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크나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크나톤은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본래 아멘호테프 4세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는 아멘호테프 3세의 아들이자 네페르티티의 남편이며, 투탕카멘의 아버지일 가능성이 높다. 아크나톤은 통치 기간 중 아텐 신을 숭배하는 종교 개혁을 단행하여 수도를 테베에서 아케트아텐(아마르나)으로 옮기고, 스스로의 이름을 아크나톤("아텐을 위한 효과적인 자")으로 변경했다. 그의 개혁은 당시 이집트의 전통적인 다신교를 부정하고 아텐 신앙을 강조했으며, 이는 아마르나 미술이라는 독특한 예술 양식을 낳았다. 아크나톤 사후, 그의 종교 개혁은 부정되었으며, 그의 통치는 이집트 역사에서 지워지려 했다. 그는 종교 개혁가이자 예술의 후원자로서 다양한 평가를 받으며, 유대교, 기독교 등 유일신교의 기원과 연관되어 논의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4세기 이집트 - 이집트 제18왕조
    이집트 제18왕조는 아흐모세 1세가 기원전 1550년경 건국하여 기원전 1298년경까지 존속한 이집트 신왕국의 첫 번째 왕조로, 힉소스 축출과 투트모세 3세의 제국 확장, 아멘호테프 4세의 종교 개혁, 투탕카멘의 복고를 거쳐 호렘헤브 때 막을 내렸다.
  • 아크나톤 - 아마르나
    아마르나는 아크나톤이 건설한 고대 이집트의 수도 아케타텐의 현대 지명으로, 아텐 숭배의 중심지였으나 아크나톤 사후 버려진 도시이며, 현재 도시 계획과 예술 양식을 잘 보존한 고고학 유적지이다.
  • 아크나톤 - 안케세나멘
    안케세나멘은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공주이자 왕비로, 아크나톤의 왕비, 투탕카멘의 정비, 그리고 아이의 왕비였으며, 그녀의 죽음으로 이집트 왕가의 혈통이 단절되었다.
  • 아텐교 -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기원전 14세기에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로, 아케나톤의 아들로 추정되며, 10세에 파라오가 되어 아텐 신앙을 폐지하고 아멘 신앙으로 복귀했으며, 18세에 사망하여 그의 무덤에서 많은 유물이 발견되었다.
  • 아텐교 - 아톤
    아톤은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으로 이집트의 유일신으로 숭배된 태양신으로, 태양 원반의 모습과 인간이나 동물이 아닌 태양 광선 형태로 묘사된 것이 특징이다.
아크나톤
기본 정보
아크나톤 조각상,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
아크나톤의 조각상, 이집트 박물관
다른 이름아크나톤 (이크나톤)
아멘호테프 4세
아메노피스 4세 (그리스어)
나푸루레야
이름 (히에로글리프)i-t:n:ra-G25-x:n
이름 (음역)ꜣḫ-n-jtn
이름 (IPA, 고대 이집트어)ˈʔuːχəʔ nə ˈjaːtəj
즉위명 (히에로글리프)ra-nfr-xpr-Z3-ra-wa:n
즉위명네페르케페루레, 와엔레
탄생명 (히에로글리프, 치세 1~5년)G39-N5-<-i-mn:n-Htp-R8-S38-R19->
탄생명 (치세 1~5년)아멘호테프 네체르 헤카 와세트 (아문은 만족한다, 신, 테베의 통치자)
탄생명 (히에로글리프, 치세 5년 이후)i-t:n:ra-Ax*x:n
탄생명 (치세 5년 이후)아크엔아텐 (아텐에게 유익한 자)
황금 호루스명 (히에로글리프, 치세 1~5년)G8-U39-Y1-N28:Z2-m-O28-W24:O49-M27
황금 호루스명 (치세 1~5년)웨테스 카우 엠 이우누 셰마이 (남부 헬리오폴리스에서 발현된 모습)
황금 호루스명 (히에로글리프, 치세 5년 이후)U39-r:n:V10:n-i-t:n:ra
황금 호루스명 (치세 5년 이후)웨테스 렌 엔 아텐 (아텐의 이름을 높인 자)
네브티명 (히에로글리프, 치세 1~5년)G16-wr:r-sw-t:n-i-i-m-i-t:p-Q1-t:Z2
네브티명 (치세 1~5년)웨르 네시트 엠 이페트 수트 (카르나크에서 위대한 왕권)
네브티명 (히에로글리프, 치세 5년 이후)wr:r-sw-t-i-i-Aa15:N27:t*pr-i-t:n:ra
네브티명 (치세 5년 이후)웨르-네수트-엠-아케트아텐 (아케트아텐에서 위대한 왕권)
호루스명 (히에로글리프, 치세 1~5년)G5
호루스명 (치세 1~5년)카 나크트 카이 슈티 (승리하는 황소, 높은 깃털)
호루스명 (히에로글리프, 치세 5년 이후)i-t:n:ra:N36
호루스명 (치세 5년 이후)메리 아텐 (아텐이 사랑하는 자)
통치 기간기원전 1353년 – 1336년
기원전 1351년 – 1334년
선대 왕아멘호테프 3세
후대 왕스멘크카레 (불확실)
네페르네페루아텐 (불확실)
투탕카멘 (불확실)
왕조이집트 제18왕조
아버지아멘호테프 3세
어머니티이
사망일기원전 1336년 또는 1334년
매장지아마르나, 아크엔아텐 왕실 무덤 (원래 무덤)
KV55 (논란 있음)
기념물아케트아텐
젬파아텐
가족 관계
배우자네페르티티
키야
젊은 여성 미라
자녀스멘크카레?
메리타텐
메케타텐
앙케센파아텐
네페르네페루아텐 타셰리트
네페르네페루레
세테펜레
투트앙크아텐 (가장 유력)
앙케센파아텐 타셰리트?
메리타텐 타셰리트?
종교
종교고대 이집트 종교
아텐 신앙

