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구 (부산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 동구는 1957년 구제 실시로 설치된 부산광역시의 구이다. 동구는 부산의 중앙에 위치하며, 12개의 행정동(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6동, 수정1동, 수정2동, 수정4동, 수정5동, 좌천동, 범일1동, 범일2동, 범일5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1966년 236,280명으로 인구가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0년에는 88,292명으로 줄었다. 부산진성, 조선통신사역사관, 정공단 등의 문화 시설과 부산역, 부산진역,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등의 교통 시설이 있으며, 금성고등학교, 데레사여자고등학교 등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다. 울진군, 광산구, 옌타이시 즈푸구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하태경, 박형준, 이경규, 나훈아 등이 동구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동구의 행정 구역 - 초량동
초량동은 부산광역시 동구에 속하며 부산역이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고, 초량 차이나타운이 조성되어 있으며,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등 주요 기관이 위치해 있고, 나훈아, 박형준, 이경규 등이 출신이다. - 부산 동구 - 북항 재개발
북항 재개발은 1994년부터 구상되어 2007년 구체화된 부산 북항 일대의 재개발 사업으로, 2015년 부산항여객터미널 이전과 함께 본격화되었으며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 등 주요 시설이 들어섰으나 계획 변경 및 매립지 관할 구역 문제 등으로 난개발 논란과 행정구역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 부산 동구 - 부산불교방송
부산불교방송은 1995년 개국한 불교방송 네트워크의 라디오 방송국으로, 부산, 창원, 진주 송신소를 통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일원에 FM 전파를 송출하며 HLDA-FM 호출부호를 사용하고 방송부와 사업부를 두고 사옥 건립을 추진 중이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동구 (부산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동구 |
한자 표기 | 東區 |
로마자 표기 | Dong-gu |
매큔-라이샤워 표기 | Tong-ku |
위치 | 대한민국 영남 지방 부산광역시 |
하위 행정 구역 | 17개 행정동 |
면적 | |
총 면적 | 9.86 km² |
인구 | |
총 인구 | 86,308명 (2024년 9월 기준) |
방언 | 경상도 방언 |
행정 | |
행정 기관 | 동구청 |
구청장 | 김진홍 |
기타 | |
웹사이트 | 동구청 |
![]() |
2. 역사
18행정동 |
---|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4동, 초량5동, 수정1동, 수정2동, 수정3동, 수정4동, 수정5동, 좌천1동, 좌천2동, 좌천3동, 범일1동, 범일2동, 범일3동, 범일4동, 범일5동 |
- 1970년 7월 1일: 초량4동이 초량6동으로, 좌천2동이 좌천4동으로, 범일4동이 범일6동으로 분동하였다. (21행정동)
- 1975년 10월 1일: 범일3동을 폐지하여, 일부를 남구에 편입하고, 일부는 범일2동과 범일5동에 편입하였다. (20행정동)
- 1982년 5월 1일: 법정동 대창동3가를 초량동으로 흡수하였다(초량동 1185~1213).
- 1985년 12월 1일: 초량5동이 초량3동에 합동하였다. (19행정동)
-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10]
- 1991년 4월 15일: 부산직할시 동구의회가 개원하였다.
-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동구로 개칭하였다.[11]
- 1998년 9월 17일: 좌천2동을 좌천1동에, 좌천3동을 범일5동에 합동하였다. (17행정동)[12]
- 2008년 1월 1일: 초량4동이 초량6동에, 수정3동이 수정2동, 범일6동이 범일4동에 합동되었다. (14행정동)[13]
- 2015년 7월 1일: 좌천1동과 좌천4동이 좌천동으로 합동하였다.[14] (13행정동)
- 2016년 1월 1일: 범일1동과 범일4동이 범일1동으로 합동되었다.[15] (12행정동)
3. 지리
동구는 부산 중앙에 위치하여 동쪽은 동천을 경계로 부산 남구, 동북쪽은 수정산, 구봉산을 경계로 부산진구, 부산 서구와 서쪽은 영주천을 경계로 중구와 접하고 있으며 동남으로 길게 뻗쳐 있다. 원래 동구는 지세가 해안을 끼는 배산임해의 지형을 형성하며 대부분 경사 지대로 평탄한 시가지를 형성할 수 없는 지형이다. 따라서 주로 초량천, 부산천, 호계천 등 하천과 구봉산, 수정산 골짜기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시가지의 1/3 정도는 일제강점기 해안 매립으로 조성되었다.[16]
4. 행정 구역
2022년 2월 기준으로 부산 동구의 행정 구역과 현황은 다음과 같다. 동구는 4개의 법정동(초량동, 수정동, 좌천동, 범일동)으로 나뉘며, 총 12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동 | 한자 | 면적 (km2) | 세대 | 인구 (명) |
---|---|---|---|---|
초량1동 | 草梁1洞 | 0.26km2 | 3,011 | 5,019 |
초량2동 | 草梁2洞 | 0.39km2 | 3,380 | 5,692 |
초량3동 | 草梁3洞 | 1.13km2 | 6,535 | 13,100 |
초량6동 | 草梁6洞 | 1.34km2 | 3,154 | 5,902 |
수정1동 | 水晶1洞 | 0.23km2 | 2,041 | 4,132 |
수정2동 | 水晶2洞 | 1.12km2 | 5,181 | 9,824 |
수정4동 | 水晶4洞 | 0.92km2 | 2,221 | 3,849 |
수정5동 | 水晶5洞 | 0.34km2 | 2,722 | 5,292 |
좌천동 | 佐川洞 | 0.46km2 | 5,679 | 11,444 |
범일1동 | 凡一1洞 | 0.98km2 | 6,295 | 11,735 |
범일2동 | 凡一2洞 | 0.83km2 | 4,479 | 7,947 |
범일5동 | 凡一5洞 | 1.73km2 | 2,131 | 4,309 |
동구 | 東區 | 9.73km2 | 46,829 | 88,245 |
각 행정동은 다음과 같은 법정동으로 구성된다.
