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수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콧수염은 코와 윗입술 사이에 나는 털을 의미하며, 고대 이집트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거쳐왔다. 어원은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으로 켈트족, 스키타이족 등 다양한 민족에게서 콧수염을 찾아볼 수 있다. 콧수염은 결혼 시장, 사회적 지위, 종교, 군사적 상징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관리 방법과 스타일 또한 다양하다. 콧수염은 달리, 잉글리시, 프리스타일 등 6가지 주요 스타일 외에도 셰브론, 푸 만추, 핸들바 등 여러 스타일로 분류되며, 유명 인물과 가상 인물에게 개성을 부여하는 요소로 대중문화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염 - 턱수염
턱수염은 남성의 사춘기에 발달하는 얼굴 털로,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론과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이차 성징이자 성 선택의 결과로 여겨지고, 다양한 스타일 연출과 더불어 권위, 지혜, 남성다움의 상징으로 여겨지거나 개성 표현 수단, 안전 및 종교적 이유로 착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 수염 - 구레나룻
구레나룻은 귀에서 턱까지 이어진 털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기에 유행했으며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 - 남성 패션 - 수염
수염은 얼굴에 나는 털로 콧수염, 구레나룻, 턱수염 등 다양한 종류와 스타일이 있으며, 역사적, 문화적, 종교적 의미를 지니고 남녀 모두에게 나타나지만, 여성의 경우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해 나타나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제모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영장류 중 일부도 수염과 유사한 털을 가지고 있다. - 남성 패션 - 넥타이핀
넥타이핀은 넥타이를 고정하고 스타일을 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신구로, 다양한 종류와 장식이 있으며 1920년대부터 널리 사용되었다.
콧수염 |
---|
2. 어원
"moustache"라는 단어는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이탈리아어 ''mustaccio''(14세기), 방언 ''mostaccio''(16세기)에서 파생되었고, 다시 중세 라틴어 ''mustacchium''(8세기), 중세 그리스어 μουστάκιον(''moustakion'')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9세기에 증명되었으며, 궁극적으로는 헬레니즘 그리스어 μύσταξ(''mustax'', ''mustak-'')[3], 즉 "윗입술" 또는 "얼굴 털"을 의미하는 단어의 축소형에서 유래되었으며, 아마도 헬레니즘 그리스어 μύλλον(''mullon''), 즉 "입술"에서 파생된 것으로 보인다.[4][5]
콧수염과 얼굴 털의 유행은 결혼 시장의 포화도에 따라 증가하고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6] 콧수염이나 수염의 밀도와 두께는 안드로겐 수치 또는 나이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7]
3. 역사
신석기 시대에는 칼날과 같은 석기가 있었지만, 이것으로 수염을 깎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했다. 수염을 포함하여 체모를 깎는 것은 금속기(동기)의 사용이 시작된 이후에 널리 퍼진 습관으로 생각되지만, 그 이전에도 조개껍데기 등을 사용하여 제모하는 것이 행해졌으며, 의도적으로 일부 수염을 남기고 다른 부분의 수염을 깎는 것도 행해졌을 가능성이 있다. 석기 면도기로 면도하는 것은 신석기 시대부터 기술적으로 가능했다.
