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이스 드 카몽이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스 드 카몽이스는 16세기 포르투갈의 시인으로, 포르투갈 문학의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리스본에서 태어났으며,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지에서 군 복무를 하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카몽이스는 서정시, 서사시, 희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포르투갈의 해양 팽창을 다룬 서사시 《우스 루지아다스》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포르투갈뿐만 아니라 유럽 여러 나라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널리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파 생존자 - 스티븐 크레인
    스티븐 크레인은 1871년에 태어나 1900년에 사망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전쟁, 인간 심리, 사회 부조리 등을 다룬 자연주의, 리얼리즘, 인상주의 혼합의 독창적인 문학 스타일을 선보였다.
  • 포르투갈의 장애인 - 안토니우 에가스 모니스
    안토니우 에가스 모니스는 뇌혈관조영술 개발과 로보토미 도입으로 정신 질환 치료에 기여한 포르투갈의 신경학자이자 정치인이지만, 로보토미의 윤리적 문제로 현대 신경윤리학에서 논쟁적인 인물이다.
  • 포르투갈의 장애인 - 아폰수 6세
    아폰수 6세는 포르투갈의 왕으로 주앙 4세의 아들이며 1656년부터 1683년까지 재위했지만, 질병으로 인한 어려움, 모후의 섭정,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 외교적 어려움, 왕비와의 불화, 그리고 동생의 쿠데타로 폐위되어 유배 후 사망했다.
  • 포르투갈의 시인 - 알메이다 가헤트
    알메이다 가헤트는 포르투갈의 작가이자 극작가, 정치인으로, 낭만주의 문학을 포르투갈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시와 역사극 등의 작품을 남기고 자유주의 혁명 참여 및 망명 생활, 극장 창설 주도, 외무부 장관 역임 등의 활동을 펼쳤다.
  • 포르투갈의 시인 - 페르난두 페소아
    페르난두 페소아는 포르투갈의 시인이자 작가, 번역가, 문학 평론가로서, '이명'이라는 독특한 개념을 통해 다채로운 문학 세계를 구축하고 《메시지》, 《불안의 서》 등의 작품을 남기며 포르투갈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루이스 드 카몽이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페르낭 고메스의 카몽이스 초상화
페르낭 고메스가 그린 년경 초상화
본명루이스 바스 드 카몽이스
출생
출생지포르투갈 왕국
사망1580년 6월 10일 (55–56세)
사망지포르투갈 왕국 리스본
직업시인
모교코임브라 대학교
활동 기간포르투갈 르네상스
장르서사시
사조고전주의
대표 작품우스 루시아다스
친척카몽이스 가문
개인 정보

2. 생애

루이스 드 카몽이스는 리스본에서 태어났지만, 학업을 위해 1542년까지 코임브라에서 지냈다. 동 조앙 3세의 궁정에서 일하던 중, 1547년 북아프리카세우타에서 무어인과의 전투 중 오른쪽 을 잃었다.[19] 귀국 후 1552년 궁정 청년에게 상해를 입혀 체포되었으나, 이듬해 석방되어 인도로 갔다. 투옥 기간 동안 서사시 <우스 루지아다스>(1572) 제1편을 썼다. 고아에서 여러 전투에 참가했고, 1558년 마카오에서 부재자와 사망자의 재산관리인으로 근무하며 <우스 루지아다스> 6편을 완성했다.

1556년 익명의 그림, 고아 감옥에 있는 카몽이스


1817년 드센의 판화, 마카오 동굴에 있는 카몽이스


직무 태만으로 구속되어 고아로 호송되던 중, 메콩강 하류에서 조난을 당했지만, <우스 루지아다스> 초고를 한 손에 쥔 채 헤엄쳐 나왔다고 한다. 고아에서 다시 체포되었다가 1567년 고국으로 출발하여 1569년 리스본에 도착했다.[23]

1553년 3월, 테주 강을 출발하여 바스쿠 다 가마가 항해했던 지역을 지나 희망봉에서 폭풍을 만나 표류하다 1554년 고아에 상륙했다. 이후 여러 전투에 참전했고, 홍해에서 무어인과 싸우기도 했지만, 적을 찾지 못하고 페르시아 만의 오르무즈에서 겨울을 보냈다.[20]

오스 루지아다스를 쓰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으로 추정된다. 1556년 고아로 돌아와 D. 프란시스쿠 바레투를 위해 "''필로데모의 자치극''"을 작곡했다. 초기 전기 작가들은 카몽이스와 통치자의 관계에 대해 의견이 다르지만, 카몽이스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풍자가 발표되기도 했다. 카몽이스는 빚 때문에 체포되었을 가능성도 있으며, 1561년까지 감옥에 갇혀 있었을 수도 있다. D. 프란시스쿠 쿠티뉴가 인도의 총독으로 취임하면서 석방되었고, 1562년 마카오의 감독관으로 임명되어 1563년부터 1564년 또는 1565년까지 근무했다. 당시 마카오는 아직 형성 중인 무역 기지였다.[21][22] 그는 그곳의 동굴에서 오스 루지아다스의 일부를 썼다고 전해지며, 그 동굴은 나중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

