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이보스는 슬라브 신화에서 창조신으로 숭배받는 존재이다. 슬라브족은 데이보스를 '가족', '출생', '기원' 등을 의미하는 신으로 여겼으며, 우주의 시작과 빛과 어둠의 분리를 관장하는 존재로 묘사했다. 데이보스 숭배는 슬라브족의 기독교화 이후에도 잔존했으며, 현대 슬라브 신이교주의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 남신 - 페룬
페룬은 슬라브 신화에서 천둥과 번개의 신이자 전사의 수호신으로, 금빛 또는 구릿빛 수염을 가진 모습으로 도끼 몰니야를 들고 다니며 동슬라브족에게 최고신으로 숭배받았고, 기독교 전파 후 엘리야와 결부되어 현대 슬라브 네오페이건교에서도 중요한 신으로 여겨진다. - 슬라브 남신 - 호르스
호르스는 초기 슬라브족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블라디미르 1세의 신상 중 하나로 기록되어 있으며 기원과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창조의 남신 - 이자나기
이자나기는 일본 신화에서 아내 이자나미와 함께 천지창조와 신들을 낳았지만, 이자나미의 죽음 후 요미노쿠니에서 그녀를 되찾으려다 실패하고, 목욕을 통해 아마테라스, 쓰쿠요미, 스사노오를 낳은 뒤 은거한 신으로, 인간의 탄생과 죽음, 일본 신화의 기원을 설명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창조의 남신 - 비슈바카르마
비슈바카르마는 힌두교에서 우주의 건축가이자 신성한 제작자로 묘사되는 신으로, 원래 최고신에 대한 별칭이었으며 창조 도구를 든 모습으로 표현되고, 그의 탄생을 기념하는 비슈바카르마 푸자는 매년 9월에 기념된다.
데이보스 | |
---|---|
개요 | |
유형 | 슬라브 |
역할 | 조상, 운명, 영적 연속성, 가족 연속성의 신 |
문화권 | 동슬라브, 남슬라브 |
신화적 정보 | |
거주지 | 비라이 |
배우자 | 로자니차 |
다른 이름 | 수드 |
다른 문화권의 유사한 신 | |
로마 신화 | 퀴리누스 |
켈트 신화 | 토우타티스 |
데이보스 정보 | |
그룹 | 창조신 |
다른 이름 | 로드, 프라보그 |
신앙 중심지 |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
배우자 | 로자니차 |
자녀 | 체르노보그, 벨로보그 |
지역 | 슬라브 문화권 |
민족 | 슬라브 |
언어별 이름 | |
러시아어 | Род (Rod) |
우크라이나어 | Рід (Rid) |
폴란드어 | Ród |
체코어 | Rod |
슬로바키아어 | Rod |
슬로베니아어 | Rod |
크로아티아어 | Rod |
세르비아어 | Род (Rod) |
불가리아어 | Род (Rod) |
2. 어원
본래 슬라브조어를 사용하던 원시 슬라브인들은 창조신의 이름을 원시 인도유럽 신화의 천공신인 디에우스에서 파생된 신격인 데이보스[1]라 불렀지만, 이후 슬라브족이 동슬라브족, 서슬라브족, 남슬라브족으로 갈라진 후 동·서슬라브족과 남슬라브족은 창조신의 본래 이름인 데이보스 대신 각각 로드와 프라보그라는 호칭을 더 많이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데이보스 대신 로드라는 호칭이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본래 슬라브조어를 사용하던 원시 슬라브인들은 창조신의 이름을 원시 인도유럽 신화의 천공신인 디에우스에서 파생된 신격인 데이보스[1]라 불렀지만, 이후 슬라브족이 동슬라브족, 서슬라브족, 남슬라브족으로 갈라진 후 동·서슬라브족과 남슬라브족은 창조신의 본래 이름인 데이보스 대신 각각 로드와 프라보그라는 호칭을 더 많이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데이보스 대신 로드라는 호칭이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민족학자 할리나 로즈코에 따르면, 로드의 축제는 12월 23일에,[1] 혹은 체코의 역사학자이자 고고학자인 나다 프로판토바에 따르면 12월 26일에 기념되었다.[2] 로드와 로자니치에게는 빵, 꿀, 치즈, 그리고 곡물(쿠티아)의 형태로 피 없는 제물이 바쳐졌다.[3][4] 쿠티아를 먹기 전에, 볼흐브 또는 즈레차의 역할을 맡은 가장은 첫 숟가락을 성스러운 구석으로 던졌다. 이 관습은 오늘날까지 우크라이나에서 존재한다. 그 다음, 사다리꼴 모양의 식탁에서 잔치가 시작되었다. 잔치 후, 그들은 로드와 로자니치에게 "모든 좋은 일이 태어나게 하소서"라고 요청했다.
