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가보훈부는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 참전유공자, 5·18 민주유공자 등을 예우하고 지원하는 업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1948년 사회부에서 시작하여 군사원호청, 원호처, 국가보훈처를 거쳐 2023년 6월 부로 승격되었다. 주요 활동으로 일제 잔재 청산, 독립유공자 예우, 애국심 고취를 위한 정책 추진 등이 있으며, 국립묘지, 보훈심사위원회 등을 운영한다. 2023년 기준 총 337명의 공무원 정원과 6조 1885억 5200만 원의 재정 규모를 갖는다. 과거 안현태 국립묘지 안장 논란, 대선 개입 논란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3년 설립 - 포카라 국제공항
    포카라 국제공항은 네팔 포카라시에 위치하며, 2016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3년 1월 1일에 개항했고, 중국의 지원을 받아 건설되었으며, 항공사 운항과 사고 발생, 건설 비용 관련 의혹이 있는 국제공항이다.
  • 2023년 설립 - 충북 청주 FC
    충북 청주 FC는 2023년 창단하여 K리그2에 참가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축구단으로, 청주 FC와 청주 시티 FC의 통합 및 청주시의 지원으로 프로화에 성공, 충청북도에 7년 만에 프로 축구 클럽을 탄생시켰다.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국립서울현충원
    국립서울현충원은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국립묘지로, 한국전쟁 전사자, 순국선열, 애국지사, 국가유공자 등이 안장되어 있으며,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역사적 장소이다.
  •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독립기념관 (대한민국)
    독립기념관은 한국의 국난극복사와 국가발전사 관련 자료를 수집, 전시, 연구하고 역사 교육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87년 개관하여 현재 국가보훈처에서 관리하며 다양한 전시 시설과 자료를 통해 올바른 역사관 정립에 기여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대한민국의 경제 및 재정 정책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중장기 국가발전전략 수립, 경제·재정정책 수립, 예산·기금 편성, 조세·관세 정책, 국고·국유재산 관리, 국제금융·경제협력, 공공기관 관리 등의 사무를 관장하며 장관은 경제부총리를 겸임한다.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로고 (영어)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로고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국가보훈부 청사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국가보훈부 청사
국어 명칭국가보훈부
한자 명칭國家報勳部
영어 명칭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로마자 표기Gukga Bohun-bu
설립일2023년 6월 5일
설립 근거「정부조직법」 제26조 제1항 제9호
전신국가보훈처
보훈처 (1961-1984)
국가보훈처 (국무위원 미소속 부처) (1985-2023)
관할대한민국 정부
소재지세종특별자치시 도움4로 9
직원337명
예산세입: 2,074억 7,400만 원
세출: 6조 1,885억 5,200만 원
웹사이트www.mpva.go.kr
조직
기관장강정애 (장관)
차관이희완 (차관)
상급 기관국무총리
산하 기관#조직

2. 소관 사무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에 대한 보훈, 참전유공자와 5·18 민주유공자에 대한 예우, 제대 군인·고엽제후유의증 환자·특수임무수행자의 지원 및 보훈 선양 등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1]


  • 국가유공자와 그 유족에 대한 예우 및 지원[1]
  • 5·18민주유공자·특수임무유공자에 대한 예우[1]
  • 보훈보상대상자·고엽제후유의증환자·제대군인에 대한 지원[1]
  • 그 밖에 법령으로 정하는 보훈에 관한 사무[1]

3. 역사

보훈부의 역사적 뿌리는 정부 수립 당시 발족한 사회부이다. 1949년 사회국에 군사원호과를 설치해 상병 군인과 유가족 보호 업무를 담당하게 했다.[15] 6.25 전쟁 이후 상이군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1951년 원호국으로 확대되었다.[15]

5·16 군사 정변 이후 박정희 정부는 1961년 군사원호청을 설치, 상이군경 보호 제도를 법제화했다.[17] 군사원호청은 1962년 원호처로 개편되었다. 1984년 기구 명칭 변경을 검토했는데, 국가에 공이 있는 사람들이 혜택을 받는다는 피동적인 의미에서 탈피해 국가에 대한 공로를 보상한다는 뜻인 보훈으로 바꿀 것이라는 얘기였다.[18] 이후 1985년 원호처는 국가보훈처로 개편되며 유공자에 대한 정신적 예우를 포함하게 되었다.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등 역대 정부에서 보훈부 승격 논의가 있었으나, 번번이 무산되었다.[20][22] 2017년 대선유승민 바른정당 후보가 보훈부 승격을 공약으로 내세웠지만 낙선했다. 2023년 윤석열 정부에서 국가보훈부로 승격되었다.

