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미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미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여신으로, "신성한 법"을 의미하며, 정의, 질서, 예언과 관련된 역할을 한다.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딸이자 티탄 신족 중 하나이며, 제우스의 두 번째 아내로 호라이, 모이라이 등을 낳았다. 테미스는 델포이 신탁을 세우고, 올림포스 신들의 회의를 소집하는 역할을 하며, 인간에게는 홍수 이후 종족을 회복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등 다양한 신화 속 역할들을 수행했다. 현대에는 정의의 여신으로 묘사되며, 법원 건물 외부에 조각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법의 신 - 바루나
바루나는 힌두교의 신으로, 베다 시대에는 천공신, 사법신, 수신으로 숭배받았으며, 불교에서는 수천으로, 이란 신화에서는 아후라 마즈다와 대응된다. - 법의 신 - 마프데트
마프데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고양잇과 머리 또는 몸을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파라오와 라를 보호하고 죄인을 처단하는 집행자 역할을 하는 여신이다. - 정의의 여신 - 유스티티아
유스티티아는 로마 신화의 정의의 여신으로, 권위(칼), 공정성(저울), 객관성(눈가리개)을 상징하며 법과 정의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다. - 정의의 여신 - 두르가
두르가는 "넘을 수 없는"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힌두교 여신으로, 마히샤수라마르디니라고도 불리며 나바라트리 축제의 중심인물이자 고대 기원을 가진 여신이다. - 제우스의 여인 - 헤라
헤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결혼, 여성, 출산의 여신으로, 제우스의 아내이자 자매이며, 질투심 많은 모습으로 묘사되고, 트로이 전쟁에서 그리스 편을 지원하며, 공작새 등을 상징한다. - 제우스의 여인 - 에우로페
에우로페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미노스 등을 낳았으며, 유럽 대륙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고, 예술 작품과 유럽 연합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 테미스 | |
|---|---|
| 일반 정보 | |
![]() | |
| 역할 | 정의, 신성한 법, 질서, 관습, 집회, 신탁의 여신 |
| 소속 | 티탄 |
| 거주지 | 올림포스 산 |
| 상징물 | 정의의 저울, 청동 검 |
| 배우자 | 제우스 |
| 부모 | 우라노스, 가이아 |
| 자녀 | 호라이: 디케, 에이레네, 에우노미아 모이라이: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 |
| 신화적 관계 | |
| 형제자매 | 코이오스 크리오스 크로노스 히페리온 이아페토스 오케아노스 므네모시네 포이베 레아 테티스 테이아 헤카톤케이레스: 브리아레오스, 코토스, 규게스 키클롭스: 아르게스, 브론테스, 스테로페스 기간테스 에리니에스 멜리아데스 |
| 이름 정보 | |
| 로마자 표기 | Themis |
| 로마 신화 | |
| 대응 | 유스티티아 |
| 숭배 중심지 | |
| 주요 장소 | 람노스 |
2. 어원 및 명칭
테미스(Themis)는 인간의 법령이 아닌 "신성한 법"을 의미하며, 문자 그대로는 "자리 잡은 것"을 뜻한다. 이는 "놓다"라는 의미를 지닌 그리스어 동사 τίθημι|티테미grc에서 유래했다.[3]