다양한 문화권에서 콧수염에 대한 서로 다른 연관성을 발전시켜 왔다. 예를 들어, 20세기 아랍 국가에서는 콧수염은 권력, 수염은 이슬람 전통주의와 연관되며, 깨끗하게 면도하거나 얼굴 털이 없는 것은 더 자유주의적이고 세속적인 경향과 연관된다.[10] 이슬람에서는 콧수염을 다듬는 것이 순나와 무스타하브, 즉 권장되는 삶의 방식, 특히 수니파 무슬림 사이에서 권장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콧수염은 또한 야르산 종교의 남성 신자들에게 종교적 상징이기도 하다.[11]
일반적으로 서양 문화에서는 여성이 수염을 기르지 않지만, 멕시코의 화가 프리다 칼로는 자신의 초상화에 콧수염을 그려 넣기도 했다.[60][61][62]
3. 1. 고대
콧수염에 대한 가장 초기의 묘사는 고대 이집트의 고왕국 시대 (기원전 2649–2130년경)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2550년경의 이집트 제4왕조의 왕자 라호테프 왕자의 조각상에 콧수염이 묘사되어 있다.[6]
수염 없이 콧수염만 기르는 최초의 기록 중 하나는 철기 시대의 켈트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리스 역사학자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8]
Διόδωρος Σικελιώτης|디오도로스 시켈로테스grc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콧수염을 기른 면도한 남자를 보여주는 또 다른 고대 초상화는 기원전 300년의 고대 이란인 (스키타이인) 기마병이다.[6]
thumb 기마상, 기원전 300년경, 파지리크 고분에서 출토]]
고대 중국에서는 유교의 영향으로 전통적으로 얼굴 털과 머리카락을 손대지 않았다.[12] 초기 불교는 석가를 사람의 모습으로 표현하는 것을 피했지만, 1세기경부터 불상이 만들어지게 되었고, 현재의 파키스탄에 있는 간다라에서는 그리스 조각의 영향도 받은 간다라 불상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간다라 불상에서는 머리카락을 묶고, 콧수염을 기른 모습이 표현된 경우가 많다.[59] 기메 동양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간다라에서 출토된 1~3세기경의 석가 입상에도 콧수염이 표현되어 있다. 불상에서는 이처럼 콧수염만 표현하고 다른 수염은 표현하지 않는 예가 많다.
thumb에서 출토된, 콧수염이 있는 석가 입상, 1~3세기경 (기메 동양 미술관 소장)]]
3. 2. 중세 및 근대
중세 유럽에서는 콧수염이 기사 계급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중세 초기의 예술에서 콧수염의 두드러진 예는 서튼 후 헬멧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윗입술에 콧수염 스타일을 묘사한 안면판이 정교하게 장식되어 있다. 이후 웨일스 지도자들과 웨일스의 에드워드와 같은 영국 왕족들도 종종 콧수염만 길렀다.[9]
서양에서는 19세기 후반, 군사적 미덕과 함께 콧수염의 인기가 절정에 달했다.[7] 20세기 초, 아랍 국가에서는 콧수염이 권력과 연관되는 경향이 있었다.[10]
3. 3. 현대
현대 문화는 콧수염을 빅토리아 시대의 남성들과 연관 짓는 경우가 많지만, 빅토리아 시대 초기에는 수염이 혐오스럽게 여겨졌고 콧수염은 예술가나 혁명가의 상징으로 간주되어 사회적으로 주변부에 머물렀다.[20] 1841년부터 1847년까지 단 한 명의 국회의원만이 수염을 길렀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20] 그러나 1860년대에 이르러 콧수염은 크게 유행하게 되었고, 세기 말에는 다시 구식이 되었다.[20]
콧수염은 영국 군인의 특징이 되었고, 1916년까지는 입술 윗부분을 면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21] 그러나 다음 세대의 남성들은 콧수염을 구식 남성성의 상징으로 인식하여 콧수염 유행은 급격히 쇠퇴했고, 면도한 얼굴이 현대 남성의 특징이 되었다.[20]
근대에는 콧수염이 군인에게 선호되었다. 많은 국가에서 부대나 계급별로 다양한 스타일과 변형이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젊은 하급 병사는 비교적 작고 손이 가지 않은 콧수염을 길렀으며, 승진하면서 콧수염은 더욱 두꺼워지고, 더 나아가 모든 수염을 기르는 것이 허용되었다.
