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디 딘몬트 테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1600년대 앵글로-스코틀랜드 국경 지역에서 오소리, 수달 사냥을 위해 만들어진 개 품종이다. 월터 스콧의 소설 《가이 매너링》에 등장하는 댄디 딘몬트라는 캐릭터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1875년 댄디 딘몬트 테리어 클럽이 설립되었다. 튼튼하고 친근한 성격을 지녔지만, 척추 질환에 취약하며 2016년 영국에서는 멸종 위기에 놓여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산 개 품종 - 요크셔 테리어
요크셔 테리어는 19세기 영국 요크셔에서 탄생한 소형견으로, 쥐잡이 개에서 빅토리아 시대 인기를 얻어 켄넬클럽에 인정받았으며, 긴 털과 애정 어린 성격을 지녔지만 건강 문제에 취약하고 평균 수명은 12~14년이다. - 영국산 개 품종 - 그레이하운드
그레이하운드는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된 시각 사냥개 품종으로, 경주견으로 활용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애완견으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장두형에 유선형 몸매, 짧은 털을 가지고 낯선 사람에게도 친근한 성격을 보인다. - 테리어견 - 요크셔 테리어
요크셔 테리어는 19세기 영국 요크셔에서 탄생한 소형견으로, 쥐잡이 개에서 빅토리아 시대 인기를 얻어 켄넬클럽에 인정받았으며, 긴 털과 애정 어린 성격을 지녔지만 건강 문제에 취약하고 평균 수명은 12~14년이다. - 테리어견 - 에어데일 테리어
에어데일 테리어는 영국에서 유래한 가장 큰 테리어 품종으로, 활동적이고 용감하며, 사냥, 경비, 군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고, 검은색과 황갈색 털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댄디 딘몬트 테리어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댄디 |
원산지 | 스코틀랜드 |
신체적 특징 | |
무게 | 8.2 - 10.9 kg |
키 | 20 - 28 cm |
털 | 거친 털 |
털 색깔 | 페퍼 또는 머스타드 |
수명 | 11-13년 |
협회 표준 | |
켄넬 클럽 | 켄넬 클럽 표준 |
국제애견연맹 | 국제애견연맹 표준 |
2. 역사
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앵글로-스코틀랜드 국경 지역에서 오소리나 수달 등을 사냥하기 위해 17세기부터 길러지던 개에서 유래했다.[3] 18세기 노섬벌랜드주의 앨런 가문 등이 초기 품종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추정된다.[3]
이 품종이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1815년 월터 스콧 경이 발표한 소설 ''가이 매너링''이었다. 소설에 등장하는 '댄디 딘몬트'라는 인물이 기르던 '페퍼(Pepper)'와 '머스타드(Mustard)'라는 이름의 테리어가 인기를 끌면서, 실제 이 지역의 테리어들이 소설 속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 '댄디 딘몬트 테리어'로 불리게 되었다.[7] 이는 허구의 인물 이름을 딴 유일한 개 품종이다.[26] 실제 농부이자 테리어 소유주였던 제임스 데이비슨이 소설 속 캐릭터의 모델 중 하나로 여겨지며, 그의 번식 기록은 현대 품종의 기원으로 인정받는다.[6][10]
19세기 중반에는 다른 품종과의 교배가 이루어졌다는 주장도 있었으나,[12][11] 순수 혈통을 지키려는 노력도 계속되었다.[12] 1875년에는 스코틀랜드 셀커크에서 댄디 딘몬트 테리어 클럽(Dandie Dinmont Terrier Club, DDTC)이 창립되어 품종 표준이 제정되는 등 체계적인 관리가 시작되었다.[16] 이후 아메리카 켄넬 클럽(AKC, 1888년)[17]과 유나이티드 켄넬 클럽(UKC, 1918년) 등 국제적인 클럽에서도 공인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식량 배급과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전후 복원 노력을 통해 명맥을 이어왔다.[17] 하지만 21세기 들어 개체 수가 크게 줄어들어, 2006년 영국 켄넬 클럽은 댄디 딘몬트 테리어를 취약한 토종 품종(Vulnerable Native Breeds) 목록에 포함시켰다.[19] 이후 보존 노력으로 등록 수가 다소 증가했지만, 여전히 희귀 품종으로 남아 있다.[20]
2. 1. 기원과 초기 역사
