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돌리코린콥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돌리코린콥스는 백악기 후기에 번성했던 멸종된 해양 파충류의 한 속이다. 캔자스주를 비롯한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화석이 주로 발견되었으며, 1900년경에 발견된 'Dolichorhynchops osborni'가 대표적인 종이다. 돌리코린콥스는 어류와 두족류를 먹고 살았으며, 큰 눈과 날카롭지 않은 이빨을 통해 먹이를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05년에는 캐나다에서 'D. herschelensis'가 발견되었으며, 2023년에는 'D. tropicensis'가 새로운 속인 'Scalamagnus'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장룡 - 마우이사우루스
    마우이사우루스는 뉴질랜드에서 발견된 긴 목을 가진 멸종된 해양 파충류로, 현재는 유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어 무효명으로 취급되지만 뉴질랜드 문화적으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 190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스테고케라스
    스테고케라스는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파키케팔로사우루스류 공룡의 한 속으로, 두껍고 돔 형태의 두개골이 특징이며, 종내 경쟁, 성적 과시 등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었다.
  • 1902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몰타하마
  • 캐나다의 화석 - 틱타알릭
    틱타알릭은 3억 7500만 년 전 육기어류로, 어류와 네발동물 특징을 지닌 "사지형어류"이며, 팔처럼 생긴 지느러미와 자유로운 목을 통해 육상 생활 진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화석 자료이다.
  • 캐나다의 화석 - 다스플레토사우루스
    다스플레토사우루스는 후기 백악기 캄파니아절 북아메리카 서부에 살았던 티라노사우루스과 공룡으로, 튼튼한 두개골과 강력한 턱을 가진 대형 포식자이며, 고르고사우루스와 생태적 지위를 놓고 경쟁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현재까지 세 종이 명명되어 진화적 관계와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돌리코린콥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D. osborni', 미국 국립 자연사 박물관, 워싱턴 D. C.
'D. osborni', 미국 국립 자연사 박물관, 워싱턴 D. C.
학명Dolichorhynchops
명명자윌리스턴, 1902년
모식종Dolichorhynchops osborni
모식종 명명자윌리스턴, 1902
기타 종D. herschelensis
사토, 2005년
생물학적 분류
영역진핵생물
동물
척삭동물문
파충강
†장경룡목
아목플레시오사우루스아목
폴리코틸루스과
돌리코린콥스속
크기
길이3m
시대
시대후기 백악기,
지질 시대튜로니아절
샹파뉴절

2. 발견 및 명명

돌리코린콥스의 화석 표본


돌리코린콥스 속()의 화석은 20세기 초 북아메리카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가장 먼저 알려진 종은 ''돌리코린콥스 오스보르니''(Dolichorhynchops osborni)로, 1900년경 캔자스주 스모키힐 백악 지층에서 당시 십대였던 조지 프라이어 스턴버그가 발견한 표본(KUVP 1300)을 바탕으로 1902년 사무엘 웬델 윌리스턴이 처음 기술하고 명명했다.[27][1] 종명 '오스보르니'는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에게 헌정된 것이다.

이후 캐나다 서스캐처원주[6]와 미국 와이오밍주[7], 유타주[13] 등지에서 추가적인 화석들이 발견되면서 ''D. herschelensis''[6] 등 새로운 종들이 명명되거나 기존 종으로 동정되었다. 발견된 화석들은 주로 후기 백악기 지층에서 나왔으며, 이를 통해 돌리코린콥스의 생존 시기와 분포 범위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었다.

그러나 모든 발견이 돌리코린콥스 속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때 ''Dolichorhynchops bonneri''[9]와 ''Dolichorhynchops tropicensis''[13]로 분류되었던 일부 표본들은 2023년의 연구를 통해 각각 ''Martinectes''[11]와 ''Scalamagnus''[11]라는 별개의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이처럼 지속적인 화석 발견과 재검토를 통해 돌리코린콥스를 포함한 폴리코틸루스과(Polycotylidae) 해양 파충류의 분류 및 계통 발생에 대한 이해가 점차 발전하고 있다.