2. 가계 및 가족 관계

아크나톤은 아멘호테프 3세와 그의 정비 티이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크나톤에게는 형인 왕세자 투트모세가 있었으나, 투트모세가 아멘호테프 3세의 통치 30년경에 사망하면서 아크나톤이 왕위 계승자가 되었다.[6]

아크나톤은 네페르티티와 결혼했으며, 정확한 결혼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크나톤 즉위 직전이나 직후로 추정된다. 네페르티티와의 사이에서는 6명의 딸을 두었다. 키야를 비롯한 여러 후궁을 두었으며, 이들과의 사이에서 스멘크카레, 투탕카멘 등의 아들을 얻었을 가능성이 있다. 키야는 미탄니투슈라타의 딸인 타두키파로 추정되기도 한다. 그 외 알려진 배우자로는 에니사시 통치자 샤티야의 딸과 바빌론 왕 부르나-부리아시 2세의 딸이 있다.

아마르나 양식의 이 석회암 부조는 아크나톤과 네페르티티, 스멘크카레와 메리타텐, 또는 투탕카멘과 앙케세나멘으로 다양하게 추정된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아크나톤이 아들을 얻기 위해 자신의 딸들 중 일부와 성관계를 가졌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하지만, 이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아크나톤의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아멘호테프 3세
어머니티이
투트모세아크나톤보다 먼저 사망
정비네페르티티6명의 딸을 둠
후궁키야투탕카멘의 어머니로 추정
후궁샤티야의 딸에니사시 통치자
후궁부르나-부리아시 2세의 딸바빌론
아들스멘크카레어머니 불명, 아크나톤의 동생이라는 설도 있음
아들투탕카멘어머니는 어린 숙녀로 추정
메리타텐스멘크카레와 결혼
메케타텐
앙케세나멘투탕카멘과 결혼
네페르네페루아텐 타셰리트
네페르네페루레
세테펜레