이 품종은 앵글로-스코틀랜드 국경 지역에서 유래한 개로부터 시작되었다. 1600년대에 이 개들은 오소리와 수달 사냥에 활용되었다.[3]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1700년대 초 홀리스톤의 앨런 가문이 소유했던 개들이 품종 형성에 관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3]
이 개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다. 보더 테리어의 일종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1] 스코티시 테리어와 스카이 테리어의 교배종이라는 설도 존재한다.[2] 앨런 가문의 중심인물이었던 윌리 "파이퍼" 앨런은 인근 벨링햄 출신으로,[3] 수달 사냥을 목적으로 개를 길렀다.[4] 헨리 리델, 제1대 레이븐스워스 남작이 에슬링턴 공원 연못의 수달을 제거하기 위해 앨런을 고용했고, 임무 완수 후 앨런의 개를 사려 했으나 거절당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4]
윌리 앨런은 1779년 2월 18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개들은 아들 제임스에게 상속되었다.[5] 이후 제임스의 아들이 개들을 물려받아, 그중 '올드 페퍼'라는 개를 스코틀랜드 국경 타운 예톰의 프랜시스 소머 씨에게 판매했다. 올드 페퍼는 윌리 앨런이 레이븐스워드 경의 저택에서 일할 때 데리고 있던 개의 후손이었다.[5]
이 품종은 1814년[7] 월터 스콧 경의 소설 ''가이 매너링''이 출판되기 전까지는 국경 지역 밖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스콧은 셀커크 보안관으로 근무하며 이 지역에서 시간을 보냈고, 여우와 수달 사냥에 뛰어난 테리어들의 능력을 알게 되었다. 그는 ''가이 매너링''에서 '댄디 딘몬트'라는 인물을 창조했는데, 이 인물은 털 색깔에 따라 '페퍼(Pepper)'와 '머스타드(Mustard)'라고 불리는 여러 마리의 테리어를 기르는 것으로 묘사된다. 댄디 딘몬트 캐릭터는 실제 농부이자 테리어 소유주였던 제임스 데이비슨을 부분적으로 모델로 삼았으며,[6] 데이비슨 역시 자신의 개들을 털 색깔에 따라 페퍼와 머스타드라는 일반적인 용어로 불렀다.[7] 데이비슨의 개들은 앨런, 앤더슨, 파스 가문 등 다양한 혈통에서 유래했으며,[8][9] 그는 자신의 번식 기록을 남겼고, 이는 현대 댄디 딘몬트 테리어 품종의 기원으로 인정받고 있다.[10] 소설의 인기에 힘입어 '머스타드'와 '페퍼'의 자손들은 소설 속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 '댄디 딘몬트 테리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이는 허구의 인물 이름을 딴 유일한 개 품종으로 남아 있다.[26]
초기 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주로 쥐, 오소리, 토끼, 수달 등을 사냥하는 데 사용되었다. 쥐는 발견 즉시 처리했으며, 다른 사냥감들은 굴까지 추적하여 직접 굴에 들어가 싸워서 끌어내는 방식으로 사냥했다. 때로는 세인트하운드와 협력하여, 댄디 딘몬트 테리어가 사냥감을 굴에서 끌어내면 세인트하운드가 마무리하는 방식으로 사냥하기도 했다.
1800년대 중반에는 다른 품종과의 교배가 이루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롱헤어드 닥스훈트의 혈통이 섞였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2][11] 이 주장은 1880년대 존 헨리 월시가 필명 "스톤헨지"로 처음 제기했으나,[13] 당시 많은 사육자들은 이를 부인했다.[14] 일부 사육자들은 순수 혈통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다.[12] 이 시기 품종명은 '댄디 딘몬트 테리어'로 확립되었고, 스콧의 소설 출판 이후 사냥개로서 인기를 얻었다.[7] 또한, 이 시기 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베들링턴 테리어의 발달에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15]
2. 2. 월터 스콧의 소설과 품종명
이 품종은 1815년 월터 스콧 경의 소설 ''가이 매너링''이 출판되기 전까지는 앵글로-스코틀랜드 국경 지역 외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스콧은 셀커크 지역에서 보안관으로 활동하며 여우와 수달 사냥에 뛰어난 이 테리어의 능력을 알게 되었다. 그는 소설 ''가이 매너링''에서 '댄디 딘몬트'라는 인물을 등장시켰는데, 이 인물은 털 색깔에 따라 '페퍼(Pepper)'와 '머스타드(Mustard)'라는 이름의 테리어 여러 마리를 기르는 것으로 묘사된다.
