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라트비아 SSR)은 1940년 8월 5일 소련에 강제 병합된 라트비아를 지칭한다. 1918년 독립 이후 소련에 합병되기까지 라트비아는 독립국이었으며, 1940년 소련의 점령은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체결 이후 이루어졌다. 소련은 라트비아를 점령한 후, 선거 조작을 통해 라트비아 SSR을 수립하고 소련에 편입시켰다. 스탈린 시대 동안 라트비아는 강제 이주, 집단농장화, 러시아어 사용 강요 등 소련의 지배를 받았다.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개혁으로 자율성을 얻었고, 1990년 독립을 선언, 1991년 소련 쿠데타 실패 후 완전한 독립을 회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기는 소비에트 연방 구성 공화국이었던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사용했던 국기로, 붉은색 바탕에 낫과 망치, 별 등의 사회주의 상징 문양이 들어가 있으며, 1990년 라트비아 독립 회복 후 기존 국기로 대체되었고 2013년부터 공공 행사 사용이 금지되었다.
  •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노래 혁명
    노래 혁명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1년까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서 일어난 비폭력 독립 운동으로,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한 소련의 자유화 정책 속에서 세 나라가 민족주의적 열망을 노래와 시위로 표현하며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쟁취하고자 한 운동이다.
  • 라트비아의 역사 - 압레네 지역
    압레네 지역은 한국 사회의 산업화, 민주화, 지방 분권과 관련된 지역으로 정부 주도 개발과 수출 주도형 성장을 통해 발전했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라는 문제점에 직면해 있으며 민주당 지지율이 높고 수출 중심 성장 전략에 의존하는 특징을 가진다.
  • 라트비아의 역사 - 쿠를란트
    쿠를란트는 라트비아 서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리가 만과 발트 해에 접하며, 13세기 초 정복 후 튜턴 기사단의 지배를 거쳐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봉신국인 쿠를란트 공국으로 형성, 러시아 제국 편입, 라트비아의 일부, 소련을 거쳐 독립 라트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는 쿠르제메 계획 지역에 해당하며 라트비아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소련의 공화국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22년 소련에 가입한 구성 공화국으로, 농업 및 공업 기지였으나 중앙집권적 통제와 홀로도모르 등의 비극을 겪었으며,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국민투표를 통해 독립을 확정지었다.
  • 소련의 공화국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36년부터 1991년까지 존속한 소련의 구성 공화국으로, 계획경제 체제하에 면화 재배 중심의 농업과 소규모 공업이 발전했으나 중앙집권적 통제와 경제적 착취, 문화적 동화 정책, 민족 갈등, 종교적 자유 제한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독립 후에도 그 시대의 경험이 현재 키르기스스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
국기 (1953–1990)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장
국장 (1940–1990)
공식 명칭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현지 명칭lang: lv
value: Latvijas Padomju Sociālistiskā Republika (라트비야스 파도뮤 소치알리스티스카 레푸블리카)
lang: ru
value: Латвийск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라트비스카야 소베츠카야 소치알리스티체스카야 레스푸블리카)
약칭라트비아 SSR
표어Visu zemju proletārieši, savienojieties! (비스우 젬유 프롤레타리에시, 사비에노이에티에스!)
표어 (번역)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국가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
정치
정치 체제단일제 마르크스-레닌주의 일당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40–1989)
단일제 다당제 의회 공화국 (1989–1990)
공산당 제1 서기Jānis Kalnbērziņš (야니스 칼른베르진슈) (1940–1959)
Arvīds Pelše (아르비츠 펠셰) (1959–1966)
Augusts Voss (아우구스츠 보스) (1966–1984)
Boriss Pugo (보리스 푸고) (1984–1988)
Jānis Vagris (야니스 바그리스) (1988–1990)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 의장 (Head of state)Augusts Kirhenšteins (아우구스츠 키르헨슈테인스) (1940–1952)
Anatolijs Gorbunovs (아나톨리스 고르부노프스) (1988–1990)
정부 수반 (Head of government)Vilis Lācis (빌리스 라치스) (1940–1959)
Vilnis Edvīns Bresis (빌니스 에드빈스 브레시스) (1988–1990)
입법부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역사
성립 이전소비에트 점령 (1940년 6월 17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설립1940년 7월 21일
소련에 불법 병합, 라트비아는 법적으로 존속1940년 8월 5일
나치 점령1941–1945
소련 재점령,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재건1944/1945
국가 주권 선언1989년 7월 28일
독립 회복1990년 5월 4일
소련 국가 평의회의 독립 승인1991년 9월 6일
인구
민족 구성 (1989년)라트비아인 52%
러시아인 33%
벨라루스인 4%
우크라이나인 3%
폴란드인 2%
리투아니아인 1%
유대인 1%
기타 2%
기타 정보
통화소비에트 루블
통화 코드SUR
전화 코드+7 013
현재 국가라트비아

2. 역사

1918년 독립 이후 라트비아1940년 8월 5일 소련에 강제 합병되어 15번째 공화국이 되었다. 1990년 소련 쿠데타 실패 직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와 함께 독립을 선언하여 그 해 9월 유엔에 가입했다.[9]

이오시프 스탈린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1939년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체결 이후, 소련은 에스토니아에 군사 기지 설치 및 군대 주둔을 요구하는 조약을 강요했고, 라트비아에도 유사한 조약을 요구했다. 칼리스 울마니스 정부는 이를 수락하여 1939년 10월 5일 소련-라트비아 상호 원조 조약이 체결되었다.[9] 1940년 6월 17일, 소련은 라트비아를 점령했다.