''테미스''(Themis)는 인간이 만든 법령이 아닌 "신성한 법"을 의미하며, 문자 그대로는 "자리 잡은 것"을 뜻한다. 이는 그리스어 동사 '티테미'(τίθημι)에서 유래했는데, "놓다"라는 의미를 지닌다.[3]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테미스는 본래 "인간의 공동 문제, 특히 집회"를 조직하는 역할을 맡았다.[4] 기원전 8세기 호메로스가 사용한 '테미스'라는 단어는 기원전 10세기와 9세기 그리스 암흑기의 사회 질서를 연상시킨다. 모세 핀리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테미스는 '정의'가 신격화된 인물로서 처음 기록되었다. 헤시오도스는 당시 사회-종교적 의식과 초기 종교 의례를 바탕으로 우주의 힘을 신으로 묘사했으며, 시간적 정의를 상징하는 디케를 제우스와 테미스의 딸로 그렸다. 디케는 판결과 형벌에 관한 법을 집행했고, 어머니 테미스와 함께 운명의 여신 모이라이의 최종 결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맡았다.[14]
[1]
간행물
Brill's New Pauly
https://referencewor[...]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테미스는 원래 "인간 공동체의 문제, 특히 집회"를 조직하는 역할을 의미했다.[4] 모세 핀리는 기원전 8세기에 호메로스가 사용한 단어로서 '테미스'를 언급하며, 이것이 기원전 10세기와 9세기 그리스 암흑기의 사회 질서를 떠올리게 한다고 설명했다. 핀리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테미스는 번역하기 어렵다. 신들의 선물이자 문명화된 존재의 표시인 이것은 때로는 올바른 관습, 적절한 절차, 사회 질서를 의미하며, 때로는 (징조로 드러난) 신들의 의지를 의미하기도 한다. 정의라는 개념과는 거의 거리가 멀다."[5]
핀리는 또한 "관습, 전통, 민속, ''모레스'', 우리가 무엇이라고 부르든 그것은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6]
아폴론 찬가에서 테미스는 "이크나에아(Ichnaea)", 즉 "추적자"로 언급되기도 한다.[7]
3. 가족 관계 및 묘사

일부 고전적 묘사에서 테미스는 저울을 들고 있는 근엄한 모습의 여신으로 그려진다.[8] 일부 그림에서는 칼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10] 어머니인 가이아처럼 테미스 역시 대지의 여신으로 여겨지며, 일부 이야기에서는 둘을 구분하기 어렵다고 한다.[9]
테미스는 분노하는 신이 아니며, 오히려 올림포스에서 제우스와 다투고 돌아온 헤라에게 가장 먼저 잔을 건넨 이도 "아름다운 뺨을 가진" 테미스였다.[12] 그녀는 남녀 간의 올바른 관계, 즉 질서 잡힌 가족 관계의 기초를 주관했다(가족은 데모스의 기둥으로 여겨졌다).[13] 판사들은 종종 ''테미스토폴로이'' (테미스의 하인)라고 불렸다.[13] 이는 올림포스 질서의 기초이기도 했으며, 헤라조차 그녀를 "테미스 여신"이라 칭했다.[13] 테미스가 무시당할 경우, 네메시스가 정의로운 보복을 가져왔기에, 람누스에서는 네메시스와 신전을 공유하기도 했다.[11]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처음 등장하는데, 이는 '정의'가 신격화된 최초의 기록이다.[14] 헤시오도스는 시간적 정의인 디케를 제우스와 테미스의 딸로 묘사했으며, 디케는 어머니 테미스와 함께 모이라이의 최종 결정을 수행하고 판결과 형벌에 대한 법을 집행했다.[14]
헤시오도스의 《테오고니》와 《오르페우스 찬가》에 따르면, 테미스는 가이아(대지)와 우라노스(하늘) 사이에서 태어난 티탄 12신 중 하나이다.[16][18] 반면, 히기누스의 《이야기집》에서는 아이테르와 테라(대지)의 딸로 묘사된다.[20][21]
헤시오도스에 따르면, 테미스는 조카인 제우스의 두 번째 아내(메티스 다음)가 되어[59][60] 호라이(계절의 여신)인 에우노미아(질서), 디케(정의), 에이레네(평화)와[17][59][60] 모이라이(운명의 여신)인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를 낳았다.[17][60] 《오르페우스 찬가》 역시 테미스를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호라이의 어머니로 언급하며,[19] 히기누스 또한 테미스를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호라이의 어머니로 본다.[20][21]
