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지식경제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지식경제부는 2008년 2월 29일 산업자원부를 개편하여 신설되었으며, 산업, 무역, 에너지, IT 산업, R&D, 경제자유구역 기획 등의 업무를 관장했다. 2013년 3월 23일 폐지되고 산업통상자원부로 개편되었으며, R&D 업무는 미래창조과학부로 이관되었다. 중소기업청과 특허청이 외청으로 있었으며, 역대 장관으로는 이윤호, 최경환, 최중경, 홍석우 등이 있었다. 2010년부터 2011년까지 11명의 지식경제부 공무원이 산하기관으로부터 룸살롱 접대를 받은 사건으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2013년 폐지 - 대한민국 행정안전부
대한민국 행정안전부는 국무회의 서무, 법령 공포, 정부 조직 관리, 정부혁신, 전자정부 구축, 지방자치 지원, 재난안전관리 등을 수행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내무부와 총무처의 통합 및 국민안전처 흡수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다. - 2013년 폐지 - 워싱턴 포스트
워싱턴 포스트는 1877년 창간되어 워싱턴 D.C.에서 발행되는 영향력 있는 미국의 일간지로, 워터게이트 사건 보도와 퓰리처상 수상, 제프 베이조스의 디지털 혁신 추진을 거쳐 "민주주의는 어둠 속에서 죽는다"라는 슬로건을 사용하는 신문이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대한민국 지식경제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현지어 이름 | 知識經濟部 |
설립일 | 2008년 2월 29일 |
전신 | 재정경제부 과학기술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
해산일 | 2013년 3월 23일 |
후신 |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
산하기관 | |
산하기관 | 중소기업청 (08.02 ~ 13.03) 특허청 (08.02 ~ 13.03) 우정사업본부 (08.02 ~ 13.03) |
기타 | |
영어 이름 |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지식경제부의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정부조직법 제32조[1]
- 지식경제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3조[2]
3. 연혁
4. 조직
지식경제부는 다음과 같은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서 | 부서 | 부서 | 부서 | 부서 |
---|---|---|---|---|
가스산업과 | 감사관 | 감사담당관 | 경제자유구역기획단 | 광업등록사무소 |
구주협력과 | 군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 규제개혁법무담당관 | 기계항공시스템과 | 기술표준원 |
기술표준정책국 | 기획재정담당관 | 기획조정실 | 기후변화에너지자원개발정책관 | 김제자유무역지역관리원 |
남부광산보안사무소 | 녹색성장기후변화정책과 | 대불자유무역지역관리원 | 동남아협력과 | 동부광산보안사무소 |
동북아협력과 | 동해자유무역지역관리원 | 디자인브랜드과 | 로봇산업과 | 마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
무역위원회 | 무역정책과 | 무역정책관 | 무역진흥과 | 무역투자실 |
미래생활섬유과 | 미주협력과 | 바이오헬스과 | 반도체디스플레이과 | 방사성폐기물과 |
부품소재총괄과 | 비상안전계획관 | 비서관 | 산업경제실 | 산업경제정책과 |
산업경제정책관 | 산업기술개발과 | 산업기술기반팀 | 산업기술시장과 | 산업기술정책과 |
산업자원협력실 | 산업환경과 | 서부광산보안사무소 | 석유산업과 | 석탄산업과 |
성과관리고객만족팀 | 성장동력실 | 성장동력정책과 | 성장촉진과 | 소프트웨어산업과 |
소프트웨어융합과 | 수출입과 | 승강기사고조사판정위원회 | 신산업정책관 | 신재생에너지과 |
에너지관리과 | 에너지기술팀 | 에너지산업정책관 | 에너지안전팀 | 에너지자원실 |
에너지자원정책과 | 에너지절약정책과 | 에너지절약추진단 | 에너지절약협력과 | 연구개발특구기획단 |
우정사업본부 | 운영지원과 | 울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 | 원전산업정책과 | 원전산업정책관 |
원전수출진흥과 | 유통물류과 | 율촌자유무역지역관리원 | 입지총괄과 | 자동차조선과 |
자원개발전략과 | 장관정책보좌관 | 재난안전관리팀 | 적합성정책국 | 전기위원회 |
전략시장정책과 | 전략시장협력관 | 전력산업과 | 전력진흥과 | 전자산업과 |
정보통신산업과 | 정보통신산업정책관 | 정보통신정책과 | 정보화담당관 | 정책기획관 |
제품안전정책국 | 주력산업정책관 | 주력시장협력관 | 중견기업정책과 | 중견기업정책관 |
중동아프리카협력과 | 중부광산보안사무소 | 지식산업표준국 | 지식서비스과 | 지역경제정책관 |
지역경제총괄과 | 지역산업과 | 지역특화발전특구기획단 | 철강화학과 | 투자유치과 |
투자정책과 | 투자정책관 | 해외투자과 | 행정관리담당관 | 혁신지원과 |
협력총괄과 | 홍보기획담당관 | 홍보지원팀 |
4. 1. 외청
5. 역대 장·차관
(현 충남과 분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