슬라브 신화에 따르면, 우주는 '거대한 새'가 낳은 황금 알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알은 어둠의 세계인 나비에서 빛의 세계인 프라비로 이끄는 매개체였다. 이 알에서 태어난 세계의 근원이자 우주의 창조자인 데이보스는 어둠의 세계인 크라비와 빛의 세계인 프라비를 분리하였다. 또한 크라비를 구성하는 어둠의 요소인 크리브다와 프라비를 구성하는 빛인 프리브다를 분리했으며, 이후 크리브다의 신인 체르노보그와 프리브다의 신인 벨로보그가 태어나 각각 크라비와 프라비를 다스렸다고 한다.
3. 신화
슬라브 신화에 의하면, 우주는 하나의 '거대한 새'이며 이 거대한 새가 낳은 황금의 알에서 세계가 시작되었다고 한다. 이 황금의 알은 마치 태양처럼 암흑에서 빛나는 존재임과 동시에 어둠의 세계인 나비에서 빛의 세계인 프라비로 이끄는 나비와 프라비 사이의 매개적 요소로 여겨졌다. 이후 이 알 속에서 태어난 세계의 근원이자 우주의 창조자인 데이보스는 눈에 보이지 않는 어둠의 세계인 크라비에서 눈에 보이는 빛의 세계인 프라비를 분리하였으며 크라비를 구성하는 어둠의 요소인 크리브다에서 프라비를 구성하는 빛인 프리브다를 분리해내었다고 한다. 어둠과 빛의 세계가 분리된 다음에는 크리브다의 힘이 구현된 신인 체르노보그와 프리브다의 힘이 구현된 신인 벨로보그가 태어나 각각 크리브다의 세계인 크라비와 프라비의 세계인 프라비를 다스렸다고 한다.
4. 숭배
루스에서는 기독교화 이후에도 로드에게 헌정된 축제가 여전히 행해졌으며, 이는 ''어떤 그리스도 애호가의 말''에 언급되어 있다. 키예프의 성 소피아 대성당이 존재한 초기에 이교도들이 그곳에서 콜리아다를 기념하러 왔는데, 이는 나중에 심하게 처벌받았다. 로드 숭배의 잔재는 19세기까지 살아남았다.
