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주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주소는 1918년 지번 주소가 도입된 이후, 1996년 도로명 주소 시범 사업을 거쳐 2014년 도로명 주소가 전면 시행되었다. 지번 주소는 토지 구획을 기준으로, 도로명 주소는 도로명, 건물번호, 상세주소 등을 활용한다. 도로명 주소는 도로의 폭에 따라 대로, 로, 길로 구분하고, 건물번호는 주 출입구 위치에 따라 부여된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사용되는 주소 체계는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되는 방식과 유사하며, 우편 주소 작성 시에는 국가명, 주소, 수신자, 우편번호 순으로 표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한민국의 주소 | |
---|---|
개요 | |
국가 | 대한민국 |
수도 | 서울특별시 |
사용 언어 | 한국어 |
주소 체계 | |
도로명주소 | 도로명 + 건물번호 |
지번주소 | 시/도 + 시/군/구 + 읍/면 + 동/리 + 지번 |
역사 | |
시행일 | 도로명주소 2014년 1월 1일 전면 시행 |
변경 이유 | 일제 강점기 잔재 청산 도시화로 인한 지번 체계의 비효율성 증대 국제 표준 부합화 |
도로명주소 상세 정보 | |
도로명 | 도로의 종류에 따라 결정 (대로, 로, 길) 도로 폭, 기능, 지역 특성 등을 고려 |
건물번호 | 도로의 시작점에서부터 20m 간격으로 부여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 번호 부여 |
동/리 | 필요한 경우 도로명과 건물번호 뒤에 추가 행정 구역상 위치 명확화 |
지번주소 상세 정보 | |
구성 요소 | 시/도 + 시/군/구 + 읍/면 + 동/리 + 지번 |
지번 | 토지에 부여된 고유 번호 임야대장에 등록된 토지는 '산'으로 시작 |
주소 표기 예시 | |
도로명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 175 |
지번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1 |
참고 사항 | |
우편번호 | 도로명주소와 함께 사용 (5자리) |
관련 법규 | 도로명주소법 |
문제점 | 초기 혼란 및 적응 기간 필요 일부 지역의 도로명 부여 체계 미흡 지번주소에 익숙한 사람들의 불편 |
장점 | 위치 찾기 용이성 향상 긴급 상황 시 신속한 대응 가능 국제 표준 주소 체계와의 호환성 |
2. 역사
1918년 지번 주소가 도입되었다.[4] 1996년 김영삼 정부 내무부에서 도로명 주소 시범 사업에 착수하였다.[4] 1997년 1월 도로명 주소 시범 사업이 서울특별시 강남구, 안양시, 안산시, 청주시, 공주시, 경주시에서 추진되었다.[4] 1997년부터 2010년 10월까지 도로명 주소 시설물이 전국에 설치 완료되었다.[4] 2010년 10월 27일부터 11월 30일까지 도로명 주소 예비 안내가 실시되었다.[4] 2011년 3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도로명 주소가 전국에 일괄 고지되었고, 2011년 4월부터 12월까지 도로명 주소 정보화 사업으로 국가주소정보시스템이 구축되었다.[4] 2011년 7월 23일 도로명 주소가 고시되었다.[4] 2011년 7월 29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가 병행 사용되었으며, 2014년 1월 1일부터 도로명 주소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4]
2. 1. 지번 주소 도입 (1918년)
2. 2. 도로명 주소 시범 사업 (1996년 ~ 2010년)
1996년 김영삼 정부 내무부에서 도로명 주소 시범 사업에 착수하였다.[4] 1997년 1월 서울특별시 강남구, 안양시, 안산시, 청주시, 공주시, 경주시에서 도로명 주소 시범 사업을 추진하였다. 1997년부터 2010년 10월까지 도로명 주소 시설물을 전국에 설치 완료했다.2. 3. 도로명 주소 전국 시행 (2011년 ~ 현재)
2010년 10월 27일부터 11월 30일까지 도로명 주소 예비 안내 기간을 가졌다.[4] 2011년 3월 26일부터 6월 30일까지 전국적으로 도로명 주소를 일괄 고지했다.[4] 2011년 4월부터 12월까지 국가주소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도로명 주소 정보화 사업을 추진했다.[4] 2011년 7월 23일 도로명 주소가 고시되었고,[4] 2011년 7월 29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는 도로명 주소와 지번 주소를 병행하여 사용했다.[4] 2014년 1월 1일부터 도로명 주소가 전면 시행되었다.[4]3. 지번 주소
지번 주소는 토지 구획을 정리한 지번을 구분자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광역지방자치단체, 기초지방자치단체, 시·군·구, 읍·면, 동·리, 번지, 상세주소 순으로 표기한다. 동의 경우 법정동을 쓰는 것이 원칙이나 행정동을 쓰는 것도 허용된다.
