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마니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마니시는 조지아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취락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9세기 아랍 지배 시기에 도시가 처음으로 언급되었으며, 중세 시대에는 상업 도시로 번성했다. 11세기 셀주크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가 조지아 왕 다비드 4세에 의해 탈환되었으나, 14세기 티무르의 침공과 1486년 투르크멘의 약탈로 인해 쇠퇴하여 18세기까지 사람이 거의 살지 않는 마을이 되었다. 1936년부터 드마니시 지역에서 고고학적 연구가 시작되어 선사 시대 동물과 사람의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1991년부터 2005년까지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게오르기쿠스' (드마니시 원인) 화석은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지아의 유적 - 트빌리시
    트빌리시는 쿠라 강 양안에 위치한 조지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5세기에 건설되어 12세기 번영을 누렸으나 외세의 지배를 받았고, 현재는 조지아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이다.
  • 조지아의 유적 - 아르마지
    아르마지는 고대 이베리아 왕국의 주요 도시이자 종교 중심지로, 요새화된 도시로 건설되어 로마 제국과의 관계 속에서 번성하며 고대 조지아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수도 이전과 아랍의 침략으로 쇠퇴한 후 성녀 니노 수도원이 세워졌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보호받는 고고학 유적지이다.
드마니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드마니시
현지 명칭დმანისი
현지 명칭 (언어)조지아어
다른 이름Başkeçid (아제르바이잔어)
선거 행정 사무소
선거 행정 사무소
행정 구역
국가조지아
크베모카르틀리 주
자치구드마니시 자치구
지리 정보
고도1250m
인구 통계
인구 (2024년)3050명
시간대
시간대조지아 시간
UTC 오프셋+4
하계 시간+5
기타 정보
추가 정보
드마니시
드마니시

2. 역사

드마니시 지역에는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취락이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실제로 도시의 존재가 문서상에서 확인되는 것은 9세기의 아랍 지배 시기부터이다. 또한 7세기 이슬람 지배 이전 조지아에서는 기독교가 널리 퍼져 있었으며, 6세기 드마니시에는 기독교 정교회의 대성당인 "드마니시스 시오니"(드마니시의 시온. 조지아의 대성당에는 성지의 이름이 붙는 경우가 많다)가 건설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마니시는 물품 및 문화 교류의 결절점에 위치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녔으며, 중세에는 조지아에서도 유수의 상업 도시로 번성하게 되었다. 11세기 말에는 셀주크 제국에 의해 일시적으로 정복되었지만, 1123년부터 1125년 사이 다비드 4세에 의해 탈환되었다. 그러나 14세기에는 티무르의 군대가, 1486년에는 투르크멘인이 침공하여 도시를 파괴했기 때문에, 그 이후 18세기까지는 거의 사람이 살지 않는 한촌이었다고 전해진다. 드마니시의 성은 조지아 명문가인 오르벨리아니 가문이 지배했다.

2. 1. 중세 시대

드마니시 마을은 초기 청동기시대 이래로 사람들이 정착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9세기에 아랍의 트빌리시 토후의 소유지로 맨 처음 언급된다. 6세기에 정교회 기독교 성당인 "드마니시스 시오니"가 그 곳에 건축되었다. 무역로와 문화적 영향들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트마니시는 중세 조지아의 주요 상업 중심지로 성장한 특별히 중요한 지역이었다. 그 마을은 1080년대에에 셀주크 투르크에게 정복당했지만, 후일 1123년과 1125년에 조지아의 왕 다비드 4세와 데메트리오스 1세에 의해 해방되었다. 14세기에 티무르 지휘 하의 투르코-몽골은 그 지역을 초토화 시켰다. 1486년, 투르크만이 또 다시 약탈하게 되어, 드마니시는 다시는 소생할 수 없었으며 18세기 쯤에는 간간히 사람이 거주하는 마을로 쇠퇴했다. 성은 오르벨리아니 가문이 통제했다.

