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암시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암시장은 제도적 규칙, 권리, 규제를 회피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하며, 불법 경제, 미보고 경제, 미기록 경제, 비공식 경제 등으로 분류된다. 암시장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알코올, 담배, 마약 등 특정 상품에 대한 금지 또는 과도한 규제, 높은 세금,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인한 물자 부족 등이 발생 원인으로 작용한다. 암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 및 서비스는 마약, 무기, 위조품 등 불법적인 것부터 규제 회피를 위한 상품 및 서비스, 저작권 침해 상품 등 매우 다양하다. 암시장은 탈세, 범죄 조직의 자금원, 소비자 피해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지만, 규제가 심한 경우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규제 완화, 세제 개혁, 단속 강화 등을 통해 암시장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시장 - 지하경제
    지하경제는 정부 감시를 벗어나 통계에 잡히지 않는 은밀한 경제 활동으로, 탈세, 불법 거래, 자금 세탁 등의 형태로 나타나 국가 경제의 투명성을 저해하고 사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정부는 이를 억제하고 양성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 탈세 - 밀조주
    밀조주는 탈세나 법적 규제 회피를 목적으로 불법 제조되는 술을 의미하며, 안전 문제와 법적 처벌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 탈세 - 분할거래
    분할거래는 거액의 현금 거래를 여러 소규모 거래로 나누어 자금 세탁 등 금융 범죄를 목적으로 관련 규제를 회피하는 행위이다.
  • 금융 범죄 - 시장 조작
  • 금융 범죄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버스 폭탄 테러
    2017년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선수단 버스에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챔피언스 리그 경기가 연기되었고, 주가 조작을 시도한 독일-러시아 이중 국적자가 범인으로 밝혀져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UEFA의 결정과 팬들의 연대, 총리의 규탄 등 다양한 반응을 낳았다.
암시장
지도 정보
개요
정의상품이나 서비스가 불법적으로 거래되는 시장
특징
원인정부의 가격 통제, 배급제, 세금 등으로 인해 발생
경제적 위기 상황에서 발생
거래 품목마약, 무기, 불법 복제품, 밀수품, 인신매매
식량, 의약품, 의류 등의 필수품이 부족할 때 거래됨
희귀하거나 수요가 높은 품목
거래 방식은밀하게 거래
현금 거래 선호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신뢰 중요
참여자범죄 조직
부패한 공무원
일반 시민
규제대부분의 국가에서 불법으로 규정
역사
발생 시기고대부터 존재
전쟁, 기근, 경제 공황 등의 시기에 활성화
주요 사례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 점령 지역에서 성행
소련 붕괴 후 동유럽 지역에서 만연
암시장의 영향
긍정적 영향필수품 부족 현상 완화
경제 활성화
혁신적인 제품이나 서비스 등장 가능성
부정적 영향탈세범죄 증가
사회 불안 조성
정부 권위 약화
불평등 심화
소비자 피해 발생
불법 행위 만연
공정 경쟁 저해
유형
세금 회피 시장합법적인 상품이나 서비스를 세금을 내지 않고 판매
탈세 목적
금지된 상품 시장마약, 무기, 위조 화폐 등 불법 상품 거래
불법 노동 시장미등록 노동자 고용
인신매매
지적 재산권 침해 시장불법 복제품 거래
위조 상품 판매
기타장기 밀매
밀수
도박
관련 용어
지하 경제정부의 감시나 통제 없이 이루어지는 경제 활동 전반
비공식 경제정부의 규제를 받지 않는 경제 활동
회색 시장합법적이지만 비윤리적인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
블랙머니탈세나 불법 행위로 얻은 돈
각 국가별 암시장
대한민국1945년 이후 미군정 시기 물자 부족으로 인해 활발
1950년대 이후 정부의 규제 강화로 점차 축소
현재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불법 복제품, 마약, 성매매 등의 거래가 이루어짐
일본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물자 부족으로 발생
1949년부터 경찰의 단속 강화
암시(闇市, 야미이치)라고 불림
현재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불법 복제품, 마약, 성매매 등의 거래가 이루어짐

2. 정의

암시장은 제도적 규칙, 권리, 규제 및 처벌 시스템을 우회, 회피 또는 배제하는 경제 활동을 의미한다.[4][7] 이러한 정의는 학계에서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공통적으로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암시장은 시장 경제와 중앙 계획 경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나타나며, 위반하는 제도적 규칙에 따라 불법 경제, 미보고 경제, 미기록 경제, 비공식 경제 등으로 구분된다.

2. 1. 다양한 명칭

암시장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는데, 문헌에서는 공통된 용어가 확립되지 않았다. 대신 지하, 은밀, 그레이, 그림자, 비공식, 비밀, 불법, 관찰되지 않은, 보고되지 않은, 기록되지 않은, 제2의, 병행, 암시장 등 많은 동의어가 사용된다.[4]

  • 불법 경제: 합법적인 상거래 범위를 정의하는 법률 규정을 위반하는 경제 활동이다. 마약, 무기, 매춘 등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유통한다.[7]
  • 미보고 경제: 세법에 명시된 재정 규칙을 우회하거나 회피하는 경제 활동이다. 세무 당국에 보고해야 하지만 보고되지 않은 소득 규모가 미보고 경제의 요약 지표이다. "세수 격차", 즉 재정 당국에 대한 세수 규모와 실제로 징수된 세수 규모의 차이도 보완 지표이다. 미국에서는 미보고 소득이 2조달러로 추산되어 "세수 격차"가 4500억달러~6000억달러에 이른다.[49][8]
  • 미기록 경제: 정부 통계 기관의 보고 요건을 정의하는 제도적 규칙을 우회하는 경제 활동이다. (기존 규칙과 관례에 따라) 국가 회계 시스템(국민소득 및 생산 계정 등)에 기록되어야 하지만 기록되지 않은 소득 규모가 미기록 경제의 요약 지표이다.
  • 비공식 경제: 재산 관계, 상업적 면허, 노동 계약, 불법 행위, 금융 신용 및 사회 보장 시스템 관련 법률 및 행정 규칙에 통합된 비용을 우회하고 그 이점과 권리에서 제외되는 경제 활동이다.[7] 세금이 부과되지 않고, 정부에 의해 감시되지 않거나 국민총생산(GNP)에 포함되지 않는 경제의 일부이며, 공식 경제와는 다르다. 선진국에서는 미보고 고용이 비공식 부문의 특징이며, 이는 세금, 사회 보장 또는 노동법 목적으로 국가에 숨겨져 있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합법적이다.[12]

2. 2. 유형

암시장은 지하, 은밀, 그레이, 그림자, 비공식, 비밀, 불법, 미관찰, 미보고, 미기록, 제2의, 병행, 암시장 등 다양한 동의어로 표현된다.[4]

암시장은 단일 경제가 아니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시장 지향 국가와 중앙 계획 국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 존재한다. 암시장 활동은 제도적 규칙, 권리, 규정 및 처벌 시스템을 우회, 회피 또는 배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4][7]

암시장의 유형은 위반하는 제도적 규칙에 따라 구분된다.