소련은 라트비아를 포함한 발트 국가들이 군사적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비난하며 정부 교체와 군대 진입을 요구했다.[10] 울마니스 정부는 유혈 사태를 피하고자 이를 수용하고 사임했으며, 소련의 지시로 좌익 정부가 구성되었다. 이후 인민 의회 선거가 치러졌으나, 이는 조작된 선거였다.[16][17][18][19] 1940년 7월 21일, 인민 의회는 라트비아 SSR 수립과 소련 가입을 요청했고, 8월 5일 소련은 이를 승인하여 라트비아를 공식적으로 병합했다.

병합 이후, 라트비아 공산당 중앙 위원회 제1서기가 실권을 장악했으며, 주요 인물로는 야니스 칼른베르진스, 아르비드스 펠셰, 아우구스트스 보스, 보리스 푸고 등이 있었다.

소련은 라트비아에 소련 헌법과 형법을 도입하고, 인쇄 매체와 인쇄소를 국유화했으며, 서적 검열을 시행했다.[21] 독립 이후 시행되었던 토지 개혁은 대부분 국유화되기에는 규모가 작았지만, 1941년 초부터 집단화를 위한 준비가 시작되었다.[21]

또한, 소련은 라트비아의 주요 정치 및 군사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추방하기 시작했다. 1941년에는 대규모 추방 계획을 세워 15,424명의 라트비아 주민들을 시베리아굴라크 수용소 등으로 강제 이주시켰다.[22]

1941년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나치 독일이 라트비아를 점령하면서, 많은 라트비아인들이 독일 점령에 저항했다. 저항 운동은 라트비아 중앙 위원회와 소련 파르티잔 부대로 나뉘어 활동했다.[21]

1944년 중반, 소련이 라트비아를 재점령하면서 다시 소련 체제가 시작되었다. 1949년에는 프리보이 작전을 통해 43,000여 명의 농촌 주민들이 시베리아 등으로 강제 이주되었다.[25] 전후 라트비아는 소비에트식 농업 방식을 강요받았고, 경제 기반 시설은 파괴되었다.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후, 흐루쇼프 해빙으로 알려진 시기에 라트비아 공산당 내 국가적 공산주의자들의 영향력이 커졌다. 그러나 1959년 이들은 숙청되었고, 이후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라트비아 공산당의 고위직을 차지하게 되었다.[12]

1960년대 이후, 라트비아에는 대규모 산업 공장이 건설되었고, 이를 운영하기 위해 러시아 등지에서 노동자들이 이주해 오면서 라트비아인의 비율이 감소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는 경제 정체가 시작되었고, 암시장, 무단 결근, 알코올 중독 등이 만연했다.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 정책으로 라트비아에서도 민족 운동이 결집되었다. 1990년 3월 민주 선거에서 독립 지지 세력이 다수를 차지했고, 5월 4일 최고 평의회는 독립 회복을 선언했다.[30] 1991년 8월 21일, 라트비아는 완전한 독립을 회복했다.[31]

제1서기재임 기간
:lv:Jānis Kalnbērziņš1940년 8월 25일 – 1959년 11월 25일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러시아로 망명)
아르비드 펠셰1959년 11월 25일 – 1966년 4월 15일
아우구스트스 보스1966년 4월 15일 – 1984년 4월 14일
보리스 푸고1984년 4월 14일 – 1988년 10월 4일
야니스 바그리스1988년 10월 4일 – 1990년 4월 7일 (당 지도자 역할은 1990년 1월 11일에 폐지)
알프레드 루비크스1990년 4월 7일 – 1991년 9월 10일


2. 1. 소련의 점령과 병합 (1940)

1940년 8월 5일, 소련라트비아를 강제 합병하여 15번째 공화국으로 만들었다.[9] 이는 1939년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의 비밀 의정서에 따른 결과였다.

1939년 9월 24일, 소련은 에스토니아 영공에 진입하여 정보 수집 작전을 수행했다. 9월 25일, 모스크바는 에스토니아에게 소련 군사 기지 건설 및 군대 주둔을 허용하는 소련-에스토니아 상호 원조 조약 체결을 요구했다.[9] 라트비아는 다음 차례였고, 칼리스 울마니스의 권위주의 정부는 1939년 10월 5일 소련-라트비아 상호 원조 조약에 서명했다. 1940년 6월 16일, 소련은 리투아니아 침공 후 라트비아에 최후통첩을 발부했고, 6월 17일 라트비아를 점령했다.

소련 외무 장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라트비아와 발트 국가들이 소련에 대항하는 군사적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비난하며, 정부 교체와 무제한 군대 진입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제시했다.[10] 수십만 명의 소련 군대가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 진입하여 각 국가의 군대를 압도했다.[11][12]

울마니스 정부는 국제적 고립과 압도적인 소련군의 존재를 고려하여 유혈 사태를 피하기로 결정했다.[13] 라트비아군은 저항하지 않고 소련군에 편입되었다. 울마니스 정부는 사임하고 소련 대사관의 지시로 창설된 좌익 정부로 교체되었다.