2. 2. 쇠퇴기

드마니시 마을은 초기 청동기시대 이래로 사람들이 정착해 왔지만, 9세기에 아랍의 트빌리시 토후의 소유지로 맨 처음 언급된다. 6세기에 정교회 기독교 성당인 "드마니시스 시오니"가 그 곳에 건축되었다. 무역로와 문화적 영향들이 합류하는 지점에 있는 트마니시는 중세 조지아의 주요 상업 중심지로 성장한 특별히 중요한 지역이었다. 그 마을은 1080년대에에 셀주크 투르크에게 정복당했지만, 후일 1123년과 1125년에 조지아의 왕 다비드 4세와 데메트리오스 1세에 의해 해방되었다. 14세기에 티무르 지휘 하의 투르코-몽골은 그 지역을 초토화 시켰다. 1486년, 투르크만이 또 다시 약탈하게 되어, 드마니시는 다시는 소생할 수 없었으며 18세기 쯤에는 간간히 사람이 거주하는 마을로 쇠퇴했다. 성은 오르벨리아니 가문이 통제했다.

3. 고고학적 유적

1936년, 드마니시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고고학적 연구 조사가 시작되어 196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고대 및 중세 유물, 다양한 건물 및 구조물의 유적 외에도 선사 시대 동물과 사람의 희귀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1983년에는 조지아의 고생물학자 아베살롬 베쿠아가 동물 뼈 중 일부가 멸종된 코뿔소 ''디케로르히누스 에트루스쿠스 에트루스쿠스''의 치아와 같은 것이라고 확인했다. 이 종은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드마니시 중심지


드마니시 동부


1984년, 원시 시대 석기들이 발견되면서 드마니시 지역의 고고학적 유적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드마니시에서 출토되는 석기는 아슐리안에 특징적인 핸드 액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아슐리안에 선행하는 올도완형 석기 인더스트리에 분류된다. 1991년, 조지아 학술팀은 독일 로마-게르만 중앙 박물관(Römisch-Germanisches Zentralmuseum) 소속의 고고학자들과 합동 연구를 진행했고, 이후 미국, 프랑스, 스페인 연구자들과도 합동 연구를 진행했다.

3. 1. 주요 발견

1936년, 드마니시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고고학적 연구 조사가 시작되어 1960년대까지 계속되었다. 고대 및 중세 유물, 다양한 건물 및 구조물의 유적 외에도 선사 시대 동물과 사람의 희귀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1983년에는 조지아의 고생물학자 아베살롬 베쿠아가 동물 뼈 중 일부가 멸종된 코뿔소 ''디케로르히누스 에트루스쿠스 에트루스쿠스''의 치아와 같은 것이라고 확인했다. 이 종은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1984년, 원시 시대 석기들이 발견되면서 드마니시 지역의 고고학적 유적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드마니시에서 출토되는 석기는 아슐리안에 특징적인 핸드 액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아슐리안에 선행하는 올도완형 석기 인더스트리에 분류된다. 1991년, 조지아 학술팀은 독일 로마-게르만 중앙 박물관(Römisch-Germanisches Zentralmuseum) 소속의 고고학자들과 합동 연구를 진행했고, 이후 미국, 프랑스, 스페인 연구자들과도 합동 연구를 진행했다.

3. 2. 국제 공동 연구

1936년, 드마니시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고고학적 연구 조사가 시작되어 1960년대에도 계속되었다. 고대와 중세 공예품, 건물과 구조물들의 폐허 외에도 선사시대 동물들과 사람들의 희귀한 흔적들이 발견되었다. 1983년, 조지아의 고생물학자 아베살롬 베쿠아는 동물 뼈들 중 일부가 멸종한 코뿔소 ''디케로르히누스 에트루스쿠스 에트루스쿠스''의 치아와 같은 것들이라고 했다. 이 종은 플레이스토세 시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1984년에 원시 시대 석기들의 발견으로 그 지역의 고고학적 유적지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늘어났다. 1991년, 조지아 학술팀은 로마-게르만 중앙 박물관(Römisch-Germanisches Zentralmuseum) 소속의 독일 고고학자들과 합동 연구를 시작했고, 이후 미국, 프랑스, 스페인 연구자들과도 협력했다. 드마니시에서 출토되는 석기는 아슐리안에 특징적인 핸드 액스를 포함하지 않으며, 아슐리안에 선행하는 올도완형 석기 인더스트리에 분류된다.