서양 문화에서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수염을 기르지 않지만, 멕시코의 화가 프리다 칼로는 자신의 초상화에 콧수염을 그려 넣기도 했다.[60][61][62]
4. 콧수염과 사회
콧수염은 결혼 시장, 연령 인식, 직업, 문화, 종교 등 다양한 사회적 요소와 관련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콧수염은 남성의 매력도, 성숙도, 사회적 지위 인식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많은 유행과 마찬가지로 콧수염도 시대에 따라 인기가 변동한다. 현대 문화는 콧수염을 빅토리아 시대의 남성들과 연관 짓는 경우가 많지만, 빅토리아 시대 초기에는 수염이 혐오스럽게 여겨졌고 콧수염은 예술가나 혁명가의 상징으로 간주되어 사회적으로 주변부에 머물렀다.[20] 1841년부터 1847년까지 단 한 명의 국회의원만이 수염을 길렀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20] 그러나 1860년대에 이르러 콧수염은 크게 유행하게 되었지만, 세기 말에는 다시 구식이 되었다.[20] 이러한 변화는 러시아와의 전쟁이 임박하고, 콧수염과 수염이 더 '남자다운' 이미지를 투영한다는 믿음 때문으로 추측된다.[20] 콧수염은 영국 군인의 특징이 되었고, 1916년까지는 입술 윗부분을 면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21] 그러나 다음 세대의 남성들은 콧수염을 남성성의 구식 상징으로 인식하여 콧수염 유행은 급격히 쇠퇴했고, 면도한 얼굴은 현대 남성의 특징이 되었다.[20]
나이젤 바버의 연구에 따르면, 여성에게 좋은 결혼 시장과 남성 인구의 콧수염 증가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22]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의 사진에서 콧수염을 기른 남성의 수와 미혼 여성 및 남성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두 요소가 수년에 걸쳐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상관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22] 콧수염을 기른 남성이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더 매력적이고, 근면하고, 창의적이고, 남성적이며, 지배적이고, 성숙한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일 수 있다.[22] 이는 헬스트룀과 테클레의 연구에서도 뒷받침된다.[23]
콧수염과 기타 수염은 전 세계적으로 사춘기 이후 남성의 징표로 이해된다.[26] 그러나 콧수염을 가진 사람은 같은 나이의 면도한 사람보다 나이가 많다고 인식된다.[26] 일반적으로 수염이 있는 남성은 수염이 없는 같은 대상보다 나이가 많다고 인식되었지만,[27] 콧수염이 있는 대상은 또한 사회적으로 훨씬 덜 성숙하다고 인식되었다.[26]
북미나 영국에서는 직장 동료, 친구, 학생 등 남성 그룹이 콧수염 기르기 시합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누가 가장 빠르고, 혹은 정해진 기간 내에 가장 멋지고 잘 다듬어진 콧수염을 기를 수 있는지를 겨루는 것이다. 이러한 시합은 자선 기금 모금을 위해 열리기도 하며, 참가자들은 각자의 스폰서로부터 제공받은 모금액을 기부한다.
1972년 월드 시리즈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당시 수염을 금지했던 신시내티 레즈와 대결했을 때, "수염 대 고지식한 사람들 (the hairs vs. the squares)" 대결이라고 보도되었다. 1970년대 초 애슬레틱스의 활약이 한몫했는지, 사회적 유행이 변화하면서 이후 야구 선수들 사이에서도 수염을 기르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4. 1. 한국 사회
한국 사회에서 콧수염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지녀왔다. 조선시대에는 양반 계층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들이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콧수염을 기르기도 했다. 현대 한국에서는 콧수염이 개성 표현의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스타일의 콧수염을 시도하는 남성들이 늘어나고 있다. 다만, 여전히 일부 보수적인 직종이나 기업에서는 콧수염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도 존재한다.5. 관리
콧수염은 턱과 뺨의 털을 면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전체 수염으로 자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콧수염 관리를 위해 안전 면도기, 콧수염 왁스(moustache wax), 콧수염 망, 콧수염 브러시, 콧수염 빗 및 콧수염 가위를 포함한 다양한 도구가 개발되었다.[16] 콧수염을 기르는 남성은 대부분 턱이나 뺨의 수염을 매일 면도하여, 얼굴 전체에 수염을 기르는 풀 비어드(full beard)가 되지 않도록 한다. 콧수염 손질을 위해 콧수염 왁스, 취침 시 등에 수염 모양을 정돈하여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무스타슈 네트(snood), 콧수염용 브러시, 콧수염용 빗, 콧수염용 가위, 전동 바리캉과 유사한 수염 트리머 등이 사용된다.
