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량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량동은 부산광역시 동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부산역이 위치한 교통의 요지이다. 1914년 부산부 사중면에 편입된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초량 차이나타운이 조성되어 한국과 중국의 문화가 공존하며,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등 주요 기관이 위치해 있다. 또한, 가수 나훈아, 정치인 박형준, 희극인 이경규 등이 초량동 출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동구의 행정 구역 - 동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동구는 부산광역시 중앙에 위치한 자치구로, 초량동, 수정동, 좌천동, 범일동의 4개 법정동과 12개의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산진성, 매축지마을 등 역사 유적과 부산역 등의 교통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나 인구는 감소 추세에 있다. - 1959년 폐지 - 홍제동 (서울)
홍제동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하며, 중국 사신이 머물던 홍제원에서 이름이 유래했고, 서울 지하철 3호선 역과 무악재 고개가 있는 지역이다. - 1959년 폐지 - 괴정동 (부산)
괴정동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며 승학산 등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으로 선사시대부터 거주하기 좋은 조건을 갖춘 곳으로,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초량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초량1동 |
한자 표기 | 草梁1洞 |
영문 표기 | Choryang 1(il)-dong |
광역시도 | 부산광역시 |
시군구 | 동구 |
![]() | |
면적 | 0.26 |
세대 | 2,691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5030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동 | 초량동 |
통 | 11 |
반 | 55 |
동주민센터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179번길 33 |
홈페이지 | 초량1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초량2동 |
한자 표기 | 草梁2洞 |
영문 표기 | Choryang 2(i)-dong |
광역시도 | 부산광역시 |
시군구 | 동구 |
면적 | 0.39 |
세대 | 3,315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5705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동 | 초량동 |
통 | 16 |
반 | 69 |
동주민센터 | 부산광역시 동구 중앙대로209번길 30 |
홈페이지 | 초량2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초량3동 |
한자 표기 | 草梁3洞 |
영문 표기 | Choryang 3(sam)-dong |
광역시도 | 부산광역시 |
시군구 | 동구 |
면적 | 1.13 |
세대 | 2,911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13074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동 | 초량동 |
통 | 12 |
반 | 53 |
동주민센터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상로 112 |
홈페이지 | 초량3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초량6동 |
한자 표기 | 草梁6洞 |
영문 표기 | Choryang 6(yuk)-dong |
광역시도 | 부산광역시 |
시군구 | 동구 |
면적 | 1.34 |
세대 | 3,750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5871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법정동 | 초량동 |
통 | 18 |
반 | 80 |
동주민센터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로 75 |
홈페이지 | 초량6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초량동은 1914년 4월 1일 부산부 사중면에 소속되었다가, 1933년 2월 20일 부산부 서부 제3방면 사무소 초량정에 소속되었다. 1946년 10월 1일 초량제1동으로 불렸다.[1] 이후의 자세한 행정 구역 변천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2. 1. 행정 구역 변천
1914년 4월 1일 부산부 사중면에 소속되었다.[1] 1933년 2월 20일 부산부 서부 제3방면 사무소 초량정에 소속되었다.[1] 1946년 10월 1일 초량제1동으로 불렸다.[1]1957년 1월 1일 경상남도 부산시 동구 초량동이 되었다.[1] 1959년 1월 1일에는 경상남도 부산시 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4동, 초량5동으로 분리되었다.[1] 1963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이 되었다.[2]
1970년 7월 1일 초량4동이 초량6동으로 분동되었다.[1] 1982년 5월 1일 법정동인 대창동3가가 초량동에 합병(초량동 1185~1213)되었다.[1] 1985년 12월 1일 초량5동이 초량3동에 합동되었다.[1]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4동, 초량6동이 되었다.[3] 2008년 1월 1일 초량4동이 초량6동에 합동되었다.[5]
2. 2. 해방 이후