다른 전승에서는 에우리피데스의 《히폴리토스》 주석에 따라 테미스가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헤스페리데스를 낳은 어머니라고도 한다.[23] 아폴로도로스는 헤라클레스가 헤스페리데스의 황금 사과를 찾는 과정에서 네레우스의 위치를 알려준 님프들이 제우스와 테미스의 딸들이라고 전한다.[61] 또한 아이스킬로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는 테미스가 프로메테우스의 어머니로 나온다.[22]
4. 신화 속 역할
: 테미스는 번역하기 어렵다. 신들의 선물이자 문명화된 존재의 표지인 이것은 때로는 올바른 관습, 적절한 절차, 사회 질서를 의미하며, 때로는 (예를 들어 징조로 드러난) 신들의 의지를 의미한다.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 정의라는 개념과는 거리가 멀다.[5]
핀리는 "관습, 전통, 민속, 관례 등 우리가 무엇이라고 부르든, 그것은 엄청난 힘을 지닌다"고 덧붙였다.[6]
아폴론 찬가에서는 테미스를 "이크나에아(Ichnaea)", 즉 "추적자"라고 부른다.[7] 전통적으로 아이스킬로스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프로메테우스 결박에서는 프로메테우스가 테미스를 가이아를 포함한 여러 이름으로 불렀다고 말한다.[15]
헤시오도스의 《테오고니》에 따르면, 테미스는 가이아(대지)와 우라노스(하늘) 사이에서 태어난 열두 티탄 중 하나이다.[16] 그녀는 조카인 제우스의 두 번째 아내가 되어 호라이(계절의 여신들)인 에우노미아(질서), 디케(정의), 에이레네(평화)와 모이라이(운명의 여신들)인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를 낳았다.[17][59][60] 《오르페우스 찬가》 역시 헤시오도스와 비슷하게 테미스를 가이아와 우라노스의 딸로 묘사하며,[18] 호라이에 대한 《오르페우스 찬가》에서는 그녀를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호라이의 어머니라고 부른다.[19]
히기누스의 《이야기집》에서는 테미스를 아이테르와 테라(대지)의 딸이자,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호라이를 낳은 어머니로 설명한다.[20][21] 아이스킬로스의 《결박된 프로메테우스》에서는 테미스가 프로메테우스의 어머니로 나오며,[22] 에우리피데스의 《히폴리토스》 주석에 따르면 제우스와의 사이에서 헤스페리데스를 낳았다고도 한다.[23]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헤라클레스의 열한 번째 과업인 헤스페리데스의 황금 사과 획득을 도운 님프들은 제우스와 테미스 사이의 딸들이었다.[61]
테미스는 델포이 신탁소를 세웠고 직접 신탁자로 활동했다.[24] 다른 전설에 따르면, 테미스는 어머니 가이아로부터 델포이 신탁소를 물려받아 나중에 포이베에게 넘겨주었고, 포이베는 다시 자신의 손자인 아폴론에게 생일 선물로 주었다고 한다.[25] 일설에는 테미스가 예언의 기술에 뛰어나 아폴론에게 이를 가르쳤고, 아폴론이 후에 델포이에 자신의 신탁소를 세울 수 있었다고 한다. 에포루스는 테미스가 인류를 돕기 위해 아폴론이 신탁을 찾는 것을 도왔다고 기록했다.[26] 테미스는 여러 예언을 했는데,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 나오는 드리오페 이야기에서는 다가올 테베의 내전을 신들에게 경고했다.[27]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제우스와 포세이돈에게 테티스와 결혼하지 말라고 경고했는데, 그 이유는 테티스의 아들이 아버지보다 더 강해질 운명이었기 때문이다.[28] 오비디우스에 따르면, 대홍수 이후 새로운 인류를 만들기 위해 데우칼리온에게 "어머니의 뼈"(돌)를 어깨 너머로 던지라고 조언한 것은 제우스가 아니라 테미스였다.[29] 또한 오비디우스는 테미스가 제우스의 아들(헤라클레스)이 아틀라스의 과수원에서 황금 사과를 훔칠 것이라고 예언했다고 전한다.[30]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테미스는 제우스의 명을 받아 신들을 올림포스 산 회의에 소집하는 역할을 맡는다.[31] 그녀는 델로스에서 아폴론의 탄생을 지켜보았고, 꿀과 암브로시아를 먹여 그를 길렀다.[32] 히기누스는 그의 저서 《천문학》에서 어린 제우스를 돌본 양어머니이자 간호인으로 요정 아말테이아와 함께 테미스를 언급한다.[33] 핀다로스의 단편에서는 테미스가 오케아노스의 샘에서 모이라이(이 버전에서는 그녀의 딸이 아님)에 의해 올림포스로 인도되어 제우스의 첫 번째 아내(두 번째가 아님)가 되었고, 그와의 사이에서 호라이를 낳았다고 한다.[34]
