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고속철도 1000형 전동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요고속철도 1000형 전동차는 1996년 도요고속선 개업에 맞춰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 5000계 전동차 100량을 양도받아 정비 및 개조하여 도입되었다. 도요고속철도 1000형은 10량 편성으로 운용되었으며, 외관 및 내부에 도요고속철도의 독자적인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2004년부터 후속 차량인 2000계가 도입되면서 순차적으로 퇴역하여 2006년 12월 영업 운행이 종료되었다. 퇴역한 차량 중 3개 편성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근교 통근 전철용으로 수출되어 운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요 고속 철도 - 도요 고속 철도 도요 고속선
도요 고속선은 니시후나바시역과 도요카쓰타다이역을 잇는 도요 고속 철도의 노선으로,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과 상호 직통 운행하며 1996년에 개통되었다. - 도요 고속 철도 - 도요고속철도 2000계 전동차
도요고속철도 2000계 전동차는 도요 고속선의 수송력 증강을 위해 2004년부터 2006년까지 11개 편성이 제작되었으며, 도쿄 메트로 05계 전동차를 기반으로 히타치 제작소의 A-train 기술을 적용하여 개발되었다.
도요고속철도 1000형 전동차 | |
---|---|
기본 정보 | |
![]() | |
운행 노선 | 도요 고속 철도 도요 고속선 KRL 코뮤터라인 |
소속 | 도요 고속 철도 KRL 코뮤터라인 |
운행 시기 | 1995–2007 (일본) 2007–2019 (인도네시아) |
제작 회사 | 일본차량제조 가와사키 중공업 기차제조 긴키 차량 제국차량중공업 |
개조 회사 | 메트로 차량 (후카가와 공장・신키바 CR) |
개조 시기 | 1995년 - 1996년 |
폐차 시기 | 2007–2022년 |
보존 대수 | 0량 |
폐차 대수 | 일본: 90량 (9개 편성) 인도네시아: 30량 (3개 편성) |
편성 | 도요 고속 철도: 10량 편성 Kereta Commuter Indonesia: 8/10량 편성 |
차체 재질 | 스테인리스강 |
차량 길이 | 20,000 mm (65 ft 7+1⁄2 in) |
차량 폭 | 2,870 mm (9 ft 5 in) |
최고 속도 | 100 km/h (62 mph) |
가속도 | 3.5 km/h/s |
감속도 | 통상: 4 km/h/s 비상: 5 km/h/s |
구동 방식 | 계자 첨가 여자 제어 |
모터 출력 | 100 kW x 4 (모터카 당) |
궤간 | 1,067 mm |
전기 시스템 | 직류 1,500V 가선 |
기술 정보 | |
종차 | 영단 5000계 전동차 |
편성량수 | 10량 편성 |
궤간 | 1,067 mm (협궤) |
전기 방식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
최고 운전 속도 | 100 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 km/h |
기동 가속도 | 3.5 km/h/s |
상용 감속도 | 4.0 km/h/s |
비상 감속도 | 5.0 km/h/s |
편성 정원 | 1,424명 (좌석 564석) |
차량 정원 | 선두차: 136명 (좌석 50석) 중간차: 144명 (좌석 58석) |
차량 중량 | 30.0 - 38.0t |
편성 중량 | 358.4t |
전체 길이 | 20,000 mm |
전체 폭 | 2,870mm |
전체 높이 | 4,135 mm 팬터그래프 접힘 시: 4,145 mm |
바닥 높이 | 1,150 mm |
차체 | 세미 스테인리스 차량 |
대차 | SU 민덴식 대차 FS-502A형 |
주전동기 | 직류 직권 전동기 |
주전동기 출력 | 100kW |
구동 방식 | WN 구동 방식 |
기어비 | 99:16 (6.19) |
편성 출력 | 3,200kW |
제어 방식 | 계자 첨가 여자 제어 |
제어 장치 | 미쓰비시 전기제 ABFM138-15MRH |
제동 장치 | 회생 제동 병용 전기 지령식 제동 |
보안 장치 | 자동 열차 제어 장치 (WS-ATC) |
기타 | 위 데이터는 철도 팬 1996년 3월호 기사에서 발췌 |
2. 도입 배경 및 목적
1996년 4월 27일 도요고속선 개업에 맞춰 도입된 차량이다.[1] 도요고속철도는 1995년부터 운행 연계 대상인 제도고속도교통영단(현 도쿄 메트로)의 도자이선에서 사용되던 5000계 전동차 10량 10개 편성, 총 100량(모두 세미 스테인리스 차량)을 넘겨받아 정비 및 개조하여 운행에 투입했다.[1] 이 외에도 10량 2개 편성, 총 20량을 추가로 양도받았으나, 계획 변경으로 인해 실제 차량으로 등록되지는 않았다.[1]
당초 계획에서는 신차 도입도 검토되었으나, 중고 차량을 도입하게 된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1]
- 비용 절감: 도요고속선 건설 비용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하여 차량 제작 비용을 줄여야 했다. (도요고속철도#설립의 경위와 노선 건설 참조)
- 차량 확보 용이성: 마침 영단에서 05계를 새로 투입하면서 기존 5000계의 교체를 진행하고 있어 여유 차량이 발생했다.
