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목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목구는 일반적으로 명목 주교인 사도 대리가 이끄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관할 구역이다. 사도 대목구는 교황의 직접적인 관할을 받으며, 사도 대리는 교황을 대리하여 권한을 행사한다. 사도 대목구는 사도 지목구, 자치 선교지, 교구 등의 발전 단계를 거치며, 역사적으로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등 다양한 지역에 설립되었다. 현재 아프리카, 아메리카, 아시아, 유럽 등지에 대목구가 존재하며, 과거에는 여러 지역에 더 많은 대목구가 존재했었다.
사도 대목구는 일반적으로 명목 주교인 '''사도 대리'''가 이끈다. 라틴 교회법전 371.1조에 따르면, 그러한 지역은 개별 교회로 분류될 수 있지만, 사도 대리의 관할권은 교황의 관할권 행사이다. 즉, 해당 지역은 "보편적 주교"로서 교황의 직접적인 관할을 받으며, 교황은 "대리"를 통해 이러한 권한을 행사한다.[1] 이는 관할권이 직무에서 직접 파생되는 교구 주교의 관할권과는 다르다.
사도 대목구는 주로 명목 주교인 '''사도 대리'''가 이끄는 지역이다. 라틴 교회법 교회법전 371.1조에 따르면, 이러한 지역은 개별 교회로 분류될 수 있지만, 사도 대리의 관할권은 교황의 관할권 행사이다. 즉, 해당 지역은 "보편적 주교"로서 교황의 직접적인 관할을 받으며, 교황은 "대리"를 통해 이러한 권한을 행사한다.[1] 이는 관할권이 직무에서 직접 파생되는 교구 주교의 관할권과는 다르다.
현재 존재하는 대목구는 다음과 같다.
2. 제도
모든 교회 관할권과 마찬가지로, 사도 대목구는 인접 교구의 주교 또는 과도적으로 임명된 사제인 사도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다. 정규 교구와 마찬가지로, 사도 대리는 사도 대목구에 대한 제한된 관할권을 행사하는 대리로 사제를 임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명목 주교가 사도 대목구를 관리하도록 임명된다. 주교 자격이 없거나 주교 서품을 받지 않은 사람이 임시로 임명될 경우, 그는 '''임시 대리'''로 불릴 수 있다.[2]
사도 대목구는 사도 지목구와 구별된다. 사도 지목구의 주요 특징은 그 지목구장이 명목 주교가 아닌 사제라는 것이다. 지목구는 사도 대목구로 승격될 만큼 충분히 조직화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덜 발달된 사례는 자치 선교지인데, 앞서 언급한 것들과 달리 개별 교회는 아니지만, 개별 교회와 유사한 점이 있다. 그 수장으로는 ''교회 수장''이 임명된다. 일반적인 발전 순서는 선교지, 사도 지목구, 사도 대목구, 마지막으로 교구 (또는 대교구)이다. 동방 가톨릭에 해당하는 사도 엑사르코도 참조할 수 있다.
사도 대목구는 관할 구역 수도원장 (또는 "무관할 수도원")—교구가 아닌, 수도원의 원장의 지시를 받는 지역—과 구별된다.
2019년부터 새로운 사도 대리는 주교가 되거나 되더라도 더 이상 명목 교구를 배정받지 않는다.
3. 역사
모든 교회 관할권과 마찬가지로, 사도 대목구는 인접 교구의 주교 또는 과도적으로 임명된 사제인 사도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다. 정규 교구와 마찬가지로, 사도 대리는 사도 대목구에 대한 제한된 관할권을 행사하는 대리로 사제를 임명할 수 있다. 보통 명목 주교가 사도 대목구를 관리하도록 임명된다. 주교 자격이 없거나 주교 서품을 받지 않은 사람이 임시로 임명될 경우, 그는 '''임시 대리'''로 불릴 수 있다.[2]
사도 대목구는 사도 지목구와 구별된다. 사도 지목구의 주요 특징은 그 지목구장이 명목 주교가 아닌 사제라는 것이다. 지목구는 사도 대목구로 승격될 만큼 충분히 조직화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덜 발달된 사례는 자치 선교지인데, 앞서 언급한 것들과 달리 개별 교회는 아니지만, 개별 교회와 유사한 점이 있다. 그 수장으로는 ''교회 수장''이 임명된다. 일반적인 발전 순서는 선교지, 사도 지목구, 사도 대목구, 마지막으로 교구 (또는 대교구)이다. 동방 가톨릭에 해당하는 사도 엑사르코도 참조할 수 있다.
