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는 2001년 1월 29일 김대중 정부에 의해 교육부 폐지 후 신설되어 2008년 2월 28일 이명박 정부에서 과학기술부와 통합되어 교육과학기술부로 개편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인적자원개발정책, 학교교육, 평생교육, 학술 및 교육재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했으며, 장관은 부총리급으로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폐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2008년 폐지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 대한민국 교육부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는 1947년 설립되어 전북특별자치도에 여러 캠퍼스를 둔 거점국립대학교로,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 교육부 - 대한민국학술원
대한민국학술원은 대한민국학술원법에 따라 설립된 학술 기관으로, 정부 학술 정책 자문, 학술 연구 지원, 국내외 학술 교류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각 분야 최고 권위자인 회원들로 구성된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설립일 | 2001년 1월 29일 |
전신 | 교육부 |
해산일 | 2008년 2월 28일 |
후신 | 교육과학기술부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는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수립·총괄·조정, 학교교육·평생교육 및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으로, 정부조직법 및 교육인적자원부와그소속기관직제에 설치 근거를 두고 있다.[1][2][3]
2. 1. 설치 근거
대한민국 교육인적자원부는 「정부조직법」 [법률 제6400호, 2001.01.29 일부개정] 제19조의2[1], 제26조 및 제28조[2]와 「교육인적자원부와그소속기관직제」 [대통령령 제17115호, 2001.01.29 제정] 제3조[3]에 의거하여 설치되었다.2. 2. 소관 업무
교육인적자원부는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수립·총괄·조정, 학교교육·평생교육 및 학술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3]3. 연혁
- 2001년 1월 29일 - 교육부를 폐지하고 교육인적자원부를 신설,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승격.[1]
- 2008년 2월 28일 - 과학기술부와 통합하여 교육과학기술부로 개편.[1]
3. 1. 김대중 정부
2001년 1월 29일 김대중 정부는 기존의 교육부를 폐지하고 교육인적자원부를 신설하면서,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승격하였다.[1]3. 2. 노무현 정부
2001년 1월 29일 노무현 정부는 정부 조직 개편의 일환으로 '''교육부'''를 폐지하고 '''교육인적자원부'''를 신설하면서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부총리급으로 승격하였다.[1]3. 3. 이명박 정부
2008년 2월 28일 과학기술부와 통합하여 교육과학기술부로 개편되었다.[1]4. 조직
교육인적자원부는 감사관, 공보관, 교원소청심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국제교육진흥원,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대책반, 학술원사무국 등 다양한 하부 조직을 두었다. 이들 조직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존속하며 교육인적자원부의 여러 기능을 맡았다.
4. 1. 주요 조직
명칭 | 존속 기간 |
---|---|
감사관 | 2001.01 ~ 2008.02 |
공보관 | 2001.01 ~ 2005.04 |
교원소청심사위원회 | 2005.07 ~ 2008.02 |
교원징계재심위원회 | 2001.01 ~ 2005.07 |
교육인적자원연수원 | 2005.01 ~ 2008.02 |
교육자치지원국 | 2001.01 ~ 2003.07 |
국립특수교육원 | 2001.01 ~ 2008.02 |
국사편찬위원회 | 2001.01 ~ 2008.02 |
국제교육정보화국 | 2003.07 ~ 2008.02 |
국제교육정보화기획관 | 2001.01 ~ 2003.07 |
국제교육진흥원 | 2001.01 ~ 2008.02 |
기획관리실 | 2001.01 ~ 2005.04 |
대학지원국 | 2001.01 ~ 2004.03 |
대학지원국 | 2005.08 ~ 2008.02 |
대학혁신추진단 | 2005.08 ~ 2008.02 |
운영지원팀 | 2005.08 ~ 2008.02 |
인적자원개발국 | 2004.03 ~ 2005.08 |
인적자원관리국 | 2004.03 ~ 2005.08 |
인적자원정책국 | 2001.01 ~ 2004.03 |
인적자원정책국 | 2005.08 ~ 2007.07 |
인적자원총괄국 | 2004.03 ~ 2005.08 |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대책반 | 2000.01 ~ 2008.02 |
정책홍보관리실 | 2005.04 ~ 2008.02 |
총무과 | 2001.01 ~ 2005.08 |
평생직업교육국 | 2001.01 ~ 2004.03 |
평생학습국 | 2005.08 ~ 2007.07 |
학교정책실 | 2001.01 ~ 2008.02 |
학술원사무국 | 2001.01 ~ 2008.02 |
혁신인사기획관 | 2005.08 ~ 2008.02 |
5. 역대 장·차관
대행
대행
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