- 운영 편의성: 도요고속선은 영단 도자이선과 직결 운행하므로, 영단 차량을 사용하면 차량 검사 등을 후카가와 차량기지의 공장에 위탁하는 등 운영상 유리한 점이 많았다.
양도받은 차량은 주로 1993년경 05계 5~7차 차량으로 교체된 5000계 3차 차량 그룹이다.[1] 도요고속선 개업이 예정보다 늦어지면서, 영단에서 여유가 생긴 이 차량들은 한동안 후카가와 검차구, 행도쿠 검차구(현 후카가와 차량기지 행도쿠 분실), 아야세 검차구, 신키바 검차구(현 와코 검차구 신키바 분실) 등 여러 곳에 분산되어 보관되었다.[1]
도요고속선의 정식 개통일은 1996년 4월 27일이었지만, 이보다 앞선 같은 해 3월 16일에 도자이선의 운행 시간표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1000형 전동차는 개통 전에 먼저 도자이선 내 영업 운전에 투입되었다.[1]
3. 개조
1996년 (헤이세이 8년) 4월 도요고속선 개통에 맞춰 도입된 차량이다. 도요 고속철도는 1995년 (헤이세이 7년)부터 운행 연계 대상인 영단(현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에서 운행하던 5000계 전동차 10량 10개 편성, 총 100량(모두 세미 스테인리스 차)을 넘겨받아 정비 및 개조를 거쳐 투입했다. 이 외에 10량 2개 편성, 총 20량도 추가로 양도받았으나, 이후 계획 변경으로 인해 정식 차량으로 등록되지는 않았다.
당초에는 신차 도입도 검토되었으나, 중고 차량을 도입하게 된 배경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다. 우선, 도요고속선 건설 비용이 예상보다 크게 증가하면서 차량 제작 비용을 절감할 필요가 생겼다. 또한, 같은 시기에 영단에서는 05계를 새로 투입하면서 기존 5000계 차량에 여유가 발생했다. 마지막으로, 도자이선과 계속해서 직결 운행을 해야 했기 때문에, 검사 등을 영단 후카가와 공장에 위탁하는 등 영단에서 관리하기에 유리하다는 점도 고려되었다.
양도된 차량은 주로 1993년 (헤이세이 5년)경에 05계 5~7차 차량으로 교체된 5000계 3차 차량들이었다. 도요고속선 개통이 예정보다 늦어지면서, 이 차량들은 영단에서 운행을 마친 후 한동안 후카가와 검차구, 행도쿠 검차구, 아야세 검차구, 신키바 검차구 등지에 분산되어 보관되었다.
도요고속선 정식 개통일은 1996년 4월 27일이었지만, 이보다 앞선 같은 해 3월 16일에 도자이선의 다이어그램 개정이 이루어지면서, 개조를 마친 일부 차량이 먼저 도자이선 내 영업 운행에 투입되기도 했다.
