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 DS 라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닌텐도 DS Lite는 닌텐도에서 출시한 휴대용 게임기로, 기존 닌텐도 DS의 개선된 모델이다. 더 밝아진 화면, 가벼워진 무게, 디자인 변경 등의 특징을 가지며, 2006년 3월 일본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 발매되었다. 3인치 투과형 백라이트 TFT LCD 화면 2개를 탑재하고, 터치 스크린, 버튼, 마이크 등을 통해 입력받는다. GBA 카트리지 슬롯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색상과 한정판 모델로 출시되었다. 힌지 파손, 화면 액정 문제 등 몇 가지 문제점도 보고되었으나, 출시 초기부터 높은 인기를 얻으며 누적 판매량 9386만 대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닌텐도 DS - 닌텐도 Wi-Fi USB 커넥터
닌텐도 Wi-Fi USB 커넥터는 닌텐도 DS나 Wii를 무선 LAN 환경에서 인터넷에 연결하는 USB 형태의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로, 독점적인 인증 방식과 운영체제 지원 문제 등으로 비판받다 단종되었다. - 닌텐도 DS - 닌텐도 DS 브라우저
닌텐도 DS 브라우저는 닌텐도 DS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로, 터치 스크린 입력을 지원하며, 와이파이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작은 화면 렌더링 또는 개요 모드로 페이지를 표시하지만, 느린 로딩 속도와 제한적인 기능으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닌텐도의 콘솔 - 닌텐도 DS
닌텐도에서 2004년에 출시한 휴대용 게임기인 닌텐도 DS는 듀얼 스크린과 터치스크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캐주얼 게임 시장 확장과 스마트폰 터치스크린 게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닌텐도의 콘솔 - Wii U
Wii U는 닌텐도에서 개발한 가정용 게임 콘솔로, 터치스크린 GamePad 컨트롤러와 Off-TV Play 기능을 특징으로 하며, Wii의 후속 기종으로 2012년에 출시되었으나, 전용 소프트웨어 부족으로 2017년에 단종되었다. - 2006년 도입 - Get a Mac
`Get a Mac`은 애플이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진행한 광고 캠페인으로, 맥과 PC를 의인화하여 유머러스하게 비교하며 맥의 우월성을 강조하여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애플 제품 인식 개선과 Mac 판매 증가에 기여했지만, 단순화된 비교와 PC 사용자 비하라는 비판도 받았다. - 2006년 도입 - DTMB
DTMB는 중국에서 개발되어 국가 표준으로 채택된 지상파 디지털 TV 방송 표준으로, 고정 및 이동 수신을 지원하며,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SD, HD,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단일 및 다중 주파수 네트워크를 모두 지원하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다.
| 닌텐도 DS 라이트 | |
|---|---|
| 기본 정보 | |
![]() | |
| 제조사 | 닌텐도 |
| 종류 | 휴대용 게임기 |
| 세대 | 7세대 |
| 출시일 | 일본: 2006년 3월 2일 호주: 2006년 6월 1일 북미: 2006년 6월 11일 유럽: 2006년 6월 23일 중국: 2006년 6월 26일 대한민국: 2007년 1월 18일 |
| CPU | 67 MHz ARM946E-S 33 MHz ARM7TDMI |
| 메모리 | 4 MB RAM |
| 디스플레이 | 2개의 3.12인치 TFT LCD (256 × 192 픽셀) |
| 미디어 | 닌텐도 DS 게임 카드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 팩 |
| 저장 공간 | 카트리지 저장, 256 KB 플래시 메모리 |
| 단종 여부 | 예 (날짜 미공개) |
| 연결성 | 와이파이 (802.11b, WEP) |
| 온라인 서비스 | 닌텐도 Wi-Fi 커넥션 |
| 판매량 | 전 세계: 9386만 대 (2014년 3월 31일 기준) |
| 가장 많이 팔린 게임 | New Super Mario Bros., 약 3080만 장 |
| 호환성 | 게임보이 어드밴스 |
| 이전 모델 | 닌텐도 DS |
| 다음 모델 | 닌텐도 DSi |
| 관련 모델 | 닌텐도 DS 닌텐도 DSi 닌텐도 DSi XL |
| 기타 정보 | |
| 일본 내 판매량 | 1820만 대 |
| 미국 내 판매량 | 3644만 대 |
| 명칭 | |
| 일본어 | ニンテンドーDS Lite (Nintendō Dī Esu Raito) |
2. 사양 및 변경된 점
닌텐도 DS에서 변경된 닌텐도 DS 라이트의 주요 사양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명칭: "가볍다"와 "밝다"는 의미를 담아 "Lite"로 명명되었다.
