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댐은 2001년 기준 약 18,000여 개가 있으며, 이 중 높이 15m 이상, 저수용량 300만m³ 이상 등을 충족하는 1,206개소가 "대댐"으로 분류된다. 대댐은 관개용, 생공용수, 수력발전, 다목적, 홍수조절 등의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방조제와 하구둑도 포함된다. 다목적댐은 1961년 섬진강댐 건설을 시작으로 2001년까지 15개가 완공되었고, 수력발전댐은 21개소, 생공용수댐은 60개소가 있다. 댐 건설과 관련하여 동강댐 건설 취소, 지질학적 문제 등으로 인한 누수 발생 등의 문제점과 논란이 있다.
2001년 기준 대한민국에는 18,000여 개의 댐 및 저수지가 있으며, 이 중 "대댐" 기준을 충족하는 댐은 1,206개소이다.[1] 대한민국의 댐 형식은 균질형필댐(HE), 코아형 필댐(CE), 락필댐(ER),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락필댐(CF), 콘크리트 중력식댐(PG), 바라지(BM) 등으로 구분된다.
대한민국의 댐은 여러 목적으로 건설되며, 그 목적에 따라 관리 주체가 달라진다.
2. 대한민국의 댐 현황
2. 1. 대댐의 기준
2001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는 댐 및 저수지가 약 18,000여 개가 있으며, 그중에서 실질적으로 댐이라고 하는 것은 "대댐"을 말한다. 대댐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1]
대댐의 기준을 충족하는 댐은 1,206개소가 있는데, 이 중 대부분인 1,114개소는 관개용수댐이며 나머지는 생공용수댐 60개소, 수력발전댐 16개소, 다목적댐 15개소, 홍수조절댐 1개소가 있다.[1] 이때 방조제와 하구둑도 대댐의 기준으로 보면 대댐에 해당한다.
2. 2. 댐의 형식
2001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는 댐 및 저수지가 약 18,000여 개가 있으며, 이 중 "대댐"의 기준을 충족하는 댐은 1,206개소이다. 대댐은 높이 15m 이상, 높이 10~15m로서 길이가 2000m 이상, 또는 저수용량이 300만m3 이상인 댐을 말한다.[1] 대댐의 대부분(1,114개소)은 관개용수댐이며, 나머지는 생공용수댐(60개소), 수력발전댐(16개소), 다목적댐(15개소), 홍수조절댐(1개소)이다.[1] 방조제와 하구둑도 대댐의 기준에 해당한다.[1]
대한민국에 있는 댐의 형식은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3. 목적별 댐
3. 1. 다목적댐
대한민국의 '''다목적댐'''은 특정다목적댐법에 의해 건설되었으나 1999년 이 법이 폐지되면서 지금은 "댐건설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건설되며, 1961년 섬진강댐을 건설 시작한 이래 2001년까지 15개 댐이 완공되었고, 몇 개 댐이 건설 중에 있다.
3. 2. 수력발전댐
2022년 기준 대한민국의 대댐 기준에 의한 수력발전댐은 21개소이나, 실제 발전소가 설치된 댐은 15개소이다. 수력발전댐은 유하식 발전용댐과 양수발전용댐으로 구분되는데, 유하식 발전용댐은 8개소, 양수발전용댐은 13개소가 있으며, 양수발전용댐은 7개소에만 발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1977년 한국수자원공사가 안동댐 역조정지를 이용하여 시설용량 9만kW의 양수발전을 개시한 것이 대한민국 최초의 양수발전이다. 이후 한국전력공사 등 전력그룹사에서 7개의 양수발전용댐을 건설하였고, 현재 영동양수, 포천양수, 홍천양수 3개소가 건설되고 있다. 현재는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가 수력발전댐을 관할한다.[1]
3. 3. 생공용수댐 (생활·공업용수댐)
대한민국의 생공용수댐(생활·공업용수댐)은 총 60개소가 있으며 한국농어촌공사, 지자체, 한국수자원공사 등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때 방조제 및 하구둑도 이 댐에 포함된다. 방조제와 하구둑은 한국농어촌공사 및 시군 지자체에서 관리하며, 낙동강하굿둑만 한국수자원공사가 관리한다. 이 중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댐은 대부분 생활용수 뿐만 아니라 관개용수를 공급하는 댐으로서 유효저수용량을 기준으로 저수용량 합계는 7.39억m3에 달한다.