최근 중동에서는 더 풍성하고 인상적인 얼굴 털을 얻기 위해 모낭 단위 추출술이라는 시술을 받는 콧수염 이식 수술이 증가하는 추세이다.[16]
6. 스타일
세계 수염 및 콧수염 선수권 대회에서는 콧수염을 6가지 스타일로 분류한다.[66]
스타일 | 설명 | 이미지 |
---|---|---|
내추럴(Natural) | 왁스 등 보조적인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모양을 낸다. | |
헝가리안(Hungarian) | 크고 빽빽한 수염으로, 윗입술 중앙에서 좌우로 뻗는다. 윗입술 양쪽 끝에서 1.5cm 이상 떨어진 곳부터는 자유로운 형태이다. | |
달리(Dalí) | 길고 폭이 좁으며 위쪽으로 굽거나 뾰족한 콧수염으로, 입가에서 콧수염 끝까지는 면도한다. 화가 살바도르 달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 -- |
잉글리시(English) | 폭이 좁은 콧수염으로, 윗입술 중앙에서 좌우로 길게 뻗어 있으며 약간 굽어져 있고, 끝은 약간 위를 향한다. 입가에서 수염 끝까지는 보통 면도한다. | -- |
임페리얼(Imperial) | 옆으로 뻗은 콧수염이 윗입술의 콧수염뿐만 아니라 뺨 수염도 합쳐져 끝이 위를 향해 굽어진 것이다. 독일 황제 빌헬름 2세의 콧수염에서 유래했으며, 한국에서는 카이젤 수염이라고도 부른다. | -- |
프리스타일(Freestyle) | 위의 어느 것에도 해당하지 않는 콧수염. 윗입술 양쪽 끝에서 1.5cm 이상 떨어진 곳부터는 자유로운 형태이며, 보조적인 수단을 사용해도 좋다. |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콧수염 스타일이 존재한다.
- 셰브론(Chevron): 두껍고 넓어 윗입술 윗부분을 덮는 수염.
- 푸 만추(Fu Manchu): 길고 아래로 늘어진, 보통 턱 아래까지 늘어뜨린 콧수염. 영국 작가 삭스 로머가 창조한 가상의 악당 푸 만추에서 유래했다.
- 핸들바(Handlebar): 숱이 많은 잉글리시 콧수염이 양쪽 끝에서 작게 위로 솟아올라 자전거 핸들 모양과 닮은 것.
- 말굽(호스슈, Horseshoe): 콧수염과 이에 연결된 입의 양쪽에서 수직으로 턱선까지 수염을 길게 늘어뜨려 수염 모양이 말굽과 닮은 것. '바이커 콧수염'이라고도 한다.
- 연필(펜슬, Pencil): 가늘고 직선적이며 짧게 정리된 수염으로, 연필로 선을 그린 듯 윗입술을 따라 수염을 남기고, 코와 수염 사이에 넓은 공간이 생기도록 나머지 수염을 면도한 것. '마우스브로우(Mouthbrow)'라고도 한다.
- 칫솔(투스브러시, Toothbrush): 콧구멍 아래 약 2.54cm 정도의 좁은 폭에 짙은 수염을 남기고 나머지를 면도한 것. '솔 스태시(sole stash)', '히틀러(채플린) 스태시', '스코치(Scotch) 콧수염' 등으로도 불린다.
- 바다코끼리(월러스, Walrus): 숱이 많은 수염이 길어져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덮고, 종종 입 전체를 덮는 상태가 된 것.