고아로 돌아오는 길에 메콩 강 어귀 근처에서 난파되었고, 자신과 오스 루지아다스 원고만 간신히 구출했다. 이 사건은 카몽이스 서정시의 "중추"라고 불리는 ''레돈디야'' "''Sobre os rios que vão''"에 영감을 주었다. 구조되기까지 몇 달이 걸렸으며, 말라카로 이송되어 횡령 혐의로 다시 체포되었다. 고아로 돌아온 정확한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얼마 동안 감옥에 갇혀 있었을 것이다. 디오고 도 쿠투는 난파에서 카몽이스가 사랑에 빠졌던 중국 소녀 디나메네가 죽었다고 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이 이야기를 부인한다.[23] 다음 부왕인 D. 안탕 드 노로냐는 카몽이스의 오랜 친구였으며, 일부 전기 작가들은 그가 차울의 무역 기지에서 직책을 약속받았지만 맡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의 동방에서의 일상생활은 파악하기 어렵지만, 검소하게 살았고 친구들과 집을 공유했을 가능성이 높다.[24]

1567년 12월, 페드루 바레토의 배를 타고 모잠비크 섬의 소팔라로 향했다. 바레토는 그곳의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카몽이스는 리스본으로 가는 배를 기다릴 예정이었다. 초기 전기 작가들은 페드루 바레토가 카몽이스에게 거짓 약속을 하고 배신했다고 전하며, 2년 후 디오고 도 쿠투가 그를 불안정한 상태로 발견했다고 한다.[27][28]

쿠투는 카몽이스가 너무 가난해서 친구들에게 의존해 식량을 얻어야 했고, 왕국으로 가는 배에 오르면서 필요한 옷을 챙겨주고 먹을 것을 주었다고 기록했다. 또한 카몽이스가 모잠비크에 있는 동안 『우스 루시아다스』의 인쇄를 막 끝냈고,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파르나소스』라는 책을 쓰고 있었는데, 도난당했다고 전했다.[29][30]

카몽이스는 바레토에게 묶여 출항이 금지되었으나, 친구들이 돈을 모아 풀려났고,[31] 1570년 4월 7일 캐랙 ''산타 클라라''호를 타고 카스카이스에 도착했다.[27][28]

제루니무스 수도원에 있는 시인의 무덤


모험 끝에 『우스 루지아다스』를 완성하여 세바스티앙에게 바쳤다. 왕은 1572년에 작품을 출판하도록 명령했고, "나의 가문의 고귀한 기사 루이스 드 카몽이스"에게 연금을 지급했다. 연금액은 연간 15000레알을 넘지 않았는데, 당시 참전 용사에게는 충분하고 명예로운 액수로 여겨졌다. 그러나 연금은 불규칙하게 지급되어 시인은 물질적인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32][33]

카몽이스는 산타 아나 수도원 근처의 집에서 방 하나를 빌려 마지막 생을 보냈다. 그는 "덮을 천 조각 하나 없이" 가난 속에서 살았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공식 문서에 따르면 어느 정도의 생계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알카세르 키비르 전투에서 포르투갈이 패배하고 세바스티앙이 실종되자, 포르투갈이 스페인 왕실에 독립을 잃은 것에 대해 비통해했다. 그는 선페스트에 걸려 병원으로 옮겨졌고 1580년 6월 10일에 사망했으며, 산타 아나 수도원의 얕은 무덤이나 병원의 가난한 자들의 묘지에 묻혔다.[34][35] 토르 두 톰보에서 발견된 영수증은 시인의 사망일을 기록하고 있지만,[5] D. 곤살루 쿠티뉴가 쓴 묘비명에는 1579년으로 잘못 기록되어 있다.[36] 1755년 리스본 지진 이후 카몽이스의 유해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했다. 제루니무스 수도원의 무덤에 1880년에 안치된 유해는 다른 사람의 것일 가능성이 있다.[37]

2. 1. 출생과 유년 시절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전기는 불확실한 부분이 많으며, 유명 인물에게 흔히 형성되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섞여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행적을 보여주는 몇몇 기록된 날짜만이 남아있다.[2]

카몽이스 가문은 갈리시아 왕국 출신으로, 아버지 쪽 조상인 바스코 피레스 드 카몽이스는 1370년 포르투갈로 이주하여 왕으로부터 큰 혜택을 받은 귀족이자 전사였다.[3][4] 그의 아들 안탕 바즈 드 카몽이스는 바스코 다 가마의 친척과 결혼했고, 이 결혼으로 시망 바즈 드 카몽이스와 사제가 된 벤투스가 태어났다. 시망은 귀족 가문 출신인 도나 아나 드 사 이 마세두와 결혼했으며, 그녀의 유일한 아들 루이스 바즈 드 카몽이스가 1524년 리스본에서 태어났다고 제인, 페르난데스 등이 주장했다. 3년 후, 도시는 역병의 위협을 받았고, 가족은 코임브라로 이주했다.[3][5] 코임브라, 산타렝, 알렝케르 등 다른 도시들도 그의 출생지로 주장되지만, 가장 최근의 학문은 그의 출생 장소와 날짜를 불확실하게 간주한다.[5][12]

카몽이스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열두 살 무렵, 삼촌 벤투스의 보호와 교육을 받았으며, 벤투스는 그를 코임브라로 보냈다. 전통에 따르면 그는 규율 없는 학생이었지만 지식에 대한 열망이 강했고 역사, 지리학, 고전 및 현대 문학에 관심이 많았다. 그의 이름은 코임브라 대학교 기록에는 없지만, 그의 정교한 문체와 작품에 나타나는 풍부한 인용구를 통해 탄탄한 교육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삼촌이 그를 가르쳤거나, 수도원 대학에서 공부했을 가능성이 있다. 약 20세 무렵, 학업을 마치기 전에 리스본으로 이주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의 집안은 가난했지만 귀족이었기에 포르투갈의 주앙 3세의 궁정에 들어가 시인으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12][13][14]