유형설명
불법 경제법률 규정을 위반하여 재화와 서비스(예: 마약, 무기, 매춘 등)를 생산하고 유통한다.[7]
미보고 경제세법에 명시된 재정 규칙을 우회하거나 회피한다. 세무 당국에 보고되어야 하지만 보고되지 않은 소득 규모로 측정된다. 미국의 경우 미보고 소득은 2조달러로 추산되며, "세수 격차"는 4500억달러~6000억달러에 이른다.[49][8]
미기록 경제정부 통계 기관의 보고 요건을 정의하는 제도적 규칙을 우회한다.[7] 국가 회계 시스템에 기록되어야 하지만 기록되지 않은 소득 규모로 측정된다.
비공식 경제재산 관계, 상업적 면허, 노동 계약, 불법 행위, 금융 신용 및 사회 보장 시스템 관련 법률 및 행정 규칙의 비용을 우회하고 이점과 권리에서 제외된다.[7] 비공식적으로 운영되는 경제 주체가 창출하는 소득으로 측정된다.[11] 선진국에서는 미보고 고용이 특징적이다.


3. 원인

암시장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 정부 규제: 정부가 상품이나 서비스 거래를 금지하거나 제한하면 암시장이 생겨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 판매 금지나 과도한 세금 부과는 암시장 거래를 유발한다.
  • 가격 통제: 정부가 상품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게 설정하면, 생산자는 더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암시장에 상품을 판매하려 한다.
  • 전쟁 및 재난: 전쟁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물자 공급이 부족해지면, 사람들은 필요한 물품을 구하기 위해 암시장에 의존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암시장을 더욱 활성화시키기도 한다.

3. 1. 법률 및 규제

알코올, 담배, 마약 등 특정 상품에 대한 금지 또는 과도한 규제는 암시장 형성을 촉진한다. 예를 들어, 금주법이 시행되면 알코올 암시장이 생겨나지만, 법이 폐지되면 암시장도 사라진다. 사치세(Sin tax)는 암시장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60] 마리화나 합법화에 대한 한 가지 주장은 암시장을 제거하고 해당 경제에서 발생하는 세금을 정부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영국은 세계에서 담배 제품에 대한 세금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며, 다른 국가에서 면세로 수입할 수 있는 담배의 양에 대한 엄격한 제한을 두고 있다. 이로 인해 세금이 낮은 국가에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담배를 영국으로 밀반입하려는 시도가 널리 퍼져 있다. 이러한 밀수 활동은 휴가객이 자신의 수하물에 상대적으로 소량의 담배를 숨기는 것부터 조직 범죄와 연관된 대규모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영국 당국은 이러한 불법 수입을 적발하고 압수하며 적발된 사람들을 기소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 왔지만, "담배의 27%와 롤링 타바코의 68%가 암시장에서 구매된다"고 보고되었다.[28]

저세율 미국 주에서 고세율 주로 담배 한 트럭을 밀수입하면 최대 200만달러 (2012년 기준)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29] 미국 주 경계를 넘는 교통은 일반적으로 국가 간 국경에서처럼 정지하거나 검사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유형의 밀수(특히 주간 상거래에 큰 차질을 주지 않고)를 단속하기가 어렵다. 저세율 주는 일반적으로 주요 담배 생산지이며 세금 인상을 꺼리는 데 대해 비판을 받고 있다. 노스캐롤라이나주는 결국 담배 20개비 한 갑당 세금을 5센트에서 35센트로 인상하는 데 동의했지만, 이는 여전히 전국 평균보다 훨씬 낮다.[30] 2010년 기준으로 사우스캐롤라이나주는 이에 동참하여 세금을 갑당 7센트(미국에서 가장 낮음)에서 인상하는 것을 거부했다.[31]

일본에서는 1923년 관동 대지진 이후 도쿄 근교에서 노점이 형성되었다. 1939년에는 가격 등 통제령 (쇼와 14년 칙령 제703호)이 발부되어 상공성 산하 가격 형성 위원회(중앙·지방)에 의해 공정 가격이 설정[61]되면서 산업 자재와 식품 등 생활 필수품의 대부분은 도매가격과 소매가격이 고정[62]되었다. 또한 1940년부터는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배급 제도도 시작[63]되었다. 공정 가격과 배급은 제품의 질을 크게 묻지 않고 통일되었기 때문에, 원자재 확보의 어려움까지 더해져 품질 저하가 심해졌다. 이렇게 원하는 품질과 수량을 충족하는 상품을 공개적으로 자유롭게 매매할 수 없게 되면서, 필연적으로 암시장이 형성되고 뒷거래가 이루어지게 되어 암시장이 형성될 여지가 생겨났다.

3. 2. 전쟁 및 재난

전쟁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물자 공급이 부족해지면 암시장이 활성화된다. 특히, 총력전과 같이 국가가 자원 사용을 제한하는 상황에서 배급 제도는 암시장 형성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요인이 된다.[58]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국가에서 시행된 배급 및 가격 통제는 광범위한 암시장 활동을 초래했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농부들이 실제보다 적은 수의 가축 출산을 신고하여 암시장에 고기를 공급했다.[58] 또한, 미군 기지에서 사용될 예정이었던 물품이 영국 암시장으로 유출되기도 했다.[58] 1945년 2월 17일 영국 의회에서는 이스트앵글리아의 칠면조 생산량 전체가 암시장으로 흘러들어갔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식품의 공식 가격이 낮게 설정되어 생산자들이 암시장에 농산물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다.[59]