역대 국가보훈부 장관은 다음과 같다.

성명재임 기간
한자 표기한글 표기취임퇴임
군사원호청장
초대閔丙權|민병권한국어민병권1961년7월 6일1962년 4월
원호처장
초대閔丙權|민병권한국어민병권1962년 4월1963년1월 31일
2윤영모尹永模|윤영모한국어1963년2월 1일1964년5월 10일
3김병삼金炳三|김병삼한국어1964년5월 11일1965년5월 14일
4박기석朴基錫|박기석한국어1965년5월 16일1970년12월 20일
5장동운張東雲|장동운한국어1970년12월 21일1973년10월 18일
6柳根昌|류근창한국어류근창1973년10월 19일1977년12월 19일
7金在命|김재명한국어김재명1977년12월 20일1980년5월 21일
8이종호李鍾浩|이종호한국어1980년5월 22일1983년10월 14일
9趙哲權|조철권한국어조철권1983년10월 15일1985년 1월
국가보훈처장
9趙哲權|조철권한국어조철권1985년 1월1985년2월 18일
10최종호崔鍾鎬|최종호한국어1985년2월 21일1986년1월 7일
11김근수金根洙|김근수한국어1986년1월 8일1988년2월 24일
12전석홍全錫洪|전석홍한국어1988년2월 25일1988년12월 4일
13이상연李相淵|이상연한국어1988년12월 5일1990년12월 26일
14민경배閔庚培|민경배한국어1990년12월 27일1993년2월 25일
15李炳台|이병태한국어이병태1993년2월 26일1993년12월 21일
16이충길李忠吉|이충길한국어1993년12월 22일1994년12월 23일
17黃昌平|황창평한국어황창평1994년12월 24일1996년12월 19일
18吳正昭|오정소한국어오정소1996년12월 20일1997년3월 5일
19박상범朴相範|박상범한국어1997년3월 6일1998년3월 2일
20김의재金義在|김의재한국어1998년3월 9일1999년3월 1일
21최규학崔圭鶴|최규학한국어1999년3월 6일2000년8월 27일
22김유배金有培|김유배한국어2000년8월 29일2001년4월 1일
23이재달李在達|이재달한국어2001년4월 2일2003년3월 2일
24安周燮|안주섭한국어안주섭2003년3월 3일2004년9월 23일
25박유철朴維徹|박유철한국어2004년9월 24일2007년4월 19일
26金井復|김정복한국어김정복2007년4월 20일2008년2월 28일
27金揚|김양한국어김양2008년3월 8일2011년2월 23일
28朴承椿|박승춘한국어박승춘2011년2월 24일2017년5월 11일
29皮宇鎭|피우진한국어피우진2017년5월 17일2019년8월 15일
30朴三得|박삼득한국어박삼득2019년8월 16일2020년12월 30일
31黃基鐵|황기철한국어황기철2020년12월 31일2022년5월 13일
32朴敏植|박민식한국어박민식2022년5월 14일2023년6월 4일
국가보훈부 장관
초대朴敏植|박민식한국어박민식2023년6월 5일2023년12월 25일
2강정애姜貞愛|강정애한국어2023년12월 26일(현직)


3. 1. 연혁


  • 1948년 7월 17일: 사회부 후생국에 시설과 설치.[25]
  • 1949년 10월 5일: 후생국을 사회국으로 개편하고 군사원호과 설치.[26]
  • 1950년 4월 1일: 시설과 폐지.[27]
  • 1951년 7월 13일: 군사원호과를 원호국으로 확대·개편하고 군사원호과, 경찰원호과, 보도과 설치.[28]
  • 1953년 2월 18일: 군사원호과와 경찰원호과를 원호과로 통합하고, 원호국에 연금과 설치.[29]
  • 1955년 2월 17일: 보건사회부 소속으로 변경.[30]
  • 1957년 9월 9일: 보건사회부 의정국에 시설과 설치.[31]
  • 1961년 7월 5일: 보건사회부 사회국 원호과, 보도과, 연금과 및 의정국 시설과를 통합하여 군사원호청 설치.[32]
  • 1962년 5월 12일: 원호처로 개편.[33]
  • 1985년 1월 1일: 국가보훈처로 개편.[34]
  • 2023년 6월 5일: 국가보훈부로 개편.[35]

