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덕양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양군은 조선 중종과 숙의 이씨의 아들로, 1524년에 태어나 1581년에 사망한 왕자이다. 9세에 덕양군에 봉해졌으며, 인종, 명종 등과 이복 형제 관계였다. 종부시 도제조를 역임하며 종친부 등에서 관직을 지냈다. 1540년 종들의 잘못으로 인한 사건, 1547년 종들의 부부 이간질, 1574년 종친에게 죄를 주려 하자 이를 막은 일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시호는 정희이며, 현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청계산 자락에 묘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4년 출생 - 피에르 드 롱사르
    피에르 드 롱사르는 16세기 프랑스의 시인이자 플레야드 시단의 중심 인물로서, 송시, 사랑시, 프랑시아드 등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프랑스 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했으며 왕실의 후원을 받았지만 위그노와의 갈등 속에서 풍자시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나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재조명되었다.
  • 1524년 출생 - 루이스 드 카몽이스
    루이스 드 카몽이스는 16세기 포르투갈의 시인이자 작가로, 포르투갈 역사와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항로 발견을 묘사한 서사시 《우스 루지아다스》로 포르투갈 문학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 민족주의와 애국심 고취에 기여했다.
  • 1581년 사망 - 박충원
    박충원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에 급제 후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이조판서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밀원군에 봉해졌고 사후 문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581년 사망 - 희빈 홍씨
    조선 중종의 후궁 희빈 홍씨는 중종반정 공신 홍경주의 딸로, 중종의 총애를 받으며 아버지의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고 기묘사화에 관여하여 조광조를 제거하는 데 영향을 미쳤으며, 중종과의 사이에서 금원군과 봉성군을 포함한 5명의 아들을 두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덕양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
시호정희 (靖僖)
배우자영가군부인 안동 권씨
자녀4남 1녀
----적장남 - 풍산군 이종린
서장남 - 풍성군 이희린
서차남 - 풍천도정 이명린
서3남 - 풍해수 이계린
서녀 - 이씨
이기
왕조조선
아버지중종
어머니숙의 이씨
친인척인종(이복형), 명종(이복동생) 등 다수
출생일1524년 음력 9월 25일
사망일1581년 음력 6월 22일 (향년 58세)
매장지덕양군 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가문조선국 왕실 전주 이씨
덕양군 이기

2. 생애

1524년(중종 19년) 음력 9월 조선의 제11대 왕 중종과 후궁 숙의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은 이, 이름은 기(岐), 자는 백고(伯高), 본관전주이다[1].

1532년(중종 27년), 9살 때 정식으로 군에 봉작되어 '''덕양군'''(德陽君)이 되었다. 1540년(중종 35년) 음력 10월 7일 덕양군 집에 도둑이 들었으나, 10일만에 거짓으로 판명되었는데, 당시 나이가 어린 덕양군을 그 종들이 꾀어 일을 꾸민 것이었다. 당시 대신들은 덕양군에 대해 별 일도 아닌 것을 가지고 한밤중에 시종을 시켜 궁궐 내에 보고하고 중종을 놀라게 하였으니 죄를 주기를 청하였고, 중종이 이를 받아들여 덕양군과 그 종들에 대해 추문이 이루어졌다[6].

1547년(명종 2년) 음력 7월 13일에는 덕양군의 종 말년과 여종 다물사리가 덕양군 부부를 이간질하여 그 가정을 농락하고 있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결국 덕양군은 법을 무시한다는 이유로 대간들이 추문을 청하여 명종이 윤허하였다[7].

종부시 도제조를 맡았던 덕양군은 1574년(선조 7년) 음력 4월 3일 종부시 관원이 잘못을 저지른 종친에게 죄를 주려고 하자 이를 막았다. 결국 덕양군은 대간들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선조는 종친에게 함부로 죄를 물을 수 없다며 이를 거부하였다[8]. 이후 덕양군은 종친부, 사옹원, 문소전, 연은전 등에서도 여러 관직을 지냈다[10].

1581년(선조 14년) 음력 6월 22일, 덕양군은 5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선조는 덕양군의 죽음을 깊이 애도하며 3일 동안 조회를 폐하고 시장을 열지 못하게 했으며, 장례는 모두 관에서 관장하게 하였다[10]. 시호는 정희(靖僖)이다[13].

2. 1. 가계

1524년(중종 19년) 음력 9월, 조선의 제11대 중종과 후궁 숙의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은 이, 이름은 기(岐), 자는 백고(伯高), 본관전주이다[1]. 인종은 덕양군의 이복 형이며, 명종덕흥대원군(선조의 친아버지) 등은 이복 동생이다.

덕양군의 생모 숙의 이씨사섬시 첨정을 지낸 이형신의 딸로, 본관경주이다. 원래 종4품 숙원이었다가 후에 종2품 숙의로 추봉되었다[2]. 생모 이씨는 덕양군을 낳고 5일 만에 산후병으로 세상을 떠났고[3], 덕양군은 중종의 또 다른 후궁 숙의 김씨의 손에서 자랐다[4].