베트남 전쟁 중에도 미군 병사들이 군사 지급 증서를 이용하여 암시장에서 서비스를 구매하는 일이 빈번했다. 베트남 민간인들은 구하기 어려운 물건을 얻기 위해 군인들에게 웃돈을 주고 군용품을 구매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1923년 관동 대지진 이후 도쿄 근교에 노점이 형성되면서 암시장이 시작되었다. 1939년 가격 등 통제령(쇼와 14년 칙령 제703호) 발령 이후, 상공성 산하 가격 형성 위원회에 의해 공정 가격이 설정되고, 1940년부터는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배급 제도가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연합군 점령하의 일본의 혼란기에는 "야미이치(闇市)"라고 불리는 암시장이 성립되었다. 종전 직후 일본 정부의 통제 물자는 바닥났고, 배급 제도는 마비 상태에 빠져 도시 주민들은 식량과 물자 부족에 시달렸다. 1945년 도쿄 우에노 역 부근에서는 하루 평균 2.5명의 아사자가 발생했고, 1947년에는 배급만으로 생활하려던 판사가 아사하는 사건도 발생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강제 소개나 공습으로 인한 잿더미 등의 공지에서 야미이치가 시작되었다. 1945년 8월 16일, 고베시 산노미야 역 부근에서 종전 다음 날 야미이치가 열렸고, 도쿄에서는 같은 해 8월 20일 신주쿠 역 동쪽 출구에 개점한 노점상이 야미이치의 첫 사례가 되었다.

처음에는 채소나 생선을 팔거나 물물교환을 하는 형태였으나, 점차 생활용품 시장으로 발전했다. 식품점이 대부분이었지만, 일본군이나 연합군으로부터의 방출품, 심지어 음식물 쓰레기까지 거래되었다. 식량 관리법에 따라 배급 외로 입수한 식량은 몰수되었지만, 암시장은 계속 번성했다.[71]

1948년 10월, 주부 연합회가 발족하여 식량 부족 해소를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1949년 4월 1일 채소 통제가 폐지되고, 1950년 4월 1일에는 수산물 통제가 폐지되었다. 1951년 10월 25일에는 보리의 통제 폐지가 결정되면서 쌀 이외의 식품은 자유 판매가 가능해졌고, 야미이치는 점차 사라졌다.[71]

3. 3. 가격 통제

1939년 가격 등 통제령(쇼와 14년 칙령 제703호)에 따라 상공성 산하 가격 형성 위원회(중앙·지방)에서 공정 가격을 설정하면서,[61] 산업 자재, 식품 등 생활 필수품 대부분의 도매가격과 소매가격이 고정되었다.[62] 1940년부터는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배급 제도가 시작되었다.[63] 공정 가격과 배급은 제품의 질을 크게 고려하지 않고 통일되었고, 원자재 확보의 어려움까지 겹쳐 품질 저하가 심해졌다. 이로 인해 원하는 품질과 수량의 상품을 공개적으로 자유롭게 사고팔 수 없게 되면서 암시장이 형성되고 뒷거래가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전후 영국에서는 스피브라는 암시장 상인이 등장했다. 전시·전후 배급과 가격 통제를 실시한 많은 국가에서 암시장이 나타났다.[82]

4. 가격

암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은 합법적인 시장 가격보다 높거나 낮을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4. 1. 가격이 낮은 경우

공급자는 생산 비용이나 세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품이 합법적인 시장 가격보다 저렴할 수 있다. 이는 지하 경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범죄자들은 상품을 훔쳐 합법적인 시장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판매하지만, 영수증이나 보증 등은 제공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일을 하고 고객이 비용을 공제할 수 없는 경우(특히 주택 개조나 미용 서비스와 같은 작업에서 흔히 발생), 고객은 영수증을 받지 않는 대신 낮은 가격(일반적으로 현금으로 지불)을 요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는 소득을 세금 보고에서 제외할 수 있다.[13]

4. 2. 가격이 높은 경우

상품을 구하기 어렵거나, 생산이 위험하거나, 엄격하게 배급되거나, 합법적으로 구할 수 없는 경우 암시장에서의 가격은 합법적인 시장 가격보다 비쌀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마약이나 야생 동물 밀거래와 같이 어떤 종류의 국가 제재로 상품의 교환이 불법화될 경우,[13] 제재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스피브 재현 예시


; 러시아·소비에트 연방

: 러시아 혁명과 이에 따른 러시아 내전 당시 전시 공산주의 시대에는 산업과 농업 생산 시스템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상품들은 암시장에서 거래되었다.[78]

: 소비에트 연방 시대 공산권에서 금지품이었던 서구 물품을 취급하는 밀매꾼을 Фарцовка|팔초프카ru, 암시장 상인을 팔초프시크라고 불렀다. 이들은 젊은이, 안내원, 통역사, 택시 운전사, 매춘부 등 외국인 관광객과 접촉하기 쉬운 사람들이었다.[79] 당시 레코드, 책, 기성복이 아닌 옷(청바지 등) 등이 금지품이었고, 서구 제품에 접하려 했던 외국풍을 선호하는 서브컬처 집단 Stilyagi|스틸랴기영어(개인을 지칭할 때는 스틸랴가)나 히피 집단 시스테마 등은 다양한 방법으로 서구 제품을 입수했다.[80] 당연히 당국은 이들에게 체포 및 처벌을 가했다. 1961년 청바지 암거래를 한 Дело валютчиков|로코토프와 파이비셴코 사건ru에서는 사형이 선고되었다.[81]

: 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러시아에서도 암시장은 번창했다. 러시아 금융 위기 참조.

; 프랑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암시장을 다룬 작품으로는 1956년에 개봉된 영화 『La Traversée de Paris|파리 횡단프랑스어』, 1952년에 출판되어 앙테르알리에 상을 수상한 암시장에서 돈을 번 인물을 다룬 『Au bon beurre|오 봉 뵈르프랑스어』 등이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

: 제2차 세계 대전 중·전후, 영국에서는 스피브라는 암시장 상인이 등장했다. 마찬가지로 전시·전후에 배급과 가격 통제를 실시한 많은 국가에서 암시장이 나타났다.[82]

: Nachkriegszeit in Deutschland|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de에서는 패전으로 라이히스마르크가 휴지 조각이 되면서, 구하기 쉬운 미국 담배를 화폐로 사용한 Zigarettenwährung|치가렛텐베어룽de(담배 화폐)를 사용하는 암시장이 등장했다.[83][84]

; 북한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는 장마당이라는 암시장이 있다.