4. 조직

대한민국 국가보훈부의 조직은 장관, 차관 아래 여러 실, 국, 정책관, 심의관실, 담당관실, 과 등으로 구성된다.[8]

4. 1. 간부

직위
장관
차관
대변인
장관정책보좌관
보훈단체협력관
감사담당관

[8]

4. 2. 하부 조직

실·국정책관·심의관실담당관실·과
장관 산하 하부조직
대변인실홍보담당관실ㆍ디지털소통팀[36]
장관정책보좌관실[37]
차관 산하 하부조직
기획조정실기획재정담당관ㆍ혁신행정담당관ㆍ규제개혁법무담당관ㆍ정보화담당관[38]
보훈단체협력관보훈단체협력담당관ㆍ보훈단체수익사업관리팀[39]
colspan=2 |감사담당관실[38]ㆍ운영지원과
보훈정책실보훈정책관보훈정책총괄과ㆍ국제협력과 ㆍ보훈제도과
보훈문화정책관보훈문화정책과ㆍ보훈문화콘텐츠과ㆍ기념사업과ㆍ현충시설정책과ㆍ현충시설관리과
보훈예우정책관예우정책과ㆍ국립묘지정책과ㆍ보훈기록관리과ㆍ공훈심사과
보상정책국보상정책과ㆍ등록관리과ㆍ심사기준과
복지증진국복지정책과ㆍ복지서비스과 ㆍ생활안전과ㆍ보훈의료심의관실(보훈의료정책과ㆍ보훈의료혁신과)
제대군인국[38]제대군인정책과ㆍ제대군인일자리과ㆍ제대군인지원과



대한민국 국가보훈부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8]

4. 3. 소속기관

국립서울현충원, 국립대전현충원, 국립4·19민주묘지관리소, 국립3·15민주묘지관리소, 국립5·18민주묘지관리소, 국립영천호국원, 국립임실호국원, 국립이천호국원, 국립산청호국원, 국립괴산호국원, 국립제주호국원, 국립신암선열공원관리소,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이 있다.[8] 지방보훈청과 보훈지청, 보훈심사위원회도 소속 기관이다.[8]

기관명하부조직
국립대전현충원
국립민주묘지
국립호국원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지방보훈청보훈지청
보훈심사위원회


4. 4. 소속 위원회

위원회명주관부처설치근거비고
보훈심사위원회국가보훈부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82조
국가보훈위원회국가보훈부국가보훈기본법 제11조
국립묘지안장대상심의위원회국가보훈부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10조
순국선열·애국지사사업기금 및 보훈기금운용심의회국가보훈부보훈기금법 제10조

[8]

5. 주요 활동 및 캠페인

국가보훈부는 일제강점기 잔재 청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일제의 잔재를 없애자" 캠페인: 일제 시대부터 사용된 일본어 유래 단어를 근절하기 위한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11]
  • 임시 정부의 '대일 선전 포고' 기념식 개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일본에 선전 포고한 '대일 선전 포고일'을 기념하는 행사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11]
  • 친일 행위 전력 유공자 예우 중단 조치: 독립유공자에게 주어지는 유족 연금, 자녀 학자금 등의 혜택을 받은 이후에 친일 행위가 밝혀진 경우, 해당 유공자에 대한 예우를 중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11]

6. 정원

2023년 기준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12]

총계337명
정무직 계2명
장관1명
차관1명
별정직 계2명
고위공무원단1명
3급 상당 이하 5급 상당 이상1명
일반직 계333명
고위공무원단11명
3급 이하 5급 이상131명
6급 이하189명
전문경력관2명


7. 재정

2023년 기준 총 600만이다.[13][14]

구분세입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95.73억+4.08%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7500만+66.67%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6100만+0%
보훈기금1899.47억-10.1%
순국선열·애국지사사업기금78.18억+3.04%
합계2074.74억-9.07%



구분세출예산작년 대비 증감
일반회계보훈59372.47억+5.36%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보훈22.7억+1.34%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보훈155.31억-8.59%
보훈기금보훈1325.38억+5.68%
순국선열·애국지사사업기금보훈1009.66억+5.9%
합계600만+5.33%


8. 사건·사고 및 논란

국가보훈부는 여러 사건·사고 및 논란에 휘말린 바 있다.