- CPU: CPU 내부 연산 구조를 최적화하여 전력 소모량을 줄였다.
- 내부 구조: 힌지가 오른쪽에만 있고 왼쪽은 링 형태로 바뀌어 회전만 가능하다.
- 외형: 각진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윗면과 아랫면의 크기가 동일하다.
- GBA 카트리지 슬롯: 슬롯이 얕아져 GBA 소프트웨어를 삽입하면 1cm 정도 튀어나오며, 먼지 방지용 전용 커버가 제공된다.
- 스트랩: 일반 스트랩으로 변경되었으며, 해외판에는 스트랩이 부속되지 않는다.
- 스피커: 음질이 향상되었고, 전원을 켜고 끌 때 발생하는 잡음이 감소했다.

2. 1. 화면
닌텐도 DS 라이트는 백라이트가 장착된 3인치 투명 TFT LCD 2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반투명 반사형 칼라 TFT 액정에서 투명 TFT LCD로 변경되었으며, 밝기는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해상도, 표시색 수, 화면 크기는 닌텐도 DS와 같다.[27]상단 화면은 백라이트 방식의 3.12인치 투과형 TFT 컬러 LCD로, 256x192 픽셀 해상도와 0.24mm 도트 피치를 가지며, 총 262,144가지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상단 화면과 동일한 사양을 가지고 있지만, 투명한 아날로그 터치 센서가 추가되었다. 화면의 최대 밝기는 상단 화면이 200cd/m2, 하단 화면(터치 스크린)이 190cd/m2이다.
휴대 전화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투과형 컬러 TFT 액정을 채택하여 4단계 밝기 조절 기능을 통해 기존 모델보다 더 밝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밝기를 높일수록 배터리 사용 시간은 짧아진다.
2. 2. 입력
닌텐도 DS 라이트는 십자키, A/B/X/Y/L/R 버튼, START/SELECT 버튼, 터치 스크린, 음성 입력용 마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 종류는 닌텐도 DS와 같지만 배치가 변경되었다. START/SELECT 버튼은 A/B/X/Y 버튼 아래로, 마이크와 전원 램프, 충전 램프는 오른쪽 힌지 부분으로 이동했다. 십자키는 이전 모델보다 16% 작아졌고, 전원 버튼은 누르는 방식에서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A, B, X, Y, 십자키는 러버돔 접점 방식으로 변경되어 클릭감이 없다.[1][2]2. 3. 전원
내장 리튬 이온 전지(3.7V/1000mAh)를 사용하며, 부속 AC 어댑터로 충전한다. 게임보이 어드밴스 SP 및 닌텐도 DS의 AC 어댑터는 사용할 수 없다. DS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는 대기 모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 닌텐도 DS의 850mAh보다 전지 용량이 150mAh가량 증가하여 사용 시간은 늘어났다. 용량이 늘어났지만 완전 충전까지 걸리는 시간은 오히려 DS보다 단축되었다. 전원 버튼은 누르는 방식에서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바뀌었다.2. 4. 크기 및 무게
닌텐도 DS 라이트의 크기는 세로 73.9mm, 가로 133.0mm, 두께 21.5mm로, 기존 닌텐도 DS보다 각각 10.8mm, 15.7mm, 7.4mm 작아졌다. 무게는 약 218g으로, 기존 모델보다 약 57g 가벼워졌다.[1]2. 5. 기타 변경 사항
닌텐도 DS 라이트의 기타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명칭: 기존 기종보다 "가볍다", "밝다"는 의미로 "Lite"라고 명명되었다.
- CPU: CPU 내부 연산 구조에 약간의 최적화를 통해 전력 소모량이 줄어들었다.
- 내부 구조: DS는 힌지가 양쪽에 있었지만, DS 라이트는 오른쪽에만 있고 왼쪽은 링으로 바뀌어 돌아가기만 한다.
- 무게: 약 218g으로, DS보다 약 57g 가벼워졌다.