20세기 초 묘사된 카몽이스

2. 2. 군 복무와 해외 경험

루이스는 리스본에서 태어났으나 학업 때문에 1542년까지 코임브라에 있었다고 전해진다. 동 조앙 3세의 궁정에서 일을 보았는데 1547년 북아프리카세우타에서 벌어진 무어인들과의 전투에서 오른쪽 을 잃었다.[19] 그 후 고국에 돌아갔는데 1552년 궁정의 한 청년에게 상처를 입혀 체포되었다. 그 이듬해 석방되어 인도에 건너갔다. 그런데 이 투옥 중에 서사시 <우스 루지아다스>(1572) 제1편을 썼다. 고아에서는 각지의 전투에 참가했으며 1558년에 마카오에서 부재자와 사망자의 재산관리인이 되었으며 여기에서 다시 <우스 루지아다스>를 6편으로 완성시켰다. 그러나 직무 태만으로 구속되어 고아에 호송되던 도중, 메콩강(江) 하류에서 조난당했다. 이 때에 <우스 루지아다스>의 초고를 한 손에 쥔 채로 거센 물결을 헤엄쳐 나왔다고 한다. 고아에서는 다시 체포되었으나 1567년 고국을 향해 출발하여 리스본에 도착한 것은 1569년이었다.[23]

그는 페르나웅 알바레스 카브랄의 함대에 속한 캐러크선 상 벤투호를 타고 1553년 3월 24일 테주 강을 출발했다. 항해 중 그는 바스쿠 다 가마가 항해했던 지역을 지나 희망봉에서 폭풍을 만나 함대의 다른 세 척의 배를 잃었고, 1554년 고아에 상륙했다. 그는 곧 부왕 D. 아폰수 드 노로냐의 군대에 입대하여 쳄베(또는 "다 피멘타") 왕에 대항하는 원정에 참전했다.[19] 1555년, 노로냐의 후임 D. 페드루 마스카레냐스는 마누엘 드 바스콘셀로스에게 홍해에서 무어인과 싸울 것을 명령했다. 카몽이스는 그를 따랐지만, 함대는 적을 찾지 못하고 페르시아 만의 오르무즈에서 겨울을 보냈다.[20]

아마 이때쯤 그는 이미 오스 루지아다스를 쓰기 시작했을 것이다. 1556년 고아로 돌아온 그는 D. 프란시스쿠 바레투를 만나 그를 위해 "''필로데모의 자치극''"을 작곡했는데, 이는 바레투가 카몽이스를 호의적으로 바라보았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초기 전기 작가들은 카몽이스와 그 통치자의 관계에 대해 의견이 다르다. 동시에, 카몽이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부도덕과 부패의 만연을 비판하는 익명의 풍자도 발표되었다. 풍자는 마누엘 왕의 칙령에 의해 비난받았기 때문에, 카몽이스는 그 일로 체포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카몽이스가 실제로 체포된 것은 그가 진 빚 때문이라는 가설도 제기되었다. 그는 1561년까지 감옥에 갇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 전에 추가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을 수도 있다. 어쨌든, D. 프란시스쿠 쿠티뉴가 인도의 총독으로 취임했을 때, 카몽이스는 석방되어 그 사람의 고용과 보호를 받게 되었다. 그는 1562년 마카오의 죽은 자와 실종자의 감독관으로 임명되었고, 1563년부터 1564년 또는 1565년까지 실제로 근무했다. 당시 마카오는 아직 형성 중이고 거의 무인 상태인 무역 기지였다.[21][22] 전통에 따르면 그는 그곳의 동굴에서 오스 루지아다스의 일부를 썼으며, 그 동굴은 나중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

고아로 돌아오는 길에 그는 전통에 따르면 메콩 강 어귀 근처에서 난파되었고, 자신과 오스 루지아다스 원고만을 간신히 구출했는데, 이 사건은 안토니우 세르지우가 카몽이스 서정시의 "중추"라고 여기는 유명한 ''레돈디야'' "''Sobre os rios que vão''"에 영감을 주었고, 이는 비평 문헌에서 반복적으로 인용된다. 난파의 트라우마는 레알 드 마토스의 말처럼 오스 루지아다스의 주제를 재정의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이미 이 작품을 집필하는 과정을 부분적으로 함께했던 시인의 친구인 디오구 두 쿠투가 이미 언급했듯이 칸투 VII부터 눈에 띄게 나타난다.