3. 1. 외관
차량을 양도받으면서 도쿄 지하철 도자이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고려하여 도요 고속철도만의 독자성과 현대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는 디자인을 목표로 삼았다.개조 공사는 1995년 4월부터 메트로 차량에서 진행했으며, 개조 후 같은 해 12월 초부터 순차적으로 야치요 미도리가오카 차량기지로 옮겨졌다.
주요 개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전면 디자인 변경: 기존 차량의 전면 디자인을 크게 변경했다. 전면부 주변은 사다리꼴 단면의 부재로 둘러싸고[5], 테두리 안쪽 윗부분은 무광 검정색 점착 필름으로 마감했다. 아랫부분은 기존의 골판 구조를 제거하고 하단에 언더런 방지기를 새로 설치했다. 또한, 둥근 모양의 전조등과 미등 4개를 수평으로 배열했던 것을, 좌우 2개씩 각진 베젤로 묶은 사각형 4등 형태로 교체했다.
- 라인 컬러 도입: 도요 고속선이 지바와 도쿄를 동서로 연결하는 점에 착안하여, "해는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진다"는 이미지를 형상화했다. 이에 따라 "선라이즈(해돋이)를 나타내는 빨강", "데이타임(낮)의 흰색", "선셋(저녁 노을)을 나타내는 오렌지" 세 가지 색상을 라인 컬러로 정해 차체 측면에 배치했다[6].
- 행선 표시막 교체: 전면 행선 표시막의 글씨체를 고딕체에서 둥근 고딕체로 바꾸고, 로마자 표기를 추가했다. 측면 행선 표시기는 설치하지 않았다.
- 차체 및 설비 보수: 차체 대차, 지붕재, 창틀 등을 보수하고[7], 낡은 고압 및 저압 장치 배선을 교체했다.
- 제어 및 브레이크 장치 갱신: 터널 내 온도 상승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제어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를 개선했다. 기존의 저항 제어 방식은 계자 첨가 여자 제어 방식으로, 발전 브레이크는 회생 브레이크 방식으로 변경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
- 냉방 장치 탑재: 양도받은 차량은 모두 냉방 장치가 없었기 때문에 새로 설치했다. 냉방 및 제어 장치 전원 공급을 위해 정지형 인버터(SIV) 2대를 설치했다.
- * 냉방 장치는 미쓰비시 전기에서 제작한 집약 분산식 CU-764형(냉방 능력 24.5kW) 2대를 각 차량에 탑재했다.
- * 전원 장치 역시 미쓰비시 전기 제품으로, 190kVA 출력의 정지형 인버터(3상 교류 440V 출력)이다. 이 장치는 5량분의 냉방 장치와 2량분의 제어 장치 여자용 전원을 공급한다.
- 차체 하부: 차체 하부의 기기들은 대부분 기존 차량의 것을 그대로 사용했지만, 개조 과정에서 밝은 회색으로 다시 도색했다.
3. 2. 내부
1995년(헤이세이 7년) 4월부터 메트로 차량의 후카가와 공장 내 차체 갱신 수선장과 신키바 검차구(당시) 내 신키바 CR에서 개조 공사가 이루어졌다. 개조 후에는 같은 해 12월 초순부터 순차적으로 야치요 미도리가오카 차량기지로 회송되었다.개조를 통해 실내는 전면적으로 새로워졌다. 주요 개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객실'''
- 측면 화장판은 흰색 계열로 교체되었다. 바닥재는 좌석 앞쪽은 베이지색, 중앙 통로는 도요 고속선 연선에 있는 굴참나무 줄기를 형상화한 갈색 계열로 바뀌었다.
- 좌석 모켓은 신록이 피어나는 이미지를 담은 연두색 바탕에 흑송을 형상화한 모자이크 무늬가 들어간 것으로 교체되었다. 우선석 부분은 연보라색 계열이다.