5. 해석
5. 1. 보리스 리바코프
보리스 리바코프가 제시한 개념에 따르면, 로드는 서기 1천 년경 부계 사회 농경 사회 시대에 슬라브족의 최고 신이었다.[1] 이후 더 낮은 위치로 밀려났으며, 이는 블라디미르 대공이 숭배했던 신들의 판테온에서 그의 부재를 설명해 줄 수 있다. 리바코프는 슬라브족이 처음에는 망령에게, 그다음에는 로드와 로자니차에게, 마지막으로 페룬에게 제물을 바쳤다는 ''성 그레고리 신학자의 말씀...''에 의존했는데, 이는 슬라브족의 신념이 애니미즘에서 자연력 숭배를 거쳐 일신교로 진화했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보았다.[2][3] 즈브루치 우상으로 알려진 조각상은 리바코프의 개념에 따르면 로드를 슬라브족의 주요 신으로 묘사한 것이라고 한다.[2]
리바코프는 또한 모든 원과 나선형 기호가 로드의 서로 다른 위격을 나타낸다고 믿었다. 이러한 기호는 "원 안에 새겨진 여섯 잎의 장미" (로제트) (
5. 2. 레오 클레인과 미콜라 주보프
레오 클레인과 미콜라 주보프는 르바코프의 연구 결과를 비판했다. 르바코프는 자신의 저서에서 슬라브족의 최고 신은 로드였고 페룬은 블라디미르에 의해 드루지나의 수호신으로만 도입되었기 때문에 페룬이 바이나흐족에게서 차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는 슬라브 영토 전역에서 페룬의 흔적과 모순된다. 이 연구자들은 텍스트의 원본 출처의 흔적을 확인하고 특정 고대 러시아 텍스트가 만들어진 역사적 맥락으로 복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고대 러시아 저자들이 로드와 로자니치를 묘사할 때, 주로 성경과 잘못 해석된 그리스 신학자들의 저술과 같은 다른 출처에서 차용한 준비된 의미 블록을 사용했다고 믿는다. 비잔틴 제국에서 별자리는 문자 그대로 "로도슬로보"로 번역될 수 있는 "계보"라고 불렸다. 따라서 이 연구자들은 로드와 부모 숭배가 슬라브의 기독교 이전 종교에는 존재하지 않았다고 믿는다. 주보프는 또한 동슬라브 종교에는 신들의 광범위한 계보가 없었고 페룬이 유일한 신이었다고 믿는다.[1]
5. 3. 알렉산데르 기에슈토르
기에슈토르는 로드를 사회 조직의 신으로 여긴다. 그는 벤베니스트에 이어 로드를 로마 신화의 퀴리누스와 비교하는데, 퀴리누스의 이름은 "남편 공동체의 신"으로 번역될 수 있는 *''covir'' 또는 ''쿠리아''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그는 움브리아의 Vofionus와 비교하는데, Vofionus의 이름은 인도유럽어 *''leudho'', 앵글로색슨어 ''leode'' ("사람들"), 슬라브어 *''ludie'' 그리고 폴란드어 ''ludzie''와 유사한 어근을 포함하고 있으며, 켈트 신화의 토우타티스와 비교하는데, 토우타티스의 이름은 "가족"을 의미하는 켈트어 핵심어 *''teuta''에서 파생되었다. 하지만 그는 로드를 힌두 신화의 루드라와 연결하는 것은 거부한다.[1]
그는 다산과 부의 기능을 근거로, 그를 풍요와 다산을 의인화한 벨라루스의 Spor와 동일시한다.[2]
5. 4. 안제이 시제프스키
안제이 시제프스키에 따르면, 로드는 "가족 친족 관계의 생각을 영적 연속성(rodoslovo)의 상징으로 구현한다." 로드는 또한 죽은 자의 영혼을 비라이로 인도한 다음, 흙덩어리로 던져지거나 유럽 밤나방과 흰 앙부에게 맡겨진 형태로 우리 세계로 다시 돌려보낸다고 한다.[1]
5. 5. 표도르 카피차
민속학 연구가 표도르 카피차에 따르면, 로드와 부모에 대한 숭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거의 완전히 잊혀졌다. 로드는 가족의 수호신이자 "집 할아버지", 나중에는 신생아의 수호신이자 조상을 기리는 존재인 유령으로 변모했다. 로드 숭배의 흔적은 주로 일상생활에서 발견되었으며, 러시아 정교회 명절인 망자의 날(성 목요일)과 라도니차(부활절 후 첫 주 화요일) 등에서 볼 수 있는데, 이 기간 동안 망자를 숭배한다.[2]
