quarterly https://vq.vassar.ed[...] 2021-05-25
[32] 웹사이트 The Van Kampen Collection http://www.solagroup[...] 2021-05-25
[33] 서적 Worldly Goods: A New History of the Renaissance W.W. Norton & Company, Inc.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