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셈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셈어군은 셈어족의 하위 분류로, 아카드어와 에블라어를 포함한다. 동셈어군의 음운론적 특징은 후설 자음의 감소, 치간 마찰음의 치찰음화, 그리고 중고모음 e의 존재 등이다. 아카드어는 기원전 2600년경부터 기록이 시작되어 약 2500년 동안 사용되었으며, 아시리아어와 바빌로니아어로 분화되었다. 에블라어는 기원전 2400년경에 사용되었으며, 아카드어와 공통적인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셈어파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 셈어파 - 암하라어
암하라어는 에티오피아의 공용어이자 암하라족의 모어로, 솔로몬 왕조 이후 제국 공용어로 정치·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고, 그으즈어와 관련이 있고 쿠시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아부기다 문자 체계를 사용하고 라스타파리 운동에서 신성한 언어로 여겨진다. - 고대 언어 -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기원전 1200년경 인도유럽어족에서 분기되어 기원전 8세기부터 그리스 문자로 기록된 언어로, 도리아어, 아이올리아어, 이오니아어, 아티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뉘며, 현대 그리스어의 기원이자 그리스 문학과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교육 및 학술 분야에서 활용된다. - 고대 언어 - 팔리어
팔리어는 상좌부 불교 경전 기록에 사용된 고대 인도 언어로, 마가다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나 여러 인도 아리아어 방언의 혼합과 산스크리트화를 거쳤으며, 《팁피타카》 기록 이후 불교 전파 매개체로서 동남아시아 여러 언어에 영향을 주었고 현재는 사어이지만 불교 연구 및 의례에 사용된다.
동셈어군 | |
---|---|
언어 정보 | |
유형 | 어족 |
어족 | 셈어파 |
하위 분류 | 셈어파의 하위 그룹 |
지역 | 이전 메소포타미아 지역 |
언어 | |
주요 언어 | 아카드어 |
기타 언어 | 에블라어 키시어 딜문어? |
언어 코드 | |
글롯토코드 | east2678 |
글롯토코드 명칭 | East Semitic |
2. 음운론
동셈어군의 음운론에 대한 현대적 이해는 기록된 텍스트를 주의 깊게 연구하고 재구된 원시 셈어와 비교하여 도출될 수 있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연구개음과 인두음 마찰음, 그리고 성문음을 포함한 후설 자음이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아카드어는 원시 셈어의 *ḫ|*ḫsem와 (부분적으로) *ḥ|*ḥsem를 단일 음소 ḫ|ḫsem로 합쳐 보존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무성 연구개 마찰음 또는 무성 구개수 마찰음으로 재구된다. 반면, 원시 셈어의 *ʾ|*ʾsem, *h|*hsem, *ʿ|*ʿsem, *ġ|*ġsem 음은 모두 소실되었다. 이러한 자음 탈락은 다른 셈어족 언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중고모음 /e/의 등장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아카드어 단어 ''bēl''('주인')은 원시 셈어 *ba‘al|*바알sem에서 유래했다. 또한, 치간 마찰음 계열이 치찰음으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아카드어 ''šalšu''('셋')는 원시 셈어 *ṯalaṯ|*살라트sem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동셈어군의 정확한 음운 구성은 완전히 알려진 것은 아니며, 특정 음가의 부재는 셈어족 언어의 소리를 표기하기에 수메르 문자가 부적합했기 때문일 수도 있고, 실제로 해당 음가가 없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동셈어군에는 다음과 같은 언어들이 속한다.
동셈어군의 어순은 서셈어족의 일반적인 동사-주어-목적어(VSO) 순서와 달리, 수메르어의 영향을 받아 주어-목적어-동사(SOV) 순서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동셈어군과 서셈어군은 주로 동사 완료형의 활용 체계에서 차이를 보인다. 동셈어군은 "접두사-C1C2VC3" 형태를 사용한다.[9] 예를 들어, 아카드어에서 '자르다'(부정형 parāsum, 어근 p-r-s)라는 동사의 1인칭 단수 완료형은 '나는 잘랐다'는 의미의 ''a-prus''가 된다. 반면, 서셈어군은 접미사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아랍어에서 '쓰다'(어근 k-t-b)라는 동사의 1인칭 단수 완료형은 '나는 썼다'는 의미의 ''katab-tu''가 된다.[10] 서셈어군의 이러한 형태는 동형용사에 접어 형태의 주격 대명사가 결합하여 이차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해석된다.[11]
3. 하위 분류
3. 1. 아카드어
아카드어는 셈어파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 자료를 가진 언어이다. 이미 기원전 2600년경의 수메르어 자료 속에서 아카드어 인명이 발견된다. 아카드어로 쓰인 자료는 기원전 2350년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약 2500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일상 언어로는 아마도 기원전 500년경에 쇠퇴하여 점차 아람어로 대체되었지만, 이후에도 제례나 지식인의 언어로서 서기 1세기까지 명맥을 유지했다.[12]
기원전 3천년기의 아카드어를 고(古)아카드어라고 부른다. 기원전 2천년기에 들어서면서 아카드어는 아시리아어와 바빌로니아어라는 두 주요 방언으로 나뉘었다. 시대에 따른 구분은 다음과 같다.