2. 1. 초기 발견



홀로타입 ''D. osborni''의 골격 (Williston, 1903에서), 캔자스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


''돌리코린콥스 오스보르니''(Dolichorhynchops osborni)의 완모식 표본(holotype)인 KUVP 1300은 1900년경, 캔자스주 로건 카운티의 스모키힐 백악 상부 지층에서 당시 십대였던 조지 프라이어 스턴버그(George Fryer Sternberg)에 의해 발견되었다.[27][1] 화석은 조지 스턴버그와 그의 아버지인 찰스 헤젤리어스 스턴버그(Charles Hazelius Sternberg)가 수집하여 캔자스 대학교에 판매하였다. 발견 당시 뼈들이 흩어져 있는 분리된 상태였으나,[27] H.T. 마틴이 사무엘 웬델 윌리스턴(Samuel Wendell Williston) 박사의 감독 하에 표본을 준비하고 조립하였다.[1] 윌리스턴은 1902년에 이 표본을 바탕으로 ''돌리코린콥스 오스보르니''를 처음 기술하고 명명하였으며, 1903년에는 더 자세한 설명과 사진을 발표하였다. (Williston, 1903) KUVP 1300 표본은 현재 두개골, 아래턱, 갈비뼈, 골반, 견갑골이 완전하게 복원되었으나 척추는 불완전한 상태이며,[27] 캔자스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 에버하트(Everhart, 2004b)는 이 홀로타입 표본의 두개골 길이가 57cm였을 것으로 추정했다. 종소명 '오스보르니(osborni)'는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에게 헌정된 것이다.

1918년에는 찰스 스턴버그가 돌리코린콥스를 복부에 삼킨 틸로사우루스 화석을 발견하기도 했다.[17]

조지 스턴버그는 1926년에 두 번째 ''D. osborni'' 표본을 발견했다. 이 표본은 첫 번째 것보다 덜 완전했으며, 스턴버그는 박물관에 판매하기 위해 두개골의 상세한 사진을 찍었다.[2][18] 석고로 복제되어 조립된 이 표본은 하버드 대학교의 비교동물학 박물관에 MCZ 1064[3][19]라는 번호로 소장되었고 1950년대까지 전시되었다. 이 표본의 두개골은 오키프(O'Keefe, 2004)에 의해 기술되었으나, 전체 골격에 대한 완전한 기술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Everhart, 2004b 참조)

1950년대 초, 마리온 보너(Marion Bonner)는 로건 카운티 러셀 스프링스 근처에서 또 다른 ''D. osborni'' 표본(FHSM VP-404[4][20])을 발견했다. 이 표본은 현재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완전한 표본으로 여겨진다. 카펜터(Carpenter, 1996)는 이 표본의 두개골 길이(51.3cm)를 바탕으로 전체 몸길이를 약 3.07m로 추정했다. 두개골[5][21]은 납작하게 눌렸지만 보존 상태는 매우 좋다. 이 표본은 스턴버그와 워커(Sternberg & Walker, 1957)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고, 이후 보너(Bonner, 1964)의 석사 학위 논문 주제가 되었다. 당시 보너는 이 표본을 ''트리나크로메룸 오스보르니''("Trinacromerum osborni")로 기술했는데, 이는 당시 통용되던 속명이었다.

