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드클리프 카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래드클리프 카메라는 18세기 팔라디오 양식으로 지어진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원형 도서관 건물이다. 존 래드클리프의 유산을 기부받아 건설되었으며, 1749년 독립 도서관으로 개관하여 과학 관련 서적을 주로 소장했다. 1861년 보들리 도서관에 통합된 후에는 열람실로 사용되고 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의 상징적인 건물 중 하나로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의 관광지 - 옥스퍼드성
옥스퍼드 성은 윌리엄 1세의 명령으로 1071년에서 1073년 사이에 건설되어 노르만 세력의 지배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으며, 여러 전쟁을 거쳐 감옥으로 사용되다 폐쇄 후 현재는 관광 명소로 활용된다. - 보들리 도서관 - 고프 지도
고프 지도는 14세기 후반에서 15세기 초반에 제작된 중세 영국 지도로, 지리적 정확성을 추구하여 잉글랜드와 웨일스 지역을 상세히 묘사하고 경로 및 거리 정보를 담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 보들리 도서관 - 윌리엄 로드
윌리엄 로드는 캔터베리 대주교로서 찰스 1세의 종교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잉글랜드 국교회의 통일성을 강조하는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나, 반대 세력의 저항을 야기하여 반역죄로 처형되고 그의 정책은 잉글랜드 내전의 한 원인이 되었다.
래드클리프 카메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래드클리프 카메라 |
원어 이름 | Radcliffe Camera |
이전 이름 | 물리학 도서관 |
다른 이름 | 래드 캠 라더스 (구어체) 카메라 (구어체) |
위치 | 래드클리프 광장, 옥스퍼드 |
소유주 | 옥스퍼드 대학교 |
건축 양식 | 영국 팔라디오 양식 |
용도 | 대학 도서관 |
착공일 | 1737년 5월 17일 |
완공일 | 1748년 |
개관일 | 1749년 4월 13일 |
층수 | 2층 + 메자닌 층 |
건축가 | 제임스 깁스 |
이미지 | |
![]() | |
![]() |
2. 역사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 치세에 활동한 의사 존 래드클리프는 사망 2년 전인 1712년에 옥스퍼드에 신도서관 건립을 계획했다. 이는 17세기에 건립된 보들리안 도서관을 확장하는 방안으로 시작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별도의 건물로 건립되었다.[67]
1714년 래드클리프의 유언에 따라 그의 유산을 사용하여 건립이 추진되었다. 유언장에는 건립 비용으로 10년간 4만 파운드(매년 4천 파운드)를 제공하고, 완공 후에는 도서관 사서에게 매년 150파운드, 도서 구입비로 매년 100파운드를 지급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었다.[67]
그러나 래드클리프가 희망했던 캣스트리트 인근 부지는 이미 다른 건물들이 들어서 있었고, 토지 소유권 문제 등으로 인해 건립 부지 선정에만 20년 이상이 소요되었다. 1720년 의회 입법을 통해 대학 토지 매각이 가능해졌지만, 브레이즈노즈 칼리지 등과의 협상은 난항을 겪었다.[67]
1720년대 초부터 크리스토퍼 렌, 존 밴브루 등 여러 건축가가 거론되었으나, 최종적으로 1734년 니콜라스 호크스무어와 제임스 기브스에게 계획 수립이 요청되었다. 호크스무어는 보들리안 도서관 증축 설계를, 기브스는 래드클리프 카메라 설계를 담당했다.[67]
1737년 5월 17일에 착공하여 1748년에 완공되었으며, 1749년 4월에 기념식을 갖고 물리학 도서관으로 문을 열었다. 건설 과정에는 옥스퍼드의 윌리엄 타운센드, 워릭의 윌리엄 스미스(석공), 존 필립스(목수), 조지 데벌(배관공) 등 여러 장인들이 참여했다. 이탈리아 출신 알타리의 회칠 작업과 존 마이클 라이즈브랙의 대리석 조각상도 래드클리프 카메라의 중요한 특징이다.[67]
초기에는 과학 외 서적도 수집했으나, 1811년부터 자연과학 서적에 집중하게 되었다. 19세기 전반에는 화폐, 대리석 조각 등도 수집했으나 다른 곳으로 옮겨졌다. 1909년부터 1912년까지 보들리안 도서관과의 지하 통로가 건설되었다.[67]
