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케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정의의 여신으로, '정의', '판결', '권리' 등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그녀는 에우노미아(질서), 에이레네(평화)와 함께 호라이 여신 중 하나이며, 인간의 정의를 다스렸다. 디케는 때때로 제우스의 시중자로 묘사되었으며, 반대되는 개념은 아디키아(부정)였다. 디케는 별자리 처녀자리와 관련하여 아스트라이아로 불리기도 하며, 성경의 사도행전에도 언급된다. 현대 사회에서는 법과 정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의의 여신 - 유스티티아
유스티티아는 로마 신화의 정의의 여신으로, 권위(칼), 공정성(저울), 객관성(눈가리개)을 상징하며 법과 정의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정의의 여신 - 두르가
두르가는 "넘을 수 없는"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힌두교 여신으로, 마히샤수라마르디니라고도 불리며 나바라트리 축제의 중심인물이자 고대 기원을 가진 여신이다. - 그리스의 여신 - 에우리알레
에우리알레는 내용이 없는 빈 페이지이다. - 그리스의 여신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디케 | |
---|---|
기본 정보 | |
![]() | |
그리스어 | |label=none|lit=정의, 관습|translit=Díkē}} |
로마자 표기 | Dikē |
영어 발음 (IPA) | |
설명 | 정의의 여신, 도덕적 질서와 공정한 판단의 정신 |
관련 | 호라이 |
거주지 | 올림포스 산 |
상징 | 저울/균형 |
부모 | 제우스와 테미스 |
형제자매 | 호라이 에이레네 에우노미아 모이라이 여러 이복 형제자매 |
탈 것 | 해당사항 없음 |
2. 어원 및 상징
디케(Δίκη)라는 이름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정의', '판결', '권리' 등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후기 수사학에서는 추상적인 개념을 의인화하는 것을 예술적 장치로 사용했는데, 이는 후기 고대 시대에 교부 문학에 남겨진 우화로 발전했다. 유헤메리즘적 해석에 따르면, 디케는 원래 필멸의 존재로 태어났으며 제우스가 인간 세상을 공정하게 만들기 위해 지상에 두었다고 한다. 그러나 제우스는 곧 이것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디케를 올림푸스 산으로 불러 자신의 곁에 두었다.
2. 1.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의 디케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 조각상들은 제우스의 ''디케''를 통일된 도상학적 개념으로 삼고 있으며,[3] 시에서는 그녀가 종종 제우스의 시중자(πάρεδρος|파레드로스grc)로 묘사된다.[4] 기원전 5세기 말 아테네의 철학적 분위기 속에서, ''디케''는 의인화될 수 있었으며,[5] 도덕적 정의의 여신으로 여겨졌다.[6] 그녀는 에우노미아(질서)와 에이레네(평화)와 함께 2세대 호라이 중 하나였다.그녀는 인간의 정의를 다스린 반면, 어머니인 테미스는 신의 정의를 다스렸다.[7] 그녀의 반대는 ''아디키아'' ("부정")였으며, 올림피아에 보존된 고대 키펠루스의 상자의 부조에서,[8] 매력적인 모습의 ''디케''는 흉측한 모습의 ''아디키아''를 목 졸라 막대기로 때렸다.
2. 2. 호라이 여신 중 하나
디케는 에우노미아(질서)와 에이레네(평화)와 함께 2세대 호라이 중 하나였다.[6]핀다르의 시에서는 디케가 지혜로운 조언을 하는 테미스의 황금빛 딸들 중 하나로 묘사되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Ἀλλὰ Δίκα μὲν|알라 디카 멘grc
παρθένος ἀδελφὰ Εὐνομία θ᾽ ὁμότροφος|파르테노스 아델파 에우노미아 트 호모트로포스grc
σῴζουσιν ἀκλινῆ τρίπολιν|소주신 아클리네 트리폴린grc
καὶ θῆκαν ἀνθρώποισι πλοῦτον.|카이 테칸 안트로포이시 플루톤.grc
χρυσέας κoûραι Θέμιτος εὐβούλου.|크리세아스 쿠라이 테미토스 에우불루.grc
번역: "정의의 자매인 질서가 거기에 살고 있고, 도시의 굳건한 기초가 되며, 사람들의 부의 관리인 평화는 그들과 함께 길러졌다. 지혜로운 조언을 하는 테미스의 황금빛 딸들."[6]
그녀는 인간의 정의를 다스린 반면, 어머니인 테미스는 신의 정의를 다스렸다.[7]
3. 신화 속 디케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 조각상들은 제우스의 ''디케''를 통일된 도상학적 개념으로 삼고 있으며,[3] 시에서는 종종 제우스의 시중자(πάρεδρος|파레드로스grc)로 묘사된다.[4] 기원전 5세기 말 아테네의 철학적 분위기 속에서, ''디케''는 의인화되어 도덕적 정의의 여신으로 여겨졌다.[5][6] 그녀는 에우노미아(질서), 에이레네(평화)와 함께 2세대 호라이 중 하나였다. 핀다르는 디케를 '도시의 굳건한 기초'이며 '지혜로운 조언을 하는 테미스의 황금빛 딸들' 중 하나로 칭송했다.[7]
디케는 인간의 정의를 다스린 반면, 어머니인 테미스는 신의 정의를 다스렸다.[7] 디케는 부정을 상징하는 아디키아와 대립하는 존재였다. 고대 키펠루스의 상자에는 매력적인 모습의 디케가 흉측한 모습의 아디키아를 목 졸라 막대기로 때리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8]
수사학의 발달과 함께 추상적 개념의 의인화는 예술적 장치로 사용되었고, 이는 후기 고대가 교부 문학에 남긴 우화로 발전했다. 유헤메리즘적 해석에 따르면, 디케는 필멸의 존재로 태어나 제우스에 의해 인간을 공정하게 다스리기 위해 지상에 보내졌으나, 제우스는 곧 이것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그녀를 올림푸스 산으로 불러들였다.