소설 속 댄디 딘몬트 캐릭터는 실제 농부이자 테리어 소유주였던 제임스 데이비슨을 부분적으로 모델로 삼아 만들어졌다.[6] 데이비슨 역시 자신의 개들을 털 색깔에 따라 '페퍼'와 '머스타드'라는 일반적인 용어로 불렀다고 한다.[7]
소설 ''가이 매너링''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이 개들은 소설 속 등장인물의 이름을 따 '댄디 딘몬트 테리어'로 불리게 되었다.[7] 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허구의 인물 이름을 따서 명명된 유일한 개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26]
2. 3. 품종의 발전과 클럽 설립

1800년대 중반, 다른 품종과의 교배가 이루어져 이 품종에 닥스훈트의 피가 섞였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2][11] 특히 근대에 롱헤어드 닥스훈트 등이 교배되어 외모와 성격에 영향을 주었다는 설도 있다. 그러나 특정 사육자들은 순수 혈통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12] 닥스훈트와의 교배설은 1880년대 존 헨리 월시가 필명 "스톤헨지"로 처음 소개했으며,[13] 당시 많은 사육자들이 이를 부인했다.[14] 이 시기에 이 품종은 월터 스콧 경의 소설 ''가이 매너링''의 영향으로 '댄디 딘몬트 테리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7]
켄넬 클럽이 1873년에 설립된 후, 1875년 11월 17일 스코틀랜드 국경 셀커크에 있는 플리스 호텔에서 댄디 딘몬트 테리어 클럽(Dandie Dinmont Terrier Club, DDTC)이 창립되었다.[16]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오래된 개 품종 클럽이다.[17] 길버트 엘리엇-머레이-키닌먼드, 제4대 민토 백작이 클럽의 초대 회장을 맡았고, E. 브래드쇼 스미스가 초대 부회장이 되었다. 사육자인 휴 달지엘과 윌리엄 스타켄도 클럽 창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8] 품종 표준은 클럽 창립 멤버인 윌리엄 워들로 레이드가 초안을 작성했으며, 1년 후 클럽 회의에서 최종 합의되었다.[16]
클럽의 첫 전시회는 1877년 컴브리아주 칼라일에서 열렸다. 이후 전시회는 다른 클럽과 함께 연례적으로 개최되다가 1928년 칼라일 마켓 홀로 장소를 옮겼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을 제외하고 1982년까지 이곳에서 전시회가 계속 열렸다. 이 지역에서의 전시회는 2001년까지 이어졌으며, 이후에는 체셔와 랭커셔 등 남쪽 지역으로 옮겨 개최되고 있다.[16]
DDTC가 영국 내 유일한 댄디 딘몬트 테리어 클럽은 아니다. 과거 스코틀랜드에 여러 클럽이 생겨났지만, 1929년 DDTC에 합병된 스코틀랜드 댄디 딘몬트 테리어 협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오래 유지되지 못했다. 현재는 DDTC 외에도 서던 댄디 딘몬트 테리어 협회와 스코틀랜드를 위한 캘리도니아 댄디 딘몬트 클럽 등이 활동하고 있다.[16]
2. 4. 현대의 댄디 딘몬트 테리어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식량 배급과 인력 부족으로 인해 많은 견사가 문을 닫고 개들이 살처분되었다. 전쟁 후 벨메이드 켄넬(Belmede Kennels)을 포함한 여러 견사가 이 품종을 재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견사는 처음에는 서리에 있었으나 나중에 올드 윈저로 이전했다.[17] 벨메이드에서는 1990년대 초까지 댄디 딘몬트 테리어를 계속 사육했으며, 이후 배터시 개와 고양이 보호소로 이관되었다.[17]2006년 영국의 켄넬 클럽은 댄디 딘몬트 테리어를 영국 제도 고유의 희귀 개 품종 중 하나로 인정하여 취약한 토종 품종(Vulnerable Native Breeds) 목록에 포함시켰다. 이 목록은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기원했지만 연간 강아지 등록 수가 300마리 미만인 품종을 대상으로 한다. 특히 2003년에는 등록 수가 매우 저조하여 7월과 9월 사이에 강아지 21마리만 등록되었고, 그해 전체 영국 내 등록 강아지 수는 90마리에 불과했다. 이는 같은 해 9,823마리가 등록된 웨스트 하이랜드 화이트 테리어와 크게 대조된다. 미국에서도 개체 수가 감소하여 아메리카 켄넬 클럽(AKC)에는 같은 기간 동안 강아지 75마리만 등록했다.[19] 2006년 이후 품종 보존 노력으로 등록 수가 다소 개선되어 2010년에는 켄넬 클럽에 151마리의 강아지가 등록되었으며, 이는 이전 10년 동안 가장 높은 수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토종 테리어 품종 중 스카이 테리어, 실리햄 테리어, 맨체스터 테리어, 글렌 오브 이마알 테리어만이 댄디 딘몬트 테리어보다 등록 수치가 더 낮다.[20]
과거 애완동물이나 쇼 독(show dog)으로 인기가 있었으나, 영국에서는 2016년에 등록된 신생견이 91마리에 불과하여 영국 원산종임에도 불구하고 멸종 위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30] 반면, 일본에서는 널리 알려진 견종은 아니지만, 꾸준히 브리딩이 이루어져 매년 강아지가 태어나고 있다.
