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일령 카메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령 카메룬은 1884년부터 1916년까지 존재했던 독일 제국의 보호령으로, 현재의 카메룬 지역에 해당한다. 1868년 독일 상인들이 두알라에 무역 거점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884년 구스타프 나흐티갈에 의해 독일 보호령으로 선포되었다. 독일은 카메룬에서 플랜테이션을 개발하고 철도 건설 등 식민지 개발을 추진했으나, 가혹한 식민 통치로 비판받기도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영국과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으로 분할되었다가, 1961년 프랑스령 카메룬과 영국령 카메룬 일부가 통합되어 카메룬 공화국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령 서아프리카 - 구스타프 나흐티갈
    구스타프 나흐티갈은 아프리카, 특히 사하라 중부 지역 탐험에 기여한 독일의 탐험가, 의사이자 외교관으로, 튀니지 총영사와 서아프리카 특별 판무관을 역임하며 독일의 식민지 확장 정책에 관여했다.
  • 독일령 서아프리카 - 토골란드
    토골란드는 독일 제국에 의해 식민지화되어 경제적 발전을 이루었으나 원주민 탄압이 있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프랑스와 영국에 분할 점령되었다가 각각 가나와 토고 공화국으로 독립한 지역이다.
  • 독일의 아프리카 식민화 - 세계정치
    세계 정책은 독일 제국이 열강으로서 위상을 확보하고 국제 사회의 주요 결정에 참여하기 위해 추진한 대외 정책으로, 식민지 확장과 해군력 증강을 통해 영향력 확대를 시도했으나 외교적 실패와 군비 경쟁 심화로 고립을 자초했으며 여론, 사회 제국주의적 동기 등 다양한 배경과 원인에 대한 해석이 있다.
  • 독일의 아프리카 식민화 - 미텔아프리카
  • 베르사유 조약 - 자르 분지 지역
    제1차 세계 대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국제연맹의 관리 하에 놓였던 자르 분지 지역은 프랑스의 영향력 아래 있었으나 주민투표를 통해 독일로 재통합되었고, 이후 프랑스 보호령을 거쳐 서독에 합병되었다.
  • 베르사유 조약 - 클라이페다 지역
    클라이페다 지역은 발트해 연안에 위치하며, 독일 기사단 국가의 지배를 거쳐 리투아니아에 병합되었다가 독일로 편입되었고, 현재는 리투아니아의 일부이다.
독일령 카메룬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카메룬 1914 지도
카메룬 위치: 녹색: 독일 식민지 카메룬 영토, 짙은 회색: 기타 독일 영토, 가장 짙은 회색: 독일 제국
기본 정보
공식 명칭카메룬
원어 명칭Kamerun
유형식민지
제국독일 제국
이전 국가바뭄 왕국
만다라 왕국
소코토 칼리파국
바푸트 폰돔
코토코 왕국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현재 국가카메룬
나이지리아
가봉
콩고 공화국
차드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수도자운데
공용어독일어 (공식)
기타 언어바사어
베티어
두알라어
기타 지역 언어
통화독일 금 마르크
정치
정치 체제식민지
총독구스타프 나흐티갈 (1884년, 첫 번째)
카를 에버마이어 (1914년~1916년, 마지막)
역사
시작1884년 8월 17일
종료1920년
설립1884년
해체1916년
면적 및 인구 (1910년)
면적191,120.568 평방마일 (494,999 km²)
인구2,600,000명
면적 및 인구 (1912년)
면적305,020.705 평방마일 (789,945 km²)
인구4,645,000명
후신
후신 국가영국령 카메룬
프랑스령 카메룬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2. 역사

[[File:Cameroon_boundary_changes.PNG|300px|thumb|left|'''카메룬, 1901~1972:'''

}}

1868년, 함부르크 무역회사 C. 뵈어만(C. Woermann)이 카메룬 강(Wouri River) 삼각주의 두알라 지역에 우체국을 설치했다.