사도 대목구는 관할 구역 수도원장 (또는 "무관할 수도원")—교구가 아닌, 수도원의 원장의 지시를 받는 지역—과 구별된다.
2019년부터 새로운 사도 대리는 주교가 되거나 되더라도 더 이상 명목 교구를 배정받지 않는다.
4. 현황
=== 아프리카 ===대목구명 소재 국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대목구 이집트 에티오피아 아와사 대목구 에티오피아 리비아 벵가지 대목구 리비아 리비아 데르나 대목구 리비아 가나 돈코르크롬 대목구 가나 에티오피아 하라르 대목구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호산나 대목구 에티오피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잉과바마 대목구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봉 마코쿠 대목구 가봉 에티오피아 메키 대목구 에티오피아 차드 몽고 대목구 차드 에티오피아 네켐테 대목구 에티오피아 모리셔스 로드리게스 대목구 모리셔스 나미비아 룬두 대목구 나미비아 에티오피아 소도 대목구 에티오피아 리비아 트리폴리 대목구 리비아 보마디 대목구 나이지리아 콩고 대목구 콩고 다호미 대목구 베냉 프랑스령 콩고 대목구 (로어 콩고) 콩고 프랜시스타운 대목구 보츠와나 이시올로 대목구 케냐 카메룬 대목구 카메룬 케니아 대목구 케냐 오렌지 킴벌리 대목구 남아프리카 공화국 콘타고라 대목구 나이지리아 모리셔스 대목구 모리셔스 노던 빅토리아 냔자 대목구 사하라 대목구 세네감비아 대목구 샤이어 대목구 수단 대목구 (중앙 아프리카) 수단 우냐니엠베 대목구
=== 아메리카 ===국가 대목구 에콰도르 아구아리코 대목구, 에스메랄다스 대목구, 갈라파고스 대목구, 멘데스 대목구, 나포 대목구, 푸요 대목구, 산 미겔 데 수쿰비오스 대목구, 사모라 대목구 칠레 아이센 대목구 볼리비아 카미리 대목구, 엘 베니 대목구, 뉴플로 데 차베스 대목구, 판도 대목구, 레예스 대목구 베네수엘라 카로니 대목구, 푸에르토 아야쿠초 대목구, 투쿠피타 대목구 파라과이 차코 파라과요 대목구, 필코마요 대목구 파나마 다리엔 대목구 과테말라 엘 페텐 대목구, 이사발 자치 대목구 콜롬비아 과피 대목구, 이니리다 대목구, 레티시아 대목구, 미투 대목구, 푸에르토 카레뇨 대목구, 푸에르토 가이탄 대목구, 푸에르토 레기사모-솔라노 대목구, 산 안드레스 이 프로비덴시아 대목구, 티에라덴트로 대목구, 트리니다드 대목구 페루 이키토스 대목구, 산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대목구, 푸칼파 대목구, 푸에르토 말도나도 대목구, 레케나 대목구, 산 호세 데 아마조나스 대목구, 산 라몬 대목구, 유리마구아스 대목구 니카라과 블루필즈 자치 대목구 코스타리카 리몬 자치 대목구 우루과이 몬테비데오 자치 대목구 (1830년 설립, 1878년 교구로 승격) 미국 네브래스카 자치 대목구 생피에르 미클롱 생피에르 에 미클롱 자치 대목구 (2018년 라 로셸 생트 교구에 병합)
=== 아시아 ===국가 대목구 레바논 베이루트 대목구 브루나이 브루나이 다루살람 대목구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쿠웨이트 북아라비아 대목구 예멘, 아랍에미리트, 오만 남아라비아 대목구 시리아 알레포 대목구 터키 아나톨리아 대목구 파키스탄 퀘타 대목구 캄보디아 프놈펜 대목구 라오스 루앙프라방 대목구, 팍세 대목구, 사반나케트 대목구, 비엔티안 대목구 네팔 네팔 대목구 필리핀 본톡-라가웨 대목구, 칼라판 대목구, 홀로 대목구, 푸에르토 프린세사 대목구, 민도로 산호세 대목구, 타약 대목구, 타이타이 대목구