1940년 7월 14~15일 인민 의회 선거가 치러지기 전까지, 소련의 정치 질서를 도입하거나 소련에 합류하려는 정부 계획은 발표되지 않았다. 점령 직후, 라트비아 공산당은 유일한 합법 정당이 되었고, 선거에 "라트비아 노동 인민 블록"을 출마시켰다.[14][15] 다른 정치인들의 민주 블록 포함 시도는 저지되었고, 선거 결과는 조작되었다.[16][17][18][19]

새로 선출된 인민 의회는 1940년 7월 21일에 소집되어 라트비아 SSR 창설과 소련 가입을 요청했다. 이는 라트비아 헌법에 따라 불법이었지만, 1940년 8월 5일 소련 최고 회의는 라트비아의 청원을 수락하여 공식적으로 소련에 편입시켰다.

병합 이후, 공화국의 실권은 라트비아 공산당 중앙 위원회 제1서기가 장악했고, 공화국의 명목상 수장과 행정부 수장은 부속적인 지위에 있었다.

2. 2. 스탈린 시대 (1940-1953)

1940년 소련은 라트비아를 강제 병합한 후, 소련 헌법과 형법을 도입했다.[21] 1940년 7월과 1941년 1월에는 소련 최고 소비에트 선거가 실시되었다. 남아 있던 발트 독일인들은 모두 독일 제국으로 이주했다.[21]

1940년 인민 의회가 위치했던 국립 극장


1940년 11월 7일 리가 시위


1941년 1월 12일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선거 포스터


1940년 리예파야에서 열린 소련 선전 시위. 러시아어로 된 포스터에는 "우리는 소련에의 완전한 가입을 요구한다!"라고 적혀 있다.


1940년 8월 7일, 모든 인쇄 매체와 인쇄소가 국유화되었고, 대부분의 기존 잡지와 신문은 폐간되거나 새로운 소련 이름으로 발행되었다. 1940년 11월에는 도서 금지가 시작되어 총 4,000권의 책이 유통에서 제외되었다.[21]

라트비아는 독립 후 광범위한 토지 개혁을 시행했기 때문에 대부분의 농장은 국유화하기에는 너무 작았다. 1940년에는 집단화에 대한 소문이 공식적으로 부인되었고, 52,000명의 토지 없는 농민에게 최대 10ha의 작은 토지가 주어졌지만, 1941년 초에 집단화를 위한 준비가 시작되었다.[21]

라트비아가 합병되기 전부터 소련으로의 체포와 추방이 시작되었다. 칼리스 울마니스 대통령, 야니스 발로디스 국방부 장관 등 저명한 정치 및 군사 지도자들이 체포되었다. 소련 내무인민위원회(NKVD)는 라트비아에서 피난처를 찾은 백색 망명자들을 체포했다.[21]

1941년, 소련 중앙 정부는 점령된 발트 3국에서 '반소련 분자'의 대규모 추방을 계획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1949년 강제 이주 문단을 참조.

2. 2. 1. 1949년 강제 이주

1941년 초, 소련 중앙 정부는 점령된 발트 3국에서 '반(反)소련 분자'의 대규모 추방을 계획했다.[22] 이를 준비하기 위해 소련 부 인민내무위원회(NKVD)인 이반 세로프 장군은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에서 반소련 분자 추방 절차에 관한" 세로프 지침에 서명했다. 1941년 6월 13일부터 14일 밤에 걸쳐 라트비아 주민 15,424명(유대인 1,771명, 러시아계 742명 포함)이 시베리아굴라크 수용소 및 특수 정착촌으로 추방되었다.[22]

추방된 사람들 중에는 전직 정치인, 부유한 부르주아 및 농부, 경찰, 아이제르기 회원, NGO 지도자, 우표 수집가, 에스페란토 열성가 등 신뢰할 수 없는 인물로 간주되어 6월 추방에 포함되었다. 리테네 육군 기지에서 라트비아 장교 600명이 체포되었고, 많은 이들이 그 자리에서 처형되었다. 1941년 6월 22일 독일의 공격 이후 서둘러 철수하는 과정에서 많은 정치범들이 라트비아 전역의 감옥에서 즉결 처형되었다. 라트비아는 소련 통치 첫 해에 35,000명의 인명을 잃었다.

2. 2. 2. 저항 운동

많은 수의 라트비아인들이 독일 점령에 저항했다. 저항 운동은 라트비아 중앙 위원회의 친독립 정치인과 모스크바의 라트비아 파르티잔 운동 본부(латвийский штаб партизанского движения) 휘하의 무장 소련 파르티잔 부대로 나뉘었다. 아르투르스 스프로기스가 사령관이었다.[21]

2. 3. 흐루쇼프 시대 (1953-1964)

Хрущёвская оттепель|흐루쇼프 해빙ru으로 알려진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의 사망 이후 억압이 완화되면서 라트비아 공산당과 정부 내에서 국가적 공산주의자들의 영향력이 커졌다. 이들은 야니스 칼른베르진슈의 오랜 지지를 받아온 에두아르츠 베르클라우스가 이끌었다. 1956년 이후, 소련 공산당은 스탈린의 개인 숭배를 비판했다.