1874년, 뵈어만은 라이베리아 담당 빌헬름 얀첸(Wilhelm Jantzen)과 함께 얀첸&토르메렌(Jantzen & Thormählen)을 설립했다. 이로써 함부르크와 두알라가 해로와 육로로 연결되었다.[21] 현지 지도자들로부터 토지를 매입하여 바나나 등의 플랜테이션을 시작했다. 모든 서아프리카 회사를 대표하는 아돌프 뵈어만(Adolph Woermann)은 본국 외무장관에게 "보호"를 요청했다.[22]

1884년, 아프리카 분할 과정에서 독일 보호령 카메룬이 설치되었다. 이때 구스타프 나흐티갈(Gustav Nachtigal)이 크게 기여했다. 함부르크와 브레멘을 중심으로 한 수십 개의 독일 기업이 카메룬에 진출했다.[23]

본국의 지원으로 항구 도시 두알라를 향해 두 개의 철도가 건설되었다. 북선은 마넹구바산(Mount Manengouba)까지 160km를, 남선은 뇨옹 강(Nyong River)의 마칵(Makak)까지 300km를 연결했다.[24] 우편, 전신, 하천 교통이 발달하여 연안 지역과 내륙 지역을 연결했다.

1911년, 제2차 모로코 사건 이후 체결된 페스 조약에 따라 독일은 신카메룬을 획득하여 보호령에 병합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프랑스, 벨기에, 영국은 카메룬 전역(Kamerun Campaign)을 통해 독일 보호령 카메룬을 정복했다.

1916년, 북부의 모라 포위전(Siege of Mora)이 종결되면서 독일은 완전히 몰락했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되어 이 지역은 영국과 프랑스가 분할하여 위임통치령으로 통치했다.

1961년, 프랑스령 카메룬영국령 카메룬이 통합하여 현재의 카메룬 공화국이 되었다.

2. 1. 식민지 이전 시기 (1868년 ~ 1883년)

1868년 함부르크에 기반을 둔 독일 제국의 무역 회사였던 C. 뵈어만(Carl_Woermannde)이 두알라 지역에 첫 독일 교역소를 세웠다.[1] C. 뵈어만의 가봉 지역 대리인이었던 요하네스 퇴어멜렌은 활동 범위를 넓혔고, 1874년에 C. 뵈어만의 라이베리아 지역 대리인이었던 빌헬름 얀첸과 함께 독자적인 회사인 얀첸 & 토르맬렌(Jantzen & Thormählen)을 세웠다.[3] 서아프리카에 기반을 둔 회사들은 자체적으로 범선과 증기선으로 사업을 확장했고 함부르크과 두알라를 잇는 승객 및 화물 운송을 시작했다.[4] 이들은 지역 부족장들로부터 많은 땅을 받아내 바나나와 같은 작물로 조직적인 플랜테이션을 시작했다.[22] 1884년에 아돌프 뵈어만은 서아프리카 전체 회사들의 대변인으로서 독일 제국 외무부에 보호를 요청했다.[4] 국가수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해당 지역을 특허 회사를 통해서 통치하고자 무역 회사를 활용하려 했다. 무역 회사들은 비스마르크의 제안을 들은 뒤 이전의 요청을 거두었다.[26] 이들은 독일 제국의 보호 아래에서 수익성 있는 무역 활동을 하고자 하였으나 정치적으로 복잡한 관계에 매이지 않고자 했다. 결국 비스마르크는 뵈어만의 요청을 받아들여 소형 포함 SMS 뫼베를 서아프리카에 파견했다.[27]

2. 2. 식민지 성립 (1884년 ~ 1890년)

1868년 함부르크에 기반을 둔 독일 제국의 무역 회사였던 C. 뵈어만이 두알라 지역에 첫 독일 교역소를 세웠다.[25] 1874년에는 C. 뵈어만의 라이베리아 지역 대리인이었던 빌헬름 얀첸이 요하네스 퇴어멜렌과 함께 독자적인 회사인 얀첸 & 퇴어멜렌을 세웠다.[25] 이들은 자체적으로 범선과 증기선으로 사업을 확장했고 함부르크과 두알라를 잇는 승객 및 화물 운송을 시작했다.[25] 또한 지역 부족장들로부터 많은 땅을 받아내 바나나와 같은 작물로 조직적인 플랜테이션을 시작했다.[25]