5. 거래되는 상품 및 서비스

암시장에서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가 거래되며, 불법적인 성격으로 인해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전쟁 중에는 식량, 휘발유, 고무, 금속 등과 같이 전쟁에 필요한 주요 자원의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아 암시장이 번성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국가에서 시행된 배급 및 가격 통제로 인해 암시장 활동이 널리 확산되었다.[21]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농부들이 실제보다 적은 수의 가축 출산을 신고하거나, 미국 군수품이 암시장으로 유출되기도 했다.

베트남 전쟁 중에는 미군들이 가정부 서비스와 매춘에 군 지불 증명서를 사용했고, 베트남 민간인들은 군용품점에서 물건을 구하기 위해 군인들에게 웃돈을 주고 월 배급표를 구입하기도 했다.

알코올, 담배 등 유해하다고 간주되는 제품에 부과되는 죄악세는 암시장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마리화나 합법화에 대한 한 가지 주장은 암시장을 제거하고 해당 경제에서 발생하는 세금을 정부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5. 1. 불법 상품 및 서비스

마약 밀매, 무기 밀매, 장물, 위조품, 불법 매춘, 불법 도박 등이 암시장의 대표적인 상품 및 서비스이다.

마약 밀매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부터 많은 국가에서 금지되었지만, 높은 수요로 인해 암시장이 존재한다. 유엔은 2005년 불법 마약 소매 시장 규모가 3.216조달러에 달한다고 보고했다.[21]

무기 밀매는 많은 국가에서 개인의 무기 소지를 제한하거나 금지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암시장은 합법적으로 구할 수 없는 무기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킨다.

매춘은 일부 국가에서 불법이거나 엄격하게 규제되지만, 지속적인 수요와 높은 임금으로 인해 암시장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불법 장기 매매, 위조 상품, 밀주 밀매 등 다양한 불법 상품 및 서비스가 암시장에서 거래된다.

5. 2. 규제 회피 상품 및 서비스

규제나 세금을 피하기 위한 상품 및 서비스는 다음과 같이 암시장에서 거래된다.

  • '''불법 택시 영업''': 택시, 버스 등 교통 서비스가 부족하거나 가격이 비싼 지역에서 무면허 카풀/불법 택시 영업이 성행한다. 미국의 일부 도시는 메달리온 시스템으로 택시 시장 진입을 제한하는데, 메달리온 공급 제한으로 인해 가격이 높아져 불법 택시 영업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는 개인이 불법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16]

  • '''불법 임대''': 임대료 규제 등으로 시장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주택을 제공하는 곳에서 발생한다. 영국의 사회 주택에서는 세입자가 정부 보조금을 받는 주택을 불법으로 더 높은 임대료에 전대하는 경우가 있다.[37] 스웨덴에서는 규제된 임대료가 적용되는 임대 계약이 암시장에서 거래되기도 한다.[38]

  • '''불법 벌목''': 인터폴에 따르면, 불법적인 목재 벌채는 일부 국가에서 마약 생산 산업과 거의 맞먹는 규모이다.[23][24]


이 외에도 인도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뭄바이, 콜카타, 뉴델리와 같이 전국 각지에서 학생들이 몰리는 곳에서는 세금이나 규제 없이 고액의 하숙생 또는 기타 형태의 임대 아파트를 구하는 일이 발생한다.

5. 3. 기타

개인 식별 정보, 신용카드 및 은행 계좌 정보와 같은 금융 정보, 의료 데이터는 대부분 다크넷 마켓에서 거래된다.[19] 사람들은 공개적으로 이용 가능한 데이터와 훔친 데이터를 통합하여 가치를 높이고, 다시 이윤을 남기기 위해 판매함으로써 피해자들에게 더 큰 피해를 입힌다.[20]

태국의 한 노점상이 불법 복제 DVD 영화들을 진열해 놓았다.


저작권법 집행이 미흡한 국가, 특히 아시아와 라틴 아메리카의 노점상들은 종종 영화, 음악 CD, 컴퓨터 소프트웨어(예: 비디오 게임) 등의 복제품을 판매하는데, 심지어 공식 출시 전에도 판매하는 경우가 있다. 수백 달러만 있으면 원본과 디지털적으로 동일한 복제품을 만들 수 있는데, 소비자용 DVDCD 라이터의 발전과 대부분의 복사 방지 기술에 대한 크랙이 인터넷에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이 작업은 저렴하고 쉽다. 저작권 소유자와 저작권법 지지자들은 이러한 현상을 법원을 통해 막기 어려워하는데, 그 이유는 운영이 분산되어 광범위하고 국경을 넘나들며 법 체계를 벗어나기 때문이다. 디지털 정보는 품질 저하 없이 반복적으로 복제할 수 있으며, 전자적으로 거의 또는 전혀 비용 없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미디어의 실질적인 지하 시장 가치는 0이 된다. 이는 거의 모든 다른 형태의 지하 경제 활동과 구별된다. 정부와 일반 대중 모두 저작권법 집행에 대한 무관심이 널리 퍼져 있어 문제가 더욱 악화되고 있다. 또한, 모든 사람이 저작권법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저작권법이 불공정하게 경쟁을 형사범죄로 만들고 저작권 소유자에게 관련 산업을 독점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는 이유에서다. 저작권 소유자는 지역 코드를 사용하여 특정 인구 집단에 대해 가격과 이용 가능성 측면에서 차별을 할 수도 있다.

저작권 침해법은 테이프나 디스크에 복사된 "믹스테이프" 및 기타 유사 자료를 불법으로 간주한다. 저작권 소유자는 일반적으로 도난 행위가 해적들에게 손실된 이익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해적들이 파일 공유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이용할 수 없었다면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구입했을 것이라는 근거 없는 가정을 한다. 저작권 소유자들은 또한 저작권이 있는 자료를 만드는 데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에 대한 보상을 받기를 원한다고 말한다. 많은 예술가와 영화 제작자들은 미디어 배포에서 저작권 침해의 역할을 받아들였다.[40] 파일 공유를 통한 자료의 확산은 예술가들에게 홍보의 원천이 되고, 공연을 보려는 팬층을 형성한다.[41]

6. 한국의 암시장

광복 직후와 한국전쟁 시기, 그리고 산업화 시기를 거치면서 한국 사회는 극심한 물자 부족과 경제난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생필품과 구호물자 등을 거래하는 암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특히 '도떼기시장'이 성행했으며, 한국전쟁 중에는 미군 군수품 등이 암시장을 통해 유통되기도 했다. 이승만 정권은 정치 자금 조달을 위해 암시장을 묵인하거나 조장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온라인을 통한 불법 거래, 가상화폐를 이용한 자금 세탁 등 새로운 형태의 암시장이 등장하고 있다. 불법 도박, 마약, 성매매 등이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면서, 특히 청소년들이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6. 1. 해방 직후와 한국전쟁 시기

광복 직후 한국 사회는 극심한 혼란을 겪었다. 일제의 수탈과 태평양 전쟁 동원으로 인해 물자가 부족했고, 미군정의 경제 정책 실패와 사회주의 세력의 활동으로 인해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암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했는데, 특히 '도떼기시장'이 성행했다.