2. 1. 아크나톤의 외모와 질병

아마르나 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의 아크나톤


이집트 박물관(카이로) 소장 아크나톤 조각상


전통적인 고대 이집트 미술과 확연히 다른 아마르나 예술 양식으로 묘사된 아크나톤의 초상화는 독특하다. 처진 배, 넓은 엉덩이, 가느다란 다리, 두꺼운 허벅지, 크고 "거의 여성적인 가슴", 가늘고 "과장되게 긴 얼굴", 두꺼운 입술은 "보기 좋지 않게" 묘사되었다.[6] 전통적으로 파라오와 이집트 지배층의 초상화는 이상화되어 젊고 운동적인 모습으로 "전형적으로 '아름다운' 방식으로" 묘사되었다.[6]

아크나톤과 그의 가족의 특이한 예술적 묘사, 특히 여유증과 양성성의 잠재적인 묘사를 바탕으로, 일부에서는 파라오와 그의 가족이 방향화 효소 과잉 증후군과 시상 봉합 조기 유합 증후군, 또는 앤틀리-빅슬러 증후군을 앓았다고 주장했다. 2010년 아크나톤으로 추정되는 미라에 대한 유전자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지만, 여유증이나 앤틀리-빅슬러 증후군의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고, 이 결과는 이후에 의문이 제기되었다.[6]

도미닉 몬세라트는 그의 저서 《아크나톤: 역사, 환상과 고대 이집트》에서 "이집트 학자들 사이에서 아크나톤의 신체 묘사의 과장된 형태는... 문자 그대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광범위한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말했다.[6] 신 아텐이 "모든 인류의 어머니와 아버지"로 불렸기 때문에, 몬세라트와 다른 사람들은 아크나톤이 아텐의 양성성의 상징으로 예술 작품에서 양성적으로 보이도록 만들어졌다고 제안한다.[6] 이는 "창조신의 모든 속성을 왕 자신의 신체로 상징적으로 모으는 것"을 필요로 하며, 이는 "지상에서 아텐의 다중 생명 부여 기능을 나타낼" 것이다.[6] 아크나톤은 "레의 유일한 자"라는 칭호를 주장했고, 그는 자신의 예술가들에게 이상화된 전통적인 파라오 이미지에서 급격하게 벗어나 일반 대중과 자신을 대조하도록 지시했을 수 있다.[6]

19세기와 20세기의 이집트학자들은 파라오의 전통적인 건강한 모습과는 다른 아크나톤의 파격적인 묘사 때문에 아크나톤이 어떤 종류의 유전적 이상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6] 다양한 질병들이 제시되었으며, 그중 프로일리히 증후군이나 마르판 증후군이 가장 흔하게 언급되었다.[6]

시릴 올드레드는 아크나톤이 긴 턱과 여성스러운 외모 때문에 프로일리히 증후군을 앓았을 수 있다고 제안했지만, 이 질환은 불임을 유발하므로 아크나톤이 수많은 자녀를 두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가능성은 낮다.[6] 버리지는 아크나톤이 프로일리히 증후군과 달리 정신적 장애나 불임을 유발하지 않는 마르판 증후군을 앓았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 마르판 증후군 환자들은 키가 크고, 길고 마른 얼굴, 길쭉한 두개골, 과도하게 자란 갈비뼈, 오목 가슴 또는 새 가슴, 높고 굽은 또는 약간 갈라진 입천장, 더 큰 골반, 굵어진 허벅지와 가느다란 종아리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증상들이 아크나톤의 일부 묘사에서 나타난다.[6] 2010년 투탕카멘에 대한 DNA 검사 결과 마르판 증후군에 대한 음성 반응이 나왔다.[6]

21세기 초까지 대부분의 이집트학자들은 아크나톤의 묘사가 유전적 또는 의학적 상태의 결과가 아니라 아텐 신앙에 의해 영향을 받은 양식화된 묘사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아크나톤의 조각상은 손가락이 이상하게 길고, 턱이 뾰족하며, 지방이 불균형하게 붙는 등 마르판 증후군의 특징적인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여겨져, 생전부터 기형이었다는 설도 있지만, 왕족 혈통이 아닌 왕비 네페르티티나 가신들도 유사한 형태로 묘사되는 것으로 보아, 이는 아르마나 미술 특유의 고귀한 사람들의 표현 형태였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유전자 조사에 따른 왕족의 미라 특정에 따라, 이러한 표현은 왕가 사람들의 용모 특징을 상당히 과장한 것임이 밝혀지고 있다. 병약했다는 증거는 특별히 없다.[6]