1946년 10월 1일 초량제1동으로 호칭되었다.[1] 1957년 1월 1일 경상남도 부산시 동구 초량동이 되었다.[1] 1959년 1월 1일에는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4동, 초량5동으로 분동되었다. 1963년 1월 1일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이 되었다.[2]1970년 7월 1일 초량4동이 초량6동으로 분동되었다. 1982년 5월 1일에는 법정동 대창동3가가 초량동에 합병(초량동 1185~1213)되었다. 1985년 12월 1일 초량5동이 초량3동에 합동되었다. 1995년 1월 1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6동이 되었다.[3] 2008년 1월 1일 초량4동을 초량6동에 합동하였다.[5]
일자 | 변경 사항 |
---|---|
1946년 10월 1일 | 초량제1동으로 호칭 |
1957년 1월 1일 | 경상남도 부산시 동구 초량동[1] |
1959년 1월 1일 |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4동, 초량5동으로 분동 |
1963년 1월 1일 | 부산직할시 동구 초량동[2] |
1970년 7월 1일 | 초량4동이 초량6동으로 분동 |
1982년 5월 1일 | 법정동 대창동3가가 초량동에 합병 (초량동 1185~1213) |
1985년 12월 1일 | 초량5동이 초량3동에 합동 |
1995년 1월 1일 |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 초량6동[3] |
2008년 1월 1일 | 초량4동을 초량6동에 합동[5] |
초량동은 부산의 원도심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 시대에는 동래부 사천면 구초량리였으며, 1910년 일제시대에는 부산부중면 초량동으로, 해방 후에는 초량출장소 관내로 변경되었다. 1982년에는 법정동인 대창동3가를 흡수하였다.[1]
2007년 5월 10일, 총사업비 1.4억원으로 초량1동 주민센터의 출입구와 처마에 경사형 기와를 둘렀고 벽면에는 중국을 상징하는 용 문양을 넣는 등 외벽을 중국풍으로 리모델링하였다.[4]
3. 지리
동국여지승람과 동래부지에는 초량항이 절영도 안쪽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영도 안쪽의 부산항 해변을 모두 초량항이라 불렀다.[1] 1906년 시구개정에 의해 구초량의 명칭이 부평동, 부민동 등으로 확정되자 신초량(新草梁)이 초량이란 이름으로 정착하게 되었다.[1]
중앙대로 179번길과 대영로 239번길 일대에는 초량 차이나타운이 있다.
3. 1. 자연 환경
초량동은 우리말로 "새뛰" 또는 "새터"라고 불렸는데, 이는 억새와 갈대가 무성했던 지역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새뛰'는 억새와 갈대를 뜻하는 '초'(草)와 '뒬량'(梁) 자를 써서 한자음으로 표기한 것이다.[1] 초량(草梁)이라는 명칭은 풍수지리상 부산의 지형이 엎드려 있는 소의 모습과 같다고 하여, 소에게 풀밭이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1]
3. 2. 풍수지리
부산의 지형은 엎드려 있는 소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하여 여와우형(如臥牛形)이라 보았고, 소(牛)는 초원(草原)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초량(草梁)이란 명칭이 생겨났다는 설이 있다.[1]
4. 문화
중앙대로 179번길과 대영로 239번길 일대에 초량 차이나타운이 있다. 2007년에는 중국풍으로 외벽을 리모델링하여, 중국 문화의 상징성을 더욱 강화했다.
4. 1. 초량 차이나타운
중앙대로 179번길과 대영로 239번길 일대에 초량 차이나타운이 있다. 2007년에는 중국풍으로 외벽을 리모델링하여, 중국 문화의 상징성을 더욱 강화했다.5. 교통
초량동에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이 지나가며, 초량3동에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과 한국철도공사 경부선 부산역이 있다.
5. 1. 철도
부산역이 초량3동에 있어,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 역할을 한다.6. 교육
부산고등학교[1], 부산중학교[1],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1], 선화여자중학교[1]가 있다.
7. 주요 기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초량우체국, 부산동부경찰서, 주부산 일본 총영사관 등 주요 공공기관이 초량동에 위치하고 있다.
7. 1. 금융 기관
신한은행 영주동지점, SC제일은행 초량지점, 중소기업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부산은행 초량지점 등 다양한 금융 기관이 초량동에 위치하고 있다. 초량1동, 초량2동, 초량3동에는 새마을금고가 있으며, 장우신협도 있다.[1]7. 2. 의료 기관
인창병원, 세일병원 등의 의료 기관이 위치하고 있다.7. 3. 언론 기관
한국경제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경향신문, 조선일보 등의 부산 지사 및 총국이 초량동에 위치하고 있다.8. 출신 인물
8. 1. 나훈아
나훈아는 1947년 2월 11일에 초량동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이다. 그의 음악은 특히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8. 2. 이경규
이경규는 초량동에서 출생한 대한민국의 희극인이자 영화감독이다. IN&IN(영화사) 대표를 맡고 있다.8. 3. 박형준
박형준은 국민의힘 소속 정치인으로, 초량동에서 출생하였다.[6] 과거 보수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부산광역시장으로 재직 중이다.8. 4. 신승윤
申承潤|, 1983년 1월 31일 ~ 중국어 삼성중공업 직원이다.[6]참조
[1]
법률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56-12-17
[2]
법률
1962-12-21
[3]
법률
지방자치법
1994-12-22
[4]
뉴스
중국집? 아니 동사무소!
http://www.busanilbo[...]
부산일보
2007-05-08
[5]
조례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7-09-20
[6]
웹인용
국민의힘 박형준 "부산 초량동서 태어난 부산 사람...부울경 메가시티? '지적재산권'은 나의 것"
http://news.bbsi.co.[...]
BBS뉴스
2021-0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