시대 | 바빌로니아어 | 아시리아어 |
---|---|---|
기원전 2000–1500년 | 고(古)바빌로니아어 | 고(古)아시리아어 |
기원전 1500–1000년 | 중(中)바빌로니아어 | 중(中)아시리아어 |
기원전 1000–600년 | 신(新)바빌로니아어 | 신(新)아시리아어 |
기원전 600년 이후 | 후기 바빌로니아어 | - |
이 중 고(古)바빌로니아어는 고전어로 여겨져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양쪽에서 사용되었다. 중기 이후의 아카드어는 중동 지역의 공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13]
아카드어의 음운론은 기록된 텍스트 연구와 재구된 원시 셈어와의 비교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연구개음과 인두음 마찰음, 그리고 성문음을 포함한 후설 자음이 줄어들었다는 점이다. 아카드어는 원시 셈어의 *ḫ|ḫsem와 부분적으로 *ḥ|ḥsem를 하나의 음소 ḫ|ḫsem로 보존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무성 연구개 마찰음 또는 무성 구개수 마찰음으로 재구된다. 반면, 원시 셈어의 *ʾ|ʾsem, *h|hsem, *ʿ|ʿsem, *ġ|ġsem와 같은 음들은 모두 소실되었다. 이러한 음운 변화는 다른 셈어족 언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중고모음 'e'의 등장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아카드어 단어 ''bēl''('주인')은 원시 셈어 *ba‘al|바알sem에서 유래했다. 또한, 치간 마찰음 계열이 치찰음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아카드어 ''šalšu''('셋')는 원시 셈어 *ṯalaṯ|살라트sem에서 변화한 것이다. 그러나 아카드어의 정확한 음운 구조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이는 셈어족의 소리를 표현하기에 수메르어 표기법이 가진 한계 때문일 수도 있으며, 단순히 특정 소리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어순의 경우, 아카드어는 수메르어의 영향을 받아 주어-목적어-동사(SOV) 순서를 가지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일반적인 서셈어족 언어들의 동사-주어-목적어(VSO) 어순과는 다른 점이다.
전반적으로 아카드어는 보수적인 언어적 특징을 가지면서도, 수메르어로부터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특히 바빌로니아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4]
3. 2. 에블라어
북서 시리아에서 출토된 에블라어 자료는 고대 아카드어와 거의 같은 기원전 2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출토된 자료의 양은 15,000건에 달하지만[15], 사용된 시기는 기원전 3천년기 중반에 한정된다[12]。처음에는 서셈어에 속한다고 여겨졌으나, 연구가 진행되면서 에블라어가 서셈어에 공통적인 특징(혁신형)을 가지지 않는 반면, 아카드어와 공통적인 몇 가지 특징(남성 복수형 어미, 인칭 대명사의 여격형 등)을 공유한다는 점이 밝혀졌다[16]。 이 때문에 현재는 동셈어에 속한다고 보는 견해가 우세하며, 일부 학자들은 아카드어의 초기 방언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에블라어는 표기법상의 제약이 커서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17]。
참조
[1]
서적
Civilizations of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
서적
Sargonic Akkadian: A Historical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Syllabic Text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3]
서적
Civilizations of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10-31
[5]
서적
Ritual, Performance, and Politics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Leaving No Stones Unturned: Essays o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in Honor of Donald P. Hansen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7]
서적
Approaching Chaos: Could an Ancient Archetype Save C21st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John Hunt
2010-01-16
[8]
문서
『[[言語学大辞典]]』では「東セム語派」
[9]
문서
Huehnergard (2004) p.151
[10]
문서
Huehnergard (2004) p.141
[11]
문서
Huehnergard (2004) p.152
[12]
문서
Huehnergard & Woods (2004) p.218
[13]
문서
Huehnergard & Woods (2004) p.219
[14]
문서
Huehnergard & Woods (2004) p.220
[15]
문서
Gordon (1997) pp.100-101
[16]
문서
Faber (1997) p.7
[17]
문서
Huehnergard & Woods (2004) p.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