2. 2. 추가 발견

최초의 ''돌리코린콥스 오스보르니''(Dolichorhynchops osborni) 모식 표본(KUVP 1300) 발견 이후에도 여러 표본들이 추가로 발견 및 연구되었다. 주요 표본들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표본 번호종명 (최초/현재)발견자발견 연도/장소특징비고
KUVP 1300D. osborni조지 프라이어 스턴버그1900년경 / 캔자스주 스모키힐 백악 상부모식 표본, 두개골 길이 57cm 추정[1][16]캔자스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 소장
MCZ 1064D. osborni조지 프라이어 스턴버그1926년 / 캔자스주덜 완전한 표본[2][18]하버드 비교 동물 박물관 소장[3][19]
FHSM VP-404D. osborni (최초 Trinacromerum osborni)마리온 보너1950년대 초 / 캔자스주 로건 카운티가장 완전한 표본 추정, 전체 길이 약 3m, 두개골 길이 51.3cm[4][20][5][21]스턴버그 박물관 소장
RSM P2414.1D. herschelensis불명캐나다 서스캐처원 주 베어포우 층 (캄파니아절 후기 ~ 마스트리히트절 초기)모식 표본, 성체 추정, 길이 약 2.5m~3m[6]2005년 사토 타마키가 기재
KUVP 40001, 40002Trinacromerum bonneri (최초) / Martinectes bonneri (현재)불명와이오밍주 피에르 셰일대형 표본, 길이 6m~7m 추정[7][23][10]1997년 아담스가 T. bonneri로 기재[8][24], 2023년 Martinectes로 재분류[11]
MNA V10046D. tropicensis (최초) / Scalamagnus tropicensis (현재)노던 애리조나 박물관유타주 Tropic Shale (투로니아절 초기)모식 표본, 길이 3.2m[13]2011년 맥킨이 기재, 2023년 Scalamagnus로 재분류[11]



캐나다 화석 발견 센터에 전시된 골격


''D. herschelensis''는 2005년 사토 타마키에 의해 새로운 종으로 기술되었다. 이 종의 모식 표본(RSM P2414.1)은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 남서부 허셜 마을 근처의 베어포우 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종명은 발견지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 지층은 후기 백악기 (캄파니아절 후기에서 초기 마스트리히트절)에 형성된 사암, 이암, 셰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시 서부 내륙 해로의 일부였다.[6] 화석은 흩어진 상태로 발견되었으며, 두개골, 하악골, 늑골, 골반, 견갑골 등이 회수되었으나 척추는 불완전하고 사지 대부분이 유실되었다. 뼈의 융합 상태로 보아 성체로 추정되며, 길이는 약 2.5m에서 3m 사이로 추정된다. 이는 가까운 친척인 ''D. osborni''보다 상당히 작은 크기이다. 주둥이는 길고 가늘며 많은 이빨 구멍이 있지만, 실제 이빨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6]

이전에 돌리코린콥스로 분류되었던 ''Martinectes''의 골격


1977년 아담스는 와이오밍주의 피에르 셰일에서 발견된 매우 큰 폴리코틸루스과 표본 2개(KUVP 40001, KUVP 40002[7][23])를 보고했고,[8][24] 1997년 이를 새로운 종인 ''Trinacromerum bonneri''로 공식 기재했다. 그러나 1996년 카펜터는 폴리코틸루스과를 재검토하며 ''돌리코린콥스''를 ''트리나크로메룸''에서 분리했고, 이 표본들이 별개의 종인지 아니면 ''D. osborni''의 대형 개체인지 의문을 제기했다. 2008년 연구에서는 ''T. bonneri''가 유효한 ''돌리코린콥스'' 종, 즉 ''D. bonneri''라고 결론지었다.[9][25] 에버하트는 2017년에 KUVP 40001의 길이가 6m에서 7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10] 하지만 2023년 연구에서는 ''D. bonneri''를 새로운 속인 ''Martinectes''로 재분류했다.[11] 이전에 카펜터(1996)가 ''D. osborni''로 보고했던 다른 표본들(UNSM 50133, AMNH 5834)도 ''Martinectes''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2]

사람과의 크기 비교


또한, 2011년 레베카 슈마이서 맥킨은 유타주의 Tropic Shale에서 발견된 표본들을 기반으로 ''D. tropicensis''를 명명했다. 모식 표본(MNA V10046)은 거의 완전한 3.2m 길이의 골격이며, 참조 표본(MNA V9431)도 함께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돌리코린콥스''의 생존 시기를 약 700만 년 더 이전인 초기 투로니아절(약 9350만 년 전 ~ 9100만 년 전)까지 확장시켰다.[13] 그러나 2023년 연구에서는 ''D. tropicensis'' 역시 새로운 속인 ''Scalamagnus''로 재분류되었다.[11]