- 판초 빌라(Pancho Villa): 푸 만추와 비슷하지만, 더 두껍고 늘어진 콧수염(droopy moustache)이다.
- GG (The GG): 콧수염 중앙을 면도하고 양쪽 끝만 짙은 수염을 기르는 것. 미국의 펑크 록 싱어 GG 알린에서 유래했다.
비슷한 모양의 콧수염이라도 윗입술 중앙의 인중을 면도하는지에 따라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7. 유명한 콧수염
콧수염은 때때로 특정 개인을 상징하여, 다른 단서 없이도 수염만으로 특정 인물과 연결될 수 있다. 프랭크 자파의 콧수염은 매우 특징적이어서 사후에 Zappa Family Trust에 의해 저작권 등록되었다.
그루초 마르크스나 찰리 채플린처럼 콧수염이 실제가 아닌 가짜인 경우도 있다. 마하트마 간디는 인생의 대부분 동안 콧수염을 길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공군의 에이스 파일럿 로빈 올즈(로빈 올즈)는 베트남 전쟁에서 제8 전투 비행단 "울프팩"을 이끌던 시기에 핸들바 형태의 콧수염을 길렀다. 귀국 후 상관에게 수염을 깎으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이를 계기로 공군 병사들 사이에서 "머스타쉬 행진(Moustache March)"이라는 전통이 생겼다.[69]
억만장자 하워드 휴즈는 1946년 비행기 추락 사고 후 펜슬 콧수염을 길렀다. 베어 너클 시대의 헤비급 마지막 챔피언이자 글러브 방식을 채택한 최초의 공인 챔피언 존 L. 설리번은 핸들바 콧수염을 길렀다. 코스트코의 공동 창업자 제임스 시네갈(James Sinegal)도 콧수염으로 알려져 있다. 2004년 인도의 바잔싱 주완싱 구르자르(Bajansinh Juwansinh Gurjar)의 콧수염은 22년간 길러 3.6미터에 달했다.[70]
유명 뮤지션으로는 카를로스 산타나, 데이비드 크로스비, 테드 뉴전트, 듀안 올맨, 어셔,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위어드" 알 얀코빅, 척 망조니, 존 엔트위슬, 버튼 커밍스(Burton Cummings), 필 라이노트, 라이오넬 리치, 리치 블랙모어, 앨버트 킹, 스티비 레이 본, 야니, 제프 벡스터, 멜 샤처(Mel Schacher), 릭 제임스, 조지 해리슨, 링고 스타, 지미 헨드릭스, 데니스 데영(Dennis DeYoung), 존 오츠, 척 파노초(Chuck Panozzo), 조 월시, 오티스 레딩, 짐 크로치(Jim Croce), 유진 휴츠(Eugene Hütz), 알렉스 카프라노스(Alex Kapranos) 등이 있다. 영국의 낭만주의 작곡가 에드워드 엘가도 콧수염으로 알려졌다. 독일 제국 황제 빌헬름 2세의 콧수염은 풍자 잡지와 삼국 협상 측 정치 선전에 이용되었다.
프리미어 리그 리버풀 FC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후반까지 마크 로렌슨(Mark Lawrenson), 그레이엄 수네스, 브루스 그로벨라, 테리 맥더못(Terry McDermott), 이안 러시 등 콧수염을 기른 선수들이 활약했다. 2008년 크로아티아 남자 수구 팀은 콧수염을 기른 코치 라트코 루디치(Ratko Rudić)에게 경의를 표하여 선수 전원이 콧수염을 길렀다.
MLB 명예의 전당 구원 투수 롤리 핑거스, 리치 "구스" 고세지, 캣피시 헌터, 데니스 에커슬리는 현역 시절부터 콧수염을 길렀다. A.J. 버넷, 클레이 자바다(Clay Zavada), 레지 잭슨, 빌리 마틴, 랜디 존슨, 루이스 티안트, 레지 스미스, 돈 매팅리, 앙드레 도슨, 데이비 로페스, 웨이드 보그스, 제이슨 지암비, 잭 모리스 등도 콧수염을 길렀다.