1884년, 아돌프 뵈어만은 서아프리카 전체 회사들의 대변인으로서 독일 제국 외무부에 보호를 요청했다.[26] 국가수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해당 지역을 특허 회사를 통해서 통치하고자 무역 회사를 활용하려 했으나, 무역 회사들은 비스마르크의 제안을 거두었다.[26] 이들은 독일 제국의 보호 아래에서 수익성 있는 무역 활동을 하고자 하였으나 정치적으로 복잡한 관계에 매이지 않고자 했다.[26] 결국 비스마르크는 뵈어만의 요청을 받아들여 소형 포함 SMS 뫼베를 서아프리카에 파견했다.[27]

독일 제국은 카메룬의 농업 잠재력에 관심을 두었고, 큰 회사들로 하여금 농장을 개발하고 생산물을 수출하도록 했다. 비스마르크는 그의 우선 순위를 '상인이 먼저, 군대는 나중에'로 정의했다.[28] 큰 회사들(C. 뵈어만, 얀첸 & 퇴어멜렌)과 특허 회사들(남카메룬 회사, 남서카메룬 회사)들은 카메룬에서 사업을 크게 확장했다. 구스타프 나흐티갈두알라에 도착하여 당시 독일 무역의 중심지였던 두알라 주변 지역의 여러 통치자들과 조약을 체결했다.[9] 그는 거기서 카메룬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강 주변 지역의 여러 부족들과 추가적인 조약을 체결했는데, 이 지역들은 이미 무역이 잘 발달된 곳이었다.[9] 이는 조약을 독일의 지배 확장 수단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확립하는 것이었다.[9]

독일 제국은 카메룬과 동아프리카의 식민지를 잇는 식민제국을 세울 계획을 했다.[28] 독일령 카메룬은 아프리카 분할 시기에 성립됐으며, 탐험가이자 의사, 외교관이었던 구스타프 나흐티갈이 식민지의 성립을 이끌었다.[28] 그 뒤로 함부르크와 브레멘에 기반을 둔 십여 곳의 독일 회사들이 카메룬에서 무역과 플랜테이션을 했고, 1911년에 이르러서는 전체 무역량이 5천만 금 마르크에 이르렀다.[28] 독일 제국은 식민지 영토를 차츰 늘려나갔고, 바푸트 왕국 및 아다마와 에미르국 등과 부딪혔다. 1887년 2월 1일에는 카메룬 최초의 우체국이 문을 열었다.[29]

2. 3. 식민지 확장기 (1890년 ~ 1906년)

1868년 함부르크에 기반을 둔 독일 제국의 무역 회사였던 C. 뵈어만이 두알라 지역에 첫 독일 교역소를 세웠다.[25] 1874년 C. 뵈어만의 라이베리아 지역 대리인이었던 빌헬름 얀첸은 요하네스 퇴어멜렌과 함께 독자적인 회사인 얀첸 & 퇴어멜렌을 세웠다.[21] 이들은 서아프리카에서 자체적으로 범선과 증기선으로 사업을 확장했고 함부르크와 두알라를 잇는 승객 및 화물 운송을 시작했다.[25] 이들은 지역 부족장들로부터 많은 땅을 받아내 바나나와 같은 작물로 조직적인 플랜테이션을 시작했다. 1884년에 아돌프 뵈어만은 서아프리카 전체 회사들의 대변인으로서 독일 제국 외무부에 보호를 요청했다.[22]

독일 제국은 카메룬의 농업 잠재력에 관심을 두었고 큰 회사들로 하여금 농장을 개발하고 생산물을 수출하도록 했다. 큰 회사들(C. 뵈어만, 얀첸 & 퇴어멜렌)과 특허 회사들(남카메룬 회사, 남서카메룬 회사)들은 카메룬에서 사업을 크게 확장했다. 독일 제국은 카메룬과 동아프리카의 식민지를 잇는 식민제국을 세울 계획을 했다. 구스타프 나흐티갈아프리카 분할 시기에 독일령 카메룬의 성립을 이끌었다.[23] 그 뒤로 함부르크와 브레멘에 기반을 둔 십여 곳의 독일 회사들이 카메룬에서 무역과 플랜테이션을 했고, 1911년에 이르러서는 전체 무역량이 5천만 금 마르크에 이르렀다.[28] 독일 제국은 식민지 영토를 차츰 늘려나갔고, 바푸트 왕국 및 아다마와 에미르국 등과 부딪혔다. 1887년 2월 1일에는 카메룬 최초의 우체국이 문을 열었다.[29]