3. 1. 아스트라이아
디케는 별자리 처녀자리와 관련하여 '아스트라이아'라는 별칭으로도 불렸다. 아라토스의 별자리 기원에 대한 설명에 따르면, 디케는 황금 시대와 은 시대에 지구에 살았는데, 그때는 전쟁이나 질병이 없고 사람들은 훌륭한 작물을 재배했으며 아직 항해술을 몰랐다고 한다.[9] 그러나 그들은 탐욕스러워졌고, 디케는 역겨움을 느꼈다.디케는 하늘로 떠났고, 그곳에서 별자리가 되어 가증스러운 인류를 지켜보았다. 그녀가 떠난 후, 인류는 질병이 발생하고 항해술을 배우게 된 청동기 시대로 쇠퇴했다.
4. 성경 속 디케
대부분의 성서학자들은 사도행전이 마지막 장에서 디케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고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 한다.[10] 사도행전 27장에는 사도 바울이 자신의 법적 문제를 황제에게 상소한 후 호송을 받아 로마로 향하는 이야기가 나온다.[11] 폭풍을 만나 배가 좌초되고 간신히 죽음을 면하고 해안가에 도착한 후,[12] 그들은 몰타에 상륙했으며 현지인들의 보살핌을 받았다.[13] 바울은 불을 지피는 것을 돕다가 뱀에게 물렸고, 현지인들은 "분명 이 사람은 살인자다! 바다는 피했지만, 정의는 그를 살려두지 않았다" (NET)라고 말한다.[14][15]
당시에는 바다가 신들이 복수를 행하는 장소라는 믿음이 일반적이었으며, 뱀에게 물린 것은 난파에서 살아남은 바울을 디케가 뒤쫓는 것으로 여겨졌을 것이다.[17]
5. 현대 사회에서의 디케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요청해주세요.)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archive.org/[...]
John Murray
2018-04-02
[2]
서적
Webster's Condensed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eorge Routledge and Sons
2018-04-10
[3]
논문
Narrative Resonance in the East Pediment of the Temple of Zeus at Olympia
1987-03
[4]
문서
Sophocles, ''Oedipus at Colonus'' 1377; Plutarch, ''Life of Alexander'' 52; ''Orphic Hymn'' to Dike'' (61), 2 (Athanassakis and Wolkow, [https://archive.org/details/isbn_9780891301196/page/50/mode/2up?view=theater p. 50]).
[5]
간행물
The special character of Greek anthropomorphism
Harvard University Press
[6]
문서
She is already given a genealogy, as daughter of [[Themis]], in [[Hesiod]], ''Theogony'' 901, and approaches the throne of Zeus with lamentation at human injustices in ''[[Works and Days]]'', 239f, both poems {{circa}} late 7th century BCE.
[7]
문서
''[[Brill's New Pauly]]'', [https://referenceworks.brillonline.com/entries/brill-s-new-pauly/dike-e317890?s.num=0&s.f.s2_parent=s.f.book.brill-s-new-pauly&s.q=dike s.v. Dike].
[8]
문서
[[#Pausanias_5_18_2|Minutely described by Pausanias]] in the later second century CE.
[9]
서적
Callimachus, Hymns and Epigrams. Lycophron. Aratus.
http://www.theoi.com[...]
William Heinemann
[10]
문서
e.g., David Peterson ((2009). ''The Acts of the Apostles.'' In The Pillar New Testament Commentary. Grand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John Pohill ((1992). ''Acts'' In The New American Commentary. Nashville: Broadman & Holman.), and Ben Witherington ((1998). ''The Acts of the Apostles: A Socio-Rhetorical Commentary''.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1]
문서
Acts 25:11
[12]
문서
Acts 27:1-44
[13]
문서
Acts 28:1-2
[14]
문서
"{{Bibleverse|Acts|28:4|NET}}"
[15]
문서
"[[Novum Testamentum Graece|NA28]], [[SBL Greek New Testament|SBLGNT]], and UBS5 all agree with the reading Πάντως φονεύς ἐστιν ὁ ἄνθρωπος οὗτος ὃν διασωθέντα ἐκ τῆς θαλάσσης ἡ δίκη ζῆν οὐκ εἴασεν."
[16]
서적
The Acts of the Apostles: A Socio-Rhetorical Commentary
Wm. B. Eerdmans Publishing
1998
[17]
논문
Hellenistic Preconceptions of Shipwreck and Pollution as a Concept for Acts 27–28.
1980
[18]
문서
ヘーシオドス、901~903。アポロドーロス、1巻3・1。
[19]
웹사이트
伝エラトステネス『星座論』(4) おとめ座・ふたご座・かに座
https://palladi.blog[...]
2022-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