4. 1. 행정 구역 변천사
행정동 |
---|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4동, 초량5동, 수정1동, 수정2동, 수정3동, 수정4동, 수정5동, 좌천1동, 좌천2동, 좌천3동, 범일1동, 범일2동, 범일3동, 범일4동, 범일5동 |
- 1970년 7월 1일: 초량4동을 초량6동으로, 좌천2동을 좌천4동으로, 범일4동을 범일6동으로 분동하였다. (21행정동)
- 1975년 10월 1일: 범일3동을 폐지하고, 일부를 남구에 편입, 일부는 범일2동과 범일5동에 편입하였다. (20행정동)
- 1982년 5월 1일: 법정동 대창동3가를 초량동으로 흡수하였다(초량동 1185~1213).
- 1985년 12월 1일: 초량5동을 초량3동에 합동하였다. (19행정동)
- 1988년 5월 1일: 자치구로 승격하였다.[10]
- 1991년 4월 15일: 부산직할시 동구의회가 개원하였다.
-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동구로 개칭하였다.[11]
- 1998년 9월 17일: 좌천2동을 좌천1동에, 좌천3동을 범일5동에 합동하였다. (17행정동)[12]
- 2008년 1월 1일: 초량4동을 초량6동에, 수정3동을 수정2동, 범일6동을 범일4동에 합동하였다. (14행정동)[13]
- 2015년 7월 1일: 좌천1동과 좌천4동을 좌천동으로 합동하였다.[14] (13행정동)
- 2016년 1월 1일: 범일1동과 범일4동을 범일1동으로 합동되었다.[15] (12행정동)
5. 인구
연도 | 총인구 | 비고 |
---|---|---|
1966년 | 236,280명 | |
1970년 | 242,544명 | 동년 최고 인구 기록(24만 4421명) |
1975년 | 232,603명 | |
1980년 | 219,497명 | |
1985년 | 200,382명 | |
1990년 | 186,296명 | |
1995년 | 160,398명 | |
2000년 | 130,315명 | |
2005년 | 113,771명 | |
2010년 | 101,209명 | |
2015년 | 94,260명 | |
2020년 | 88,292명 |
부산광역시 동구의 인구는 1970년 24만 4421명을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2020년에는 8만 8292명으로 줄었다.
6. 정치
국회의원 선거구는 서구·동구이다.
7. 문화·관광
- '''부산진성'''
부산진성(자성대)은 조선시대에 만든 부산진성의 성이다. 원래는 부산성의 한 부분으로 공식적인 이름은 2020년 1월 15일 이후 명칭 변경으로 부산진성(釜山鎭城)이며, 넓이는 24198m2로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되었다.
- 조선통신사역사관
- '''정공단'''
- 부산진일신여학교
- 수정산복도로
: 높은 지대에서 부산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산복도로이다.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동에서 중구 영주동, 동구 수정동, 부산진구 범천동을 경유하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4동을 잇는 도로이다. 8.44km이며, 직선 구간이 많지 않다. 인근에 중앙공원, 안창마을이 있다.
- 매축지마을
- 168계단
: 이 지역에는 유명한 계단인 168계단이 있으며, 계단을 따라 기념품 가게와 관광 명소가 있다.[3][4]
8. 교통
부산 동구는 철도와 도로 교통이 발달한 지역이다. 한국철도공사 경부고속선과 경부선이 동구를 지나며, 부산역과 부산진역이 있다. 부산교통공사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역역, 초량역, 부산진역, 좌천역, 범일역을 경유한다. 부산역과 부산진역을 잇는 도로도 있다.
8. 1. 철도
한국철도공사부산교통공사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부산역역 - 초량역 - 부산진역 - 좌천역 - 범일역
8. 2. 도로
부산역과 부산진역을 잇는 도로가 있다.9. 교육
- 부산중국고등학교
- 부산중국학교 (유치원 및 초등학교)[2]
- 금성고등학교
- 데레사여자고등학교
- 경남여자고등학교
- 부산고등학교
-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 부산국제영화고등학교
10. 공공기관
부산동부경찰서[1]
부산진소방서 범일119안전센터, 수정119안전센터[1]
중부소방서 초량119안전센터[1]
항만소방서 부두119안전센터, 소방1정대[1]
駐釜山日本国総領事館|주부산 일본국 총영사관일본어[1]
11. 출신 인물
12.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9-01
[2]
웹사이트
Foreign Schools in Busan
http://english.busan[...]
2019-01-13
[3]
웹사이트
Monthly KOREA] Catching the Sunrise in Busan
https://www.korea.ne[...]
2024-08-09
[4]
웹사이트
초량 산복도로 경사지 '야외 영화관' 생긴다
https://mobile.busan[...]
2024-08-09
[5]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법률
법률 제407호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56-12-17
[9]
조례
시조례 제177호
1965-12-06
[10]
법률
법률 제4004호 지방자치법
1988-04-06
[11]
법률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12-22
[12]
조례
구조례 제443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1998-09-17
[13]
조례
구조례 제735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7-09-20
[14]
조례
부산광역시 동구 조례 제986호
http://www.elis.go.k[...]
2015-07-01
[15]
조례
부산광역시 동구 조례 제1008호
http://www.elis.go.k[...]
2016-01-01
[16]
웹사이트
부산 동구의 지리적 특성
http://www.bsdonggu.[...]
2013-06-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