- 외형: DS는 모서리가 둥글고 윗면이 아랫면보다 작았지만, DS 라이트는 좀 더 각진 모양으로 바뀌었으며 윗면과 아랫면의 크기가 같다.
- 크기: 세로 73.9mm, 가로 133.0mm, 두께 21.5mm로, 기존 모델보다 각각 10.8mm, 15.7mm, 7.4mm 작아졌다.
- 전원: 내장 리튬 이온 배터리 (3.7V/1000mAh) 및 부속 AC 어댑터 (게임보이 어드밴스 SP 및 DS의 AC어댑터는 사용 불가)를 사용한다. 대기모드 기능(DS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때만)이 있다. DS(850mAh)보다 전지 용량이 150mAh가량 늘어 사용시간이 길어졌지만, 완전 충전 시간은 오히려 DS보다 단축되었다.
- GBA 카트리지 슬롯: DS보다 슬롯 부분이 얇아져 GBA 소프트웨어를 삽입하면 1cm 정도 튀어나온다. 먼지 등을 막을 수 있는 전용 커버가 있다.
- 스피커: 음질이 향상되었고, 전원을 끄고 켤 때 생기는 튀는 소리가 줄어들었다.
- 부속품: DS는 스트랩에 포인터가 있었으나, DS 라이트의 스트랩은 보통 형태이다. 해외판에는 스트랩이 없다.
- 터치 펜: DS보다 1cm 길고, 직경은 1mm 두꺼워졌다. 본체 꽂는 구멍은 DS의 뒷면에서 오른쪽 옆면으로 바뀌었다. 이후 DSi까지 오른쪽 옆면에 있다가 3DS부터 다시 뒷면으로 변경되었다. 크기가 달라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 입력: 십자키, 6버튼(A/B/X/Y/L/R), START/SELECT 버튼, 터치 스크린, 음성 입력용 마이크으로 구성된다. 종류 및 수는 같지만 배치가 바뀌어 START/SELECT 버튼은 A/B/X/Y 버튼 아래쪽, 마이크와 전원 램프, 충전 램프는 우측 힌지 부분으로 이동했다. 십자키는 구 DS보다 16% 정도 작아졌다. 전원 버튼은 누르는 버튼에서 밀어 올리는 버튼으로 바뀌었다. DS는 A, B, X, Y, 십자키 버튼이 모두 일반적인 누르는 버튼이었지만, DS 라이트는 러버돔으로 접점을 누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3. 본체
닌텐도 DS 라이트는 2006년 3월 2일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초기 모델 번호는 USG-001이다. 처음 출시될 당시에는 크리스탈 화이트 색상이었다.[60]
3. 1. 색상
| 색상 | 일본 발매일 | 기타 국가 발매일 및 비고 |
|---|---|---|
| 크리스탈 화이트 | 2006년 3월 2일 | 폴라 화이트 (호주, 북미), 한국 발매 |
| 아이스 블루 | 2006년 3월 11일 | 한국 발매, 2007년 7월 19일 호주 발매[60] |
| 에나멜 네이비 | 2006년 3월 11일 | 일본에서만 판매, 발매 넉 달 만에 생산 중지 |
| 노블 핑크 | 2006년 7월 20일 | 코럴 핑크 (북미(2006년 8월 24일), 호주(2006년 10월 16일, Pink Nintendo DS Lite로 이름 변경), 유럽(2006년 10월 27일) 발매), 한국 발매 |
| 제트 블랙 | 2006년 9월 2일 | 오닉스(Onyx, 북미 발매, 2006년 8월 24일), 호주(2006년 9월 21일), 한국 발매 |
| 스마트 블랙 (슬리드 블랙) | 유럽에서 초기에 발매, 한국 발매(2009년 9월 24일) | |
| 메탈릭 로제 | 2007년 6월 23일 | 한국 발매 |
| 그로스 실버 | 2007년 6월 23일 | 한국 발매 |
| 빨강 | 2008년 6월 13일 유럽 | |
| 라임 그린 | 2008년 6월 13일 유럽 | |
| 터키옥색 (푸른 옥색) | 2008년 6월 13일 유럽 | |
| 크림슨 블랙 | 2007년 10월 4일 | 2009년 9월 24일 한국 발매 |
| 코발트 블랙 | 2009년 9월 24일 한국 발매 | |
| 블루 | 2011년 11월 4일 한국 발매 | |
| 코발트/블랙 | 크림슨/블랙의 빨간색 부분이 짙은 청색으로 바뀐 색상 버전. 북미와 대한민국에서 출시 | |
| 패션 레드 | 2011년 3월 홍콩과 대만에서 출시 | |
| 샴페인 골드 | 2011년 3월 홍콩과 대만에서 출시 | |
| 골드 컬러 | 북미판 "젤다의 전설 몽환의 모래시계"와 세트로 판매[63] |
- 크림슨 블랙과 코발트 블랙은 블루/레드+블랙의 투톤 컬러가 특징이다.