그의 구조는 몇 달이 걸렸고,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기록은 없지만, 그는 말라카로 이송되어 그에게 맡겨진 죽은 자의 재산을 횡령한 혐의로 새로운 체포 영장을 받았다. 고아로 돌아온 정확한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는 그곳에서 얼마 동안 감옥에 갇혀 있었을 것이다. 쿠투는 난파에서 카몽이스가 사랑에 빠졌던 중국 소녀 디나메네가 죽었다고 말했지만, 리베이루와 다른 사람들은 그 이야기를 부인한다.[23] 다음 부왕인 D. 안탕 드 노로냐는 카몽이스의 오랜 친구였으며, 그의 모로코 모험에서 처음 만났다. 일부 전기 작가들은 그가 차울의 무역 기지에서 직책을 약속받았지만 그 직책을 맡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세베림 드 파리아는 고아에서 보낸 마지막 몇 년은 시와 군사 활동으로 채워졌으며, 그는 항상 용기, 준비성, 그리고 왕실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었다고 말했다.[24]

군인으로서의 신분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것을 넘어, 동방에서의 그의 일상생활이 어떠했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그는 항상 검소하게 살았고, 친구들과 집을 공유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고향 출신 사람들이 어울리는 것이 관례였던 그런 공동 주택 중 하나에서" 살았다고 라말류가 지적한다. 이들 친구 중 일부는 어느 정도의 교양을 갖추었을 것이고, 훌륭한 동반 관계를 제공했을 것이다.

2. 3. 귀국과 말년

Luís Vaz de Camõespt는 1567년 12월 페드루 바레토의 배를 타고 모잠비크 섬의 소팔라로 향했다. 바레토는 그곳의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카몽이스는 훗날 리스본으로 가는 수송선을 기다릴 예정이었다. 초기 전기 작가들은 페드루 바레토가 카몽이스에게 거짓 약속을 하고 배신했다고 전하며, 2년 후 디오고 도 쿠투가 그를 불안정한 상태로 발견했다고 한다.[27][28]

::"모잠비크에서 우리는 당대의 시인인 나의 동료이자 친구 루이스 드 카몽이스를 만났는데, 그는 너무 가난해서 친구들에게 의존해 식량을 얻어야 했다. 왕국으로 가는 배에 오르면서 우리는 그에게 필요한 모든 옷을 챙겨주었고, 그에게 먹을 것을 주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 그리고 그가 모잠비크에 있었던 그 겨울, 그는 『우스 루시아다스』의 인쇄를 막 끝냈고,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파르나소스』라는 책을 다른 책에 많이 쓰고 있었는데, 이는 매우 박식하고, 교리적이며, 철학적인 책이었지만, 그에게서 도난당했다."[29][30]

쿠투와 함께 출항하려던 카몽이스는 바레토가 시인에게 사용한 돈을 변제하라며 200크루자두를 묶어두어 출항이 금지되었다. 그러나 그의 친구들이 그 금액을 모아 카몽이스는 풀려났고,[31] 1570년 4월 7일 캐랙 ''산타 클라라''호를 타고 카스카이스에 도착했다.[27][28]

수많은 모험 끝에 그는 마침내 『우스 루지아다스』를 완성하여 세바스티앙에게 낭송하여 바쳤다. 당시 십 대였던 왕은 1572년에 이 작품을 출판하도록 명령했고, "나의 가문의 고귀한 기사 루이스 드 카몽이스"에게 인도에서 헌신한 공로에 대한 대가로 약간의 연금을 지급했다. 연금액은 연간 15,000레알을 넘지 않았는데, 왕실의 시녀들이 약 10,000 레알을 받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낭비적인 수준은 아니었다. 참전 용사에게는 당시 그 액수가 충분하고 명예로운 것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그러나 연금은 3년 동안만 지급되었고, 수여가 갱신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불규칙하게 지급되어 시인은 물질적인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32][33]

카몽이스는 산타 아나 수도원 근처의 집에서 방 하나를 빌려 마지막 생을 보냈다. 전통에 따르면 그는 "덮을 천 조각 하나 없이" 가장 비참한 가난 속에서 살았다고 한다. 르 장티유는 이 견해를 낭만적인 과장으로 보았는데, 그가 동쪽에서 데려온 자우라는 노예를 여전히 거느리고 있었고, 공식 문서에 따르면 그는 어느 정도의 생계 수단을 가지고 있었다. 알카세르 키비르 전투에서 포르투갈이 패배하여 세바스티앙이 실종되고, 포르투갈이 스페인 왕실에 독립을 잃은 것에 대해 비통해했다. 그는 르 장티유에 따르면 선페스트에 걸렸다. 그는 병원으로 옮겨졌고 1580년 6월 10일에 사망했으며, 파리아 이 소자에 따르면 산타 아나 수도원의 얕은 무덤이나 테오필루 브라가에 따르면 같은 병원의 가난한 자들의 묘지에 묻혔다.[34][35] 그를 생존한 그의 어머니는 그의 연금을 상속으로 받기 시작했다. 토르 두 톰보, 즉 포르투갈 국립 기록 보관소에서 발견된 영수증은 시인의 사망일을 기록하고 있지만,[5] D. 곤살루 쿠티뉴가 쓴 묘비명에는 그의 사망 시기를 1579년으로 잘못 기록하고 있다.[36] 1755년 리스본 지진으로 리스본의 대부분이 파괴된 후, 카몽이스의 유해를 찾으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했다. 제루니무스 수도원의 무덤에 1880년에 안치된 유해는 아마도 다른 사람의 것일 것이다.[37]

3. 작품

카몽이스는 서정시희곡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지만, 그중에서도 1550년부터 집필하여 1571년에 발표하고 1572년에 개정한 서사시 우스 루지아다스가 가장 유명하다. 이 작품에서 그는 바스쿠 다 가마인도 항로 개척을 칭송하고, 대항해시대에 번영했던 포르투갈 황금시대의 항해자들을 노래했다.[117]

카몽이스의 서정시소네트, 대화체의 목가, 비가, 6연시, 단시 등 다양한 형태로 복잡하고 섬세한 감정을 표현했으며, 특히 소네트가 뛰어났다. 그의 사후인 1595년에 출판된 <시집>에는 다양한 서정시들이 수록되어 있다.