3. 4. 방조제 및 하구둑
1960년대까지 대한민국은 계속된 가뭄과 홍수, 그리고 식량난을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소규모 저수지 위주의 농업용 수원 개발에 힘썼다. 그러나 농업 기반의 중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1965년 6월, 전천후 농업용 수자원 개발 계획을 수립하였다. 막대한 사업비 조달을 위해 국제부흥개발은행(세계은행) 차관 도입을 검토했고, 중규모 5개 지구(평택, 금강, 영산강, 남한강, 청주 등) 794000ha를 선정하여 "대단위농업종합개발"이라는 이름으로 경제기획원에 예비 차관신청서를 제출하면서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이 시작되었고, 이와 함께 방조제 및 하구둑이 건설되기 시작했다.[1]
대한민국은 서해안 및 남해안의 얕은 바다와 리아스식 지형 덕분에 간척사업이 발전했다. 1960년대부터는 네덜란드의 간척 기술이 도입되면서 간척 방식은 대규모 복식 간척으로 전환되었고, 방조제 기술도 크게 발전하여 대조평균 간조위 아래 25m 깊이까지 해면 간척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게 건설된 대댐 기준에 해당하는 방조제나 하구둑은 총 19개소이며, 이 중 관개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17개소의 유효저수용량은 약 13.908억m3이다.[1]
3. 5. 관개용수댐
"대댐" 기준을 충족하는 대부분의 댐은 이 '''관개용수댐'''에 해당한다. 총 1,114개소가 있으며 이들의 총 유효저수용량은 18.565억m3, 총 관개 면적은 약 220000ha이다. 이 중에서 유효저수용량이 1000만m3 이상인 댐은 30개소가 있다.[1]
3. 6. 홍수조절전용댐
대한민국의 홍수조절전용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유하천인 북한강에 건설한 평화의 댐과 임진강에 건설한 군남댐, 한탄강에 건설한 한탄강댐이 있다. 평화의 댐은 북한강 상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역 내에 건설한 임남댐(금강산댐)을 북한군이 수공을 위해 임의로 파괴했을 경우나 자연재해에 의한 붕괴에 대응하기 위해 강원도 화천군 화천읍에 건설한 댐이다.[1] 1988년에 높이 80m, 길이 410m, 총저수용량 5.9억m3, 댐체적 259만m3의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락필댐으로 완공하였지만, 현재 모습은 1단계가 완성된 것으로 향후 임남댐이 증축될 것을 염두에 두고 2단계 증축이 가능하게 건설되었다.[1]
4. 댐 목록
다음은 대한민국의 댐 목록이다.[2]
4. 1. 수계별 댐 목록
한강 수계에는 소양강댐, 충주댐, 횡성댐, 광동댐, 평화의 댐이 있다.[1]낙동강 수계에는 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남강댐, 밀양댐, 군위댐, 부항댐, 운문댐, 영천댐, 낙동강하굿둑이 있다.
금강 수계에는 대청댐, 용담댐, 금강하굿둑이 있다.
섬진강 수계에는 섬진강댐, 주암댐, 주암조절지댐, 수어댐이 있다.
그 외 수계의 댐은 다음과 같다.
| 수계 | 댐 이름 |
|---|---|
| 직소천 | 부안댐 |
| 웅천천 | 보령댐 |
| 탐진강 | 장흥댐 |
| 섬강 | 횡성댐 |
| 내성천 | 영주댐 |
| 남강 | 남강댐 |
| 밀양강 | 밀양댐 |
| 감천 | 부항댐 |
| 전천 | 달방댐 |
| 대곡천 | 사연댐 |
| 대암천 | 대암댐 |
| 형산강 | 안계댐 |
| 연초천 | 연초댐 |
| 산양천 | 구천댐 |
| 여천천 | 선암댐 |
| 태화강 | 대곡댐 |
| 오류천 | 감포댐 |
| 평림천 | 평림댐 |
| 동화천 | 공산댐 |
| 한탄강 | 한탄강댐 |
| 임진강 | 군남홍수조절지 |
| 영산강 | 영산강하굿둑 |
4. 1. 1. 한강 수계
한강 수계에는 광동댐이 있다.[1]다목적댐으로는 소양강댐, 충주댐, 횡성댐이 있다.
생활 및 공업용수 전용 댐으로는 광동댐이 있다.
홍수 조절용 댐으로는 평화의 댐이 있다.