그 외, 특정 게임과 함께 발매된 한정판 색상들이 존재한다.
- 파이널 판타지 III
- 포켓몬 다이스키 클럽 한정판
- 포켓몬스터 다이아몬드 & 펄
- 점프 얼티미트 스타 한정판
이외에 기타 등등의 한정판 색상이 존재한다.
3. 2. 한정판 모델
닌텐도 DS 라이트는 다양한 색상과 특정 게임과 함께 발매된 한정판 모델이 존재한다.일반 색상
| 색상 | 발매일 | 지역 | 비고 |
|---|---|---|---|
| 크리스탈 화이트 | 2006년 3월 2일 | 일본 | 폴라 화이트로 호주, 북미 발매, 한국 발매 |
| 아이스 블루 | 2006년 3월 11일 | 일본, 한국 | 2007년 7월 19일 호주 발매 |
| 에나멜 네이비 | 2006년 3월 11일 | 일본 | 발매 넉 달 만에 생산 중지 |
| 노블 핑크 | 2006년 7월 20일 | 일본 | 코럴 핑크로 북미(2006년 8월 24일), 호주(2006년 10월 16일, Pink Nintendo DS Lite로 이름 변경), 유럽(2006년 10월 27일) 발매, 한국 발매 |
| 제트 블랙 | 2006년 9월 2일 | 일본 | 오닉스로 북미(2006년 8월 24일), 호주(2006년 9월 21일) 발매, 한국 발매 |
| 스마트 블랙(슬리드 블랙) | 유럽(초기), 한국(2009년 9월 24일) | ||
| 메탈릭 로제 | 2007년 6월 23일 | 일본, 한국 | |
| 그로스 실버 | 2007년 6월 23일 | 일본, 한국 | |
| 빨강 | 2008년 6월 13일 | 유럽 | |
| 라임 그린 | 2008년 6월 13일 | 유럽 | |
| 터키옥색(Turquoise: 푸른 옥색) | 2008년 6월 13일 | 유럽 | |
| 크림슨 블랙 | 2007년 10월 4일(일본), 2009년 9월 24일(한국) | 일본, 한국 | 블루/레드+블랙 투톤 컬러 |
| 코발트 블랙 | 2009년 9월 24일 | 한국 | 블루/레드+블랙 투톤 컬러 |
| 블루 | 2011년 11월 4일 | 한국 |
게임 한정판
- 파이널 판타지 III: 크리스탈 화이트 색상과 동일.[61]
- 포켓몬스터 다이아몬드 & 펄: 포켓몬센터·포켓몬 다이스키 클럽 오리지널, 메탈릭 블랙 도색. 판매 종료.
- 월드 사커 위닝 일레븐 DS: 제트 블랙 색상과 동일.
- 오샤레 마녀♥러브 앤 베리 ~DS 컬렉션~: 노블 핑크 색상과 동일.
- 파이널 판타지 XII 레버넌트 윙: 크리스탈 화이트 색상과 동일.
- 모모타로 전철 DS TOKYO&JAPAN: 크리스탈 화이트 색상과 동일.
- 피카츄 에디션: 포켓몬센터·포켓몬 다이스키 클럽 오리지널, 노란색. 추첨 판매.
- 멋진 이 세계: 글로스 실버 색상과 동일.
- 뉴 건담 버전: SD건담 G제네레이션 CROSS DRIVE와 동봉. 크리스탈 화이트 색상과 동일.
- Gemini Edition: 파이널 판타지 크리스탈 크로니클 링 오브 페이트와 동봉, 크리스탈 화이트 색상과 동일.