1918년 찰스 헤젤리어스 스턴버그는 복부 안에 ''돌리코린콥스'' 화석을 포함한 틸로사우루스 화석을 발견하기도 했다.[17]

''D. osborni''의 표본들은 주로 캔자스주의 스모키힐 백악 상부(코니아시안절 후기 ~ 캄파니아절 초기)에서 발견되었으나, 2005년에는 주얼 카운티의 니오브라라 층 포트 헤이즈 석회암(Fort Hays Limestone)에서도 발견 보고가 있었다. 이는 해당 지층에서 폴리코틸루스과 화석이 발견된 첫 사례이다.[22] 종명 ''osborni''는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을 기리기 위해 헌정된 이름이다.

2. 3. 종의 명명



''돌리코린콥스 오스보르니''(Dolichorhynchops osborni)의 모식 표본(KUVP 1300)은 1900년경, 캔자스주 로건군의 스모키힐 백악 상부 지층에서 당시 십 대였던 조지 프라이어 스턴버그가 발견했다.[1][16] 이 화석은 조지 스턴버그와 그의 아버지 찰스 헤젤리어스 스턴버그가 함께 수집하여 캔자스 대학교에 판매했다. 표본은 사무엘 웬델 윌리스턴 박사의 감독 아래 H.T. 마틴이 복원하고 조립했으며, 윌리스턴은 1902년에 이 종을 처음 기재하고 명명했다. 더 자세한 설명과 사진은 1903년 윌리스턴의 논문에서 제공되었다. 이 표본은 이후 캔자스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왔다. 에버하트(Everhart, 2004b)는 모식 표본의 두개골 길이가 57cm였다고 추정했다. 종명 '오스보르니'는 헨리 페어필드 오스본에게 헌정된 것이다.

1918년에는 찰스 스턴버그가 ''D. osborni''를 복부에 삼킨 틸로사우루스 화석을 발견하기도 했다.[17]

조지 스턴버그는 1926년에 두 번째로 덜 완전한 ''D. osborni'' 표본을 발견했다. 그는 박물관에 표본을 판매하기 위해 두개골의 상세한 사진을 남겼다.[2][18] 이 표본(MCZ 1064[3][19])은 석고 모형으로 만들어져 하버드 대학교 비교동물학 박물관에 인수되었고, 1950년대까지 전시되었다. 이 표본의 두개골은 오키프(O'Keefe, 2004)에 의해 기술되었지만, 전체 골격이 완전히 기술된 적은 없다. (Everhart, 2004b 참조)

세 번째 주요 표본(FHSM VP-404[4][20])은 1950년대 초, 로건군 러셀 스프링스 근처에서 마리온 보너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는 알려진 ''D. osborni'' 표본 중 가장 완전한 것 중 하나로 여겨진다. 카펜터(Carpenter, 1996)는 이 표본의 두개골 길이가 51.3cm이며, 전체 몸길이는 약 3m라고 추정했다. 두개골[5][21]은 납작하게 눌렸지만 보존 상태는 매우 좋다. 이 표본은 스턴버그와 워커(Sternberg & Walker, 1957)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고, 이후 보너(Bonner, 1964)의 석사 학위 논문 주제가 되었다. 당시 보너는 이 표본을 그 시절 통용되던 속명인 ''Trinacromerum osborni''로 기술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D. osborni'' 표본은 대부분 캔자스의 스모키 힐 초크층 상부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에버하트(Everhart, 2003)는 첫 번째 표본이 하부층(코니아시안절~산토니안절)에서 나왔다고 지적했으며, 2005년에는 이 표본이 주얼군 니오브라라층의 포트 헤이즈 석회암층에서 발견된 것이라고 보고했다. 이는 니오브라라층에서 발견된 최초의 폴리코틸루스과 화석 기록이다.[22]