1957년,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가 제정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베르클라우스는 권력을 잡고 라트비아인들에게 더 많은 자유를 주고, 러시아인 이민을 늦추거나 중단하고, 러시아어 학습의 우선순위를 낮추는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그는 또한 지역 간부들에게 우선권을 부여했다. 그의 정책은 모스크바의 중앙 통제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1959년 7월 베르클라우스와 그의 지지자들은 직위에서 해임되고 추방되었다.[12]

베르클라우스가 해임된 후, 라트비아 공산당의 고위직은 대부분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로 채워졌고, 이는 라트비아인들의 정치 참여를 더욱 소외시켰다.[12]

2. 4. 브레즈네프 시대 (1964-1982)

새로 건설된 공장을 운영하고 산업 생산을 확대할 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라트비아 SSR 외부의 노동자(주로 러시아인)가 이 나라로 이주해오면서 민족 라트비아인의 비율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러시아화의 속도는 리가가 발트 군관구의 본부였고, 현역 및 퇴역 소련 장교들이 이곳으로 이주해 온 사실의 영향을 받았다.

집단 농장에 대한 투자와 보조금 증가는 생산량의 큰 증가 없이 농촌 인구의 생활 수준을 크게 향상시켰다. 농산물의 대부분은 여전히 소규모 사유지에서 재배되었다. 농촌 생활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개인 가족 농장을 청산하고 사람들을 아파트를 제공하는 더 작은 농업 도시로 이주시키는 대규모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농부들은 집단 농장의 유급 노동자가 되었다.[29]

초기 보스 시대는 1960년대의 현대화 움직임이 이어졌지만, 1970년대 중반부터 눈에 띄는 정체가 시작되었다. 호텔 라트비아와 농업부 청사와 같은 리가의 명성 높은 고층 프로젝트는 완공까지 수년이 걸렸다. 새로운 국제 공항과 다우가바 강을 가로지르는 반슈 다리가 건설되었다.

"살고 내버려두자"는 이념적 모델이 자리를 잡았다. 암시장, 무단 결근, 알코올 중독이 만연하게 되었다. 소비재 부족이 일반화되었다.

2. 5. 고르바초프 시대와 독립 회복 (1985-1991)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지도자는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라는 정치적, 경제적 개혁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1987년 여름, 리가의 자유 기념비 앞에서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1988년 여름에는 라트비아 인민 전선에서 민족 운동이 결집되었다. 발트 3국과 함께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더 큰 자율성을 허용받았고, 1988년에는 라트비아의 국기가 합법화되어 1990년에는 소련 라트비아 국기를 대체하여 공식 국기가 되었다.[25] 1990년 3월 민주 선거에서 독립 지지 라트비아 인민 전선 후보들은 최고 회의에서 3분의 2 이상의 다수를 얻었다.

독립 회복을 기념하기 위해 발행된 라트비아 문구: 액면가 없는 5-코페크 봉투


라트비아 공화국 국기(1990년 이후)


1990년 5월 4일, 최고 평의회는 "라트비아 공화국 독립 회복에 관하여" 선언을 통과시켜 소비에트 연방의 합병을 무효로 선언하고 독립으로의 과도기 시작을 알렸다. 이 선언은 1940년의 점령이 국제법을 위반했으며, 1940년 소련 가입 결의안은 1922년 라트비아 헌법에 따라 국가 질서의 중대한 변경은 국민투표에 부쳐야 했기에 불법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1940년 선거가 불법적이고 위헌적인 선거법에 기초하여 치러졌으므로 "인민 세임"의 모든 행위는 당연히 무효가 되었다고 주장했다.[30] 이러한 근거에 따라 최고 평의회는 1918년에 선포된 라트비아 공화국이 1940년에 주권이 ''사실상'' 상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법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라트비아는 소련 헌법에 명시된 탈퇴 절차를 따를 필요가 없다고 보았다. 합병이 불법적이고 위헌적이었으므로 국제법상 여전히 존재하던 독립을 재확인하는 것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모스크바의 중앙 권력은 1990년부터 1991년까지 라트비아를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간주했다. 1991년 1월, 소비에트 정치 및 군사 세력은 리가 중앙 출판사를 점령하고 정부 기능을 찬탈하기 위해 국가 구원 위원회를 설립하여 라트비아 공화국 당국을 전복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과도기 동안 모스크바는 라트비아에 많은 중앙 소비에트 국가 당국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트비아 거주민의 73%가 1991년 3월 3일 비구속 자문 국민투표에서 독립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확인했다. 많은 수의 러시아계 주민들도 이 제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라트비아 공화국은 소련 쿠데타 미수 사건이 실패한 직후인 1991년 8월 21일 과도기 종료를 선언하고 완전한 독립을 회복했다.[31]