3. 3. 호모 에렉투스 게오르기쿠스 (드마니시 원인)

1991년부터 2005년까지 드마니시에서는 초기 인류의 화석이 출토되었다. 이 뼈들은 "호모 에렉투스 게오르기쿠스" 혹은 "드마니시 원인"으로 불린다.[15] 대략 180만 년 전에 생존했던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호모 에렉투스의 아종이라는 의견이 있다.[9] 코카서스 지방의 초기 인류 화석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다. 지금까지 4개체의 골격이 발견되었으며, 사지골과 척추는 비교적 발달했지만 상체는 원시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드마니시 원인의 발견 이전에는, 아프리카에서 탄생한 인류가 다른 대륙으로 진출한 시기에 대해, 약 100만 년 전이라는 설이 학계의 다수를 차지했다. 그러나 드마니시에서 인골이 발견되어 연구가 진행되면서, 약 190만 년 전에 호모 에렉투스가 탄생한 직후 아프리카를 벗어났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16] 다비드 로르키파니제에 의해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호미닌 유해(180만 년)는 아프리카 밖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것이다.[10]

드마니시 호미닌 유해는 고생물학계에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드마니시 두개골 5는 논란의 중심에 있다. 이전에 다른 종으로 여겨졌던 많은 호미닌 화석들이 실제로 별개의 종이 아니었을 수 있다. 호모 속의 몇몇 초기 구성원들은 아마도 하나의 진화하는 계통이었을 것이다.[11]

3. 3. 1. 특징

호모 게오르기쿠스라고 명명된 초기 인류의 화석이 1991~2005년 사이에 드마니시에서 발견되었다. 180만 년 전의 H. 게오르기 쿠스는 호모에서 호모 에렉투스보다 먼저 분리된 종이며, 그 발견으로 코카서스에서 인류의 최초 활동 무대를 드러냈다.[15][16]

뒤따라, 원시 인류의 두개골과 상체, 그렇지만 그에 따르는 상대적으로 진화한 척추와 하지를 가졌던 4 점의 뼈 화석들이 발견되었다. 오늘날에는 그 종은 분리된 종이 아니며, 오스트랄로피테쿠스호모 에렉투스의 과도기 단계의 인류라고 여겨진다.[9]

초기 인류(또는 호미닌) 화석은 원래 ''호모 게오르기쿠스''로 명명되었으나 현재는 ''호모 에렉투스 게오르기쿠스''로 간주되며, 1991년에서 2005년 사이에 드마니시에서 발견되었다. 180만 년 된 이들은 현재 ''호모 에렉투스''의 아종으로 여겨지며, 별개의 ''호모'' 종이 아니다. 이 화석들은 코카서스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인류의 존재를 나타낸다.[10]

이후 네 개의 화석 골격이 발견되었는데, 머리뼈와 상체가 원시적이지만 척추와 하지는 비교적 진화한 종임을 보여준다.

다비드 로르키파니제에 의해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호미닌 유해(180만 년)는 아프리카 밖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것이다. 네안데르탈인 유해는 오르트발레 클데(1973년)와 코카서스 지역 다른 곳에서 발견되었다(36,000~50,000년 전).[10]

드마니시 호미닌 유해는 고생물학계에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드마니시 두개골 5는 논란의 중심에 있다: 이전에 다른 종으로 여겨졌던 많은 호미닌 화석들이 실제로 별개의 종이 아니었을 수 있다. 호모 속의 몇몇 초기 구성원들은 아마도 하나의 진화하는 계통이었을 것이다.[11]