1895년부터 1906년까지 통치했던 예스코 폰 푸트카머 총독은 식민지배자로서 잔혹하고 가혹한 평판을 쌓았다.[12] 그는 발리족과 같은 지역 주민들에 대한 여러 군사 작전을 감독했으며, "조약"에 대한 독일의 시도를 거부한 사람들을 강제로 복종시켰다.[13] 그는 종종 이들에 대해 직접적으로 행동하지 않고, 다른 경쟁 지역 세력을 지원하여 "독일의 보호를 받는" 세력으로 만들고 무장하는 데 의존했다.[12] 그러나 독일인들이 개입했을 때는 잔혹했으며, 지도자가 여전히 거부하는 경우 항복한 사람들을 처벌하기 위해 굳이 노력했고, 정복한 사람들로부터 본질적으로 노예인 사람들을 십일조로 징발했지만, 그들을 노예라고 부르지는 않았다.[13] 푸트카머와 동료 총독 한스 도미닉은 대규모 학살을 자행했다. 나흐티갈 폭포에서는 독일의 보호를 거부한 지역 성인 인구가 학살당했다. 원주민 아기들은 바구니에 담겨 강에 빠뜨려졌다. 도미닉은 또한 시체 또는 심지어 살아있는 사람들의 훼손을 명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푸트카머는 플랜테이션의 확장과 지원을 하였는데, 노동력 부족 문제가 발생하자 "인원 십일조" 제도를 시행했고, 새로운 영토를 정복하거나 반란을 진압해야 할 때 사람들을 징발하기도 했다.[12] 그들은 극도로 높은 사망률을 보이며 가혹한 강제 노역을 하게 되었다.[12] 손 자르기, 생식기 절단, 눈알 파내기, 참수와 같은 극단적인 형벌이 행해졌다. 잘린 사지는 종종 지역 당국에 사망 증거로 제시되었다. 태형과 같은 처벌이 너무 과도해서 독일 식민지는 "태형 식민지"라고 불리기도 했다.[13][15]

독일 카메룬에서는 1902년에 토착 노예 무역이 금지되었고 1902년 이후에 태어난 모든 노예는 자유롭게 태어났다고 선언되었지만, 북부 독일 카메룬의 노예 습격으로 공급되는 노예 무역은 실제로 독일 식민지 시대 전체에 걸쳐 관용되었다.[17]

2. 4. 식민지 개발 및 종말 (1907년 ~ 1916년)

독일 제국 재무부의 보조금으로 농산물을 시장으로 운송하기 위해 두알라에 철로를 건설했다. 북부선은 마넹구바산까지 160 km, 간선은 중부까지 300 km에 이르렀고, 이후에 야운데까지 이어졌다.[7][18][24] 우편과 전신, 운항 체계는 해안가와 내륙을 연결했다. 1911년 기준으로 우체국 37곳과 전신국 11곳에서 백여 통의 우편물과 7만여 건의 전신을 처리했다. 1912년에는 몬로비아와 토고 및 카메룬을 잇는 해저 케이블이 완공돼 영국의 통신선을 쓰지 않게 됐다.[19] 또한 1911년에는 제2차 모로코 위기 이후 페스 조약으로 프랑스 제3공화국으로부터 노이카메룬 지역을 새로 얻었다.

마넨구바 산(Mount Manengouba)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프랑스군과 벨기에군, 영국군이 독일령 카메룬을 공격해 1914년에 점령했고,[19] 1916년에 독일군의 마지막 요새가 포위 끝에 함락됐다. 전쟁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카메룬은 영국과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이 됐고,[19] 프랑스령 카메룬영국령 카메룬의 일부가 1961년에 카메룬으로 재결합했다.