1972년 뮌헨 올림픽 수영 7관왕 마크 스피츠는 콧수염을 길렀다. 뮌헨 올림픽 이후, 유럽 수영 선수들 사이에서 콧수염을 기르는 것이 유행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럭비 유니언 코치 피터 드 빌리어스(Peter De Villiers)는 "콧수염 피터"라는 뜻의 "Piet Snor"라는 별명으로 불린다. NHL 명예의 전당 선수 래니 맥도날드(Lanny McDonald)는 큰 콧수염으로, 조지 파로스(George Parros)는 콧수염을 본뜬 가짜 콧수염을 판매해 수익금을 기부한다.
북미나 영국에서는 콧수염 기르기 시합을 통해 자선 기금을 모금하기도 한다. Movember는 매년 11월 전립선암 인식을 높이는 자선 행사이다.[67] 1970년대 초까지 MLB 선수들은 거의 수염을 기르지 않았으나,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구단주 찰리 핀리의 수염 기르기 시합 이후 1972년 월드 시리즈에서 "수염 대 고지식한 사람들" 대결이 벌어졌고, 이후 선수들 사이에서 수염이 일반화되었다.
7. 1. 실존 인물
- 살바도르 달리는 독특한 모양의 콧수염(달리 콧수염)으로 유명하다.
- 프리드리히 니체는 바다코끼리 콧수염을 길렀다.
- 찰리 채플린은 칫솔 콧수염을 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실제로는 가짜 콧수염이었다.
- 아돌프 히틀러는 칫솔 콧수염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그의 콧수염은 그를 상징하는 특징 중 하나가 되었다.[39]
- 이오시프 스탈린은 바다코끼리 콧수염을 길렀다.[39]
- 프레디 머큐리는 셰브론 콧수염으로 유명하다.
- 김구는 한국의 독립운동가로 콧수염을 길렀다.
- 안창호는 한국의 독립운동가로 콧수염을 길렀다.
- 김두한은 한국의 정치인으로, 드라마 야인시대의 영향으로 콧수염이 그의 상징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 전두환은 한국의 군사독재 정권 대통령으로, 콧수염을 길렀으며 부정적인 이미지와 연결되기도 한다.
7. 2. 가상 인물
찰리 찬, 비디오 게임 캐릭터 마리오, 다니엘 플레인뷰, 옴니맨, 마이크 해거, 토니 스타크, 닥터 스트레인지, 킹 브래들리, 색스턴 헤일, 에르큘 포와로, 로랙스, 요세미티 샘, 스니들리 위플래시와 같은 캐릭터들이 콧수염으로 유명하다.[67] 푸 만추 콧수염은 매우 유명하여 전체 스타일이 그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8] 볼리우드 영화 샤라비의 콧수염 캐릭터 나툴랄도 유명하다. "Munchhen hon to Natthulal jaisi, warna na hon" (콧수염은 나툴랄의 콧수염과 같아야 하거나, 아니면 아예 없어야 한다)은 이 영화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대사 중 하나이다. 어린이 시리즈 ''밤의 정원''에서, 폰티파인 씨는 입을 가리는 크고 검은 가짜 콧수염을 가지고 있다.8. 대중문화 속 콧수염
콧수염은 특정 개인을 상징하기도 하여, 다른 단서 없이 수염만으로도 특정 인물과 연결될 수 있다. 아돌프 히틀러가 대표적인 예이다. 프리드리히 니체를 비롯한 많은 철학자들도 콧수염을 길렀다. 그루초 마르크스나 찰리 채플린처럼 콧수염이 실제가 아닌 가짜인 경우도 많다.