'''과거에 존재했던 대목구'''국가 대목구 중국 아모이 대목구, 장난 대목구, 북간쑤 대목구, 젠창 대목구, 북산시 대목구, 북산둥 대목구, 남산시 대목구, 남산둥 대목구, 남선시 대목구, 충칭 대목구, 쓰촨 대목구, 남쓰촨 대목구, 동남쓰촨 대목구, 완셴 대목구, 야저우 대목구 인도 찬간체리 대목구, 에르나쿨람 대목구, 코타얌 대목구, 마드라스 대목구, 파트나 대목구, 티베트-힌두스탄 대목구, 트리추르 대목구 인도네시아 바타비아 대목구 대한민국 조선 대목구[3] 티베트, 시킴 라싸 대목구
=== 유럽 ===국가 대목구 그리스 테살로니키 대목구 튀르키예 이스탄불 대목구 구 오스만 제국 보스니아 사도 대목구, 불가리아 콘스탄티노플 가톨릭 사도 대목구, 헤르체고비나 사도 대목구,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가톨릭 사도 대목구, 불가리아 트라키아 가톨릭 사도 대목구 지브롤터 지브롤터 사도 대목구 크로아티아 마르차 사도 대목구 독일 북부 독일 사도 대목구 잉글랜드 잉글랜드 사도 대목구 스코틀랜드 스코틀랜드 사도 대목구
4. 1. 아프리카
대목구명 소재 국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대목구 이집트 에티오피아 아와사 대목구 에티오피아 리비아 벵가지 대목구 리비아 리비아 데르나 대목구 리비아 가나 돈코르크롬 대목구 가나 에티오피아 하라르 대목구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 호산나 대목구 에티오피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잉과바마 대목구 남아프리카 공화국 가봉 마코쿠 대목구 가봉 에티오피아 메키 대목구 에티오피아 차드 몽고 대목구 차드 에티오피아 네켐테 대목구 에티오피아 모리셔스 로드리게스 대목구 모리셔스 나미비아 룬두 대목구 나미비아 에티오피아 소도 대목구 에티오피아 리비아 트리폴리 대목구 리비아 보마디 대목구 나이지리아 콩고 대목구 콩고 다호미 대목구 베냉 프랑스령 콩고 대목구 (로어 콩고) 콩고 프랜시스타운 대목구 보츠와나 이시올로 대목구 케냐 카메룬 대목구 카메룬 케니아 대목구 케냐 오렌지 킴벌리 대목구 남아프리카 공화국 콘타고라 대목구 나이지리아 모리셔스 대목구 모리셔스 노던 빅토리아 냔자 대목구 사하라 대목구 세네감비아 대목구 샤이어 대목구 수단 대목구 (중앙 아프리카) 수단 우냐니엠베 대목구
4. 2. 아메리카
국가 | 대목구 |
---|---|
에콰도르 | 아구아리코 대목구, 에스메랄다스 대목구, 갈라파고스 대목구, 멘데스 대목구, 나포 대목구, 푸요 대목구, 산 미겔 데 수쿰비오스 대목구, 사모라 대목구 |
칠레 | 아이센 대목구 |
볼리비아 | 카미리 대목구, 엘 베니 대목구, 뉴플로 데 차베스 대목구, 판도 대목구, 레예스 대목구 |
베네수엘라 | 카로니 대목구, 푸에르토 아야쿠초 대목구, 투쿠피타 대목구 |
파라과이 | 차코 파라과요 대목구, 필코마요 대목구 |
파나마 | 다리엔 대목구 |
과테말라 | 엘 페텐 대목구, 이사발 자치 대목구 |