이후 물리학 장서가 다른 건물로 옮겨지면서 래드클리프 카메라는 보들리안 도서관의 부속 열람실이 되었다. 1927년 건물 소유권이 래드클리프 재단에서 대학으로 이전되었으며, 현재는 영문학, 역사, 신학 관련 서적을 소장하고 있다.[67]
2. 1. 건립 배경
존 래드클리프는 1650년경에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받았으며, 윌리엄 3세와 앤 여왕 등 왕족과 귀족들을 치료하며 많은 재산을 모았다.[1][2] 그는 1712년부터 옥스퍼드에 새로운 도서관을 건립할 계획을 세웠는데, 초기에는 보들리 도서관을 확장하는 방안이 고려되었다.[3] 크라이스트 처치 학장 프랜시스 애터버리는 1712년 12월에 인접한 엑서터 칼리지 부지에 90피트 높이의 방을 건설하여 아래층은 엑서터 칼리지 도서관, 위층은 래드클리프 도서관으로 사용하는 계획을 설명하기도 했다.[3]
그러나 1714년까지 래드클리프는 기존 보들리 도서관 남쪽에 있는 다른 부지에 새로운 도서관을 건립하기로 결정했다. 래드클리프의 첫 번째 전기 작가인 윌리엄 피티스는 엑서터 칼리지 학장과 연구원들의 과도한 요구 때문에 마음을 바꿨다고 설명한다.[5]
1714년 11월 1일에 사망한 래드클리프는[3] 12월 8일에 공증된 그의 유언을 통해 새로운 도서관 건립에 40000GBP, 사서 연봉 150GBP, 도서 구입비 100GBP를 기부했다.[6] 유언장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었다.
>나의 지정 유언집행자는 건축비로 10년간 40000GBP, 즉 1년에 4000GBP를 제공하며, 제공은 나의 두 자매가 사망한 후 시작되고, 건물은 내가 도서관 건립에 적합하다고 판단한 세인트 메리스와 캣스트리트 건물 사이(between St Maries and the scholes in Catstreet)에 건립되며, 도서관 사서에게는 매년 150GBP가 지급되고, 도서 구입비로 가능한 한 1년에 100GBP가 지급될 것이다.[67]
캣스트리트에 인접한 토지 대부분은 이미 사용 계획이 있었고, 일부는 대학이 관여하고 있었다. 특히 브레이즈노즈 칼리지는 계획 중인 토지를 양보하면 하이 스트리트를 따라 같은 면적의 토지를 제공할 것을 요구했다. 1720년 의회 입법에서 도서관 건립을 위해 어떤 기관이든 대학 토지를 매각할 수 있도록 결정했지만, 계획에서 건립지 결정까지 20년 이상이 걸렸다.[67]
1720년대 초부터 크리스토퍼 렌, 존 밴브루, 토마스 아처, 존 제임스, 니콜라스 호크스무어, 제임스 기브스 등 여러 건축가가 거론되었다. 1734년 니콜라스 호크스무어와 제임스 기브스에게 계획 수립을 요청했고, 호크스무어는 보들리안 도서관용 목조 건축물을, 기브스는 래드클리프 카메라 건물을 담당했다.[67] 호크스무어의 상세한 계획서는 현재 애슈몰린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2. 2. 부지 선정 및 계획
캣스트리트에 면한 여러 다세대 주택, 정원, 브레이스노즈 칼리지 부속 건물, 블랙 홀 등이 도서관 부지를 차지하고 있었다.[6] 여러 대학이 부지 개발에 참여했으며, 브레이스노즈는 포기하는 토지 대신 하이 스트리트에 면한 같은 양의 토지를 요구했다.[6] 신탁인들은 주택 소유주 및 세입자들과 협상해야 했다. '''래드클리프 카메라 법 1720'''(7 Geo. 1. St. 1. c. ''13'')이라는 의회 법률이 통과되어 토지 매각이 가능해졌다.[6] 캣스트리트 관련 협상은 20년 이상 걸렸으며, 마지막 지불은 1737년(신력)에 오리얼, 매들린, 유니버시티 칼리지에 이루어졌다.[8]1720년, 크리스토퍼 렌, 존 밴브루, 토마스 아처, 존 제임스, 니콜라스 호크스무어, 제임스 기브스 등이 건축가 후보로 고려되었다.[6] 렌은 1723년, 밴브루는 1724년에 사망하여 선택지가 줄었다.[10] 1734년, 호크스무어와 기브스가 설계도를 제출하도록 요청받았다.[6] 1734년에 만들어진 호크스무어의 모형은 호평받았고, 1736년 그의 사망으로 기브스가 건축가로 임명된 것으로 보인다.[10]
2. 3. 건설 과정
1737년 5월 17일, 래드클리프 카메라의 기공식이 거행되었다.[12] 그 4일 전, 이사회는 구리판에 새길 비문을 결정했다. 비록 1863년 출입구를 만들기 위해 제거된 벽면에 구리판이 부착되어 있었다고 여겨지지만, 기공석과 구리판의 현재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12]제임스 기브스가 설계를 맡았으며, 건설에는 여러 장인들이 참여했다. 참여한 장인들은 다음과 같다.