한국전쟁 시기에는 피난민이 급증하고 물자 부족이 심화되면서 암시장은 더욱 확산되었다. 미군 군수품, 구호물자 등이 암시장을 통해 유통되었으며, 이는 생필품 부족을 해결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암시장은 동시에 범죄와 부정부패의 온상이 되기도 했다. 이승만 정권 시기에는 정치 자금 조달을 위해 암시장을 묵인하거나, 심지어 조장하는 경우도 있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6. 2. 산업화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은 경제가 극도로 혼란한 상황에 놓였다. 일본 정부의 통제 물자는 거의 바닥났고, 물가 통제령 하의 배급 제도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도시 사람들은 식량과 물자 부족에 시달렸고, 이는 1945년 도쿄 우에노 역 부근에서 하루 평균 2.5명의 아사자가 발생하는 등 심각한 식량난으로 이어졌다.[64]

이러한 상황에서 공습으로 폐허가 된 곳 등에서 자연스럽게 암시장이 생겨났다. 고베 산노미야 역 부근에서는 종전 다음 날인 1945년 8월 16일에 암시장이 열렸다는 기록이 있다.[66] 도쿄에서는 신주쿠 역 동쪽 출구에 노점상이 들어선 것이 암시장의 시초였다.[68]

처음에는 채소나 생선 등을 팔거나 물물교환을 하는 형태였지만, 점차 생활용품 시장으로 발전했고, 우동, 오뎅, 카스토리 소주 등을 파는 음식점도 등장했다. 일본군이나 연합군으로부터 나온 물품, 심지어 음식물 쓰레기까지 거래되었다.[71]

돗자리 등으로 구역을 나누고 물건을 늘어놓거나, 탁자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파는 가게, 음식을 파는 포장마차 등이 있었다. 판잣집 형태의 가게도 생겨났지만, 이는 불법 점거에 해당했다.

1948년 10월, 주부 연합회가 발족하여 주걱을 기치로 식량 부족 해소를 위한 활동을 시작했다. 같은 해 11월부터 주식 배급량이 늘어나면서 사람들의 식생활은 점차 안정되기 시작했다. 1949년에는 채소 통제가 폐지되고, 맥주홀이 허가되었으며, 도쿄의 음식점도 다시 문을 열었다. 1950년에는 수산물 통제가 폐지되었다.

1951년 10월, 보리의 통제 폐지가 각의 결정되면서 쌀 이외의 식품은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게 되었고, 암거래 물품이 아니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도쿄도 내의 상설 노점은 폐지되어 암시장은 사라졌다.[71]

암시장은 일본 전역의 도시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도쿄에서는 신주쿠 동쪽 출구에서 신주쿠도리에 형성되었던 곳이 유명하다. 현재는 대부분 상점가나 번화가로 변모하여 옛 모습을 찾기 어렵다.

하지만 일부 지역의 뒷골목에는 옛 암시장의 흔적이 남아있기도 하다. 대표적인 장소는 다음과 같다.

  • 신주쿠 서쪽 출구의 추억의 횡정(新宿西口の思い出横丁)
  • 가부키초(歌舞伎町)의 신주쿠 골든가(新宿ゴールデン街)
  • 나카노의 나카노 산몰(中野サンモール)
  • 우에노의 아메야요코초(アメヤ横丁)
  • 기치조지(吉祥寺)의 하모니카 요코초(ハモニカ横丁)
  • 오사카의 츠루하시(鶴橋) 상점가
  • 오사카의 고카 백화점(五階百貨店)
  • 고베의 모토마치 고카도오리 상점가(元町高架通商店街)


과거에는 시모키타자와역(下北沢駅)에 암시장의 흔적을 남긴 역전 식품 시장이 있었으나, 재개발로 인해 사라졌다. 홋카이도(北海道) 오비히로시(帯広市)에는 신흥 마켓(新興マーケット), 만몽 마켓(満蒙マーケット) 등이 있었다. 아키하바라(秋葉原), 신바시(新橋), 이케부쿠로(池袋), 미즈구치(溝口), 후나바시(船橋), 간사이 지방에서는 우메다(梅田), 아베노(阿倍野)·덴노지(天王寺)역, 산노미야(三宮) 등 철도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암시장이 있었다.

6. 3. 현대

현대에는 온라인을 통한 불법 거래, 가상화폐를 이용한 자금 세탁 등 새로운 형태의 암시장이 등장하고 있다. 불법 도박, 마약, 성매매 등이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지면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이 온라인 암시장에 쉽게 노출되면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7. 문제점 및 영향

암시장은 여러 문제점을 야기한다. 우선, 탈세를 유발하여 국가의 세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범죄 조직의 자금원이 되어 마약, 도박, 성매매 등 다른 범죄를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암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은 품질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위조품이나 불량품으로 인한 피해를 볼 수 있다.

소비자들은 암시장 판매업자가 규제를 받지 않아 책임을 묻기 어렵고, 일부 국가에서는 암시장 이용 자체가 범죄로 간주될 수 있으며, 암시장 거래에 대한 도덕적 거부감 때문에 합법적인 시장을 선호한다. 그러나 볼티모어의 불법 택시 사례처럼, 정부 규제로 인해 합법적인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경우에는 암시장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16]

연합국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는 프레스 코드 등을 통해 암시장의 현황 보도를 금지하고 검열을 시행했으며, 암시장 관련 사항도 언론 통제의 대상이었다.[73][74]

7. 1. 경제적 문제

암시장은 탈세로 인한 세수 감소, 불공정 경쟁, 자원 배분의 왜곡 등 다양한 경제적 문제를 야기한다.