광역지방자치단체 | 기초지방자치단체 | 시·군·구 | 읍·면 | 동·리 | 번지 | 상세주소 |
---|---|---|---|---|---|---|
서울특별시 | 강남구 | 삼성동 | 338-3 | ○○빌딩 A호 | ||
경기도 | 수원시 | 장안구 | 정자동 | 687 | ○○ 아파트 A동 B호 | |
경상남도 | 창원시 | 의창구 | 대산면 | 가술리 | 323-4 | |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 | 성산읍 | 성산리 | 160 | ||
세종특별자치시 | 조치원읍 | 신흥리 | 24-3 |
지번주소상의 번지수는 물리적 위치 순서가 아닌 생성 순서이기 때문에 지번상 연속성이 없어 위치찾기의 기능이 거의 상실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도로명주소 체계가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서울의 일반적인 건물은 서울특별시, 특정 구(''gu'', 구, 區), 그리고 그 구 내의 동(''dong'', 동, 洞)에 속한다. 각 동은 여러 구획(''beonji'', 번지, 番地)으로 나뉘며, 각 구획은 동마다 수십 개에서 수천 개까지 다양하다. 건물 자체에는 구획 내 건물 번호(''ho'', 호, 戶)가 부여된다.
다음은 서울의 가상 주소 예시이다.
예시 (한국어) | 로마자 표기, 한국식 순서 |
---|---|
영문 표기, 서양식 순서 | 영문 표기, 다른 방식 |
한국어 | 로마자 표기 | 영문 표기 | |
---|---|---|---|
도/광역시 수준 행정 구역 | 서울특별시 | Seoul-teukbyeolsi | 서울 (특 별 시) |
시/군/구 수준 하위 행정 구역 | 종로구 | Jongno-gu | 종로 (구) |
동 이름 및 지번 | 내수2동 199번지 1호 (내수2동 199-1) | Naesu-2-dong 199-beonji 1-ho | 2nd Naesu Neighborhood의 199-1 |
단지명과 함께 표시되는 세부 주소 | 신라아파트 102동 304호 | Silla Apateu 102-dong 304-ho | Silla Apt. 102-304 (or, Bldg. 102 Unit 304) |
수신인 이름 | 홍길동 (귀하) | Hong Gildong (gwiha) | (Mr.) Gildong Hong |
우편번호 | 103-531 |
4. 도로명 주소
도로명주소법은 2007년 4월 5일에 처음 제정되어, 《도로명주소 등 표기에 관한 법률》이었으나, 2009년 4월 1일부터 현행 명칭으로 변경했으며, 관련된 사항이 규정되어 있다.
《도로명주소법》 제2조 〈정의〉1항에서의 '"도로명주소"란 부여된 도로명, 기초번호, 건물번호, 상세주소에 의하여 건물의 주소를 표기하는 방식으로, 이전의 지번주소를 대신하여 새로 나왔다는 의미에서 '''새주소'''라고도 불렸다. 3항에서의 "도로명 주소 사업"은 도로와 건물등에 도로명 및 건물번호를 부여하고 관련 시설 등을 설치 및 유지관리, 활용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2014년부터 도로명 주소가 전면 사용되어 인터넷이나 각종 안내용 주소 등은 모두 도로명주소를 사용하여야 한다.[5] 맨 뒤에 괄호를 병기하여 법정동[6][7]을 기입하고, 필요시 공동주택 이름을 넣는다. (예시: 서울특별시 성동구 독서당로 377, ○○○동 ○○○호 (응봉동, 금호현대아파트) 등). 이를 '''참고항목'''이라 한다.[8]
구체적인 표기방법은 아래와 같다.