희극으로는 〈셀레우코스 왕〉, 〈필로데모의 자서전〉, 〈안피트리옹스〉가 있으며, 모두 1587년에 출판되었다.

3. 1. 우스 루지아다스 (Os Lusíadas)

카몽이스가 불후의 이름을 남기게 된 작품은 우스 루지아다스이다. 이 제목은 이베리아반도 서쪽에 살았던 주신(酒神) 바쿠스의 아들 루조의 자손, 즉 루지다니아 사람( 포르투갈 사람)을 뜻한다.[118] 인도 항로 발견과 바스쿠 다 가마의 첫 번째 원정을 중심으로, 포르투갈역사신화를 엮어 영웅적 위업을 찬양하는 애국적인 대서사시이다.[118] 왕년의 대국 포르투갈의 위대함과 작가의 애국심이 작품 전체에 넘쳐흐르며, 11음절의 8연시(聯詩) 10편, 총 1102절(節)로 구성되어 포르투갈 국민의 성경과 같은 정신성을 갖는 문학이다.

1550년부터 집필하여 1571년에 발표하고 1572년에 개정한 서사시 『우스 루지아다스』는 카몽이스의 대표작이다. 이 작품에서 카몽이스는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항로 개척을 칭송하고, 대항해 시대에 번영했던 포르투갈 황금시대의 항해자들을 격조 높게 노래했다.[117]

  • 1572년 - Os Lusíadas (전체 텍스트) (포르투갈어 현재 버전 | 1572년 포르투갈어 버전)[117]
  • 루이스 드 카몽이스/고바야시 히데오, 이케가미 미네오, 오카무라 타키코 역, 『우스 루지아다스 루시타니아의 사람들』, 이와나미 서점, 1978년 10월.
  • 루이스 드 카몽이스/이케가미 미네오 역, 『우스 루지아다스 루스의 노래』, 하쿠스이샤, 2000년 12월.
  • 1572년 - 《도나 이네스의 죽음》(《

3. 2. 서정시

카몽이스의 서정시는 발표와 동시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칸초네와 비가에서 뛰어난 기교를 보였으며, ''레돈디야'' 역시 이에 못지않았다. 그는 ''레돈디야'' 형식의 대가였으며, 주석 예술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었다. 궁정 시를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렸으며, 기쁨과 휴식을 완벽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39]

그의 시 세계는 군인과 항해사로서의 경험을 통해 더욱 풍요로워졌다. 궁정 시의 형식적 제약, 망명의 고뇌, 고국에 대한 갈망으로부터 자유로워졌고, 이는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최고의 시들은 표현된 고통의 진정성과 그 표현의 정직함에서 빛을 발하며, 이것이 그의 시를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린 주요 이유 중 하나이다.[39]

그는 라틴어스페인어를 구사했으며, 그리스-로마 신화, 고대 및 현대 유럽 역사, 포르투갈 연대기 작가 및 고전 문학에 대한 탄탄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호메로스베르길리우스에게서 다양한 구조적, 양식적 요소를 차용했으며, 때로는 거의 문자 그대로 필사하기도 했다.[69][70]

카몽이스의 스타일은 매너리즘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르네상스 고전주의의 균형, 조화 등의 교리에 동의하지 않는 여러 언어 자원과 주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우스 루지아다스》 전체에서 정치적, 정신적 위기의 징후가 나타나며, 제국의 쇠퇴와 포르투갈인의 특징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드러난다. 대비, 감정적 발화, 갈등, 역설, 종교적 선전, 복잡한 수사법, 그로테스크한 것에 대한 취향은 매너리즘의 전형적인 특징이며, 카몽이스의 작품에서 흔히 나타난다.[66][68][71][72]

그의 작품은 형식적인 르네상스 및 고전주의 모델과 함께 빌란세테, 칸티가 및 트로바의 중세 장르를 포함한다. 그의 시의 모순적인 성격은 이상주의와 실제 경험이라는 두 가지 상반된 전제 사이의 대조에서 발견된다.[73]

1595년에 출판된 그의 주요 서정시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
사랑은 보이지 않게 타오르는 불이다
나는 사랑을 매우 달콤하게 노래하리라
푸르른 들판이여
영원한 그리움이여, 나에게 무엇을 원하느냐?
흐르는 강가에서
사랑하는 자는 사랑받는 존재로 변한다
시간이 변하고, 욕망도 변한다
사랑이 거짓되거나 속이는 것이라고 말하는 자는
야곱은 일곱 해 동안 양치기로 일했다
나의 친절한 영혼이여, 너는 떠났네


3. 3. 희곡

카몽이스는 민족주의와 고전적 영감을 결합한 희곡을 집필했다. 희곡 분야에서 그의 작품은 세 편으로 제한되며, 모두 희극이다. 《엘-레이 셀레우코》, 《필로데모》, 《안피트리옹스》가 그것이다. 그러나 《엘-레이 셀레우코》가 카몽이스의 작품이라는 점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91]