2. 5. 식민지 이후

독일 제국은 농산물 수송을 위해 두알라에 철도를 건설했다. 북부선은 마넹구바산까지 160 km, 간선은 중부까지 300 km에 이르렀고, 이후 야운데까지 연결되었다.[24] 우편과 전신, 운항 체계는 해안가와 내륙을 연결했다. 1911년 기준으로 우체국 37곳과 전신국 11곳에서 백여 통의 우편물과 7만여 건의 전신을 처리했다. 1912년에는 몬로비아와 토고 및 카메룬을 잇는 해저 케이블이 완공돼 영국의 통신선을 쓰지 않게 됐다. 또한 1911년에는 제2차 모로코 위기 이후 페스 조약으로 프랑스 제3공화국으로부터 노이카메룬 지역을 새로 얻었다.[20]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1914년 프랑스, 벨기에, 영국군이 독일령 카메룬을 침공하여 카메룬 전역(Kamerun campaign) 기간 동안 완전히 점령했다.[20] 1916년에 독일군의 마지막 요새가 포위 끝에 함락되었다. 전쟁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카메룬은 영국과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이 됐고,[20] 프랑스령 카메룬영국령 카메룬의 일부가 1961년에 카메룬으로 재결합했다. 많은 전 독일인 농장주들이 1920년대와 30년대에 자신의 농장을 다시 사들였다.[16] 독일이 카메룬에서 완전히 철수하는 데는 제2차 세계 대전까지 걸렸다.

3. 총독

독일령 카메룬의 역대 총독은 카메룬의 식민지 총독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계획된 상징



1914년, 독일 식민지를 위한 문장과 깃발이 제안되어 초안이 작성되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완성되지 못했고, 실제로 사용된 적은 없다.

5. 갤러리



참조

[1] 문서 present-day Douala
[2] 문서 now the Wouri River delta
[3] 서적 Hamburg und die Kolonialpolitik des Deutschen Reiches 1880 bis 1890 Hans Christians Verlag 1968
[4] 서적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Cameroon :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https://www.worldcat[...] St. Martin's Press 1989
[5] 서적 The Acquisition of Africa (1870-1914) https://brill.com/vi[...] Brill Nijhoff 2016
[6] 학술지 German Imperialism in Africa The Distorted Images of Cameroon, Namibia, Tanzania, and Togo http://journals.sage[...] 1992
[7] 학술지 The Political History of Cameroon https://www.jstor.or[...] 1962
[8] 학술지 European Alcohol, History, and the State in Cameroon https://www.jstor.or[...] 1993
[9] 학술지 David Meetom: Interpreting, Power and the Risks of Intermediation in the Initial Phase of German Colonial Rule in Cameroon https://doi.org/10.1[...] 2016-09-02
[10] 학술지 The Political History of Cameroon https://www.jstor.or[...] 1962
[11] 서적 Chapter 7: German Cameroon https://brill.com/vi[...] Brill Nijhoff 2016
[12] 서적 Southern West Cameroon Revisited Volume Two: North-South West Nexus 1858–1972 https://books.google[...] Langaa RPCIG 2014
[13] 서적 Nation of Outlaws, State of Violence: Nationalism, Grassfields Tradition, and State Building in Cameroon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2013
[14] 학술지 How Germany Treats the Native 1918-04
[15] 학술지 How Germany Treats the Native 1918-04
[16] 학술지 The British Cameroons mandate regime: The roots of the twenty-first-century political crisis in Cameroon."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124, no. 5 (2019): 1715–1722. https://academic.oup[...] 2019
[17] 서적 Slaver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Evolution of a Global Problem AltaMira Press 2003
[18] 문서 This line was later extended to the current Cameroon capital of Yaoundé.
[19] 서적 Business and Government Relations in Afric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
[20] 학술지 The Anglo-French "Condominium" in Cameroon, 1914–1916: The Myth and the Reality https://www.jstor.or[...] 1985
[21] 서적 Hamburg und die Kolonialpolitik
[22] 서적 Washausen
[23] 문서 This line was later extended to the current Cameroon capital of Yaoundé.
[24] 문서 By 1911 the total volume of trade reached over 50 million gold marks
[25] 서적 Hamburg und die Kolonialpolitik des Deutschen Reiches 1880 bis 1890 Hans Christians Verlag 1968
[26] 서적 Hamburg und die Kolonialpolitik des Deutschen Reiches 1880 bis 1890 Hans Christians Verlag 1968
[27] 서적 Podzun-Pallas Verlag Podzun-Pallas Verlag 1984
[28] 서적 Podzun-Pallas Verlag Podzun-Pallas Verlag 1984
[29] 웹인용 Cameroon http://ag-deutsche-k[...] 2022-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