1991년부터 2005년까지 드마니시에서는 초기 인류의 화석이 출토되었다. 이 뼈들은 "호모 에렉투스 게오르기쿠스" 혹은 "드마니시 원인"으로 불린다.[15] 대략 180만 년 전에 생존했던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호모 에렉투스의 아종이라는 의견이 있다. 코카서스 지방의 초기 인류 화석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다. 지금까지 4개체의 골격이 발견되었으며, 사지골과 척추는 비교적 발달했지만 상체는 원시적인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드마니시 원인의 발견 이전에는, 아프리카에서 탄생한 인류가 다른 대륙으로 진출한 시기에 대해, 약 100만 년 전이라는 설이 학계의 다수를 차지했다. 그러나 드마니시에서 인골이 발견되어 연구가 진행되면서, 약 190만 년 전에 호모 에렉투스가 탄생한 직후 아프리카를 벗어났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16]

3. 3. 2. 논쟁

호모 에렉투스 게오르기쿠스라고 명명된 초기 인류의 화석이 1991~2005년 사이에 드마니시에서 발견되었다.[15] 180만 년 전의 호모 에렉투스 게오르기쿠스는 호모에서 호모 에렉투스보다 먼저 분리된 종으로 여겨졌으며, 그 발견으로 코카서스에서 인류의 최초 활동 무대를 드러냈다.

뒤따라, 원시 인류의 두개골과 상체, 그렇지만 그에 따르는 상대적으로 진화한 척추와 하지를 가졌던 4 점의 뼈 화석들이 발견되었다. 오늘날에는 그 종은 분리된 종이 아니며, 오스트랄로피테쿠스호모 에렉투스의 과도기 단계의 인류라고 여겨진다.[9]

드마니시 호미닌 유해는 고생물학계에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드마니시 두개골 5는 논란의 중심에 있다: 이전에 다른 종으로 여겨졌던 많은 호미닌 화석들이 실제로 별개의 종이 아니었을 수 있다. 호모 속의 몇몇 초기 구성원들은 아마도 하나의 진화하는 계통이었을 것이다.[11] 드마니시에서 인골이 발견되어 연구가 진행되면서, 약 190만 년 전에 호모 에렉투스가 탄생한 직후 아프리카를 벗어났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16]

3. 4. 시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gions https://geostat.ge/m[...]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Georgia 2024-04-29
[2] 논문 Earliest human occupations at Dmanisi (Georgian Caucasus) dated to 1.85-1.78 Ma
[3] 논문 Earliest human remains in Eurasia: New 40Ar/39Ar dating of the Dmanisi hominid-bearing levels, Georgia
[4] 논문 Earliest Pleistocene Hominid Cranial Remains from Dmanisi, Republic of Georgia: Taxonomy, Geological Setting, and Age https://www.science.[...]
[5] 논문 Hominin occupation of the Chinese Loess Plateau since about 2.1 million years ago 2018-07-11
[6] 논문 Tools from China are oldest hint of human lineage outside Africa https://www.nature.c[...] 2018-07-11
[7] 웹사이트 New Fossil May Trim Branches of Human Evolution http://www.sciencefr[...] Science Friday 2015-09-24
[8] 뉴스 Dmanisi Human: Skull from Georgia Implies All Early Homo Species were One http://www.sci-news.[...] Sci-News.com 2018-01-30
[9] 논문 Skull 5 from Dmanisi: Descriptive anatomy, comparative studies, and evolutionary significance 2017
[10] 문서 Zatiashvili, 2008
[11] 웹사이트 Skull suggests three early human species were one: Nature News & Comment http://www.nature.co[...]
[12] 문서 Georgian census 2014
[13] 논문 Earliest human remains in Eurasia: New 40Ar/39Ar dating of the Dmanisi hominid-bearing levels, Georgia
[14] 논문 Earliest Pleistocene Hominid Cranial Remains from Dmanisi, Republic of Georgia: Taxonomy, Geological Setting, and Age 2000-05-12
[15] 웹사이트 「初期人類はすべて同一種」とする新説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 ジオグラフィック日本版 2013-10-18
[16] 웹사이트 グルジアの化石が明かす初期人類の旅 http://www.nikkei-sc[...]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