《엘-레이 셀레우코》는 1654년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크라에스베크 판의 《Rimas》 제1부에 출판되었으나, 기원에 대한 정보는 없고 텍스트 편집에 거의 신경을 쓰지 않았다. 이 희곡은 1막으로 짧고, 산문 서문이 있으며, 사랑을 덜 심오하고 덜 박식하게 다룬다는 점에서 다른 두 작품과 다르다. 안티오코스, 셀레우코스 1세의 아들이 계모 에스트라토니체 여왕에게 품은 열정은 플루타르코스가 전하고 페트라르카와 스페인 대중 작곡가가 반복한 역사적 사실에서 가져왔으며, 질 비센트의 스타일로 작업했다.[91][92]

1587년에 출판된 《안피트리옹스》는 플라우투스의 암피트리온을 각색한 것이다. 암피트리온 신화의 희극적 성격을 강조하며, 불멸의 존재조차 굴복시키는 사랑의 전능함을 강조하고, 비센트적 전통을 따른다. 이 작품은 '레돈딜라스'로 쓰였고 이중 언어를 사용한다. 노예 소시아의 대사에서는 카스티야어를 사용하여 그로테스크함을 드러내는데, 이는 다른 작품에서도 나타나는 특징이다. 인도에서 작곡되었고, 부왕 D. 프란시스쿠 바헤투에게 헌정된 《필로데모》는 5막의 도덕 희극으로, 묘사하는 인간 경험의 다양성과 심리적 관찰의 날카로움으로 인해 비평가들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았다. 하인 필로데모가 섬기는 집의 귀족 딸 디오니사에 대한 사랑이 주제이며, 자전적 특징이 있다.[39][93]

카몽이스는 희극을 부차적인 장르로 간주했고, 상황에 따른 오락으로서만 관심을 가졌다. 하지만 등장인물의 유쾌함을 살리고 플롯을 정교하게 다듬어 상당한 결과를 얻었으며, 포르투갈 희극 갱신의 길을 제시했다. 그러나 그의 제안은 계승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9]

카몽이스의 희곡은 다음과 같다.

  • 1587년 - 셀레우코스 왕
  • 1587년 - 필로데모의 자서전
  • 1587년 - 앙피트리옹

4. 카몽이스와 한국

루이스 드 카몽이스( Luís Vaz de Camõespt)와 한국에 대한 직접적인 연관성은 현재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참조