- 객실 출입문은 새로 제작하여 교체되었고, 문 유리는 크기를 키우고 복층 구조로 변경했으며, 차내 쪽은 화장판으로 마감 처리했다. 기존 차량에 있던 도어 포켓 창은 차체 내외부 모두 판재를 덧대어 철거하여, 처음부터 도어 포켓 창이 없던 차량과 동일한 외관이 되었다.
- 측면 창은 기존의 상단 하강, 하단 상승 방식의 2단 창 구조를 유지했지만, 커튼은 베이지색으로 새로 제작했다.
- 차량 끝 부분(처리면)의 화장판은 흰색 계열을 기본으로 하고 상부를 녹색으로 교체했다. 처리면 창과 관통문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 선반은 기존 차량에 따라 철망식과 파이프식이 혼재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손잡이는 모두 흰색 둥근 모양이며, 좌석 앞쪽 레일 방향과 출입문 부근 레일 방향에만 설치되었다.
- 냉방 장치는 영단 5000계 개조와 유사하게, 차내 측면 천장에 FRP제 덕트를 설치한 간이형 스폿 방식을 채택했다. 선풍기는 직경 40cm 크기의 제품을 새로 제작하여 각 차량에 5대씩 설치했다.
- '''승무원실'''
- 승무원실 내부는 5000계 시절과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다만, 개조 과정에서 JR선 운행 관련 설비(운전대 주변 기기, 보안 장치, 열차 무선 장치, 지붕의 열차 무선 안테나 등)가 철거되었다.
- 실내는 짙고 옅은 녹색 계열이며, 계기반은 짙은 남색이다. 마스콘 핸들은 데드맨 장치가 부착된 형태(가속 1~4노치)이고, 브레이크 핸들은 전기 지령식이다.
- '''기타'''
- 이러한 개조 내용은 당시 영단 지하철이 5000계 전동차에 실시했던 냉방 탑재 개조나 대규모 개수 공사인 '''B수리 공사'''(주로 초기 차량 대상)와 동일한 수준이다. 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지붕 구조 보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집약 분산형 냉방 장치를 채택하고 차체 전체의 보강도 최대한 억제했다. 이와 유사한 개조를 거친 영단 5000계는 개조 후 10년에서 15년 정도 더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3. 3. 기술적 개선
차량 양도 시에는 특히 도쿄 지하철 도자이선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고려하여, 도요 고속철도만의 독자성과 현대적인 이미지를 강조하는 디자인을 목표로 삼았다.개조 공사는 1995년(헤이세이 7년) 4월부터 메트로 차량에서 후카가와 공장 내 차체 갱신 수선장과 당시 신키바 검차구였던 신키바 CR에서 진행되었다. 개조를 마친 차량은 같은 해 12월 초순부터 순차적으로 야치요 미도리가오카 차량기지로 회송되었다.
4. 편성
도요 고속 철도에서 운행하는 10량 편성 열차는 아래와 같이 8량의 전동차("M")와 2량의 무동력 객차("T")로 구성되었으며, "CT1" 객차가 동쪽 끝(도요 가쓰타다이 방면)에 위치한다.[2]
편성 | CT1 | M1 | M2 | M1 | Mc2 | Tc | M1 | M2 | M1 | CT2 |
---|---|---|---|---|---|---|---|---|---|---|
차량 번호 | 1xx1 | 1xx2 | 1xx3 | 1xx4 | 1xx5 | 1xx6 | 1xx7 | 1xx8 | 1xx9 | 1xx0 |
정원 | 136 | 144 | 136 |
- 차량 번호의 "xx"는 개별 편성 번호(01~10)에 해당한다.
- M1 차량에는 각각 1개의 마름모꼴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어 있다.[2]
편성 형태는 5000계 시대와 변함이 없지만, 차량 번호는 영단(현 도쿄 메트로) 시대의 장비와 제조 순서에 따라 부여되던 것에서 차량의 연결 위치에 따라 부여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천의 자리: 계열명 (모든 차량 1)
- 백·십의 자리: 편성 번호 (01, 02 … 10)
- 일의 자리: 도요 가쓰타다이 방면부터 1, 2 … 0 순서
구체적인 편성 구성과 탑재 기기는 다음과 같다. 편의상 F(Formation)를 사용하여 편성명을 표기한다 (예: 제7편성은 "07F").