광역지방자치단체 | 기초지방자치단체 | 시 · 군 · 구 | 읍 · 면 | 도로명 | 건물 번호 | 상세 주소 | 참고 항목[8] |
---|---|---|---|---|---|---|---|
서울특별시 | 강남구 | 남부순환로 | 지하2744 | (도곡동) | |||
대구광역시 | 달성군 | 현풍읍 | 비슬로134길 | 157 | |||
경상북도 | 문경시 | 매봉4길 | 12 | (모전동) | |||
제주특별자치도 | 서귀포시 | 성산읍 | 고성동서로56번길 | 10 | 가동 104호 | (동명아파트) | |
경기도 | 수원시 | 영통구 | 영통로 | 124 | (망포동) | ||
전북특별자치도 | 전주시 | 완산구 | 효자로 | 225 | (효자동3가) |
대한민국에서 현재 사용되는 주소 체계는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사용되는 방식과 유사하다.[3]
4. 1. 도로 구간
도로구간은 도로의 시작지점부터 끝지점을 연결한, 가상의 연속된 구간을 말한다. 도로구간은 연속성과 직진성이 유지되도록 하며 최대한 길게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4. 2. 도로명
도로명은 도로 구간마다 부여하는 이름이다. 도로 폭에 따라 대로(40m 초과 또는 왕복 8차선 초과), 로(12~40m 또는 왕복 2~8차선), 길(12m 미만 또는 2차로 미만)로 구분한다.분기된 도로명에는 숫자를 부여하며, 홀수는 도로 시작점에서 끝나는 지점 방향으로 왼쪽, 짝수는 오른쪽에 부여한다. 예를 들어 "반포대로23길"은 "반포대로"의 왼쪽에서 분기된 길을 의미하고, "공항로424번길"은 "공항로"의 오른쪽에서 분기된 길을 의미한다.
시작점/종점 | 교차로(좌우) | 전진 방향 |
---|---|---|
대한민국의 도로명은 일반적으로 폭에 따라 '-대로'(大路, 대로, Blvd.), '-로'(路, 로, Rd.) 또는 '-길'(街, 길, St.)로 끝나며, '-대로' (8차선 이상), '-로' (2~7차선) 그리고 '-길'(기타)로 구분된다.
일부 도로는 대학로(大學路, University Street)와 같이 해당 지역의 특징을 따서 명명되거나, 혜화동에 있는 '혜화로(惠化路, Hyehwa Street)'와 같이 도로가 위치한 동(洞)의 이름을 따서 명명될 수 있다. 동일한 도로명이 같은 지역의 여러 도로에 재사용될 수 있으며, 각 도로는 고유한 번호를 갖는다.
'-길'은 갈라져 나가는 도로 이름에 따라 체계적인 번호가 매겨진다. 예를 들어, 논골로 10번길은 논골로에서 갈라져 나오는 도로이며, 갈라지는 위치는 논골로의 시작점에서 약 100미터 떨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10은 짝수이므로 해당 도로는 논골로의 오른쪽에 있다.
4. 3. 기초번호
기초번호는 도로 구간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부여하는 가상의 번호이다. 도로 시작 지점으로부터 왼쪽은 홀수, 오른쪽은 짝수 번호를 부여하며, 진행할수록 번호가 증가한다. 대로, 로는 20m, 길은 10m 단위로 기초번호를 부여한다. 건물번호는 건물 주출입구로부터 연장한 가상의 선이 기초번호와 만나는 지점의 번호로 부여한다. 예를 들어 '도봉로'라는 도로 구간에 인접한 A라는 건물의 주출입구로부터 가상의 선을 연장하여 도봉로 중심의 기초번호까지 연장했을 때, 그 가상의 선과 만나는 기초번호가 301/302번일 경우를 가정하면, 해당 건물이 도봉로 시점에서 봤을 때 왼쪽에 있으면 '''도봉로 301''', 도봉로 오른쪽에 있으면 '''도봉로 302'''로 도로명주소를 부여받게 된다.건물 번호는 기본 번호를 기준으로 하며,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마찬가지로 도로를 따라 20미터 간격으로 2씩 증가하는 가상 번호이다. 도로의 왼편에는 홀수가, 오른편에는 짝수가 부여된다. 건물 번호는 도로에 인접한 주 출입구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본 번호로 지정된다. 예를 들어, 한 건물에 세 개의 출입구가 있고 주 출입구가 세종로2길에 인접해 있으며, 그 위치가 세종로2길의 좌측 시작점으로부터 약 30m 떨어져 있다면, 건물 번호는 3이 되고, 해당 건물의 도로명 주소는 세종로2길 3이 된다.