3. 정치

미하일 수슬로프가 이끄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특별국에 의해 모스크바의 통제가 강화되었다. 지역 공산당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위해 러시아인 이반 레베데프가 제2서기로 선출되었고, 이 전통은 소련 체제 말기까지 이어졌다. 정치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지역 간부 부족으로 인해 소련은 당과 정부 요직에 점점 더 많은 러시아인을 배치했다. 대숙청 기간 동안 발생한 이른바 1937~38년 "라트비아 작전"에서 살아남은 많은 ''러시아계 라트비아'' 공산주의자들은 부모의 고향으로 다시 보내졌다. 이들 소련인 대부분은 라트비아어를 하지 못했고, 이는 지역 주민에 대한 불신의 벽을 더욱 강화했을 뿐이다. 1953년까지 라트비아 공산당은 42,000명의 당원을 보유했는데, 이 중 절반이 라트비아인이었다.[21]

1980년대 후반, 미하일 고르바초프 소련 지도자는 글라스노스트페레스트로이카의 정치적, 경제적 개혁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1987년 여름, 리가에서 자유 기념비 앞에서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1988년 여름에는 라트비아 인민 전선에서 민족 운동이 결집되었다. 다른 발트 3국과 함께 라트비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더 큰 자율성을 허용받았고, 1988년에는 라트비아의 국기가 합법화되어 1990년에는 소련 라트비아 국기를 대체하여 공식 국기가 되었다. 1990년 3월 민주 선거에서 독립 지지 라트비아 인민 전선 후보들은 최고 회의에서 3분의 2 이상의 다수를 얻었다.

1990년 5월 4일, 최고 평의회는 "라트비아 공화국 독립 회복에 관하여" 선언을 통과시켜 소비에트 연방의 합병을 무효로 선언하고 독립으로의 과도기 시작을 알렸다. 이 선언은 1940년의 점령이 국제법을 위반했으며, 1940년 소련 가입 결의안은 1922년 라트비아 헌법에 따라 국가 질서의 중대한 변경은 국민투표에 부쳐야 했기에 불법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1940년 선거가 불법적이고 위헌적인 선거법에 기초하여 치러졌으며, 이로 인해 "인민 세임"의 모든 행위는 무효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근거에 따라 최고 평의회는 1918년에 선포된 라트비아 공화국이 1940년에 주권이 ''사실상'' 상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법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했다.[30]

라트비아는 소련 헌법에 명시된 탈퇴 절차를 따를 필요가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합병이 불법적이고 위헌적이었으므로 국제법상 여전히 존재하던 독립을 재확인하는 것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모스크바의 중앙 권력은 1990년부터 1991년까지 라트비아를 소비에트 공화국으로 간주했다. 1991년 1월, 소비에트 정치 및 군사 세력은 리가 중앙 출판사를 점령하고 정부 기능을 찬탈하기 위해 국가 구원 위원회를 설립하여 라트비아 공화국 당국을 전복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과도기 동안 모스크바는 라트비아에 많은 중앙 소비에트 국가 당국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트비아 거주민의 73%가 1991년 3월 3일 비구속 자문 국민투표에서 독립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확인했다. 많은 수의 러시아계 주민들도 이 제안에 찬성표를 던졌다. 라트비아 공화국은 소련 쿠데타 미수 사건이 실패한 직후인 1991년 8월 21일 과도기 종료를 선언하고 완전한 독립을 회복했다.[31]

3. 1. 라트비아 공산당 제1서기

라트비아 공산당 제1서기
제1서기재임 기간
야니스 칼른베르진슈1940년 8월 25일 – 1959년 11월 25일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러시아로 망명)
아르비드 펠셰1959년 11월 25일 – 1966년 4월 15일
아우구스트 보스1966년 4월 15일 – 1984년 4월 14일
보리스 푸고1984년 4월 14일 – 1988년 10월 4일
야니스 바그리스1988년 10월 4일 – 1990년 4월 7일 (1990년 1월 11일에 당 지도자 역할 폐지)
알프레드 루비크스1990년 4월 7일 – 1991년 9월 10일


4. 경제

1959년부터 1968년까지, 약 13만 명의 러시아어 사용자들이 라트비아로 이주하여 빠르게 건설된 대규모 산업 공장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새로 도착한 이민자들은 새로 건설된 미니구역에 우선적으로 아파트를 받았다. 이들은 주로 다른 소련 공화국으로 보내질 제품을 생산했으며, 새로운 공장 중 다수는 전연방 부처와 군사 관할 하에 있었기 때문에 소련 라트비아의 계획 경제 외부에서 운영되었다. 라트비아의 VEF와 Radiotehnika 공장은 라디오, 전화, 음향 시스템 생산을 전문으로 했고, 대부분의 소련 철도 객차는 리가 바곤부베스 루프니카에서, 미니버스는 리가 버스 공장에서 만들어졌다.[28]

1962년, 리가는 산업용 및 가정 난방을 위해 러시아 천연 가스를 공급받기 시작했다. 이는 새로운 미니구역과 고층 건물의 대규모 건설을 가능하게 했다. 1965년, 플랴비니수력발전소가 전기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새로운 공장들을 운영하고 산업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 라트비아 SSR 외부, 주로 러시아에서 노동자들이 이주해오면서 라트비아인의 비율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집단 농장에 대한 투자와 보조금 증가는 농촌 인구의 생활 수준을 크게 향상시켰지만, 생산량은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농산물의 대부분은 여전히 소규모 사유지에서 재배되었다. 농촌 생활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개인 가족 농장을 없애고 사람들을 더 작은 농업 도시로 이주시키는 대규모 캠페인이 시작되었고, 이들은 집단 농장의 유급 노동자가 되었다.[29]

보스 시대 초기에는 1960년대 현대화 움직임이 이어졌지만, 1970년대 중반부터는 정체가 시작되었다. 소련 시대의 건축물은 완공까지 수년이 걸렸으며, 새로운 국제 공항과 다우가바 강을 가로지르는 반슈 다리가 건설되었다.