3. 특징
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테리어 품종으로, 짧은 다리와 긴 몸통이 특징적인 외형이다. 특히 머리 위에 부드러운 털이 솜뭉치처럼 솟아있는 관모(topknot)가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이다.[22] 스코틀랜드 테리어 품종 중에서는 드물게 귀가 늘어진 형태를 하고 있다.[21]
성격은 테리어 품종 중에서는 비교적 온순하고 친근한 편으로 알려져 있으며,[24][25] 좋은 반려견이자 경비견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테리어 특유의 용감함도 지니고 있어 때로는 다른 동물에게 도전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26]
건강 측면에서는 긴 허리 구조로 인해 추간판 탈출증과 같은 척추 관련 질환에 유의해야 한다.[22] 또한 다른 견종에 비해 특정 선천성 질환[28]이나 암[29]의 발병 위험이 다소 높은 편이다.
3. 1. 외형

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다리가 짧고 몸통이 길쭉한 체형을 가지고 있다. 스코틀랜드의 테리어 품종 중에서는 드물게 귀가 늘어진 형태이다.[21] 목은 근육질인데, 이는 과거 더 큰 사냥감에 맞서기 위해 발달한 특징이다.[22] 어깨까지의 일반적인 높이(체고)는 약 20.32cm에서 약 27.94cm이며, 체중은 약 8.16kg에서 약 10.89kg 사이이다.[21] 대체로 튼튼한 편이지만, 허리가 길고 다리가 짧아 계단을 오르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21] 스카이 테리어와 몸매가 비슷하지만, 스카이 테리어의 털이 더 두껍고 길다는 차이가 있다.[22]
이 견종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머리 위에 솜처럼 부풀어 오른 부드러운 털(관모, topknot)이다.[22] 이는 자연적으로 자란 털을 트리밍하여 마치 모자나 헬멧처럼 보이도록 만든 것이다. 원래 머리 부분의 털이 길기 때문에 이러한 독특한 스타일링이 가능하다. 눈썹, 콧수염, 턱수염 역시 길게 자란다. 귀와 긴 늘어진 꼬리, 가슴 부분에도 부드러운 장식 털이 있다. 주둥이는 짧은 편이다.
털 색깔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후추색'(pepper)은 어두운 푸른빛이 도는 검은색부터 아주 밝은 은색 회색까지 다양하며, '겨자색'(mustard)은 붉은빛이 도는 갈색부터 황갈색까지 나타나고 머리 부분은 거의 흰색에 가깝다.[23] 일반적으로 다리와 발의 털 색이 몸통보다 어두우며, 몸통의 밝은 색에서 다리의 어두운 색으로 점차 자연스럽게 이어진다.[23] 털의 길이는 최대 약 5.08cm까지 자랄 수 있다.[21] 털 색깔은 보통 생후 8개월 무렵에 결정되지만, 신체적인 성장은 약 2살까지 계속된다.[21] 몸 전체의 털은 긴 편이며 웨이브가 있지만, 몸통 부분은 관리를 위해 짧게 트리밍하는 경우가 많아 단모종으로 오해받기도 한다. 눈 주위의 털은 시야 확보나 눈 건강을 위해 짧게 깎아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견종 표준에 따르면 머리의 관모는 새하얀 색이 이상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3. 2. 성격
이 견종은 튼튼하면서도 대체로 친근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나이가 어느 정도 있는 아이들과 잘 어울린다.[25] 훌륭한 반려견이자 경비견이 될 수 있으며, 테리어 품종 중에서는 가장 온순한 편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주인에게 많은 것을 요구하지 않는 편이다.[24]성격은 활발하고 사람을 잘 따르며 노는 것을 매우 좋아하지만, 동시에 침착한 면도 지니고 있다. 테리어 품종 특유의 기가 세고 완고한 기질을 의미하는 '''"테리어 캐릭터"'''는 약한 편이다. 이러한 성격 덕분에 우호적이며 다양한 사람이나 다른 동물들과도 비교적 사이좋게 지낼 수 있다. 훈련 습득 능력이나 상황 판단 능력은 보통 수준이다.