`-`로 연결된 건물 번호는 자체적인 이름을 부여하기에는 너무 작거나 짧은 도로 또는 골목에 있는 건물임을 나타낸다. 대신 이 도로 또는 골목(또는 작은 골목 네트워크)의 모든 건물은 동일한 건물 번호를 공유하고, 그 뒤에 하이픈과 고유한 숫자가 붙는다. 예를 들어, 작은 골목 네트워크가 기본 번호 12에서 갈라져 나왔다면, 해당 골목 네트워크의 건물들은 12-1, 12-2, 12-3, 12-4 등과 같은 주소를 갖게 된다. 하이픈으로 연결된 건물 번호는 또한 하나의 기본 간격에 여러 개의 건물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4. 3. 1. 기초번호 방식
《도로명주소법》 제2조 6항에서는 도로구간의 시작지점부터 끝지점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부여된 번호이다. 기초번호 방식은 길이 분기되는 곳의 주도로 기초번호를 도로명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공항로424번길"은 공항로의 기초번호 424번에서 갈라져 나온 길을 뜻한다. 비슷한 예로 "고성동서로56번길"은 고성동서로의 기초번호 56번에서 갈라져 나온 길을 뜻한다.도로구간의 시작지점부터 끝지점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부여된 사용하는 방식이다. 분기점의 기초번호를 끌어와 도로명으로 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도로명 지정에 모순이 발생할 확률이 적어, 도로망이 고착된 도심지보다는 새로운 도로구간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은 교외 지역에 적합하다. 반면 "번" 음절이 더해지는데다 기초번호를 끌어오는 특성상 길이가 긴 도로의 경우 아라비아 숫자가 네자리 이상으로 붙는 경우도 있어, 주소의 원칙인 간결성 측면에서 일련번호 방식보다 뒤떨어진다.
4. 3. 2. 일련번호 방식
일련번호 방식은 도로의 시작 지점부터 끝 지점까지 갈라져 나오는 길마다 번호를 1씩 증가시키면서 도로명을 부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삼양로"의 경우 삼양로 시작 지점으로부터 첫 번째로 갈라져 나오는 길에는 "삼양로1길", 두 번째로 분기하는 길에는 "삼양로2길"...의 식으로 명칭을 붙인다. 기초번호 방식의 경우 도로명을 통해 주도로의 시작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알 수 있으나 일련번호 방식은 분기되는 순서에 따라 번호를 1씩 증가시킨다. 이 번호를 더 세분화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가, 나' 등의 한글 음절을 숫자 뒤에 덧붙인다. (예: 울산광역시 동구 문재2가길, 문재2나길)일련번호 방식의 장점은 기초번호에 비해 주소의 음절 수가 적어 간결하다는 것이다. 다만 길과 길 사이에 새로운 길이 생기는 경우와 같이 변칙적인 상황에 대응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어 도로망이 고착된 도심지에 적합하다. 화성시는 기초번호와 함께 사용한다.
4. 3. 3. 도로명판
도로명과 기초번호 등을 안내하기 위해 제작 설치하는 표지판이다.[9] 모두 네 종류가 있다.![]() | ![]() | ![]() |
시작지점(시점)/끝지점(종점) | 교차방향 | 진행방향(앞방향) |
도로명주소 표지판의 예시 |
4. 4. 건물번호
《도로명주소법》 제2조 7항에서는 건물마다 부여된 번호로 정의한다.[10] 도로명 뒤에 붙는 건물번호는 지번에서는 번지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건물의 주된 출입구를 기준으로 부여된다. 건물번호는 도로의 시작점으로부터 왼편에는 홀수를, 오른편에는 짝수를 대로 및 로의 경우 20미터마다, 길의 경우 10미터마다 2씩 증가하면서 부여한다.
건물번호는 본번과 부번으로 구성되는데, 한 건물이 두 개의 도로와 인접해 있을 경우, 보다 넓은 도로로 건물번호를 부여한다. 한 구간 내 여러 건물이 위치하고 있을 경우 -1, -2, -3처럼 부번을 부여하여 본번을 부여받은 건물과 구별한다. 지하철역이나 지하 상가 등 도로의 지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테헤란로 지하 156"(역삼역)처럼 번호에 지하를 붙이는 경우도 있다. 〈일반국도〉의 1항에서는 도로명 뒤에 붙는 건물번호는 지번에서는 번지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건물의 주된 출입구를 기준으로 부여된다.