키프로스의 스타시누스가 쓴 것으로 알려진 사라진 서사시 《키프리아》에 따르면, 테미스와 제우스는 함께 트로이 전쟁의 발발을 계획했다.[35] 퀸투스 스미르나이우스에 따르면, 트로이 목마가 만들어진 후 신들이 제우스의 명령을 어기고 서로 싸우려 하자, 테미스가 제우스의 분노를 경고하며 그들을 막았다고 한다.[36]
오르페우스교의 "랩소디 신학"(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37]에서는 닉스(밤)가 테미스가 레아가 크로노스의 아이를 낳을 때까지 처녀로 남을 것이라고 예언했다.[38]
테미스는 또한 젊은 사랑의 신 에로스의 성장에도 관여했다. 포르피리오스에 따르면, 에로스의 어머니 아프로디테는 아들이 영원히 아이로 남아있는 것을 걱정하여 테미스에게 조언을 구했다. 테미스는 에로스가 혼자이기 때문에 자라지 못하는 것이라며, 그에게 형제를 만들어주라고 조언했다. 이에 아프로디테는 또 다른 사랑의 신 안테로스("반대 사랑")를 낳았고, 에로스는 안테로스가 곁에 있을 때만 성장했다. 안테로스가 떠나면 에로스는 다시 작아졌다고 한다.[39]
네 명의 크레타 남자(아이골리우스, 켈레우스, 케르베로스, 라이오스)가 크레테의 신성한 동굴에 침입하여 신성한 벌들이 만든 꿀을 훔치려 했을 때, 제우스는 그들을 죽이려 했다. 하지만 테미스와 그녀의 딸들인 모이라이는 신성한 동굴 안에서 누군가를 죽이는 것은 불경한 일이라며 제우스를 설득했고, 대신 네 남자를 각각 다른 새로 변신시켰다.[40]
테미스는 종종 "정의의 여신"으로 여겨지지만, 이는 현대적인 의미의 "정의"와는 다르다. 고대 그리스어로 정의에 해당하는 신은 그녀의 딸인 디케 여신이다. 테미스는 현대 한국어 개념에 비추어 보면 "규율"이나 "법"의 의미에 더 가깝다. 티탄 신족과 올림포스 신들의 전쟁 이후 패배한 티탄들은 대부분 주요 신의 지위를 잃었지만, 테미스는 올림포스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지위와 위세를 유지한 거의 유일한 티탄 신이었다.
5. 테미스와 디케
테미스는 종종 "정의의 여신"으로 불리지만, 이는 현대적인 의미의 "정의"와는 차이가 있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정의에 더 가까운 개념을 나타내는 신은 디케 여신이었다. 테미스는 현대적 개념으로는 "규율"이나 "법"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티탄 신족과 올림포스 신들의 전쟁 이후 패배한 티탄들은 주요 신의 지위를 잃었으나, 테미스는 올림포스 시대에도 그 지위와 위세를 유지한 유일한 티탄 신이었다.
테미스는 로마 신화의 유스티티아 여신과 동일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저울을 들고 사법에서의 법과 정의를 상징하는 조각상으로 표현되는 여신은 테미스가 아니라 로마 신화의 유스티티아이다. 유스티티아는 정의의 여신으로서 서양에서 사법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6. 현대의 묘사

현대의 테미스는 종종 "정의의 여신"이라고 불리며[50], 많은 법원 건물 외부에 조각상이 세워져 있다.
2022년에는 유럽 연합 사법 재판소의 일반 법원의 주요 법정을 둔 건물이 ''테미스 빌딩''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51]
테미스는 로마 신화에서 유스티티아 여신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 근대·현대에 저울을 들고 사법에서의 법과 정의의 상징으로 조각상에 표현되는 것은 테미스가 아니라 로마 신화의 유스티티아이다. 그녀는 정의의 여신으로서 서양에서는 사법의 상징이 되었다.
