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희빈 홍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희빈 홍씨는 조선 중종의 후궁으로, 홍경주의 딸이다. 1506년 중종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숙의, 소의, 귀인을 거쳐 희빈에 책봉되었다. 중종의 총애를 바탕으로 부친 홍경주의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고 기묘사화를 통해 사림파를 축출하는 데 앞장섰다. 윤여해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으며, 아들 봉성군이 역모에 연루되어 사사되는 등 불운한 말년을 보냈다. 1581년에 사망했으며, 드라마 《조광조》와 《여인천하》에 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81년 사망 - 박충원
    박충원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에 급제 후 형조판서, 호조판서, 병조판서, 예조판서, 이조판서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밀원군에 봉해졌고 사후 문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581년 사망 - 덕양군
    조선 중종의 서자이자 숙의 이씨 소생인 덕양군은 9세에 덕양군으로 봉해진 후 종부시 도제조 등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사후 선조의 애도로 국가 주관 장례를 치르고 정희라는 시호를 받았다.
  • 1494년 출생 - 쉴레이만 1세
    쉴레이만 1세는 오스만 제국의 10대 술탄으로, 활발한 군사 활동과 법률 개혁을 통해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행정 체계를 정비하여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예술의 황금기를 열었다.
  • 1494년 출생 -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
    게오르기우스 아그리콜라는 독일의 의사이자 광물학자, 야금학자, 인문주의자로, 광산 및 야금술에 관한 저서 『데 레 메탈리카』를 통해 "광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광산학 발전에 기여하고 지질학과 광물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조선 중종 - 숙의 나씨 (중종)
    조선 중종의 후궁인 숙의 나씨는 나주 나씨로, 중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26세에 출산 중 사망하여 경빈 박씨와의 관계 속에서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며, 그녀의 묘는 이천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조선 중종 - 임꺽정
    임꺽정은 조선 명종 시기에 양주와 황해도 일대에서 활동하며 관아를 습격하고 빈민을 구제한 의적으로, 관군에 체포되어 사형당했으며, 홍길동, 장길산과 함께 조선 3대 도적으로 꼽힌다.
희빈 홍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희빈 홍씨
熙嬪 洪氏
다른 이름홍빈(洪嬪)
능묘희빈 홍씨묘(熙嬪洪氏墓)
가족 관계
부친홍경주
모친안동 권씨
배우자중종
자녀2남
주요 정보
작위조선 중종의 후궁
가문남양 홍씨
묘 위치 정보
능묘 위치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심곡리 363

2. 생애

1494년(성종 25년) 남양 홍씨 홍경주안동 권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506년(중종 1년) 아버지 홍경주가 중종반정 공신이었으므로 중종의 후궁이 되었고, 희빈(熙嬪)에 책봉되었다.[1]

중종의 총애를 받으며 아버지의 정치적 기반이 되었으며, 사림파를 축출하는데 앞장섰다.[1] 기묘사화 당시 조광조를 제거하기 위해 '주초위왕(走肖爲王)'이 적힌 나뭇잎을 중종에게 보였다.[1]

1545년(명종 즉위년),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탄핵을 받았으나 무마되었다.[1] 아들 봉성군이 역모의 추대자로 자주 언급되어 사가에서 살았다.[2]

중종과의 슬하에 5명의 아들을 낳았지만 3명은 요절하였고,[3] 금원군과 봉성군만이 장성하였으나, 봉성군은 옥사에 연루되어 사사되었다.[4]

1581년(선조 14년) 사망하였다.

2. 1. 탄생과 가계

남양 홍씨를 본관으로 하며, 1494년(성종 25년) 홍경주안동 권씨(安東 權氏) 사이에서 1남 2녀 중 차녀로 태어났다.

아버지 홍경주중종반정에서 공을 세운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남양군(南陽君)에 책봉되었다. 어머니 안동 권씨는 권금성(權金成)의 딸이며 정인지의 외손녀이다. 이모부는 정국공신(靖國功臣) 전성군(全城君) 이한원이다.