11세기와 12세기의 키예프 루스 시대에는 로드 숭배가 특히 군주들에게 중요했는데, 그가 씨족의 단결을 수호하는 존재로 여겨졌고, 왕위와 조상의 땅에 대한 권리가 그에게 달려 있었기 때문이다. 다산은 항상 여성성과 연관되었기 때문에 로드 숭배는 전통적으로 여성적이었다. 따라서 여성 사제들이 로드 숭배와 연관되어 그에게 희생을 바치거나 일 년에 여러 번 특별한 잔치를 열었다. 잔치를 위해 빵, 죽, 치즈, 꿀을 준비했고, 신전에 음식을 놓았다. 신들은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게 그곳에 나타난다고 믿었다. 로드는 때때로 사람들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불려졌지만, 로자니치(rozhanitsy)가 이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2]
5. 6. 올레크 쿠타레프
쿠타레프는 로드 숭배와 남슬라브족의 스토판 숭배, 그리고 동슬라브족의 도모보이 숭배 사이에 유사점이 있다고 언급했는데, 이들 모두에게 식사가 제공되었고, 운명을 관리하며, 조상 숭배와 관련되어 있었다는 점이다.[3]
5. 7. 빌료 만시카
이 러시아 및 핀란드 어학 학자는 슬라브어에서 그리스어 용어 "τύχη"(týchi, "행운")가 때때로 ''rod''(운명)로 번역되고 "είμαρμένη"(eímarméni, "운명")가 ''rozhanitsa''로 번역된다고 언급한다.[1]
5. 8. 얀 마할
체코 출신의 슬라브학자는 로드가 남성 조상을, 로자니치들이 여성 조상을 나타내는 신이라고 주장했다.[4]
5. 9. 할리나 로즈코
민족학자 할리나 로즈코에 따르면, 로드의 축제는 12월 23일에 기념되었다.[1] 로드와 로자니치에게는 빵, 꿀, 치즈, 그리고 곡물(쿠티아) 형태로 피 없는 제물이 바쳐졌다.[2][3] 쿠티아를 먹기 전에, 볼흐브 또는 즈레차 역할을 맡은 가장은 첫 숟가락을 성스러운 구석으로 던졌다. 이 관습은 오늘날까지 우크라이나에서 존재한다.[4] 그 다음, 사다리꼴 모양의 식탁에서 잔치가 시작되었다. 잔치 후, 그들은 로드와 로자니치에게 "모든 좋은 일이 태어나게 하소서"라고 요청했다.
할리나 로즈코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인들에게 로드는 신들 위의 신이었다. 그는 생명을 부여하는 자였으며, 하늘에 머물며 구름을 타고 인간에게 운명을 할당하는 존재였다. 로드는 한 조상의 후손을 의인화한 존재였으며, 즉 죽은 조상, 살아있는 사람들, 그리고 태어나지 않은 세대 전체와 연관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로드는 많은 가족들이 소유한 인형 형태인 도모보이(Domovoy)가 되었다. 로드와 로자니치(rozhanitsy)의 이미지는 생명의 나무를 모티브로 한 rushnyk에도 나타났다. 20세기 민족지학적 발견에 따르면, 오두막 문에는 가족 나무의 이미지가 그려져 있었는데, 잎에는 남자가, 이 나무의 꽃에는 여자가 묘사되어 있었다. 누군가가 죽으면 그의 이름 옆에 십자가가 그려졌고, 누군가가 태어나면 새로운 가지, 잎 또는 꽃이 그려졌다.
6. 현대 슬라브 신이교주의
러시아의 볼흐인 벨레슬라프(일리야 체르카소프)와 도브로슬라프는 로드를 "모든 것을 관통하는" "편재하는" 생명력으로 묘사한다. 우주론에서 로드는 신들의 계층 구조로 표현되는 우주적 발산의 근원으로 여겨진다.[1]
참조
[1]
웹사이트
Язычество восточных славян. От древности к современности
https://www.research[...]
2019-08-02
[2]
웹사이트
Славянские традиционные праздники и ритуалы: справочник
http://thelib.ru/boo[...]
2008-01-01
[3]
웹사이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 Рода и Рожаниц в славянской мифологии: интерпретации Б. А. Рыбакова и его предшественников.
https://dajbojic.liv[...]
2013-01-01
[4]
서적
The Mythology of All Races
https://books.google[...]
19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