2011년 8월, 국가보훈처는 전 경호실장 안현태를 국립묘지에 안장하기로 결정했다. 안현태는 과거 비리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나, 베트남 파병 및 1·21 사태 당시 공로 등을 이유로 안장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5공 비리' 인사의 국립묘지 안장에 대한 비판 여론이 일었다.[40][41]

제18대 대선을 앞두고는 보훈처의 안보 교육이 논란이 되었다. 해당 교육에서는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북 정책을 비판하고 진보 세력을 종북 세력으로 규정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대선 개입 의혹이 제기되었다.[42]

8. 1. 안현태 국립묘지 안장 논란

2011년 8월 5일, 국가보훈처 국립묘지 안장대상 심의위원회는 전 경호실장 안현태를 국립묘지에 안장하겠다고 의결했다.

안현태는 1996년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았으나 이듬해 집행면제되고 1998년 복권되었다. 보훈처는 안현태가 1964년 베트남에 파병돼 국위를 선양했고 1968년 1·21 사태 당시 청와대 침투 무장공비를 사살해 화랑무공훈장을 받았으며, 전역 후 대통령경호실장을 역임하는 등 국가안보에 기여한 점 등을 고려하였다고 발표했다. 「국립묘지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은 '금고 1년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거나 국립묘지 영예성을 훼손한 경우에 안장 비대상으로 심의 의결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국립묘지에 안장하겠다고 의결한 것이다.

8월 6일 오전, '5공 비리' 인사인 안현태의 유해가 국립대전현충원에 기습적으로 안장되었다. 5공 인사의 국립묘지 안장은 12·12 군사 반란과 관련해 「군형법」 상 반란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복역한 유학성 이후 두 번째다.[40][41]

8. 2. 대선 개입 논란

제18대 대선을 앞두고 보훈처가 방문객들에게 우편향된 안보 교육을 실시한 것이 드러나 비판을 받았으며, 대선에 개입하려는 목적이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해당 교육에서 상영된 DVD에는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의 대북 정책을 비판하고 진보 세력을 종북 세력으로 규정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으며, 5·16 군사 쿠데타를 미화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42] 보훈처는 안보 교육에 사용된 DVD를 제작하지 않았다고 밝혔으며, 이에 국가정보원이 여론 조작 사건과 관련하여 만들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

9. 역대 장관

역대 대한민국 국가보훈부 장관[1]
성명재임 기간
군사원호청장
초대민병권|민병권한국어1961년 7월 6일 ~ 1962년 4월
원호처장
초대민병권|민병권한국어1962년 4월 ~ 1963년 1월 31일
2윤영모1963년 2월 1일 ~ 1964년 5월 10일
3김병삼1964년 5월 11일 ~ 1965년 5월 14일
4박기석1965년 5월 16일 ~ 1970년 12월 20일
5장동운1970년 12월 21일 ~ 1973년 10월 18일
6류근창|유근창한국어1973년 10월 19일 ~ 1977년 12월 19일
7김재명|김재명 (1925년)한국어1977년 12월 20일 ~ 1980년 5월 21일
8이종호1980년 5월 22일 ~ 1983년 10월 14일
9조철권|조철권한국어1983년 10월 15일 ~ 1985년 1월
국가보훈처장
9조철권|조철권한국어1985년 1월 ~ 1985년 2월 18일
10최종호1985년 2월 21일 ~ 1986년 1월 7일
11김근수1986년 1월 8일 ~ 1988년 2월 24일
12전석홍1988년 2월 25일 ~ 1988년 12월 4일
13이상연1988년 12월 5일 ~ 1990년 12월 26일
14민경배1990년 12월 27일 ~ 1993년 2월 25일
15이병태|이병태 (1937년)한국어1993년 2월 26일 ~ 1993년 12월 21일
16이충길1993년 12월 22일 ~ 1994년 12월 23일
17황창평|황창평한국어1994년 12월 24일 ~ 1996년 12월 19일
18오정소|오정소한국어1996년 12월 20일 ~ 1997년 3월 5일
19박상범1997년 3월 6일 ~ 1998년 3월 2일
20김의재1998년 3월 9일 ~ 1999년 3월 1일
21최규학1999년 3월 6일 ~ 2000년 8월 27일
22김유배2000년 8월 29일 ~ 2001년 4월 1일
23이재달2001년 4월 2일 ~ 2003년 3월 2일
24안주섭|안주섭한국어2003년 3월 3일 ~ 2004년 9월 23일
25박유철2004년 9월 24일 ~ 2007년 4월 19일
26김정복|김정복한국어2007년 4월 20일 ~ 2008년 2월 28일
27김양|김양 (금융인)한국어2008년 3월 8일 ~ 2011년 2월 23일
28박승춘|박승춘한국어2011년 2월 24일 ~ 2017년 5월 11일
29피우진|피우진한국어2017년 5월 17일 ~ 2019년 8월 15일
30박삼득|박삼득한국어2019년 8월 16일 ~ 2020년 12월 30일
31황기철|황기철한국어2020년 12월 31일 ~ 2022년 5월 13일
32박민식|박민식한국어2022년 5월 14일 ~ 2023년 6월 4일
국가보훈부 장관
초대박민식|박민식한국어2023년 6월 5일 ~ 2023년 12월 25일
2강정애2023년 12월 26일 ~ 현재