2. 2. 왕자 시절

9살 때인 1532년(중종 27년)에 정식으로 군에 봉작되어 '''덕양군'''(德陽君)이 되었다. 당시 덕양군은 권소의 빈 집을 빌려서 거주하였는데, 1540년(중종 35년) 음력 10월 7일 이 집에 도둑이 드는 일이 발생하였다. 당시 중종은 평소에 근무를 태만하게 한 형옥관을 파직하고 국문케 하였다[5]. 그러나 이 일은 10일만에 거짓으로 판명되었는데, 알고 보니 당시 나이가 어린 덕양군을 그 종들이 꾀어 일을 꾸민 것이었다. 당시 대신들은 덕양군에 대해 별 일도 아닌 것을 가지고 한밤중에 시종을 시켜 궁궐 내에 보고하고 중종을 놀라게 하였으니 죄를 주기를 청하였고, 중종이 이 청을 받아들여 덕양군과 그 종들에 대해 추문이 이루어졌다[6].

1547년(명종 2년) 음력 7월 13일에는 덕양군의 종 말년과 여종 다물사리가 덕양군 부부를 이간질하여 그 가정을 농락하고 있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당시 말년에 대해서는 곧바로 추문이 이뤄졌으나, 무슨 일인지 덕양군이 다물사리를 자신의 집 밖으로 내보내주지를 않는 바람에 종부시에서 다물사리를 잡아갈 수가 없었다. 결국 덕양군은 법을 무시한다는 이유로 대간들이 추문을 청하여 명종이 윤허하였다[7].

2. 3. 종친부 활동

덕양군은 종부시 도제조를 맡았는데, 1574년(선조 7년) 음력 4월 3일 종부시 관원이 잘못을 저지른 종친에게 죄를 주려고 하자 이를 막았다. 결국 덕양군은 대간들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당시 선조는 종친에게 함부로 죄를 물을 수 없다며 이를 거부하였다[8]. 이틀 후 대간에서 또다시 덕양군에 대한 탄핵을 상소하였으나, 선조는 마지막까지 그 탄핵을 윤허하지 않았다[9]. 이후 덕양군은 종부시 이외에도 종친부사옹원, 문소전, 연은전 등에서 여러 관직을 두루 지냈다[10].

2. 4. 기타 활동

덕양군은 종친부 외에도 종부시, 사옹원, 문소전, 연은전 등에서 여러 관직을 지냈다.[10]

2. 5. 사망

덕양군은 1581년(선조 14년) 음력 6월 22일 58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이틀 후인 음력 6월 24일 광주 남쪽에 있는 낙생리 와동 지역(현재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청계산 자락)에 묘소가 마련되었다. 묘소에는 부인 권씨가 합장되어 있으며, 묘역에는 생모 숙의 이씨, 숙의 김씨의 묘도 함께 있다. 묘역 인근에는 사당 정희사(靖僖祠) 등이 있다[12].

덕양군이 사망하자 선조는 깊이 애도하며 3일동안 조회를 폐하고 시장을 열지 못하게 했으며, 장례는 모두 관에서 관장하게 하였다[10]. 시호는 정희(靖僖)이다[13]. 덕양군 사후 장남 풍산군이 송인에게 묘지명을 부탁했는데, 송인은 덕양군에 대해 천성이 순수하고 소박하며 자신을 과시하지 않고 교만하지 않았다고 평했다. 또한 몸이 건강하고 술을 잘 마셨으며, 음률에도 밝았다고 한다. 그밖에 덕양군은 어머니를 일찍 여의어 중종이 매우 불쌍히 여겼고, 인종, 명종 등과는 사이가 매우 좋았다고 한다[10].

3. 가족 관계

덕양군(岐)의 생모 숙의 이씨사섬시 첨정을 지낸 이형신의 딸로, 본관경주이다. 원래 종4품 숙원이었다가 후에 종2품 숙의로 추봉되었다[2]. 이씨는 덕양군을 낳고 5일만에 산고로 죽었고[3], 덕양군은 중종의 또다른 후궁 숙의 김씨의 손에서 자랐다[4].