← 도요 가쓰타다이 · 니시후나바시 · 도자이선 나카노 → | 편성 번호 | ||||||||||
---|---|---|---|---|---|---|---|---|---|---|---|
차종 | 1000형 (1) (CT1) | 1000형 (2) (M1) | 1000형 (3) (M2) | 1000형 (4) (M1) | 1000형 (5) (Mc) | 1000형 (6) (Tc) | 1000형 (7) (M1) | 1000형 (8) (M2) | 1000형 (9) (M1) | 1000형 (0) (CM2) | |
탑재 기기 | SIV | CONT | CP,MG | CONT | CP,MG | SIV | CONT | CP,MG | CONT | CP,MG | |
차량 번호 | 1011 1021 : 1091 1101 | 1012 1022 : 1092 1102 | 1013 1023 : 1093 1103 | 1014 1024 : 1094 1104 | 1015 1025 : 1095 1105 | 1016 1026 : 1096 1106 | 1017 1027 : 1097 1107 | 1018 1028 : 1098 1108 | 1019 1029 : 1099 1109 | 1010 1020 : 1090 1100 | 01F 02F : 09F 10F |
- 범례:
- CONT: 주 제어기 (팬터그래프 탑재 차량)
- SIV: 정지형 인버터 (190kVA)
- MG: 전동 발전기 (12kVA)
- CP: 공기 압축기
- 5호차(Mc)와 6호차(Tc)는 간이 운전대가 부착되어 있으나, 04F 편성의 1046호차는 예외적으로 간이 운전대가 없어 차종이 "T"이다.
아래 표는 도요 고속 철도 1000형으로 개조되기 전의 영단 5000계 편성 구성 및 이후 변화를 나타낸다. 각 차량 번호는 해당 차량이 속했던 5000계의 차수(2차~5차)를 나타낸다.
←니시후나바시・나카노 / 도요 가쓰타다이→ | 비고 | ||||||||||
---|---|---|---|---|---|---|---|---|---|---|---|
편성 번호 (영단 5000계) | CM | M1◇ | M2 | M1◇ | Tc/T | Mc/M | M1◇ | M2 | M1◇ | CT | |
제60편성 | 5010 | 5332 | 5684 | 5331 | 5910 | 5110 | 5344 | 5683 | 5321 | 5810 | (5000계 2차차 기반) |
제72편성 | ※5022 | ※5266 | ※5644 | ※5265 | ※5907 | ※5107 | ※5341 | ※5643 | ※5264 | ※5822 | (3차차, 5차차 기반) 도요 1000형 제8편성으로 개조 → 인도네시아로 양도 |
제73편성 | 5023 | 5269 | 5646 | 5268 | 5912 | 5112 | 5346 | 5245 | 5267 | 5823 | (3차차, 5차차 기반) 도요 1000형 제11편성으로 개조 → 폐차 |
제74편성 | 5024 | 5272 | 5648 | 5271 | 5913 | 5654 | 5280 | 5647 | 5270 | 5824 | (3차차, 4차차, 5차차 기반) 5654는 5113에서, 5280은 5347에서 교체 (제77편성과 교환) |
제86편성 | 5036 | 5308 | 5672 | 5307 | 5903 | 5656 | 5283 | 5671 | 5306 | 5836 | (4차차, 5차차 기반) 양도 시 일부 다른 편성과 재조합 |
그 외 제69, 70, 71, 75, 76, 82, 94편성이 양도됨 | |||||||||||
↓ (도요 고속 1000형으로 개조 후) | |||||||||||
도요 고속 01F | 1010 | 1019 | 1018 | 1017 | 1016 | 1015 | 1014 | 1013 | 1012 | 1011 | |
: | : | : | : | : | : | : | : | : | : | : | |
도요 고속 10F | 1100 | 1109 | 1108 | 1107 | 1106 | 1105 | 1104 | 1103 | 1102 | 1101 |
- 범례:
- ◇: 도요 가쓰타다이 방면에 마름모꼴 팬터그래프 탑재
- ※: 5000계 시절 차창 폐쇄 (5차차 이후는 신조 시부터)
개업 당시, 09F와 10F는 개업 전 승무원 훈련에 사용되어 본격적인 개조 시간이 부족했기 때문에, 도색 변경과 차창 철거 등 임시 개조만 거쳐 운행을 시작했다. 개업 이후 정식 개조가 이루어졌다. 또한, 미등이나 차측 표시등에는 초기에 LED가 사용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밝기가 저하되어 나중에 전구로 교체되었다.