전쟁과 같은 상황에서 생필품 부족과 가격 통제는 암시장을 활성화시킨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에서는 농부들이 실제보다 적은 수의 가축을 신고하여 암시장에 고기를 공급하거나, 미군 보급품이 암시장으로 유출되기도 했다.[43]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들은 군표를 이용해 현지 서비스를 이용했고, 베트남 민간인들은 군용품점에서 물건을 암거래하기도 했다.

알코올, 담배와 같은 상품에 대한 규제나 세금 역시 암시장을 유발할 수 있다. 마리화나 합법화 지지자들은 합법화를 통해 암시장을 없애고 세수를 확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고정 환율 제도하에서 정부가 설정한 환율과 실제 시장 가치의 차이는 암시장을 통해 거래가 이루어지게 한다. 예를 들어, 해외 근로자들은 암시장에서 더 나은 환율로 자국 통화를 구매할 수 있다.[43] 금융 불안이나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사람들은 자국 통화 대신 미국 달러와 같은 안정적인 외화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달러화 현상을 야기한다.[47] 에콰도르와 같은 일부 국가는 자국 통화를 폐지하고 미국 달러를 공식 통화로 채택하기도 했다.[48]

암호화폐는 익명성과 거래 편의성 때문에 암시장 거래에 사용되기도 한다.[50]

유럽 단일 시장 내에서는 한 회원국에서 연료를 구입하여 다른 회원국에서 사용하는 것이 합법이지만, 세금은 최종 구매자가 납부해야 한다.[51] 그러나 세율 차이로 인해 차익거래를 노린 탈세 목적의 암거래가 발생하기도 한다.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간의 휘발유 및 경유 암시장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농업용 경유에 대한 세금이 낮게 책정되어 있는데, 이 때문에 착색된 농업용 경유가 암시장에서 불법 유통되기도 한다.[53] 인도와 네팔과 같이 정부가 연료 가격을 통제하는 국가에서는 연료 부족 사태 발생 시 암시장이 성행하기도 한다.

7. 2. 사회적 문제

암시장은 범죄 조직의 주요 자금원 중 하나로, 마약, 도박, 성매매와 같은 사회 문제를 심각하게 만든다. 또한, 암시장에서는 위조품이나 불량품이 유통될 수 있어 소비자들이 피해를 볼 가능성도 존재한다.[14]

전쟁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암시장이 더욱 활성화되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많은 국가에서 생필품 배급 및 가격 통제가 이루어졌는데, 이로 인해 암시장이 널리 퍼졌다. 예를 들어, 영국에서는 농부들이 실제보다 적은 수의 가축 출산을 신고하고, 남은 가축을 암시장에 팔아넘기는 경우가 있었다.[15] 또한, 미군 기지에서 유출된 물품이 영국 암시장에서 거래되기도 했다. 베트남 전쟁 당시에도 미군들은 군 지불 증명서를 이용해 암시장에서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현지인들이 구하기 어려운 물품을 군용품점에서 구매하여 암시장에 되파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알코올, 담배 등 유해하다고 여겨지는 상품에 부과되는 죄악세는 암시장 공급을 늘릴 수 있다. 마리화나 합법화에 대한 주장 중 하나는 암시장을 없애고 정부가 세금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소비자들은 암시장 상품의 가격이 저렴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합법적인 시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 암시장 판매업자는 규제를 받지 않아 책임을 묻기 어렵다.
  • 일부 국가에서는 암시장 이용이 범죄로 간주될 수 있다.[16]
  • 암시장 거래에 대한 도덕적 거부감을 느낄 수 있다.
  • 도난 물품 소지가 발각될 경우, 구매 사실을 몰랐더라도 물건을 몰수당할 수 있다.


하지만, 정부 규제가 심하여 합법적인 서비스 이용이 어려운 경우, 소비자들은 암시장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볼티모어에서는 불법 택시가 더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많다.[16]

7. 3. 윤리적 문제

암시장은 법과 질서를 무시하고, 사회적 신뢰를 저해하는 윤리적 문제를 야기한다.[1]

암시장은 전쟁 중에 번창하는 경향이 있다.[2] 총력전과 같이 국가가 전쟁에 참여하는 경우, 식량, 휘발유, 고무, 금속 등 전쟁에 필요한 주요 자원에 대한 제한이 가해지는 경우가 많다.[3] 이러한 상황에서 암시장은 배급품을 높은 가격에 공급하며 발전한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국가에서 시행된 배급 및 가격 통제는 암시장 활동을 확산시키는 원인이 되었다.[5]

영국의 경우, 농부들이 식품부에 실제보다 적은 수의 가축 출산을 신고하여 암시장에 고기를 공급하는 경우가 있었다.[6] 또한, 영국 주둔 미군 기지에서 사용될 예정이었던 물품이 현지 암시장으로 유출되기도 했다.[7] 1945년 2월 17일 영국 의회에서는 이스트 앵글리아 지역의 칠면조 생산분 전체가 암시장으로 유출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암거래에 대한 기소가 유출을 막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있었다.[8] 이는 공식적인 식품 가격이 너무 낮게 설정되어 생산자들이 암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에 농산물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9]

베트남 전쟁 동안 미군은 가정부 서비스와 성 접대에 군 지불 증명서를 사용했다.[10] 또한 베트남 민간인들은 구하기 어려운 물건을 군인에게서 두 배 가격에 구입하여 군용품점을 이용하기도 했다.[11] 이러한 활동은 불법이었지만, 노골적이거나 대규모 암시장 거래자들만이 군에 의해 기소되었다.[12]

알코올 금지와 같은 새로운 규제는 암시장을 발생시키는 전형적인 예시이다.[13] 이러한 법이 사라지면 암시장도 사라진다.[14] 죄악세(술, 담배 등 유해하다고 간주되는 제품에 부과되는 세금)는 암시장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15] 마리화나 합법화에 대한 한 가지 주장은 암시장을 제거하고 해당 경제에서 발생하는 세금을 정부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16]

8. 해결 방안

암시장은 전쟁 중에 번창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많은 국가에서 배급 및 가격 통제를 시행했는데, 이로 인해 암시장 활동이 널리 확산되었다.[1] 예를 들어, 1945년 2월 17일 영국 의회에서는 농산물 생산자들이 공식 가격이 너무 낮게 설정되어 암시장에서 더 높은 가격에 농산물을 판매한다는 보고가 있었다.[1] 베트남 전쟁 동안 미군은 가정부 서비스와 성매매에 군 지불 증명서를 사용했고, 베트남 민간인들은 군용품점에서 물건을 구하기 위해 군인들에게 웃돈을 주고 물건을 구입하기도 했다.[1]