[1] 문서 English Bards and Scotch Reviewers
[2] 서적 Sonetos de Camões ("Biografia") https://books.google[...] Atelie Editorial
[3] 서적 Vasco Da Gama and His Successors 1460 to 1580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04-04-00
[4] 서적 Os Lusiadas: nova edição segundo a do Morgado Matteus, com as notas e vida do autor pelo mesmo, corrigida segunda as edicoes de Hamburgo e de Lisboa, e enrequecida de novas notas e d'uma prefação pel C.L. de Moura https://books.google[...] Didot
[5] 서적 Memoria das medalhas e condecorações portuguezas e das estrangeiras com relação a Portugal https://books.google[...] Typ. da mesma academia 1861-00-00
[6] 서적 Obras de Luis de Camões, Tomo I ("Breve Noticia da Vida de Luis de Camões") Officina Luisiana 1779-00-00
[7] 서적 Obras Completas de Luis de Camões, Vol. I. ("Vida de Luis de Camões") Officina typographica de Langhoff 1834-00-00
[8] 서적 Lives of the Most Eminent Literary and Scientific Men of Italy, Spain, and Portugal, Vol. III. Longman, Rees,Orme, Brown, Green & Longman 1837-00-00
[9] 서적 História da Literatura Portuguesa (Porto Editora, 6ª edição) 3ª Época: O Renascimento, Capítulo IX: Luís de Camões
[10] 서적 Archivo pittoresco, Volume 10. https://books.google[...] Tip. de Castro Irmão. 1867-00-00
[11] 서적 Camões e os Lusiadas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2009-09-21
[12] 서적 Os Lusíadas – Antologia https://books.google[...] Atelie Editorial
[13] 서적 Sonetos de Camões https://books.google[...] Atelie Editorial
[14]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1995-00-00
[15] 서적 Sonetos de Camões https://books.google[...] Atelie Editorial
[16] 서적 Os Lusiadas: nova edicao segundo a do Morgado Matteus, com as notas e vida do autor pelo mesmo, corrigida segunda as edicoes de Hamburgo e de Lisboa, e enrequecida de novas notas e d'uma prefaçao pel C.L. de Moura https://books.google[...] Didot
[17]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18]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19] 서적 Camões nas partes da China http://www.uefs.br/n[...] Revista Labirintos 2008-00-00
[20] 서적 História de Goa: História política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1] 서적 Camões nas partes da China http://www.uefs.br/n[...] Revista Labirintos 2008-00-00
[22]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23] 서적 Camões nas partes da China http://www.uefs.br/n[...] Revista Labirintos 2008-00-00
[24]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25] 서적 Camões nas partes da China http://www.uefs.br/n[...] Revista Labirintos 2008-00-00
[26] 서적 Camões nas partes da China http://www.uefs.br/n[...] Revista Labirintos 2008-00-00
[27] 서적 Os Lusiadas: nova edição segundo a do Morgado Matteus, com as notas e vida do autor pelo mesmo, corrigida segunda as edicoes de Hamburgo e de Lisboa, e enrequecida de novas notas e d'uma prefação pel C.L. de Moura https://books.google[...] Didot
[28]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29] 웹사이트 Biografia: Camões http://www.sociedade[...] Sociedade Digital
[30] 서적 "Era uma vez... Portugal: Diogo do Couto – Um cronista do oriente" RDP-Internacional / Sociedade Histórica da Independência de Portugal
[31] 서적 Os Lusiadas: "Por este vil preço, diz energicamente Manoel de Faria, foi vendida a pessoa de Camões, e a honra de Pedro Barreto." Didot 1819-00-00
[32] 서적 Zé Ferino https://books.google[...] Atelie Editorial 1999-00-00
[33]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34] 서적 Os Lusiadas: nova edição segundo a do Morgado Matteus, com as notas e vida do autor pelo mesmo, corrigida segunda as edicoes de Hamburgo e de Lisboa, e enrequecida de novas notas e d'uma prefação pel C.L. de Moura https://books.google[...] Didot
[35]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36] 서적 Os Lusiadas: nova edição segundo a do Morgado Matteus, com as notas e vida do autor pelo mesmo, corrigida segunda as edicoes de Hamburgo e de Lisboa, e enrequecida de novas notas e d'uma prefação pel C.L. de Moura https://books.google[...]
[37]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38] 서적 Camões: l'œuvre épique & lyrique https://books.google[...] Editions Chandeigne
[39] 웹사이트 Luís de Camõe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3-06-06
[40] 서적 Rimas, Volume 1598, Parte 1. https://books.google[...] UC Biblioteca Geral 1 1953
[41] 학술지 O retrato pintado a vermelho 1989
[42] 서적 Fernão Gomes, Pintor maneirista de bravo talento Revista Oceanos (1):27 1989
[43] 서적 Camões nas partes da China http://www.uefs.br/n[...] Revista Labirintos 2008
[44] 서적 Memoria das medalhas e condecorações portuguezas e das estrangeiras com relação a Portugal https://books.google[...] Typ. da mesma academia
[45] 서적 Bibliographia Camoniana https://books.google[...] BiblioBazaar 2009-05
[46] 웹사이트 Estátua de Camões https://lifecooler.c[...] Lifecooler 2021-02-24
[47] 웹사이트 Guebuza: Official Visit to Portugal https://www.voanews.[...] VOANews
[48] 웹사이트 Cédulas Estrangeiras: África: Angola http://www.dplnumism[...] DPL Numismática
[49] 웹사이트 Selos de Portugal: Álbum A https://www.caleida.[...] Húmus, 2007, s/pp. 2021-02-24
[50] 웹사이트 Escultor escolhe Pessoa e Camões para moeda de 2,5 euros que hoje entra em circulação https://expresso.pt/[...] Expresso 2021-02-24
[51] 학술지 As Traduções de Camões no Século XX 2004
[52] 학술지 Camões, de Leitão de Barros 1986
[53] 학술지 Camões, Luís Vaz de 1904–1915
[54] 웹사이트 José Simões de Almeida Júnior (tio) http://simoesdealmei[...] Dropz Galeria
[55] 학술지 A Arte Portuguesa de Oitocentos 1992
[56] 웹사이트 Artes Plásticas http://www.ctalmada.[...] Festival de Almada 2021-02-24
[57] 웹사이트 Mercury (2008): New Details in Images of Mercury, Tethys, and Dione Require New Names https://www.planetar[...] The Planetary Society 2021-02-24
[58] 웹사이트 5160 Camoes (1979 YO)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Small-Body Database Browser,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NASA 2021-02-24
[59] 웹사이트 Renascimento http://enciclopedia.[...] Enciclopédia Itaú
[60] 웹사이트 Renaissanc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1-02-24
[61] 웹사이트 History of Europ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1-02-24