콧수염은 가공의 캐릭터에게 개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자주 사용된다. 찰리 찬, 스니들리 위플래시(Snidely Whiplash), 애니메이션 시리즈 요절복통 기계 레이스의 "블랙 마왕"(Dick Dastardly), 애거사 크리스티가 창작한 명탐정 에르큘 포와로, 비디오 게임의 마리오 등이 그 예이다. 특히 푸 만추는 콧수염 스타일 전체의 명칭이 될 정도로 특징적인 콧수염을 가진 인물로 묘사되었다.
회화에서는 모나리자에 염소 수염과 콧수염을 그려 넣은 패러디를 제작한 마르셀 뒤샹이나, 콧수염이 있는 자화상을 많이 남긴 여성 화가 프리다 칼로처럼 콧수염이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살바도르 달리는 자신의 콧수염만을 주제로 한 서적을 출판했다.[71]
9. 갤러리
참조
[1]
문서
moustache vs mustache
[2]
서적
New Perspectives on the History of Facial Hair: Framing the Face
Palgrave Macmillan
[3]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4]
웹사이트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5]
웹사이트
moustache, mustachio
https://www.britanni[...]
[6]
논문
Mustache Fashion Covaries with a Good Marriage Market for Women
[7]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military moustache
http://blog.wellcome[...]
2015-11-20
[8]
웹사이트
Diodorus Siculus, Library of History
http://exploringcelt[...]
[9]
웹사이트
The moustache: A hairy history
https://www.bbc.com/[...]
2020-05-31
[10]
웹사이트
Syria's assassinated officials and other Arab leaders wear mustaches for the look of power.
http://www.slate.com[...]
2012-07-18
[11]
웹사이트
Another Yarsan follower's mustaches were shaved
http://www.majzooban[...]
[12]
웹사이트
Filial Piety (孝) in Chinese Culture
https://china-journa[...]
2016-03-14
[13]
간행물
Adolescent Reproductive Health
http://unesdoc.unesc[...]
2002-06-01
[14]
문서
Chumlea, 1982
[15]
웹사이트
The No-Hair Scare
http://pbskids.org/i[...]
PBS
2009-02-20
[16]
뉴스
Surgery offers chance at perfect moustache
http://www.newshub.c[...]
2012-12-06
[17]
웹사이트
The World Beard & Moustache Championships
http://www.handlebar[...]
Handlebarclub.co.uk
2012-04-29
[18]
웹사이트
pornstache Meaning & Origin
https://www.dictiona[...]
2024-08-22
[19]
웹사이트
The pornstache is back in action
https://quchronicle.[...]
2023-02-22
[20]
논문
From Squalid Impropriety to Manly Respectability: The revival of Beards, Mustaches and Marital Values in the 1850s in England
[21]
서적
The Victorian Army at Home: The Recruitment and Terms and Conditions of the British Regiment, 1859–1899
Croom Helm
[22]
논문
Mustache Fashion Covaries with a Good Marriage Market for Women
[23]
논문
Person Perception Through Photographs: Effects of Glasses, Hair, and Beard on Judgements of Occupation and Personal Qualities
[24]
논문
Fashions in Shaving and Trimming of the Beard: The Men of the Illustrated London News
[25]
논문
Women's Dress Fashion as a Function of Reproductive Strategies
[26]
논문
The Evolutionary Significance and Social Perception of Male Pattern Baldness and Facial Hair
[27]
논문
Effects of Cranial and Facial Hair on Perceptions of Age and Person
[28]
논문
The Influence of Facial Hair on Impression Formation
[29]
논문
Barba Facit Magistrum: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a Bearded University Teacher on His Students
[30]
논문
Perception of Men's Personal Qualities and Prospect of Employment as a Function of Facial Hair
[31]
논문
What do Women Want? Facialmetric Assessment of Multiple Motives in the Perception of Male Facial Physical Attractiveness
[32]
논문
The Survival Value of the Beard
[33]
논문
Effects of Beardedness on Person Perception
[34]
논문
Female's Response to Male Beardedness
[35]
웹사이트
Why Do Amish Men Wear Beards But Not Mustaches?
https://curiosity.co[...]