- NINTENDO DS Lite × babymilo by a bathing ape BABY MILO EDITION: A BATHING APE와 콜라보, 크리스탈 화이트와 골드 색상.
- 기라티나 에디션: 포켓몬 다이스키 클럽 오리지널, 포켓몬스터 플라티나와 세트로 추첨 판매.
기타 한정판
- 리락쿠마 3주년 기념 캠페인 선물: 산엑스 주최 캠페인 선물, 크리스탈 화이트 색상과 동일.[62]
- 오리지널 챠오 버전・오리지널 츄츄 버전: 쇼가칸 소녀 만화 잡지 챠오・ChuChu 및 단행본 선물, 키라링 레볼루션 또는 네잎 클로버 프린트, 크리스탈 화이트・아이스 블루・노블 핑크 3종.
- 연하 오리지널: 연하 우편 엽서 '08 연하장 상품, 빨강.
- 프리미엄 DS Lite: 클럽 닌텐도 캠페인 상품, 프리미엄 실버・프리미엄 블랙・프리미엄 로제 3종, 거울면 같은 광택 소재.
이 외에도 소량 생산된 선물용 한정판 모델이 존재한다.
4. 주변기기

닌텐도는 DS 라이트 전용 주변기기를 정식 발매하였으며, 구 DS의 주변기기는 일부만 사용 가능하다. 서드파티에서도 다양한 주변기기를 발매하였고, 닌텐도는 포켓몬스터 하트 골드·소울 실버에 포켓워커를 동봉하여 판매하였다.
| 이름 | 비고 | |
|---|---|---|
| USG-002 | 닌텐도 DS Lite 전용 AC어댑터 | 닌텐도 DS Lite 전용. 닌텐도 DS 및 게임보이 어드밴스(초대, SP)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
| USG-003 | 닌텐도 DS Lite 전용 배터리 팩 | 닌텐도 DS Lite 전용 배터리 팩. |
| USG-004 | 닌텐도 DS Lite 전용 터치 펜 | 닌텐도 DS용 보다 길어짐. |
| USG-005 | 닌텐도 DS Lite 전용 GBA 커넥터 커버 | 비어있는 GBA 카트리지 삽입구용 커버. |
| USG-006 | DS Lite 진동 카트리지 | DS Lite의 GBA 슬롯에 딱 맞음. 닌텐도 DS에서는 사용 불가. |
| USG-007 | DS Lite 메모리 확장 카트리지 | DS Lite 전용 닌텐도 DS 브라우저에 부속. 닌텐도 DS에서는 사용 불가 |
4. 1. 정품
닌텐도에서 DS 라이트 전용으로 정식 발매한 주변기기는 다음과 같다. 구 DS의 주변 기기는 일부만 사용 가능하다.| 모델번호 | 이름 | 비고 |
|---|---|---|
| USG-002 | 닌텐도 DS 라이트 전용 AC어댑터 | 닌텐도 DS 라이트 전용. 닌텐도 DS 및 게임보이 어드밴스(초대, SP)에서는 사용할 수 없음. |
| USG-003 | 닌텐도 DS 라이트 전용 배터리 팩 | 닌텐도 DS 라이트 전용 배터리 팩. |
| USG-004 | 닌텐도 DS 라이트 전용 터치 펜 | 닌텐도 DS용 보다 길어짐. |
| USG-005 | 닌텐도 DS 라이트 전용 GBA 커넥터 커버 | 비어있는 GBA 카트리지 삽입구용 커버. |
| USG-006 | DS Lite 진동 카트리지 | DS Lite의 GBA 슬롯에 딱 맞음. 닌텐도 DS에서는 사용 불가. |
| USG-007 | DS Lite 메모리 확장 카트리지 | DS Lite 전용 닌텐도 DS 브라우저에 부속. 닌텐도 DS에서는 사용 불가. |

이 외에 서드파티에서 많은 수의 주변기기를 발매하고 있다. 또한 닌텐도에서도 포켓몬스터 하트골드·소울실버에 포켓워커를 동봉하여 판매하였다.[64]
4. 2. 서드파티 제품
사이버가제트사에서 발매되었으며, GBA 슬롯에서 본체의 전력을 사용하여 FM 라디오를 수신한다.이어폰은 본체와 겸용하지 않고, 튜너 자체에 장착되어 있으며, 안테나 역할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