콜롬비아 | 과피 대목구, 이니리다 대목구, 레티시아 대목구, 미투 대목구, 푸에르토 카레뇨 대목구, 푸에르토 가이탄 대목구, 푸에르토 레기사모-솔라노 대목구, 산 안드레스 이 프로비덴시아 대목구, 티에라덴트로 대목구, 트리니다드 대목구 |
페루 | 이키토스 대목구, 산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대목구, 푸칼파 대목구, 푸에르토 말도나도 대목구, 레케나 대목구, 산 호세 데 아마조나스 대목구, 산 라몬 대목구, 유리마구아스 대목구 |
니카라과 | 블루필즈 자치 대목구 |
코스타리카 | 리몬 자치 대목구 |
우루과이 | 몬테비데오 자치 대목구 (1830년 설립, 1878년 교구로 승격) |
미국 | 네브래스카 자치 대목구 |
생피에르 미클롱 | 생피에르 에 미클롱 자치 대목구 (2018년 라 로셸 생트 교구에 병합) |
4. 3. 아시아
국가 | 대목구 |
---|---|
레바논 | 베이루트 대목구 |
브루나이 | 브루나이 다루살람 대목구 |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카타르, 쿠웨이트 | 북아라비아 대목구 |
예멘, 아랍에미리트, 오만 | 남아라비아 대목구 |
시리아 | 알레포 대목구 |
터키 | 아나톨리아 대목구 |
파키스탄 | 퀘타 대목구 |
캄보디아 | 프놈펜 대목구 |
라오스 | 루앙프라방 대목구, 팍세 대목구, 사반나케트 대목구, 비엔티안 대목구 |
네팔 | 네팔 대목구 |
필리핀 | 본톡-라가웨 대목구, 칼라판 대목구, 홀로 대목구, 푸에르토 프린세사 대목구, 민도로 산호세 대목구, 타약 대목구, 타이타이 대목구 |
'''과거에 존재했던 대목구'''
국가 | 대목구 |
---|---|
중국 | 아모이 대목구, 장난 대목구, 북간쑤 대목구, 젠창 대목구, 북산시 대목구, 북산둥 대목구, 남산시 대목구, 남산둥 대목구, 남선시 대목구, 충칭 대목구, 쓰촨 대목구, 남쓰촨 대목구, 동남쓰촨 대목구, 완셴 대목구, 야저우 대목구 |
인도 | 찬간체리 대목구, 에르나쿨람 대목구, 코타얌 대목구, 마드라스 대목구, 파트나 대목구, 티베트-힌두스탄 대목구, 트리추르 대목구 |
인도네시아 | 바타비아 대목구 |
대한민국 | 조선 대목구[3] |
티베트, 시킴 | 라싸 대목구 |
4. 4. 유럽
국가 | 대목구 |
---|---|
그리스 | 테살로니키 대목구 |
튀르키예 | 이스탄불 대목구 |
구 오스만 제국 | 보스니아 사도 대목구, 불가리아 콘스탄티노플 가톨릭 사도 대목구, 헤르체고비나 사도 대목구,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가톨릭 사도 대목구, 불가리아 트라키아 가톨릭 사도 대목구 |
지브롤터 | 지브롤터 사도 대목구 |
크로아티아 | 마르차 사도 대목구 |
독일 | 북부 독일 사도 대목구 |
잉글랜드 | 잉글랜드 사도 대목구 |
스코틀랜드 | 스코틀랜드 사도 대목구 |
참조
[1]
웹사이트
Code of Canon Law, Book II, Canon 371§1
https://www.vatican.[...]
[2]
웹사이트
Vicar Apostolic."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2-03-08
[3]
웹사이트
Archdiocese of Seoul
http://www.catholic-[...]
2015-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