소련 시대에 자동차(RAF), 전기 기술(VEF) 공장, 식품 가공 산업, 송유관, 벤츠필스 항구를 포함한 산업 능력이 재건 및 증가했다.

1인당 국민 소득은 라트비아가 소련의 다른 지역보다 높았지만(1968년 소련 평균보다 42% 높음),[32] 라트비아는 모스크바에 라트비아 GDP의 약 0.5%를 할당하여 연방 중심부에 상대적으로 기여했다.[33]

소련 붕괴 후, 관련된 모든 경제 분야도 붕괴되었다. 러시아는 2003년 라트비아 정부가 러시아 국영 석유 회사 트랜스네프트에 석유 항구 매각을 거부한 후 벤츠필스를 통한 석유 수출을 중단(선적량의 99% 제거)하는 등 징벌적 경제 조치를 취했고, 이는 통과 무역의 쇠퇴를 초래했다.[34] 그 결과, 특히 유럽 연합 가입 후 라트비아 경제는 러시아와 거의 연결되어 있지 않다.

2016년, 역사학자와 경제학자 위원회는 "독립 회복 전후의 라트비아 산업" 보고서를 통해 1940년부터 1990년까지 소련 점령의 총 비용을 1850억유로로 추산했다("소련 당국의 추방 및 투옥 정책"의 무형적 비용 제외).[35]

5. 사회

소련은 비충성적이라고 여겨지는 라트비아인 12만 명을 투옥하거나 소련 노동 수용소로 추방했고, 체포를 피한 일부는 숲의 형제에 합류했다. 1949년 3월 25일, 프리보이 작전에 따라 주로 농촌 주민 43,000명("쿨라크")이 시베리아와 북부 카자흐스탄으로 추방되었다.[29]

집단 농장에 대한 투자와 보조금 증가는 생산량의 큰 증가 없이 농촌 인구의 생활 수준을 크게 향상시켰다. 농산물의 대부분은 여전히 소규모 사유지에서 재배되었다. 농촌 생활 수준을 개선하기 위해, 개인 가족 농장을 청산하고 사람들을 아파트를 제공하는 더 작은 농업 도시로 이주시키는 대규모 캠페인이 시작되었다. 농부들은 집단 농장의 유급 노동자가 되었다.[29]

보스 시대 초기에는 1960년대 현대화 움직임이 이어졌지만, 1970년대 중반부터 눈에 띄는 정체가 시작되었다. 호텔 라트비아와 농업부 청사와 같은 리가의 명성 높은 고층 프로젝트는 완공까지 수년이 걸렸다. 새로운 국제 공항과 다우가바 강을 가로지르는 반슈 다리가 건설되었다.

"살고 내버려두자"는 이념적 모델이 자리를 잡았다. 암시장, 무단 결근, 알코올 중독이 만연하게 되었다. 소비재 부족이 일반화되었다.

상징적인 RAF 미니버스

5. 1. 주민

소련 당국은 정책적으로 이 지역에 러시아인을 많이 이주시켜, 러시아인의 비율이 30%대에 이르렀다.[21] 소련에 의해 비충성적이라고 여겨진 12만 명의 라트비아인들은 투옥되거나 소련 노동 수용소(굴라크)로 추방되었다. 체포를 피한 일부는 숲의 형제에 합류했다.

1949년 3월 25일, 주로 농촌 주민 43,000명("쿨라크")이 프리보이 작전에 따라 시베리아와 북부 카자흐스탄으로 추방되었다. 이 작전은 세 발트 국가에서 모두 시행되었으며 1949년 1월 29일 모스크바에서 승인되었다. 추방된 사람들의 거의 30%가 16세 미만의 어린이였다.

수십만 명의 러시아인이 전쟁 사상자, 서방으로의 난민, 동쪽으로의 추방 등으로 인해 사라진 인구를 대체하고 중공업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라트비아로 이주했다. 러시아화가 광범위하게 진행되어 라트비아어와 소수 언어의 사용이 제한되었다.

새로 건설된 공장을 운영하고 산업 생산을 확대할 인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라트비아 SSR 외부의 노동자(주로 러시아인)가 이 나라로 이주해오면서 라트비아인의 비율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러시아화의 속도는 리가가 발트 군관구의 본부였고, 현역 및 퇴역 소련 장교들이 이곳으로 이주해 온 사실에 영향을 받았다.