영단 5000계 중 2개 편성은 증차 예비 차량으로 계획되었으나, 개조되지 않은 채 도요 고속 철도에 편입되지 못하고 보류되었다. 이후 증차 계획이 중단되면서 개조 중이던 11F(구 영단 제73편성)는 개조가 중단되었다. 이 두 편성은 이후 부품 채취용으로 사용되었고, 일부 대차가 다른 편성에 공급되기도 했다. 이 차량들은 2004년 신차 교체 계획이 발표되면서 2005년 중에 해체되었다.
도입 초기에는 회사 마크가 전면 우측 상단 등 2곳에만 부착되었으나, 2005년 이후 측면 차창 부분에도 녹색의 회사 마크 스티커가 순차적으로 추가 부착되었다.
5. 운용
- 도요 고속철도선
-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
- 커뮤터라인
개조 당시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노선 운행에 필요한 보안 장치와 열차 무선 장치를 제거했기 때문에, 이 노선에서는 더 이상 운행할 수 없게 되었다. 하지만 후카가와 공장으로 검사를 위해 들어가는 경우처럼 JR 노선을 이용하지 않는 운행에 한해서는, 원래 도쿄 메트로 차량이 투입될 예정이었던 운행에 대신 투입되는 경우가 있었다.
6. 퇴역
2001년 1월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18호에 따라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의 보안 장치를 신CS-ATC로 갱신하기로 결정되면서, 직결 운행하는 도요 고속 철도 역시 이에 대응해야 했다. 차량 노후화와 개조 비용 문제를 고려하여, 2001년 9월 기존 1000형 전동차를 개조하는 대신 신차를 도입하기로 결정되었다.[9][8]
이에 따라 2004년 12월 7일부터 후속 차량인 2000계의 영업 운행이 시작되었고, 1000형은 순차적으로 운행에서 제외되어 2006년 12월 3일 도요 고속선 내에서의 영업 운행을 종료했다.[10] 마지막까지 남았던 06편성(1061F)은 12월 4일 아침 러시 아워에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 운행을 끝으로 모든 영업 운행을 마쳤다.[11] 이 마지막 운행에서 1061호차는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여성 전용차로 지정되었다. 영업 운전 종료에 맞춰 기념 패스넷 카드는 발매되었으나, 차량에 기념 스티커를 부착하는 등의 특별한 행사는 없었다.
운용에서 이탈한 차량 중 11편성과 12편성은 운행에 투입되지 않고 부품 공급용으로 사용되다가 폐차되었다. 나머지 편성들도 대부분 해체되었으나, 최종 3개 편성(06F, 08F, 09F)은 해체되지 않고 인도네시아의 철도 회사에 매각되었다.
폐차된 편성 및 대체 투입된 2000계 편성은 다음과 같다.
1000형 편성 (폐차/매각 시기) | 대체 투입된 2000계 편성 |
---|---|
01F (2005년 4월 6일 폐차) | 2103F |
02F (2005년 11월 21일 폐차) | 2104F |
03F (2005년 12월 해체) | 2107F |
04F (2005년 12월 5일 폐차) | 2106F |
05F (2005년 11월 27일 폐차) | 2105F |
06F (2006년 12월 4일 운행 종료, 인도네시아 매각) | 2110F |
07F (2005년 1월 30일 폐차) | 2102F |
08F (2006년 11월 중순 운행 종료, 인도네시아 매각) | 2109F |
09F (2006년 10월 27일 운행 종료, 인도네시아 매각) | 2108F |
10F (2005년 1월 17일 폐차) | 2101F |
11F·12F (부품 공급용 사용 후 2005년 6월 상순 해체) | - |
- 이 외에 증차 목적으로 2111F 편성이 추가로 투입되었다.