''D. herschelensis''는 2005년 사토 타마키에 의해 새로운 종으로 기재되었다. 이 종의 화석은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 남서부의 허셜 마을 근처 베어포우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종명은 이 지명에서 유래했다. 이 지층은 후기 백악기 (후기 캄파니아절에서 초기 마스트리흐트절)에 해당하며, 서부 내륙 해로에 퇴적된 사암, 이암, 셰일로 구성되어 있다.[6]

''D. herschelensis''의 모식 표본은 뼈들이 흩어진 상태로 발견되었다. 두개골, 하악골, 늑골, 골반, 견갑골 등은 회수되었으나, 척추는 불완전하여 정확한 척추뼈의 수는 알 수 없다. 네 개의 다리뼈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고, 아홉 개의 작은 지골과 근처에서 발견된 소수의 사지뼈만이 이 개체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6]

이 표본은 일부 뼈가 융합된 상태로 보아 성체로 추정된다. 크기는 가까운 친척인 ''D. osborni''보다 상당히 작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일부 어린 ''D. osborni'' 표본이 ''D. herschelensis''의 성체 표본보다 크기 때문이다. 누락된 척추뼈가 많지 않다고 가정할 때, 전체 몸길이는 약 2.5m 에서 3m로 추정된다. 주둥이는 길고 가늘며 수많은 이빨 구멍이 있지만, 가늘고 날카로운 이빨 자체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6]

폴리코틸루스과 플레시오사우루스의 매우 큰 표본 두 점(KUVP 40001 및 40002[7][23])이 와이오밍의 피에르 셰일에서 수집되었고, 애덤스(Adams)가 1977년 석사 논문에서 이를 보고했다.[8][24] 이후 1997년, 애덤스는 이 표본들을 새로운 종인 ''Trinacromerum bonneri''로 공식 기재했다. 당시 그녀는 몰랐지만, 카펜터(Carpenter, 1996)는 폴리코틸루스과를 재검토하면서 ''Dolichorhynchops''를 ''Trinacromerum'' 속에서 분리했고, 이 큰 표본들이 별개의 종인지 아니면 단순히 ''D. osborni''의 대형 개체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2008년 연구에서는 ''T. bonneri''가 유효한 ''Dolichorhynchops'' 종, 즉 ''D. bonneri''라고 결론지었다.[9][25] 에버하트(Everhart, 2017)는 KUVP 40001의 길이가 6m 에서 7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했다.[10] 그러나 2023년 연구에서는 ''D. bonneri''를 새로운 속인 ''Martinectes''로 재분류했다.[11] 카펜터(1996)가 이전에 ''D. osborni''로 보고했던 다른 표본들(UNSM 50133 및 AMNH 5834) 역시 ''Martinectes''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2]

''D. tropicensis''는 레베카 슈마이서 맥킨(Rebecca Schmeisser McKean)이 2011년에 처음 명명했다. 종명은 이 종의 두 표본이 발견된 트로픽 셰일(Tropic Shale)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 종은 거의 완전하고 보존 상태가 좋은 3.2m 길이의 골격(모식 표본 MNA V10046, 대부분의 두개골 포함)과 파편적인 사지 골격 요소(참조 표본 MNA V9431)를 통해 알려졌다. 이 표본들은 유타의 트로픽 셰일 내 한 지역에서 노던 애리조나 박물관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지질 연대는 초기 후기 백악기의 초기 투로니아절, 약 9350만 년 전에서 9100만 년 전 사이로 추정된다. ''D. tropicensis''의 발견으로 ''Dolichorhynchops'' 속의 알려진 생존 범위가 약 700만 년 연장되었으나,[13] 2023년 연구에서는 ''D. tropicensis'' 역시 새로운 속인 ''Scalamagnus''로 재분류되었다.[11]

3. 특징

돌리코린콥스는 후기 백악기에 북아메리카의 서부 내륙 해로에 서식했던 폴리코틸리드과 플레시오사우루스의 한 속이다. 비교적 작은 몸집과 긴 주둥이를 가진 해양 파충류로, 주로 어류나 두족류를 잡아먹는 어식성 동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8] 여러 종이 알려져 있으며, 화석은 주로 미국 캔자스주의 스모키힐 백악 지층[1]이나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의 베어포우 층[6] 등에서 발견되었다.