참조

[1] 웹사이트 Ministers in History https://www.mpva.go.[...]
[2] 웹사이트 History of MPVA >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http://english.mpva.[...] 2018-05-03
[3] 웹아카이브 Korea in photos https://www.korea.ne[...] 2023-11-15
[4] 웹아카이브 https://www.koreatim[...] 2023-11-15
[5] 웹아카이브 https://en.yna.co.kr[...] 2023-06-05
[6] 블로그 minaQのつぶやき https://blogs.yahoo.[...] 2017-11
[7] 웹사이트 「国家報勲部」が発足 https://jp.yna.co.kr[...] 2023-06-05
[8] 웹사이트 조직도 - 조직안내 - 국가보훈부 소개 - 국가보훈부 https://www.mpva.go.[...] 2023-07-02
[9] 웹사이트 처장 - 역대처차장 - 장차관 소개 - 국가보훈부 소개 - 국가보훈부 https://www.mpva.go.[...] 2023-06-25
[10] 웹사이트 장관인사말 - 장차관소개 - 장차관 소개 - 국가보훈부 소개 - 국가보훈부 https://www.mpva.go.[...] 2023-06-25
[11] 법률 独立有功者礼遇に関する法律 제39조 제1항 제6호 및 日帝強占下反民族行為真相糾明に関する特別法 제2조
[12] 법률 국가보훈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별표 2
[13]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예산편성현황(총수입) https://www.openfisc[...] 2023-01-27
[14] 웹인용 열린재정 > 재정연구분석 > 재정분석통계 > 세목 예산편성현황(총지출) https://www.openfisc[...] 2023-01-27
[15] 뉴스 援護事業萬全 社會部援護課昇格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51-07-16
[16] 뉴스 아직도解決못된傷痍軍人援護 年金制法令化하라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52-01-08
[17] 뉴스 軍事援護制度를改善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61-07-06
[18] 뉴스 기구이름 改稱검토 援護處를「報勲處」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4-05-29
[19] 뉴스 향군업무 보훈처 이관 보훈部로 승격도 검토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2-04-28
[20] 뉴스 盧 "보훈처 장관급 부처로 승격" https://n.news.naver[...] 동아일보 2003-06-25
[21] 뉴스 보훈처를 보훈부로…당정, 장관급부처 승격추진 https://n.news.naver[...] 경향신문 2003-08-06
[22] 뉴스 당정, 국가보훈처 `부(部)'로 승격 검토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10-04-18
[23] 뉴스 입법조사처 "국가보훈처 '국가보훈부'로 승격 검토해야" https://n.news.naver[...] 뉴시스 2010-06-08
[24] 뉴스 정부, '보훈부 승격' 조직개편안 확정…60여 년 만에 성사될까? https://www.mbn.co.k[...] MBN 2022-10-06
[25]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25호
[26]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88호
[27]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311호
[28]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512호
[29]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757호
[30]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004호
[31]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304호
[32] 법률 법률 제647호
[33] 법률 법률 제1052호
[34] 법률 법률 제3734호
[35] 법률 법률 제19228호
[36] 문서
[37] 문서
[38] 문서
[39] 문서
[40] 뉴스 5共 경호실장 안현태 국립묘지 안장 의결 (종합) https://news.v.daum.[...] 2011-08-05
[41] 뉴스 안현태 유해, 군사작전하듯 국립묘지에 기습 안장 http://www.viewsnnew[...] 2011-08-07
[42] 뉴스 국가보훈처로 불똥 튄 '선거 개입' 논란 http://www.imaeil.co[...] 2013-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