하지만 짧은 시간 안에 아주 큰 구멍을 파는 능력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26] 매우 용감하여 여우를 포함한 다른 동물이나 때로는 다른 개에게도 서슴없이 도전하는 경향이 있다.[26] 고양이와는 함께 잘 지내도록 훈련할 수 있지만, 햄스터나 쥐와 같은 작은 동물과 함께 두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25] 항상 뛰어다니는 것을 좋아하므로 운동량이 많은 편이다.
3. 3. 건강
2024년 영국 연구에 따르면 이 품종의 기대 수명은 12.8년으로, 순종견 평균 12.7년 및 잡종 평균 12년보다 약간 더 길다.[27]댄디 딘몬트 테리어는 몸통이 길기 때문에 등 부위, 특히 추간판에 문제가 생길 위험이 있다. 추간판이 제자리에서 벗어나 척추 디스크 탈출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영향을 받는 척추 부위에 따라 쇠약, 마비, 배뇨 조절 능력 상실 등의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22] 또한 허리가 길고 다리가 짧은 체형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방법으로 안으면 허리에 부담을 주어 추간판 탈출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안을 때는 한 손으로 가슴을 받치고 다른 한 손으로 허리를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국 연구 결과, 간외 선천성 문맥전신 단락 발병 위험이 다른 개들보다 높다. 댄디 딘몬트 테리어의 1.6%가 이 질환을 앓는 반면, 전체 개는 0.18%, 잡종견은 0.05% 수준이다.[28]
암 발병 위험도 평균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9]
그 외에 잘 걸리는 질병으로는 피부염, 관절 질환 등이 있다.
4. 한국에서의 댄디 딘몬트 테리어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희귀 견종에 속한다. 영국에서는 2016년 신생견 등록 수가 91마리에 그쳐, 영국 원산 견종임에도 불구하고 멸종 위기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30]. 일본에서도 대중적인 견종은 아니지만, 소수 브리더들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
참조
[1]
문서
Cook (1885)
[2]
서적
Small Animal Care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Delmar/Thomson Learning
[3]
문서
Cook (1885)
[4]
문서
Cook (1885)
[5]
문서
Cook (1885)
[6]
문서
Cook (1885)
[7]
문서
Cook (1885)
[8]
문서
Cook (1885)
[9]
문서
Cook (1885)
[10]
문서
Cook (1885)
[11]
문서
Cook (1885)
[12]
문서
Cook (1885)
[13]
문서
Cook (1885)
[14]
문서
Cook (1885)
[15]
서적
The Working Bedlington
https://books.google[...]
Coch-y-Bonduu Books
[16]
웹사이트
A Potted History of the Club
http://www.ddtc.co.u[...]
The Dandie Dinmont Terrier Club
2011-09-18
[1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andie Dinmont Terrier
http://dandiedinmont[...]
The Caledonian Dandie Dinmont Terrier Club
2011-09-18
[18]
서적
The Illustrated Book of the Dog
https://archive.org/[...]
Cassell, Petter, Galpin & Co.
[19]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Vulnerable Native Breeds
http://www.thekennel[...]
The Kennel Club
2011-09-18
[20]
웹사이트
Comparative Tables of Registrations for the Years 2001 - 2010 Inclusive
http://www.thekennel[...]
The Kennel Club
2011-09-18
[21]
서적
The New Terrier Handbook
https://archive.org/[...]
Barron's
[22]
서적
Top to Tail: The 360 Guide to Picking Your Perfect Pet
https://books.google[...]
David & Charles
[23]
서적
Everyman's Book of the Dog
https://archive.org/[...]
Hodder and Stoughton
[24]
서적
The Encyclopedia of Dog Breeds
Paragon
[25]
서적
The Good, the Bad, and the Furry
https://books.google[...]
Quirk
[26]
서적
The Terrier Handbook
https://archive.org/[...]
Barron's
[27]
간행물
Longevity of companion dog breeds: those at risk from early death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4-02-01
[28]
간행물
Association of breed with the diagnosis of congenital portosystemic shunts in dogs: 2,400 cases (1980-2002)
[29]
서적
Genetic Variation: a Laboratory Manual
https://books.google[...]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30]
뉴스
愛すべき英国原産種の犬に絶滅の危機?
https://www.afpbb.co[...]
2017-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