3. 1. 신체적 특징



주로 어류나 두족류를 잡아먹고 사는 어식성이었으며, 안와(눈구멍)가 매우 커서 시각이 뛰어났을 것으로 보인다. 이 발달된 시각을 이용해 먹잇감을 추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학자들에 따르면 주둥이를 따라 늘어선 18~20쌍의 이빨은 뒤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빨 형태는 살점을 베어내기에 적합하지 않아, 통째로 삼킬 수 있는 작은 먹이를 주로 사냥했을 것으로 생각된다.[28]

대표적인 종인 ''돌리코린콥스 오스본리''(''D. osborni'')는 몸길이가 약 3m 정도였다.[20][21] 캔자스주 스모키힐 백악 상부에서 발견된 FHSM VP-404 표본의 경우, 두개골 길이는 51.3cm였으며, 전체 몸길이는 약 3.07m로 추정되었다.[4] 최초의 완모식 표본(KUVP 1300)의 두개골 길이는 57cm로 추정된다.[1]

2005년에 명명된 ''돌리코린콥스 허셸렌시스''(''D. herschelensis'')는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의 베어포우 층(후기 백악기 캄파니아절 후기 ~ 마스트리히트절 초기)에서 발견되었다.[6] 이 종은 ''D. osborni''보다 상당히 작았으며, 일부 어린 ''D. osborni'' 표본이 성체 ''D. herschelensis'' 표본보다 크기도 했다. 전체 몸길이는 약 2.5m에서 3m 사이로 추정된다. 주둥이는 길고 가늘었으며, 수많은 이빨 구멍(치조)이 있었으나, 보존된 가늘고 날카로운 이빨은 거의 없었다. 모식 표본은 두개골, 하악골, 늑골, 골반, 견갑골 등이 발견되었으나 척추는 불완전했고 사지 대부분이 유실된 상태였다.[6]

과거 ''돌리코린콥스''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된 종들도 있다. ''Martinectes'' 속으로 옮겨진 ''마르티넥테스 본네리''(''Martinectes bonneri'', 과거 ''Dolichorhynchops bonneri'')는 6m에서 7m에 달하는 매우 큰 개체였다.[9][10][11] 또한 ''Scalamagnus'' 속으로 옮겨진 ''스칼라마그누스 트로피켄시스''(''Scalamagnus tropicensis'', 과거 ''Dolichorhynchops tropicensis'')는 약 3.2m 길이의 골격으로 알려졌다.[13][11]

3. 2. 식성



주로 어류나 두족류를 잡아먹는 어식성이었다. 눈구멍(안와)이 매우 커서 시력이 뛰어났을 것으로 보이며, 이를 이용해 먹잇감을 추적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학자들에 따르면, 주둥이를 따라 늘어선 18~20쌍의 이빨은 뒤쪽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빨 형태 역시 살점을 베어내기에는 적합하지 않아, 통째로 삼킬 수 있을 만큼 작은 먹잇감을 주로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8]

4. 분류

(내용 없음)

4. 1. 계통 분류

''D. osborni''의 생물 복원도


오스트리아 빈 자연사 박물관에 전시된 ''D. osborni'' 골격


돌리코린콥스는 플레시오사우루스목 폴리코틸루스과에 속하는 해양 파충류이다. Ketchum과 Benson이 2011년에 발표한 계통 분류 연구에 따르면, 폴리코틸루스과 내에서 돌리코린콥스는 트리나크로메룸(*Trinacromerum*)이나 마네메르구스(*Manemergus*) 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14]