3. 아마르나 개혁

아크나톤으로 추정되는 왕의 머리와 초기 아텐 카르투슈를 보여주는 부조 조각. 아텐은 인물에게 생명의 상징인 앙크를 건네고 있다. 아크나톤 치세. 이집트 아마르나 출토. 런던 이집트 고고학 페트리 박물관.


파라오 아크나톤(중앙)과 그의 가족이 아텐을 숭배하는 모습. 태양 원반에서 뻗어 나오는 특징적인 광선이 보인다. 이후 이러한 이미지는 금지되었다.


아크나톤의 개혁은 아마르나 개혁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아텐 신을 숭배하여, 치세 4년에 아텐 신에게 바치는 새 도읍 아케트아텐(현 아마르나)을 건설하고, 왕조 발상지 테베를 버리고 천도했다.

아크나톤의 종교 정책은 초기, 중간, 최종의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1] 초기에는 태양 원반 묘사가 늘었지만, 여전히 매의 머리를 가진 태양신 라-호라크티의 머리 위에 놓여 전통적인 방식으로 묘사되었다.[2] 이 시기 아텐은 유일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신이었다.[3]

통치 초기에 아크나톤(당시 아멘호테프 4세)은 테베에서 살며 전통 신앙을 허용했지만, 아텐의 중요성이 커지는 징후들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초기 무덤 비문에는 다른 신들보다 아텐 숭배에 호의적인 내용이 기록되었고,[4] 카르나크 신전 근처에 아텐 신전이 건설되었다.[5]

중간 단계에서는 아텐이 다른 신들보다 높아지고, 그의 이름 주변에 카르투슈가 나타났다.[6] 최종 단계에서는 아텐이 인간의 손으로 끝나는 광선을 가진 태양 원반으로 묘사되었고, 새로운 칭호가 도입되었다.[7]

통치 5년차에 아크나톤은 아텐을 유일신으로 선포하고, 자신의 이름을 '아텐에게 유익한 자'라는 뜻의 아크나톤으로 변경했다.[8] 아텐은 왕처럼 묘사되기 시작했고, 아크나톤은 자신을 아텐과 백성 사이의 유일한 중재자라고 선언했다.[9]

9년차에 아크나톤은 아텐이 유일하게 숭배할 수 있는 신이라고 선언하고, 이집트 전역의 아문 신전을 훼손하고 '신들'이라는 복수형 비문을 제거했다.[10] 아텐의 이름 표기 방식도 변경되어 다른 태양신들과의 관계를 제거했다.[11]

아크나톤의 신념은 아텐 찬가에 잘 나타나 있으며, 이 찬가는 아텐을 유일신이자 모든 생명의 창조주로 묘사한다.[12] 그러나 아크나톤이 종교 개혁을 백성들에게 얼마나 강요했는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13] 아마르나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주민들이 전통 신앙의 흔적을 지우려 했음을 보여주지만, 일부는 전통적인 이름을 유지하고 다른 신들의 부적을 착용하기도 했다.

3. 1. 개혁의 원인

아문 (아몬, 테베의 수호신)을 제사 지내는 신관 세력이 왕을 억누를 정도로 강한 세력이 된 것을 아멘호테프 4세가 싫어했거나, 종교적 권력을 왕권과 일원화하려 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전자의 이유가 일반적이지만, 아크나톤 자신이 아텐을 찬양하는 시를 집필하는 등, 단순한 정치적 이유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것도 많아, 후자의 이유도 컸던 것으로 보인다.