2020-02-22
[36]
논문
Men's Grooming in the Latter-day Saints Church: A Qualitative Study of Norm Violation
[37]
논문
The face of Danger: Beards in the U.S. Media's Representation of Arabs, Muslims, and Middle Easterners
[38]
서적
Sahih Bukhari, Book 8, Volume 74, Hadith 312 (Asking Permission)
[39]
웹사이트
Longest moustache
http://www.guinnessw[...]
Guinnessworldrecords.com
2010-03-04
[40]
뉴스
The accident that made The Beatles grow moustaches
https://faroutmagazi[...]
Far Out Magazine
2020-11
[41]
IMDb
[42]
서적
Dalí's Moustache. A Photographic Interview by Salvador Dalí and Philippe Halsman
Simon & Schuster
1954
[43]
뉴스
Beard it like Abhinandan: The moustache trend that signifies heroism
https://www.msn.com/[...]
2019-03-03
[44]
뉴스
MOUSTACHE MAKES THE MAN
http://www.telegraph[...]
2013-07-16
[45]
서적
The Case of the Deadly Butter Chicken: A Vish Puri Mystery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2-07-10
[46]
뉴스
Documentary Film Festival Archive – Watch Top documentaries online.
http://www.cultureun[...]
[47]
뉴스
Chittorgarh: Fortress of courage
http://articles.econ[...]
Bennett, Coleman & Co. Ltd.
2010-12-23
[48]
웹사이트
The "Field' Stach": A Commentary
https://www.army.mil[...]
2010-08-06
[49]
웹사이트
Hair vs. Squares: the 1972 Mustache Gang
https://beardandbice[...]
2018-08-25
[50]
뉴스
Croats pay lip service to team unity
http://archive.bosto[...]
NY Times Co.
2008-08-15
[51]
뉴스
Hinchas chilenos lucen bigote a lo Toms en Londres
http://deportescl.te[...]
2012-08-05
[52]
뉴스
#bigoteolimpico: Ponte el bigote de Tomás González y apóyalo!
http://www.guioteca.[...]
Empresa El Mercurio S.A.P.
2012-08-03
[53]
뉴스
Las redes sociales apoyan a Tomás González usando su característico "bigote olímpico"
http://londres2012.b[...]
2012-08-03
[54]
뉴스
Celebrated Scrapper George Parros Made The Most of His NHL Life
https://xnsports.com[...]
2014-12-05
[55]
웹사이트
The Top 10 Moustaches in Motorsport: A November Special
http://www.demon-twe[...]
[56]
문서
일본어 표기
[57]
문서
미국 영어
[58]
웹사이트
OED, Britannica Online - Merriam-Webster's Online Dictionary
http://www.britannic[...]
[59]
웹사이트
박물관 정보고
http://www.kansai-u.[...]
[60]
웹사이트
Let us now praise famous mustaches
http://content.usato[...]
2005-12-12
[61]
웹사이트
Who says women can't be sexy with a five o'clock shadow?
http://observer.guar[...]
2003-11-02
[62]
웹사이트
Adrenal virilism
http://medical-dicti[...]
[63]
웹사이트
Adolescent Reproductive Health
http://unesdoc.unesc[...]
2002-06-01
[64]
문서
Chumlea, 1982
[65]
웹사이트
The No-Hair Scare
http://pbskids.org/i[...]
PBS
[66]
웹사이트
The World Beard & Moustache Championships
http://www.handlebar[...]
[67]
웹사이트
Official Movember website
http://www.movember.[...]
[68]
서적
Mustache Gang: The swaggering saga of Oakland's A's
Dell
[69]
웹사이트
The facial hair protest is an Air Force tradition
http://www.greatfall[...]
2007-03-30
[70]
웹사이트
Longest moustache ever in the world
http://thelongestlis[...]
[71]
서적
Dali's Moustache. A Photographic Interview by Salvador Dali and Philippe Halsman
Simon and Schuster
195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