암시장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단속 강화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원인 해결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8. 1. 규제 완화 및 시장 기능 강화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고 시장 기능을 강화하면 암시장의 유인을 줄일 수 있다. 알코올 금지와 같은 규제가 사라지면 암시장도 사라진다. 죄악세(술, 담배 등 유해하다고 간주되는 제품에 부과되는 세금)는 암시장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마리화나 합법화에 대한 한 가지 주장은 암시장을 제거하고 해당 경제에서 발생하는 세금을 정부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8. 2. 세제 개혁

세금 부담을 완화하고, 세금 제도를 합리화하여 탈세 유인을 줄여야 한다. 알코올 금지와 같은 새로운 규제는 암시장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법이 사라지면 암시장도 사라진다. 죄악세(술, 담배 등 유해하다고 간주되는 제품에 부과되는 세금)는 암시장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마리화나 합법화에 대한 한 가지 주장은 암시장을 제거하고 해당 경제에서 발생하는 세금을 정부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8. 3. 단속 강화

암시장은 불법 거래를 단속하고 처벌을 강화하여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암시장에 대한 감시 및 단속을 강화해야 한다. 알코올 금지와 같이 새로운 규제는 암시장을 활성화시키는 전형적인 예시이다. 그러한 법이 사라지면 암시장도 사라진다. 죄악세(술, 담배 등 유해하다고 간주되는 제품에 부과되는 세금)는 암시장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마리화나 합법화에 대한 한 가지 주장은 암시장을 제거하고 해당 경제에서 발생하는 세금을 정부가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9. 관련 작품


  •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들개(1949년)에서는 실제 암시장에서 촬영한 장면이 사용되었다.[77]
  • 후카사쿠 킨지 감독의 인의없는 전쟁(1973년)에도 암시장이 등장한다.
  • 카타부치 스나오 감독의 이 세상의 한구석에 (영화)(2016년, 도쿄 테아토르 배급)는 고노 후미요의 만화 이 세상의 한구석에를 원작으로 한 장편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전쟁 중·전후 구레의 암시장이 등장하며, 클라이맥스의 태극기 처리와 관련하여 원작에 없는 대사가 추가되었다.[77]
  • 나카자와 케이지맨발의 겐에는 전후 히로시마의 암시장이 등장한다.
  • 고노 후미요의 만화 이 세상의 한구석에(후타바샤, 2007-2009년 연재, 2008-2009년 단행본 출간)에는 전쟁 중·전후 구레의 암시장이 등장한다. 전쟁 중(1944년) 암시장에서는 설탕 1근이 20엔(배급가의 60배, 주인공 가족의 그 달 생활비와 비상금을 합친 25엔)에 거래되는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75] 전후 암시장에서는 주인공들이 쓰레기가 섞인 주둔군의 잔반을 먹고 "맛있다"고 말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76]