3. 2. 종교사적 의의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은 아마르나 개혁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텐 신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아텐 신앙을 도입하면서도 전통적인 신들에 대한 숭배를 금지하지 않았지만, 통치 4년에 아크나톤으로 개명하고 6년에는 새 도읍 아케트아텐(현 아마르나)을 건설하여 테베에서 천도했다.[7] 통치 9년에는 아텐을 유일신으로 선포하고 다른 신들을 배척하는 종교 개혁을 단행했다.[8]

아크나톤의 종교는 세계 최초의 일신교로 평가받기도 하지만, 현대 연구에서는 그가 다른 신들의 존재를 완전히 부정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배일신교 또는 단일신교로 보는 견해도 있다. 종교학자 엘리아데는 아크나톤의 종교가 아텐뿐만 아니라 왕 자신도 신격화했다는 점에서 "실제로는 이신교였다"고 평가했다.

아크나톤은 아텐을 태양 원반 형태로 묘사하고, 수많은 손을 가진 모습으로 표현했다. 그는 아텐이 자신만을 위한 신이며, 일반 백성들은 자신을 숭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 대외 정책

아크나톤은 종교 개혁에 집중하면서 대외 정책에 소홀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아마르나 문서에는 외국 왕들과 이집트 영토 지배자들이 아크나톤에게 지원을 호소하는 내용이 담겨 있지만, 아크나톤은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았다. 이집트 학자들은 아크나톤이 평화주의자였기 때문이라는 설, 종교 개혁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 때문이라는 설, 외교적 지위가 실추되었기 때문이라는 설 등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5. 아크나톤 사후

아크나톤 사후, 그가 추진했던 종교 개혁은 급격히 쇠퇴했고 이집트는 전통적인 다신교 신앙으로 빠르게 복귀했다. 아크나톤의 아들 투탕카멘은 즉위 초 '투탕카텐'이라는 이름에서 '아텐'을 빼고 '투탕카멘'으로 개명하며 아문 신앙을 복구하고, 수도를 아케타텐에서 다시 테베로 옮겼다.[12] 이는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이 이집트 사회에 깊이 뿌리내리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호렘헤브는 아크나톤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아케타텐을 파괴하고, 그 석재를 다른 건축물에 재활용했다. 또한 아크나톤과 관련된 기록과 기념물을 파괴하고, 그의 이름을 왕명표에서 삭제했다. 이로써 아크나톤은 '이단자 파라오'로 낙인찍혔고, 그의 업적은 왜곡되거나 역사 속에서 사라졌다.

자히 하와스 등의 조사 결과, DNA 감정을 통해 KV55에서 발견된 미라가 아크나톤의 것으로 확인되었다.[12]

5. 1. 후대의 평가와 영향

아크나톤은 종교 개혁가, 이단자, 예술의 후원자 등 다양한 시각으로 평가된다. 그의 종교 개혁은 유대교, 기독교 등 유일신 종교의 기원과 관련하여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일부 역사가들은 아크나톤의 이름이 오타이며 잘못 발음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아텐"이 "자티"여야 한다고 믿으며, 파라오의 이름을 아켄자티 또는 아한자티로 해석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저서 ''모세와 일신교''에서 모세가 아크나톤 사후 이집트를 떠나야 했던 아텐주의 사제였다고 주장하며, 아크나톤이 일신교를 장려하려 했다고 보았다.[2] 도널드 B. 레드포드는 아크나톤을 예수의 선구자로 보는 시각이 있다고 언급하며, 아크나톤이 자신을 유일신의 아들이라고 불렀다고 했다.[3] 그러나 아크나톤이 유대교의 완전한 일신교의 선조였다는 증거는 거의 없으며, 히브리 성경과 신약성서의 일신교는 파라오의 죽음 이후 반세기 이상이 지난 후에 시작된 별도의 발전이었다고 결론지었다.[4]

아크나톤의 아텐 찬가와 성경 시편 104편 사이에는 강한 유사성이 있지만, 이러한 유사성이 암시하는 관계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필립 글래스는 오페라 ''아크나텐''(1984)에서 임마누엘 벨리코프스키의 오이디푸스와 아크나톤 동일시 이론을 차용했지만, 역사적 타당성보다는 연극성에 끌렸다고 언급했다.[5]