참조
[2]
서적
Θέμις
https://dictionaries[...]
Brill
[3]
LSJ
θέμις
http://www.perseus.t[...]
[4]
웹사이트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Law) Themis, Goddess of Justice
https://web.archive.[...]
2008-07-16
[5]
서적
The World of Odysseus
Viking Press
1978
[6]
서적
The World of Odysseus
[7]
간행물
Homeric Hymn to Apollo
http://www.perseus.t[...]
[8]
encyclopaedia
Encyclopedia of World Religions
2006
[9]
journal
Mythology and the Images of Justice
2013
[10]
book
The Gods and Religions of Ancient and Modern Times ...
https://books.google[...]
Bennett
1880
[11]
book
The Mother of the Gods, Athens, and the Tyranny of Asia: A Study of Sovereignty in Ancient Relig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07-11
[12]
간행물
Iliad
http://www.perseus.t[...]
[13]
book
The Greek Myths
https://books.google[...]
S&T
2014-12-25
[14]
웹사이트
Justice and the Face of the Great Mother (East and West)
http://www.bu.edu/wc[...]
[15]
간행물
Prometheus bound
http://www.loebclass[...]
[16]
간행물
Theogony
https://www.perseus.[...]
[17]
간행물
Theogony
https://www.perseus.[...]
[18]
간행물
Orphic Hymn to Themis
https://books.google[...]
[19]
간행물
Orphic Hymn to the Seasons
https://books.google[...]
[20]
간행물
Fabulae
https://books.google[...]
[21]
간행물
Fabulae
https://books.google[...]
[22]
간행물
Prometheus Bound
http://www.loebclass[...]
[23]
간행물
Hippolytus
https://books.google[...]
[24]
간행물
Bibliotheca
https://topostext.or[...]
[25]
간행물
Eumenides
http://www.perseus.t[...]
[26]
간행물
Geographica
https://www.perseus.[...]
[27]
간행물
Metamorphoses
http://www.perseus.t[...]
[28]
간행물
Bibliotheca
https://www.perseus.[...]
[29]
간행물
Metamorphoses
https://topostext.or[...]
[30]
간행물
Metamorphoses
https://topostext.or[...]
[31]
간행물
Iliad
https://www.perseus.[...]
[32]
간행물
Homeric Hymn to Apollo
https://www.perseus.[...]
[33]
간행물
De Astronomica
https://topostext.or[...]
[34]
간행물
https://www.loebclas[...]
[35]
간행물
Cypria
https://www.gutenber[...]
[36]
서적
Posthomerica
https://www.loebclas[...]
[37]
서적
https://books.google[...]
[38]
서적
Commentary on Plato's Timaeus
https://archive.org/[...]
[39]
서적
https://archive.org/[...]
[40]
서적
Collection of Transformations
https://topostext.or[...]
[41]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42]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43]
서적
https://archive.org/[...]
[44]
서적
Strabo
https://www.perseus.[...]
[45]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46]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47]
서적
Pausanias
https://www.perseus.[...]
[48]
문서
Acropolis, Temple of Themis
library-artstor-org.[...]
Artstor
[49]
문서
Temple of Themis
library-artstor-org.[...]
Artstor
[50]
서적
The Guide to American law: everyone's legal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St. Paul [Minn.] : West Pub. Co.
1983
[51]
웹사이트
Themis Building
https://curia.europa[...]
Europa (web portal)
2023-10-01
[52]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53]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54]
서적
Theogony
https://www.perseus.[...]
[55]
서적
Critias (dialogue)
http://data.perseus.[...]
[56]
서적
Prometheus Bound
http://www.loebclass[...]
[57]
문서
http://data.perseus.[...]
[58]
문서
原語版『テオゴニアー』(神統記) Θεογονία l.135
[59]
문서
原語版『テオゴニアー』(神統記) Θεογονία l.900-l.906
[60]
문서
原語版『ビブリオテーケー』(ギリシア神話) Βιβλιοθήκη Α 3,1
[61]
문서
原語版『ビブリオテーケー』(ギリシア神話) Βιβλιοθήκη Β 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