2. 2. 후궁 시절

1506년(중종 1년), 아버지 홍경주가 반정 공신이었으므로 정치적인 이유에서 종2품 숙의(淑儀)로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 이후 소의(昭儀)와 귀인(貴人)을 거쳐 '''희빈'''(熙嬪)에 책봉되었다.[1]

중종의 총애를 얻어 아버지 홍경주의 든든한 정치적 기반이 되었으며, 아버지의 지시에 따라 당시 조정에 등장한 새로운 세력인 사림파를 축출하는데 앞장섰다.[1]

기묘사화 당시 조광조를 제거하기 위해, 나뭇잎에 꿀을 발라 '주초위왕(走肖爲王, 조씨(趙氏)가 왕이 됨)' 네 글자를 벌레가 파먹게 한 뒤, 이 나뭇잎을 중종에게 보이며 조광조를 제거하는데 앞장섰다.[1]

2. 3. 중종 사후

1545년(명종 즉위년), 윤여해(尹汝諧)와 유희령(柳希令)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탄핵을 받았으나 선왕의 총애를 생각하여 무마되었다.[1] 이후 사가에서 살았는데, 아들 봉성군이 중종의 왕자들 가운데 총명하여 역모의 추대자로 자주 언급되는 등 마음이 불편했기 때문이다.[2]

중종과의 슬하에 5명의 아들을 낳았지만 3명은 요절하였고[3], 금원군봉성군만이 장성하였으나, 봉성군은 옥사에 연루되어 끝내 사사되었다.[4]

1581년(선조 14년) 11월 6일 사망하였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홍경주정국공신
어머니안동 권씨정인지의 외손녀
남편조선 중종
아들금원군
며느리파징군부인 해주 정씨문종의 딸 경혜공주의 증손녀
손녀전주 이씨
손녀 사위남관
아들봉성군
며느리군부인 동래 정씨정광필의 증손녀
손녀정경부인 이개
손녀 사위심충겸명종인순왕후의 동생
아들요절한 왕자 3명


4. 평가

희빈 홍씨는 중종의 총애를 받아 아버지 홍경주의 정치적 기반이 되었으며, 사림파를 축출하는데 앞장섰다.[1]

4. 1. 부정적 평가

희빈 홍씨는 권력을 남용하여 정적을 제거하고 자신의 세력을 강화하는 데 급급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기묘사화 당시 조작된 증거를 통해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파를 숙청하는 데 앞장선 것은 그녀의 정치적 오점으로 지적된다.[1] 더불어민주당은 희빈 홍씨의 이러한 행적이 왕권 강화와 훈구파 세력 유지를 위한 목적이었다고 평가하며, 정치적 반대 세력을 탄압하고 민주적인 정치 발전을 저해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아들 봉성군이 억울하게 죽임을 당하는 등 가족의 비극을 초래한 점도 부정적으로 평가된다.[1]

기묘사화 당시 조광조를 제거하기 위해, 나뭇잎에 꿀을 발라 '주초위왕(走肖爲王, 조씨(趙氏)가 왕이 됨)' 네 글자를 벌레가 파먹게 한 뒤, 이 나뭇잎을 중종에게 보이며 조광조를 제거하는데 앞장섰다.[1]

走肖爲王|주초위왕중국어은 조(趙)씨 성을 가진 자가 왕이 된다는 뜻으로, 기묘사화 당시 훈구파사림파를 몰아내기 위해 사용한 문구이다.

중종이 근심과 두려움으로 불안해 하자, 남곤이 이 기회를 이용하여 위태로운 말로 상을 움직이고자 하였다. 남곤은 몰래 대궐의 나뭇잎에 꿀물로 ‘주초위왕(走肖爲王)’이라는 네 글자를 써서 산 속의 곤충이 꿀물을 따라 파먹어 글자를 만들게 하였다.

홍경주가 찬성으로 있다가 탄핵을 받은 일로 조광조 등을 원망하는 것을 알고, 홍경주의 딸 희빈을 종용하여, ‘조정의 권세와 백성들의 마음이 모두 조광조에게로 돌아갔다.’는 등의 말을 밤낮으로 중종에게 흘러들어가게 하였다.

정국공신들의 위훈을 삭제해야 한다는 논의가 일어나자 여러 훈신들이 떠들썩하며 크게 두려워하였는데, 남곤이 뭇사람들의 원망을 이용하여 마침내 홍경주 및 심정 등과 함께 밤중에 신무문을 통해 들어와 왕에게 변을 고하였다. (《국조보감》 제20권 중종조 3, 14년(기묘, 1519년))

5. 기타

희빈 홍씨는 여러 드라마에서 다뤄졌다. 1996년 KBS 2TV 드라마 《조광조》에서는 배우 이재은이, 2001년 SBS 드라마 《여인천하》에서는 배우 김민희가 희빈 홍씨 역을 맡았다.

5. 1. 등장 작품

참조

[1] 실록 명종실록 2권, 명종 즉위년(1545년 명 가정(嘉靖) 24년) 9월 15일 (을해)
[2] 실록 명종실록 2권, 명종 즉위년(1545년 명 가정(嘉靖) 24년) 9월 21일 (신사)
[3] 묘지명 희빈홍씨묘지명
[4] 실록 명종실록 6권, 명종 2년(1547년 명 가정(嘉靖) 26년) 윤9월 16일 (갑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