참조

[1] 논문 Risky business: Harlem pimps' work decisions and economic returns https://www.research[...]
[2] 웹사이트 Internal Revenue Service Summary of Estimation Methods https://www.irs.gov/[...] Internal Revenue Service
[3] 서적 The Underground Economies: Tax Evasion and Information Distor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논문 Defining And Estimating Underground And Informal Economies: The New Institutional Economics Approach https://ideas.repec.[...] 2009
[5] 논문 New Estimates of U.S. Currency Abroad, the Domestic Money Supply and the Unreported Economy https://mpra.ub.uni-[...] 2012
[6] 뉴스 Black Money in India https://web.archive.[...] LawJi 2018-09-19
[7] 논문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Unobserved Economies: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the "Shadow Economy"? 2016
[8] 논문 New estimates of overseas U.S. currency holdings, the Underground economy and the "Tax Gap" https://ideas.repec.[...] 2012-03-05
[9] 간행물 Measuring the Non-Observed Economy A Handbook OECD
[10] 논문 Measuring underground (unobserved, non-observed, unrecorded) economies in transition countries: Can we trust GDP?
[11] 서적 The Other Path: The Invisible Revolution in the Third World Harper and Row
[11] 논문 Making it underground: Comparative material on the informal sector in western market economies
[12] 서적 A Commodified World?: Mapping the limits of capitalism https://books.google[...] Zed Books 2012-03-06
[13] 웹사이트 wildlife https://www.ice.gov/[...] 2023-12-28
[14] 논문 Global Bazaar: Street Markets and Shantytowns Forge the World's Urban Future Shantytowns, favelas and jhopadpattis turn out to be places of surprising innovation http://www.scientifi[...] 2012-03-05
[15] 뉴스 Jury orders student to pay $675,000 for illegally downloading music https://abcnews.go.c[...] ABC 2009-08-03
[16] 뉴스 Feature: A Baltimore Way of Life https://web.archive.[...] 2012-03-05
[17] 논문 A Theory of Prostitution https://web.archiv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2012-03-06
[18] 논문 The Economic Returns to Good Looks and Risky Sex in the Bangladesh Commercial Sex Market
[19] 서적 Data thieves in action : examining the international market for stolen personal information Palgrave Macmillan 2016
[20] 뉴스 The ripple effect of identity theft: What happens to my data once it's stolen? https://www.informat[...] 2015-07-08
[21] 웹사이트 World Drug Report 2005 http://www.unodc.org[...] 2012-03-05
[22] 웹사이트 drug trafficking - a business affecting communities globally https://www.unodc.or[...] 2023-12-28
[23] 웹사이트 Illegal logging news http://www.illegal-l[...] 2014-09-14
[24] 웹사이트 Illegal logging industry worth almost as much as drug production industry https://web.archive.[...] 2013-01-30
[25] 웹사이트 Inside the World of Black Market Cheese https://www.vogue.co[...] 2016-01-07
[26] 논문 Bootlegging Mothers and Drinking Daughters: Gender and Prohibition in Butte Montana
[26] 영상 A Nation of Drunkards PBS
[27] 웹사이트 Inflation Calculator https://www.in2013do[...]
[28] 웹사이트 Illegal Cigarettes Partnership Must Address All Aspects of Black Market https://web.archive.[...] Scottish Grocers' Federation 2012-03-05
[29] 뉴스 Cigarette Smuggling Linked to Terrorism https://www.washingt[...] 2012-03-05
[30] 뉴스 North Carolina's Cigarette Tax Increase Is A Small Step In The Right Direction But Kids and Taxpayers Will Miss Benefits of Greater Increase http://www.tobaccofr[...] 2012-03-06
[31] 웹사이트 State Sales, Gasoline, Cigarette, and Alcohol Tax Rates by State, 2000–2010 http://www.taxfounda[...] 2012-03-06
[32] 논문 Organ Trafficking: Global Solutions for a Global Problem http://www.ajkd.org/[...]
[33] 논문 A Criminological Perspective: Why Prohibition of Organ Trade Is Not Effective and How the Declaration of Istanbul Can Move Forward
[34] 논문 The State of the International Organ Trade: A Provisional Picture Based on Integration of Available Information https://web.archive.[...]
[35] 백과사전 Racketeering http://dictionary.re[...] 2012-06-29
[36] 서적 Corrupt histories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37] 뉴스 Tracking down England's council house sublet cheats http://news.bbc.co.u[...] BBC 2011-05-04
[38] 뉴스 'Egalitarian' Stockholm rents feed black market http://www.thelocal.[...] 2010-08-30
[39] 뉴스 Hyrestvåan är din för 300 000 http://www.svd.se/ny[...] Svenska Dagbladet 2013-05-05
[40] 웹사이트 Documentary Filmmaker Supports BitTorrent Uploader http://torrentfreak.[...] 2009-05-14
[41] 뉴스 Illegal downloading: What happens if you're caught? https://www.independ[...] 2012-03-05
[42] 웹사이트 Labels may be losing money, but artists are making more than ever http://boingboing.ne[...] 2012-03-05
[43] 웹사이트 Drug Wars: Special Reports: The Black Peso Money Laudering System https://www.pbs.org/[...] 2012-03-06
[44] 학술지 New Estimates of U.S. Currency Abroad, the Underground Economy, and the "Tax Gap" http://mpra.ub.uni-m[...] 2014-03-17
[45] 웹사이트 Federal Reserve Flow of Funds Z.1 Table 204 http://www.federalre[...] 2012-03-05
[46] 학술지 The myth of the "cashless society": How much of America's currency is overseas? https://ideas.repec.[...] 2014-09-14
[47] 학술지 Dynamics of Currency Substitution, Asset Substitution and De facto Dollarisation and Euroisation in Transition Countries 2003-09
[48] 서적 Unofficial Dollarization in Latin America: Currency Substitution, Network Externalities and Irreversibility Oxford Press
[49] 학술지 America's Underground Economy: Measuring the Size, Growth and Determinants of Income Tax Evasion in the U.S. https://ideas.repec.[...] 2012-03-05
[50] 웹사이트 Follow The Bitcoin: How We Got Busted Buying Drugs On Silk Road's Black Market https://www.forbes.c[...]
[51] 웹사이트 Alcohol, tobacco and excise duties https://europa.eu/yo[...] 2024-06-02
[52] 뉴스 IRA fuel smuggling 'drove oil giants to abandon Ulster' https://www.telegrap[...] 2012-03-06
[52] 뉴스 Fuel smuggling down say customs http://news.bbc.co.u[...] 2012-03-06
[53] 잡지 Red diesel abuse costs UK millions http://www.whatcar.c[...] Haymarket Group 2007-11-07
[54] 웹사이트 The fight to legalise sex toys in Thailand https://www.dazeddig[...] 2019-04-05
[55] 웹사이트 Meeting a Dildo Dealer in Cambodia, Where Sex Toys Are Illegal https://www.vice.com[...] 2015-10-06
[56] 논문 Sex robots revisited: A reply to the campaign against sex robots
[57] 잡지 Organized Crime: The World's Largest Social Network https://www.wired.co[...] 2014-09-14
[58] 서적 The Home Front Imperial War Museum 1945-07
[59] 뉴스 The Daily Telegraph 1945-02-17
[60] 웹사이트 Boston's black-market cigarette problem https://www.bostongl[...] 2014-02-02
[61] 뉴스 公定価格の総本山・中央物価委見直し 東京朝日新聞 1939-03-12
[62] 뉴스 砂糖、ビールなどに公定価格 東京朝日新聞 1939-03-31
[63] 뉴스 砂糖、マッチの切符を配布、東京 東京日日新聞 1940-05-26
[64] 웹사이트 ララ物資 http://www.a50.gr.jp[...] サンフランシスコ平和条約締結50周年記念事業実行委員会
[65] 서적 和食と日本文化 小学館
[66] 학술지 東京焼け跡ヤミ市を記録する会 現代評論社 1976-03
[67] 학술지 京都の闇市 https://hdl.handle.n[...] 関西大学史学・地理学会
[68] 웹사이트 新宿:多様な“顔”を持つ東京最大の繁華街 https://www.nippon.c[...] 2020-02-13
[69] 서적 韓国のイメージ : 戦後日本人の隣国観 https://iss.ndl.go.j[...] 中央公論新社
[70] 웹사이트 歴史に残るプッツン劇場 池田勇人「貧乏人は麦を食え https://web.archive.[...]
[71] 서적 日本食物史 吉川弘文館 2009
[72] 뉴스 読売新聞 読売新聞 1965-02-28
[73] 논문 日本国憲法の記述に関する連合国総司令部の検閲の実際 http://repo.komazawa[...] 駒澤大学法学部
[74] Youtube 【公式】まだGHQの洗脳WGIPに縛られている日本人【ケントギルバート】 https://www.youtube.[...]
[75] 서적 コミックス中巻
[76] 서적 コミックス下巻
[77] 서적 居酒屋の戦後史 2015-12-02
[78] 서적 灰燼のなかから: 20世紀ヨーロッパ史の試み 人文書院 2022
[79] 웹사이트 ドル、タバコ、ブランド物のジーンズ:ソ連の闇屋たちの生態 https://jp.rbth.com/[...] 2018-05-26
[80] 웹사이트 When Rock Was Banned in the Soviet Union, Teens Took to Bootlegged Recordings on X-Rays https://www.smithson[...] 2023-07-19
[81] 웹사이트 ソ連のジーンズ物語 https://jp.rbth.com/[...] 2014-09-16
[82] 서적 The Home Front Imperial War Museum 1945-07
[83] 웹사이트 ドイツマルクの登場 - ドイツ生活情報満載!ドイツニュースダイジェスト http://www.newsdiges[...] 2023-07-18
[84] 웹사이트 占領期ドイツの食糧難 http://rci.nanzan-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