[62] 웹사이트 Renaissance Literature and Historiography https://etext.lib.vi[...]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Ideas 2021-02-24
[63] 서적 Franco, Afonso Arinos de Melo et alii. O Renascimento: Diretrizes da Filosofia no Renascimento Agir / MNBA 1978
[64] 서적 Sonetos de Camões https://books.google[...] Atelie Editorial
[65] 서적 História Social da Literatura e da Arte, Vol. I. Mestre Jou 1972–1982
[66] 웹사이트 Maneirismo em Camões: Uma Linguagem de Crise http://74.125.155.13[...] Revista Eletrônica de Estudos Literários
[67] 서적 Os Lusíadas – Antologia https://books.google[...] Atelie Editorial
[68] 서적 Profetismo e espiritualidade de Camões a Pascoaes https://books.google[...] Imprensa da Universidade de Coimbra / Coimbra University Press 2007
[69] 서적 Camões, Luís Vaz de. Os Lusíadas: Prefácio http://cvc.instituto[...] Instituto Camões 2021-02-24
[70] 서적 Os Lusíadas – Antologia https://books.google[...] Atelie Editorial
[71] 서적 A literatura portuguesa através dos textos https://books.google[...] Editora Cultrix 2000
[72] 서적 Zé Ferino https://books.google[...] Atelie Editorial 1999
[73] 서적 O Medievalismo em Camões. Os Doze de Inglaterra https://books.google[...] UC Biblioteca Geral 1 1985
[74] 서적 Os Lusíadas de Camões e a Mensagem de Fernando Pessoa https://books.google[...] UC Biblioteca Geral 1 1985
[75] 서적 "Introduction". In: Camoes, Luis Vaz de. The Lusíad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76] 서적 The Lusiads https://burtoniana.o[...] Burtoniana 2021-02-24
[77] 서적 Literaturas de língua portuguesa: marcos e marcas. Portugal https://books.google[...] Arte & Ciência 2007
[78] 웹사이트 Camões e as fórmulas lapidares em Os Lusíadas https://web.archive.[...] Revista Idioma 2021-02-24
[79] 웹사이트 Recursos Narrativos n'Os Lusíadas https://web.archive.[...] Simpósio Internacional de Narratologia. Buenos Aires 2021-02-24
[80] 학술지 "História e Linguagem em Os Lusíadas" https://www.revistas[...] 2000
[8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1-02-24
[82] 서적 Os Lusíadas nas encruzilhadas do tempo. In: Colóquio "O Fascínio da Linguagem" em homenagem a Fernanda Irene Fonseca https://repositorio-[...] Porto University 2007-05-23
[83] 서적 "Um Manuscrito Quinhentista de Os Lusíadas". In: Colóquio de Letras https://web.archive.[...] 2021-02-25
[84] 서적 Os Lusiadas: nova edicao segundo a do Morgado Matteus, com as notas e vida do autor pelo mesmo, corrigida segunda as edicoes de Hamburgo e de Lisboa, e enrequecida de novas notas e d'uma prefaçao pel C.L. de Moura https://books.google[...] Didot 1847
[85] 서적 A literatura portuguesa https://books.google[...] Editora Cultrix 1997
[86] 웹사이트 Camões laureado: Legitimación y uso poético de Camões durante el bilingüismo ibérico en el "período filipino" https://web.archive.[...] Espéculo — Revista de estudios literarios 2021-02-24
[87] 웹사이트 Luís de Camões e Ausias March http://74.125.155.13[...] Península — Revista de Estudos Ibéricos (2003)
[88] 서적 Rimas https://books.google[...] UC Biblioteca Geral 1 1953
[89] 서적 Obras de Luiz de Camões: precedidas de um ensaio biographico no qual se relatam alguns factos não conhecidos da sua vida, augmentadas com algumas composições ineditas do poeta, pelo visconde de Juromenha https://books.google[...] Imprensa nacional 1861
[90] 서적 Rimas https://books.google[...] UC Biblioteca Geral 1 1953
[91] 서적 "El Rei Seleuco, 1645: Reflexões sobre o "corpus" da obra de Camões" In: Península — Revista de Estudos Ibéricos http://74.125.155.13[...] 2005
[92] 서적 História Da Literatura Portuguesa https://books.google[...] Editora da ULBRA 2001
[93] 서적 História Da Literatura Portuguesa https://books.google[...] Editora da ULBRA 2001
[94] 서적 Obras de Luiz de Camões Imprensa nacional 1860
[95] 서적 Livro comemorativo da fundação da cadeira de estudos camonianos Imprensa da Universidade de Lisboa 1927
[96] 서적 The presence of Camões: influences on the literature of England, America, and Southern Africa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1996
[97] 서적 Luís Digno Apolo e Digno Homero: Camões entre belo e sublime, de Torcato Tasso a Leonardo Turricano; paralelismo mítico e recuperação romântica Universidade de Trás-os-Montes e Alto Douro 2009
[98] 서적 Twilight of the Literary: Figures of Thought in the Age of Pri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99] 서적 Os Lusiadas e o Cosmos: ou, Camões considerado por Humboldt como admirável pintor da natureza Imprensa Nacional 1858
[100] 서적 Ensaios camonianos Imprensa da Universidade 1932
[101] 서적 História da Literatura Portuguesa Porto Editora
[102] 서적 "Os Lusíadas – símbolo nacional de duas culturas" in Carmen Mª Comino Fernández de Cañete, Maria da Conceição Vaz Serra Pontes Cabrita y Juan M. Carrasco González (ed.), CRISIS Y RUPTURA PENINSULAR - III Congreso Internacional de la SEEPLU. Universidad de Extremadura 2014
[103] 서적
[104] 웹사이트 Camões laureado: Legitimación y uso poético de Camões durante el bilingüismo ibérico en el período filipino 2009
[105] 서적 Os Lusiadas: Antologia Atelie Editorial 1973
[106] 서적 The Presence of Camões
[107] 간행물 Os Lusíadas na Holanda: a história da recepção entre 1572-1900 2007-06
[108] 웹사이트 The Lusiads http://www.wdl.org/e[...] 1800-1882
[109] 웹사이트 The Laureate of Hard Luck: 'The Collected Lyric Poems of Luís de Camões' - The New York Sun https://web.archive.[...] Nysun.com 2013-10-21
[110] 웹사이트 Camoens: His Life and His Lusiads. A Commentary by Richard Francis Burton http://burtoniana.or[...] Burtoniana.org 2013-10-21
[111] 웹사이트 The place of Camoens in literature : Nabuco, Joaquim, 1849-1910 : Free Download & Streaming :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2013-10-21
[112] 서적 The New Monthly Magazine, 1838 https://play.google.[...] Henry Colburn
[113] 웹사이트 Camões Seamount http://www.marinereg[...]
[114] 웹사이트 Camões Seamount: Undersea Features http://www.geographi[...]
[115] 뉴스 Stage Toronto Star 2006-07-13
[116] 뉴스 Heroes and villains; Puppets, fado bring Portugal's greatest poet back to life Camoes revered around the world Toronto Star 2006-07-22
[117] 웹사이트 The Lusiads http://www.wdl.org/e[...] 1800-1882
[118] 웹인용 The Lusiads http://www.wdl.org/e[...] 1800-18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