4. 1. 2. 낙동강 수계
4. 1. 3. 금강 수계
다목적댐한국어: 대청댐, 용담댐하굿둑한국어: 금강하굿둑
4. 1. 4. 기타 수계
| 수계 | 댐 이름 | 비고 |
|---|---|---|
| 직소천 | 부안댐 | 다목적댐 |
| 웅천천 | 보령댐 | 다목적댐 |
| 탐진강 | 장흥댐 | 다목적댐 |
| 섬강 | 횡성댐 | 다목적댐 |
| 내성천 | 영주댐 | 다목적댐 |
| 남강 | 남강댐 | 다목적댐 |
| 밀양강 | 밀양댐 | 다목적댐 |
| 감천 | 부항댐 | 다목적댐 |
| 전천 | 달방댐 | 생공전용 |
| 대곡천 | 사연댐 | 생공전용 |
| 대암천 | 대암댐 | 생공전용 |
| 형산강 | 안계댐 | 생공전용 |
| 형산강 | 덕동댐 | 관개용수용 |
| 연초천 | 연초댐 | 생공전용 |
| 산양천 | 구천댐 | 생공전용 |
| 여천천 | 선암댐 | 생공전용 |
| 태화강 | 대곡댐 | 생공전용 |
| 오류천 | 감포댐 | 생공전용 |
| 평림천 | 평림댐 | 생공전용 |
| 동화천 | 공산댐 | 생공전용 |
| 한탄강 | 한탄강댐 | 홍수조절용 |
| 임진강 | 군남홍수조절지 | 홍수조절용 |
| 영산강 | 영산강하굿둑 | 하굿둑 |
4. 2. 목적별 댐 목록 (추가)
덕동댐은 형산강 수계에 있다.4. 2. 1. 관개용수용 댐
대아댐, 동화댐, 성주댐, 강릉댐, 탑정댐, 예당댐, 장성댐, 담양댐, 광주댐, 나주댐, 무극제, 하동댐 등이 있다.4. 2. 2. 수력발전용 댐
청평댐, 화천댐, 괴산댐(칠성댐), 춘천댐, 의암댐, 팔당댐, 도암댐, 보성강댐4. 2. 3. 양수발전용 댐
揚水發電|양수 발전중국어은 심야의 잉여 전력을 이용하여 하부 저수지의 물을 상부 저수지로 퍼올려 저장하고, 전력이 필요할 때 상부 저수지의 물을 하부 저수지로 낙하시켜 발전하는 수력 발전 방식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에 준공된 삼랑진댐을 시작으로, 무주댐, 양양댐, 산청댐, 청송댐 등이 건설되어 운영되고 있다.5. 댐 건설과 관련된 문제점 및 논란
댐 건설은 환경 파괴, 수몰 지역 주민 이주, 생태계 변화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 건설 취소 사례: 동강댐은 환경 문제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건설이 백지화되었다.[1]
- 댐의 지질학적 문제: 댐 기초 지반 문제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편마암, 화강암, 퇴적암 등 다양한 암석의 절리, 층리, 풍화대, 공동(空洞) 등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으면 누수로 이어질 수 있다. 경기도 기산 지구, 충남 보령시, 충북 도원지구, 전남 오류지구, 강원 원덕지구 등에서 이러한 문제로 인한 누수 사례가 보고되었다.[3]
5. 1. 건설 취소 사례
동강댐은 2000년에 환경 문제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건설이 백지화되었다.[1]5. 2. 댐의 지질학적 문제
대한민국의 댐 중 높이 30m 이상의 대규모 댐 46개소 중 26개는 편마암류, 15개소는 화강암류, 5개소는 퇴적암류가 기초지반이다. 1920~1982년 농업진흥공사가 시공한 댐 중 누수가 발생한 51개 댐의 누수 원인을 조사한 결과 55%가 기반암 불량으로 인한 것으로 암석의 절리, 층리, 풍화대, 공동(空洞)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아 발생한 문제이다.[3] 예를 들면, 경기도 기산 지구에서는 기초지반에 절리가 발달하여 누수가 발생한 적 있으며 충남 보령시에서는 대동 누층군의 층리가 발달한 사암과 셰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하였다. 충북 도원지구에서는 기반암인 운모편암의 편리(片理)면을 따라 누수가 발생한 적이 있으며 전남 오류지구와 강원 원덕지구에 석회암의 용해로 인한 누수 사례도 있다.[3]참조
[1]
간행물
국내 댐 현황
http://www.kwater.or[...]
한국수자원공사
2005-07-07
[2]
간행물
다목적댐 및 용수댐 현황
http://www.kwater.or[...]
한국수자원공사
2013-12-05
[3]
저널
Basements of Dams and Dam Building in Korea (韓國의 댐 基礎基盤과 그 處理)
https://www.dbpia.co[...]
1983-06
[4]
문서
공식 명칭은 아산호이며 경기권에서 평택호라고 부르나 두가지 명칭을 혼용하고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