아크나톤 사후, 아톤 숭배는 쇠퇴했고, 투탕카멘은 이름을 바꾸고 아케타텐을 버렸다. 호렘헤브는 아톤 신전을 파괴하고 건축 자재를 재사용했으며, 세티 1세는 아문 신에게 기념물을 복원하고 아크나톤 관련 인물들을 파라오 공식 명단에서 삭제했다. 람세스 시대에는 아케타텐이 파괴되고 건축 자재가 헤르모폴리스 건설 등에 재사용되었다.

얀 아스만 등은 아크나톤의 통치가 이집트 정부와 사회에서 파라오의 권위가 쇠퇴하기 시작한 시기라고 본다. 아크나톤의 종교 개혁은 평범한 이집트인들과 신, 파라오의 관계를 전복시켰다. 아마르나 시대 이후, 신과 숭배자 사이의 관계는 더 직접적이고 개인적인 것이 되었으며, 사람들은 신이 직접 삶에 개입한다고 믿게 되었다. 아문 신은 다시 모든 신들의 왕이 되었고, 아문의 대사제는 제21왕조에 이르러 이집트 일부를 통치하게 되었다.

아크나톤의 개혁은 후기 이집트 언어 확산을 가속화하여 공식 글과 구어체를 더 가깝게 만들었다. 비록 그의 후계자들이 이러한 변화를 지우려 했지만, 새로운 언어 요소는 제19왕조부터 공식 텍스트에서 더 흔해졌다.

아크나톤은 드루즈 신앙에서 예언자로 인정받고 있다.

아마르나 예술전통적인 고대 이집트 미술과 달리 사실적, 표현주의적, 자연주의적이며, 왕족과 비왕족 모두에게 더 많은 행동과 움직임을 전달한다.

아크나톤의 초상화는 처진 배, 넓은 엉덩이, 가느다란 다리 등 독특한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도미닉 몬세라트는 아크나톤의 신체 묘사가 양성성을 띤 아텐의 상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푸른 왕관을 쓴 아크나톤의 작은 조각상


네페르티티는 왕 옆에서, 또는 단독으로 파라오에게 주어지는 행동을 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그녀의 특별한 지위를 시사한다. 왕족은 편안하고 친밀한 상황에서 묘사되어 서로에게 애정을 보인다.

아크나톤의 조각가 시험 작품


아크나톤은 만화비디오 게임에서 적대자로 등장하기도 한다. 마블: 더 엔드에서 그는 외계 종족에게 납치되었다가 현대 지구에 나타나 왕국을 재건하려다 타노스에게 패배한다.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 파라오의 저주''에서는 테베에 걸린 그의 저주를 제거하기 위해 그를 물리쳐야 한다.

참조

[1] 서적 Ancient Egyptian: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2] 간행물 "From Ancient Egyptian to Coptic" in Haspelmath, Martin et al. (eds.), ''Language Typology and Language Universals'' 2001
[3] 웹사이트 Druze http://druze.de/ 2022-01-18
[4] 서적 Entrepreneurship and Religion. https://www.worldcat[...] Edward Elgar Pub 2010
[5] 서적 Music by Philip Glass Harper & Row 1987
[6] 서적 Kodai ejiputojin https://www.worldcat[...] 筑摩書房 1986
[7] 서적 Akhenaten : history, fantasy, and ancient Egypt https://www.worldcat[...] Routledge 2000
[8] 서적 Egypt and the Egyptian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9] 논문 New Light on Kiya from Texts in the British Museum 1988
[10] 서적 Ancient Egyptian Queens: A Hieroglyphic Dictionary Golden House Publications 2005
[11] 문서 The Amarna Succession http://cassian.memph[...]
[12] 뉴스 ツタンカーメン解き明かされた系譜(記事全文) http://nationalgeogr[...] 2010-09
[13] 서적 The Complete Royal Families of Ancient Egypt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