5. 2. 언어

라트비아어러시아어가 사실상 공용어였다.[21] 소련은 러시아화 정책을 펼쳐 라트비아어와 소수 언어의 사용을 제한했다. 학교 교과서, 예술, 문학에서 러시아인의 선도적이고 진보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새로 건설된 공장 운영과 산업 생산 확대를 위해 라트비아 SSR 외부 노동자(주로 러시아인)가 이주해오면서 민족 라트비아인의 비율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5. 3. 종교

라트비아어러시아어가 사실상 공용어였고 대부분 교회를 믿었다.[1]

6. 국제 관계

1939년 10월 5일, 소련은 칼리스 울마니스의 권위주의 정부에게 소련-라트비아 상호 원조 조약을 강요하여 군사 기지 설치와 군대 주둔을 허용하게 했다.[9] 1940년 6월 17일, 소련은 라트비아를 점령하고,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외무 장관은 라트비아를 포함한 발트 국가들이 소련에 대항하는 음모를 꾸몄다고 비난했다.[10] 소련은 정부 교체와 무제한 군대 진입을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보냈고, 수십만 명의 소련군이 라트비아에 진입했다.[11][12]

울마니스 정부는 국제적 고립과 압도적인 소련군의 존재를 고려하여 저항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3] 이후 소련은 1940년 7월 인민 의회 선거를 실시했고, 라트비아 노동 인민 블록만이 참여할 수 있었다.[14][15] 선거 결과는 조작되었으며,[17][18][19] 모든 소련 군인에게 투표가 허용되었다.[20] 새로 선출된 인민 의회는 라트비아 SSR 창설과 소련 가입을 요청했고, 1940년 8월 5일 소련은 라트비아를 병합했다.

1990년 5월 4일, 라트비아 최고 평의회는 독립 회복을 선언하며 소련의 합병을 무효화했다. 이 선언은 1940년 점령이 국제법 위반이며, 1940년 소련 가입 결의안은 불법이라고 주장했다.[30] 라트비아는 1991년 8월 21일 완전한 독립을 회복했고,[31] 소련은 9월 6일 발트 3국의 독립을 인정했다.

발트 3국 정부,[38][39] 유럽 인권 재판소,[40] 국제 연합 인권 이사회,[41] 미국,[42] 유럽 연합[43][44]은 1940년 라트비아의 소련 병합을 불법 점령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러시아 정부는 소련의 합병이 정당했다고 주장한다.[49]

7. 평가

유럽 인권 재판소,[40] 국제 연합 인권 이사회,[41] 미국,[42] 그리고 유럽 연합(EU)은[43][44] 1939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에 따라 1940년 라트비아가 소련에 의해 점령된 것으로 간주한다. 유럽 의회는 1940년부터 소련 붕괴까지 발트 3국의 점령을 불법으로 인정했으며,[45] 이는 발트 3국의 조기 NATO 가입으로 이어졌다.

페레스트로이카 기간 동안 소련 역사의 재평가가 시작되기 전, 소련이 나치 독일과 맺은 1939년 비밀 의정서를 규탄하기 전까지는, 이로 인해 세 발트 국가가 침략 및 점령되었다.[46] 1939년의 사건들은 다음과 같았다. 소련 정부는 발트 국가 정부에 상호 원조 조약을 체결할 것을 제안했고, 노동자들의 압력으로 발트 국가 정부는 이 제안을 수락할 수밖에 없었다. 그 후 상호 원조 조약이 체결되어[47] 소련은 발트 국가에 제한된 수의 붉은 군대 부대를 주둔시킬 수 있었다. 1940년 6월, 경제적 어려움과 조약 이행을 방해한 발트 정부의 정책, 그리고 나치 독일을 향한 발트 국가 정부의 정치적 성향에 대한 대중의 불만으로 혁명적 상황이 발생했다. 조약 이행을 보장하기 위해 추가 군대가 발트 국가에 진입했고, 발트 정부의 사임을 요구하는 노동자들의 환영을 받았다. 6월에는 공산당의 지도 하에 노동자들의 정치 시위가 열렸고, 파시스트 정부가 전복되었으며, 노동자 정부가 수립되었다. 1940년 7월, 발트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다. 공산당의 주도로 창설된 "근로 인민 연합"이 다수 득표를 얻었다.[48] 의회는 발트 국가의 소비에트 권력 회복 선언을 채택하고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선포했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의 소련 가입 희망 선언이 채택되었고, 소련 최고 소비에트에 이에 따른 청원을 했다. 소련 최고 소비에트는 이 요청을 승인했다.