6. 1. 인도네시아 매각
2001년 1월 운수정책심의회 답신 제18호에 따라 도쿄 메트로 도자이선의 보안 장치를 WS-ATC에서 신CS-ATC로 갱신하기로 결정되면서, 상호 직결 운행을 하는 도요 고속 철도 역시 이에 대응해야 했다. 기존 1000형 전동차를 개조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으나, 차량 노후화로 인해 가까운 시일 내에 차량 교체가 필요하다는 점과 개조 비용 낭비를 우려하여 2001년 9월, 신차 도입을 통한 차량 갱신이 결정되었다.[9][8]이에 따라 2004년 12월 7일부터 후속 차량인 2000계가 운행을 시작했고, 1000형은 순차적으로 운행에서 제외되어 2006년 12월 3일 도요 고속선 내에서의 영업 운행을 종료했다.[10] 마지막까지 남았던 06편성(1061F)은 12월 4일 도자이선 아침 러시 아워 운행을 끝으로 모든 영업 운행을 마쳤다.[11]
운행이 중단된 차량들은 대부분 해체되었지만, 마지막까지 남았던 3개 편성(06F, 08F, 09F)은 해체되지 않고 인도네시아의 철도 회사인 PT Kereta Commuter Indonesia(구 PT. Kereta Api)에 매각되었다. 이 차량들은 자카르타 수도권 전철인 자보데타벡에서 통근 전철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2006년 10월에 09편성(1091F), 11월에 08편성(1081F), 그리고 2007년 1월에 06편성(1061F)이 각각 일본에서 인도네시아로 갑종 수송되었다.[3]
인도네시아에서는 2007년 1월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처음에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3] 2015년 12월, 06편성(1061F)은 퇴역했고, 09편성(1091F)은 중간 차량 1량을 08편성(1081F)에 제공하여 10량 편성으로 증결하는 데 사용되었다. 09편성의 나머지 차량은 도쿄 메트로 5000계 5817편성을 10량으로 증결하는 데 활용되었다.[3] 06편성은 현지에서 충돌 사고를 겪기도 했으나, 수리 후 운행에 복귀했다. 차량 도색은 기존 도요 고속 철도 시절의 것에서 인도네시아 현지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부터 JR 동일본 205계 전동차 도입이 늘어나면서, 마지막까지 운행하던 08편성(1081F)도 운행을 마치고 퇴역했다.

참조
[1]
간행물
2009-10
[2]
잡지
Koyusha Co., Ltd.
1996-03
[3]
잡지
Koyusha Co., Ltd.
2018-01
[4]
문서
交友社「鉄道ファン」1996年3月号記事ならびに鉄道図書刊行会「鉄道ピクトリアル」1996年10月臨時増刊号新車年鑑
[5]
문서
この正面形状は「窓の周りを囲う」という意味から「額縁型」と呼ばれ、1970年代後半から1990年代前半にかけて流行した形状である。
[6]
문서
日本鉄道車両機械技術協会『ROLLINGSTOCK&MACHINERY』1996年7月号国内情報「東葉高速線開業の概要」pp.46 - 50。
[7]
문서
これに合わせて西船橋駅方先頭車後部にあったパンタグラフ撤去跡が整形されている。
[8]
문서
日本地下鉄協会会報「SUBWAY」2005年3月号記事
[9]
문서
5000系も同様の理由により05N系に置き換えられることとなった。
[10]
문서
その後、5000系も翌2007年3月で全車引退。
[11]
문서
深川検車区→中野駅 (東京都)→八王子駅→川崎貨物駅→神奈川臨海鉄道千鳥町駅 (神奈川県)→川崎港→インドネシアという経路で行われたため、東西線に入線する必要があ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