건물 번호는 기본 번호를 기준으로 하며,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마찬가지로 도로를 따라 20미터 간격으로 2씩 증가하는 가상 번호이다. 도로의 왼편에는 홀수가, 오른편에는 짝수가 부여된다. 건물 번호는 도로에 인접한 주 출입구의 위치에 해당하는 기본 번호로 지정된다. 예를 들어, 한 건물에 세 개의 출입구가 있고 주 출입구가 세종로2길에 인접해 있으며, 그 위치가 세종로2길의 좌측 시작점으로부터 약 30m 떨어져 있다면, 건물 번호는 3이 되고, 해당 건물의 도로명 주소는 세종로2길 3이 된다.
`-`로 연결된 건물 번호는 자체적인 이름을 부여하기에는 너무 작거나 짧은 도로 또는 골목에 있는 건물임을 나타낸다. 대신 이 도로 또는 골목(또는 작은 골목 네트워크)의 모든 건물은 동일한 건물 번호를 공유하고, 그 뒤에 하이픈과 고유한 숫자가 붙는다. 예를 들어, 작은 골목 네트워크가 기본 번호 12에서 갈라져 나왔다면, 해당 골목 네트워크의 건물들은 12-1, 12-2, 12-3, 12-4 등과 같은 주소를 갖게 된다. 하이픈으로 연결된 건물 번호는 또한 하나의 기본 간격에 여러 개의 건물이 있는 경우에도 사용된다(11, 11-1 및 11-2 참조).
헤더 1 | 헤더 2 | 헤더 3 | 헤더 4 |
---|---|---|---|
건물 번호판 (1자리) | 건물 번호판 (2자리) | 건물 번호판 (3자리) | 건물 번호판 (4자리) |
헤더 1 | 헤더 2 | 헤더 3 | 헤더 4 | 헤더 5 | 헤더 6 |
---|---|---|---|---|---|
관광 안내소 | 경마장 | 공연장, 극장 | 놀이 시설 | 동물원 | 사찰 |
헤더 1 | 헤더 2 | 헤더 3 | 헤더 4 | 헤더 5 | 헤더 6 |
수족관 | 식물원 | 역사적 건축물 | 온천 | 박물관 | 카지노 |
헤더 1 | 헤더 2 | 헤더 3 | 헤더 4 | 헤더 5 |
---|---|---|---|---|
경찰서 | 도서관 | 미아 보호 시설 | 우체국 | 학교 |
건물번호판은 건물이 도로구간의 어느 기초번호 구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시설물로[11] 건물의 주출입구에 설치한다. 건물번호판은 크기에 따라 '''대로급, 로급'''과 '''길급'''의 두 개로 나눌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일반용''', '''문화재 및 관광용''', '''관공서용'''의 세 개로 나눌 수 있다.
![]() ![]() | ![]() ![]() | ![]() ![]() | ![]() ![]() |
아라비아 숫자 한 자리 건물번호판. | 아라비아 숫자 두 자리 건물번호판. | 아라비아 숫자 세 자리 건물번호판. | 아라비아 숫자 네 자리 건물번호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4. 1. 건물번호판
건물번호판은 건물이 도로구간의 어느 기초번호 구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시설물로[11] 건물의 주출입구에 설치한다. 건물번호판은 크기에 따라 '''대로급, 로급'''과 '''길급'''의 두 개로 나눌 수 있고, 용도에 따라 '''일반용''', '''문화재 및 관광용''', '''관공서용'''의 세 개로 나눌 수 있다.아라비아 숫자 한 자리 건물번호판. | 아라비아 숫자 두 자리 건물번호판. | 아라비아 숫자 세 자리 건물번호판. | 아라비아 숫자 네 자리 건물번호판. |
4. 5. 상세주소
상세주소는 도로명주소법 제2조 8항에 따라 공동주택 등의 동, 호수, 층수를 의미한다. 건축물대장에 등록된 동, 층, 호를 세분하거나 등록되지 않은 동, 층, 호를 도로명주소대장에 등록한 경우도 상세주소로 본다.4. 6. 지역 표기 및 기타
지역 표기에서는 기존의 지번주소에서 사용하던 동/리/지번을 사용하지 않는다. 시/도, 시/군/구, 읍/면은 그대로 사용한다. 법정동이나 공동건물명은 도로명주소의 마지막에서 괄호안에 넣어서 사용한다.[12] 또, 부동산 관계 문서 등에서는 기존의 지번 체계를 그대로 유지한다.[12]4. 7. 코드 번호
시도 및 시군구 코드는 5자리, 도로명 번호는 7자리, 읍면동 코드는 3자리를 사용한다.[13]시도 및 시군구 코드 예시
- 11: 서울특별시 (참고)
- 11110 : 서울특별시 종로구 ([https://web.archive.org/web/20140225073715/http://kostat.go.kr/kssc/board_notice/BoardAction.do?method=list&board_id=3&catgrp=kssc&catid1=kssc06&catid2=kssc06a 참고])