오스트리아 빈 자연사 박물관의 돌리코린콥스 표본


과거에는 일부 표본의 분류에 혼동이 있었다. 미국 와이오밍주의 피어 셰일 지층에서 발견된 매우 큰 폴리코틸루스류 화석 2점(KUVP 40001, 40002[23])은 1977년 아담스(Adams)의 석사 논문에서 처음 보고되었다.[24] 이후 1997년, 아담스는 이 표본들을 트리나크로메룸 속의 새로운 종인 ''트리나크로메룸 본네리''(''T. bonneri'')로 정식 발표했다. 하지만 그보다 앞선 1996년에 카펜터(Carpenter)는 폴리코틸루스과를 재검토하면서 돌리코린콥스를 트리나크로메룸과 다른 속으로 분리했고, ''T. bonneri''로 명명된 표본들이 실제로는 별개의 종이거나 혹은 기존에 알려진 ''돌리코린콥스 오스보르니''(''D. osborni'')의 대형 개체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2008년에 이루어진 추가 연구에서는 ''트리나크로메룸 본네리''가 돌리코린콥스 속에 속하는 하나의 종이라는 결론을 내렸다.[25]

참조

[1] 웹사이트 Image: plio-lrg.jpg, (2175 × 600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2] 웹사이트 Image: mcz5086a.jpg, (1336 × 742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3] 웹사이트 Image: 1064-4.jpg, (1000 × 297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4] 웹사이트 Image: vp-404.jpg, (1160 × 404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5] 웹사이트 VP-404 skull https://web.archive.[...] oceansofkansas.com 2015-09-05
[6] 간행물
[7] 웹사이트 Image: KU40001-4.jpg, (589 × 500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8] 간행물
[9] 논문 Cranial anatomy and taxonomy of Dolichorhynchops bonneri new combination, a polycotylid (Sauropterygia: Plesiosauria) from the Pierre Shale of Wyoming and South Dakota
[10] 서적 Oceans of Kansas - A Natural History of the Western Interior Sea Indiana University Press
[11] 논문 A new genus of small polycotylid plesiosaur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the Western Interior Seaway and a clarification of the genus Dolichorhynchops https://www.scienced[...] 2023-12-24
[12] 논문 The cranial osteology of two specimens of ''Dolichorhynchops bonneri'' (Plesiosauria, Polycotylidae) from the Campanian of South Dakota, and a cladistic analysis of the Polycotylidae https://www.scienced[...] 2019-04-01
[13] 간행물
[14] 논문 A new pliosaurid (Sauropterygia, Plesiosauria) from the Oxford Clay Formation (Middle Jurassic, Callovian) of England: evidence for a gracile, longirostrine grade of Early-Middle Jurassic pliosaurids https://www.palass.o[...]
[15] 간행물
[16] 웹사이트 Image: plio-lrg.jpg, (2175 × 600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17] 웹사이트 Tylosaur food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18] 웹사이트 Image: mcz5086a.jpg, (1336 × 742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19] 웹사이트 Image: 1064-4.jpg, (1000 × 297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20] 웹사이트 Image: vp-404.jpg, (1160 × 404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21] 웹사이트 VP-404 skull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22] 간행물
[23] 웹사이트 Image: KU40001-4.jpg, (589 × 500 px)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24] 간행물
[25] 논문 Cranial anatomy and taxonomy of Dolichorhynchops bonneri new combination, a polycotylid (Sauropterygia: Plesiosauria) from the Pierre Shale of Wyoming and South Dakota
[26] 논문 A new pliosaurid (Sauropterygia, Plesiosauria) from the Oxford Clay Formation (Middle Jurassic, Callovian) of England: evidence for a gracile, longirostrine grade of Early-Middle Jurassic pliosaurids
[27] 웹인용 이미지: plio-lrg.jpg, (2175 × 600px ) http://www.oceansofk[...] oceansofkansas.com 2015-09-05
[28] 저널 https://www.scienc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