관계이름비고
중종조선 제11대
숙의 이씨경주
양모숙의 김씨
이복 형인종
이복 형명종


4. 평가

덕양군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다.
긍정적 평가송인은 덕양군에 대해 천성이 순수하고 소박하며 자신을 과시하지 않고 교만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또 몸이 건강하고 술을 잘 마셨으며, 음률에도 해박했다고 한다. 그밖에 덕양군은 어머니를 일찍 여의어 중종이 매우 불쌍히 여겼고, 이복형제인 인종, 명종 등과는 사이가 매우 좋았다고 한다.[10]
부정적 평가


  • 1540년(중종 35년) 음력 10월 7일, 덕양군의 집에 도둑이 들었다는 소동이 일어났으나, 이는 어린 덕양군을 꾀어 종들이 꾸민 거짓으로 밝혀졌다. 대신들은 덕양군이 별일 아닌 것으로 중종을 놀라게 했다며 죄를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중종은 이를 받아들여 덕양군과 그 종들을 추문했다.[6]

  • 1547년(명종 2년) 음력 7월 13일, 덕양군의 종 말년과 여종 다물사리가 덕양군 부부를 이간질하여 가정을 농락하고 있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말년은 곧바로 추문되었으나, 덕양군은 다물사리를 집 밖으로 내보내지 않아 종부시에서 잡아갈 수 없었다. 결국 덕양군은 법을 무시한다는 이유로 대간들의 추문을 청하는 요청을 명종이 윤허하였다.[7]

  • 1574년(선조 7년) 음력 4월 3일, 종부시 관원이 잘못을 저지른 종친에게 죄를 주려 하자 당시 종부시 도제조였던 덕양군이 이를 막았다. 이로 인해 덕양군은 대간들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선조는 종친에게 함부로 죄를 물을 수 없다며 이를 거부하였다.[8] 이틀 후 대간에서 다시 덕양군에 대한 탄핵을 상소하였으나, 선조는 끝까지 탄핵을 윤허하지 않았다.[9]

4. 1. 긍정적 평가

송인은 덕양군에 대해 천성이 순수하고 소박하며 자신을 과시하지 않고 교만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또 몸이 건강하고 술을 잘 마셨으며, 음률에도 해박했다고 한다. 그밖에 덕양군은 어머니를 일찍 여의어 중종이 매우 불쌍히 여겼고, 이복형제인 인종, 명종 등과는 사이가 매우 좋았다고 한다.[10]

4. 2. 부정적 평가

1540년(중종 35년) 음력 10월 7일, 덕양군이 살던 집에 도둑이 들었다는 소동이 일어났다. 그러나 이는 어린 덕양군을 꾀어 종들이 꾸민 거짓으로 밝혀졌다. 대신들은 덕양군이 별일 아닌 것으로 중종을 놀라게 했다며 죄를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중종은 이를 받아들여 덕양군과 그 종들을 추문했다.[6]

1547년(명종 2년) 음력 7월 13일, 덕양군의 종 말년과 여종 다물사리가 덕양군 부부를 이간질하여 가정을 농락하고 있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말년은 곧바로 추문되었으나, 덕양군은 다물사리를 집 밖으로 내보내지 않아 종부시에서 잡아갈 수 없었다. 결국 덕양군은 법을 무시한다는 이유로 대간들의 추문을 청하는 요청을 명종이 윤허하였다.[7]

1574년(선조 7년) 음력 4월 3일, 종부시 관원이 잘못을 저지른 종친에게 죄를 주려 하자 당시 종부시 도제조였던 덕양군이 이를 막았다. 이로 인해 덕양군은 대간들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선조는 종친에게 함부로 죄를 물을 수 없다며 이를 거부하였다.[8] 이틀 후 대간에서 다시 덕양군에 대한 탄핵을 상소하였으나, 선조는 끝까지 탄핵을 윤허하지 않았다.[9]

참조

[1]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덕양군〉 https://web.archive.[...] 2012-07-28
[2] 웹인용 《연려실기술》권7 - 중종 https://web.archive.[...] 2018-11-13
[3] 웹사이트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홈페이지 - 중종대왕 - 왕비.후궁과 자녀들 (3) http://www.rfo.co.kr[...]
[4]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숙의 김씨 묘〉항목 https://terms.naver.[...]
[5]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중종 94권, 35년(1540 경자 / 명 가정 19년) 10월 7일(을축) 1번째기사
[6]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중종 94권, 35년(1540 경자 / 명 가정 19년) 10월 17일(을해) 2번째기사
[7]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명종 6권, 2년(1547 정미 / 명 가정 26년) 7월 13일(임술) 1번째기사
[8]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선조 8권, 7년(1574 갑술 / 명 만력 2년) 4월 3일(정미) 1번째기사
[9]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선조 8권, 7년(1574 갑술 / 명 만력 2년) 4월 5일(기유) 1번째기사
[10] 국조인물고 《국조인물고》- 이기의 묘지명 https://terms.naver.[...]
[11]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선조 134권, 34년(1601 신축 / 명 만력 29년) 2월 3일(임신) 7번째기사
[12] 웹인용 전주이씨 덕양군파종중 - 종중소개 http://www.dugyang.c[...] 2012-07-28
[13] 웹인용 전주이씨대동종약원 - 덕양군파 약사 https://web.archive.[...] 2012-07-28
[14] 선원록 선원록 참고
[15] 문서 후에 군(君)으로 승격
[16] 국조인물고 《국조인물고》- 이종린의 묘지명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