- 30: 대전광역시
- 230: 대전광역시 대덕구
도로명 번호 예시
읍면동 코드 예시
4. 7. 1. 시도 및 시군구 코드 예시
- 11: 서울특별시 (참고)
- 11110 : 서울특별시 종로구 ([https://web.archive.org/web/20140225073715/http://kostat.go.kr/kssc/board_notice/BoardAction.do?method=list&board_id=3&catgrp=kssc&catid1=kssc06&catid2=kssc06a 참고])
- 30: 대전광역시
- 230: 대전광역시 대덕구
4. 7. 2. 도로명 번호 예시
4. 7. 3. 읍면동 코드 예시
4. 8. 그 외의 안내 시설
4. 8. 1. 지역안내판
이 도로명주소안내도를 이용하여 일정한 지역을 안내하기 위하여 제작·설치하는 알림판[15]으로 용도에 따라 '''대형 안내판''', '''중형 안내판''', '''소형 안내판'''의 세 개로 나눌 수 있다. 자세한 것은 아래 그림과 같다.

5. 참고: 우편 주소 작성 예시
대한민국의 도로명 주소는 가장 큰 행정 구역 단위가 먼저 나오고 수신자가 마지막에 나온다는 점에서, 한국어로 작성될 때 이전 시스템과 유사하다. 구는 일반적으로 도로명 앞에 포함되며, 동, 블록, 건물 번호(블록 내)는 포함되지 않는다.
한국어 예시 | 로마자 표기, 한국어 순서 | |
---|---|---|
style="font-size:85%;"| | ||
영어, 서양식 순서 | 영어, 다른 표현 | |
style="font-size:85%;"| |
한국어 | 로마자 표기 | 영어 | |
---|---|---|---|
도/특별시 수준 행정 구역 | 서울특별시 | Seoul-teukbyeolsi | 서울 (특별시) |
군/구 수준 하위 행정 구역 | 종로구 | Jongno-gu | 종로 (구) |
도로명 및 번호 | 사직로3길 23 | Sajik-ro-3-gil 23 | 사직로3길 23 |
세부 주소 | 102동 304호 | 102-dong 304-ho | 102-304호 (또는, 102동 304호) |
수신자 이름 | 홍길동 (귀하) | Hong Gildong (gwiha) | (Mr.) 홍길동 |
우편번호 | 30174 |
동아시아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위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로명 앞에 다른 행정 구역(예: 도 및 시)이 나열될 수 있다. 도로명 주소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새롭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경우, 전통적인 주소(지번 주소)를 괄호 안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정사업본부의 주소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6 (서린동 154-1)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ew Address System in Korea - South-Korea - korea4expats
https://www.korea4ex[...]
[2]
웹사이트
Korea.net
https://www.korea.ne[...]
[3]
웹사이트
"오류 | 도로명주소 안내시스템"
https://eng.juso.go.[...]
[4]
뉴스
집·건물찾기 쉬워진다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6-07-06
[5]
뉴스
“‘도로명주소’...이래서 길 찾기 쉬워진다”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0-10-18
[6]
문서
행정동을 쓰는 것도 허용한다.
[7]
문서
법정리는 표기하지 않는다.
[8]
문서
동/건물명
[9]
문서
도로명주소안내시설규칙 제1장 3조 1항
[10]
문서
둘 이상의 건물등이 현실적으로 하나의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건물등의 전체를 말한다.
[11]
문서
도로명주소안내시설규칙 제1장 3조 2항
[12]
문서
http://www.juso.go.k[...]
[13]
문서
도로명코드 정보 검색
http://www.juso.go.k[...]
[14]
문서
다만 반구대로와 같이 대로가 아님에도 도로명이 '대'로 끝나는 경우에도 200만번대에 해당 도로를 넣었다.
[15]
문서
도로명주소안내시설규칙 제1장 3조 3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