러시아 정부와 관계자들은 발트 3국에 대한 소비에트 연방의 합병이 정당했다[49]고 주장하며, 소비에트 연방이 이들 국가를 나치로부터 해방시켰다고 주장한다.[50][51]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Latvia: A brief synopsis https://www2.mfa.gov[...] 2022-11-01
[2] 웹사이트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Latvia: The Occupation of Latvia: Aspects of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http://www.am.gov.lv[...] 2008-08-11
[3] 웹사이트 22 September 1944 from one occupation to another http://www.estemb.or[...] Estonian Embassy in Washington 2008-09-22
[4] 서적 Encyclopedia of Soviet law https://books.google[...] Brill 2020-09-09
[5] 웹사이트 U.S.-Baltic Relations: Celebrating 85 Years of Friendship https://web.archive.[...] 2007-06-14
[6] 서적 International Law Report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9-09
[7] 간행물 Motion for a resolution on the Situation in Estonia http://www.europarl.[...] 2010-01-01
[8] 논문 The International Practice of the European Communities: Current Survey http://www.ejil.org/[...] 2006-12-09
[9] 서적 The Baltic States: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10] 서적 Latvijas okupācija un aneksija 1939–1940: Dokumenti un materiāli. ''(The Occupation and Annexation of Latvia: 1939–1940. Documents and Materials.)'' https://web.archive.[...]
[11] 서적 Historical Injustice and Democratic Transition in Eastern Asia and Northern Europe: Ghosts at the Table of Democracy https://books.google[...] RoutledgeCurzon 2020-11-14
[12] 서적 The Black Book of Communism: Crimes, Terror, Repress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Baltic States: Estonia, Latvia and Lithuania
[14] 서적 Political parties of Europe Greenwood Press
[15] 뉴스 Absurdas lappuses vēsturē – 75 gadi kopš tā sauktās Latvijas Tautas Saeimas vēlēšanām https://www.la.lv/ta[...] Latvijas Avīze 2015-07-14
[16] 문서
[17] 서적 Latvia in the Wars of the 20th century https://archive.org/[...] Princeton Junction: Cognition Books
[18] 서적 The Story of Latvia Latvian National Foundation
[19] 서적 Encyclopedia of Soviet Law Brill
[20] 문서 Attitudes of the Major Soviet Nationalitie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1] 서적 The Baltic States, Years of Dependence, 1940-198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1-03-19
[22] 서적 Aizvestie: 1941. gada 14. jūnijā Latvijas Valsts arhīvs; Nordik
[23] 문서 The Holocaust in Latvia
[24] 웹사이트 Simon Wiesenthal Center Multimedia Learning Center Online https://web.archive.[...] 2009-04-30
[25] 서적 Latvia in World War II Fordham Univ Press
[26] 웹사이트 The Rise and Fall of the Latvian National Communists https://15minutehist[...] 2016-07-06
[27] 서적 Latvia: The Challenges of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03-19
[28] 논문 A Stalinist Purge in the Khrushchev Era? The Latvian Communist Party Purge, 1959–1963 https://www.jstor.or[...] 2018
[29] 웹사이트 Latvija 1969–1978 - LV portāls https://lvportals.lv[...] 2021-03-19
[30] 웹사이트 Par Latvijas Republikas neatkarības atjaunošanu https://likumi.lv/do[...] 2021-03-19
[31] 웹사이트 History - Embassy of Finland, Riga http://www.finland.l[...] Embassy of Finland, Riga 2008-07-09
[32] 서적 The Baltic States, years of dependence, 1940–199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3] 뉴스 Опубликованы расчеты СССР с прибалтийскими республиками http://izvestia.ru/n[...] Izvestija 2012-10-09
[34] 뉴스 Latvia turns to EU for help in resolving oil impasse AP WorldStream 2003-02-04
[35] 웹사이트 Soviet occupation cost Latvian economy €185 billion, says research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6-04-18
[36] 웹사이트 Latvija — Padomju Savienības karabāze https://www.tvnet.lv[...] 2006-07-17
[37] 웹사이트 Krievijas Federācijas Valdības un Latvijas Republikas Valdības vienošanās par Latvijas Republikas teritorijā dzīvojošo Krievijas Federācijas militāro pensionāru un viņu ģimenes locekļu sociālo aizsardzību, Protokols https://likumi.lv/do[...]
[38] 웹사이트 The Occupation of Latvia: Aspects of History and International Law https://www.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Latvia 2015-12-15
[39] 웹사이트 Estonia says Soviet occupation justifies it staying away from Moscow celebrations - Pravda.Ru https://web.archive.[...]
[40] 문서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cases on Occupation of Baltic States
[41] 간행물 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Report http://daccessdds.un[...]
[42] 웹사이트 U.S.-Baltic Relations: Celebrating 85 Years of Friendship https://2001-2009.st[...] 2017-11-17
[43] 논문 Resolution on the situation in Estonia, Latvia, Lithuania http://upload.wikime[...] 1983-01-13
[44] 웹사이트 Motion for a resolution on the Situation in Estonia http://www.europarl.[...] EU 2018-09-29
[45] 논문 Resolution on the situation in Estonia, Latvia, Lithuania http://upload.wikime[...] 1983-01-13
[46] 웹사이트 The Forty-Third Session of the UN Sub-Commission https://scholar.goog[...] 2015-10-19
[47] 웹사이트 Старые газеты: Библиотека: Пропагандист и агитатор РККА: №20, октябрь 1939г. http://oldgazette.ru[...]
[48] 문서 Great Soviet Encyclopedia
[49] 웹사이트 Russia and the Baltic States: Not a Case of "Flawed" History http://eng.globalaff[...] 2008-06-26
[50] 뉴스 Russia denies Baltic 'occup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Europe 2005-05-05
[51] 뉴스 Bush denounces Soviet domin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Europe 2005-05-07
[52] 문서 Par dažu sabiedrisko un sabiedriski politisko organizāciju darbības izbeigšanu https://likumi.lv/d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