- 석공: 옥스퍼드의 윌리엄 타운젠드와 워릭의 윌리엄 스미스[6]
- 목수 및 목공: 존 필립스
- 배관공: 조지 데발
- 석조 조각가: 타운젠드 주니어
- 목조 조각가: 런던 롱에이커의 윌리엄 리넬
- 석고 장식가: 이탈리아인 아타리
- 조각가: 존 마이클 라이즈브랙[6]
1738년, 석공 중 한 명이었던 프랜시스 스미스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윌리엄 스미스가 그 뒤를 이었다.[6] 1739년에는 존 타운젠드가 그의 아버지의 뒤를 이었다.[6]
1741년, 돔 건축 자재에 대한 오해 또는 계획 변경으로 인해 석조 돔 공사가 중단되고 목재와 납으로 돔이 복구되었다.[15] 1742년 또는 1743년, 외부 비계가 제거될 무렵 두 명의 작업자가 사고로 사망했다.[16]
1747년, 건물 외부가 완공되었고,[20] 1748년에 건물 전체가 완공되었다.[20]
2. 4. 초기 운영 (독립 도서관 시기)
1749년 4월 13일, 래드클리프 도서관이 공식적으로 개관했다.[26] 초기에는 '의학 도서관(the Physic Library)'으로 알려졌다.[6] 처음 60년 동안은 다양한 자료를 수집했지만, 1811년부터는 과학 관련 서적만 수집하게 되었다.[6] 초대 사서로는 프랜시스 와이즈(Francis Wise)가 임명되었다.[34]도서관 소장 자료는 매우 느리게 증가했다.[26] 처음으로 비치된 책은 토마스 카르트(Thomas Carte)의 ''영국 일반사(A General History of England)''였다.[24] 최초의 기증은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바솔로뮤(Bartholomew) 씨가 기증한 약 5만 권의 팸플릿이었으며, 이후 1794년 보들리안 도서관에 기증되었다.[27] 1754년 도서관은 제임스 기브스(James Gibbs)의 유산으로부터 건축 관련 서적을 다수 받았다.[29] 고전 및 역사 서적은 고대사 캠든 교수(Camden Professor of Ancient History)였던 리처드 프리윈(Richard Frewin)의 유증으로, 법률 서적들은 공법 바이네리안 교수직(Vinerian Professorship of Common Law)의 설립자인 찰스 바이너(Charles Viner)의 유증으로 도서관에 추가되었다.[29] 초기 구매에는 제임스 프레이저(James Fraser)와 조지 세일(George Sale)의 원고도 포함되었는데, 모두 중동 관련 자료였다.[29]
19세기 전반에 걸쳐 소장품에는 동전, 대리석 조각, 촛대, 흉상, 석고상, 조각상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소장품들은 이후 더 적절한 장소로 옮겨졌다.[6]
와이즈의 뒤를 이어 벤자민 케니콧(Benjamin Kennicott)이 사서로 재직했다. 케니콧의 재임 기간에는 아랍어, 히브리어, 페르시아어 관련 서적이 더 많이 구매되었다.[35] 케니콧의 후임인 토마스 혼스비(Thomas Hornsby)는 래드클리프 천문대장(Radcliffe Observer) 직책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37]
혼스비의 후임으로는 조지 윌리엄스(George Williams)가 선출되었다.[39] 윌리엄스는 특정 과학 서적을 중점적으로 수집하는 방식을 채택했다.[40] 1814년 도서관은 조지 4세 국왕 섭정(Prince Regent)을 위한 연회를 주최했다.[41]
윌리엄스의 후임으로 존 키드(John Kidd)가 임명되었다.[45] 키드의 재임 기간 동안 도서관에 가스 난방과 조명이 설치되었고, 1835년 도서관 목록이 출판되었다.[46]
키드의 뒤를 이어 헨리 웬트워스 애클랜드(Henry Wentworth Acland)가 사서가 되었다.[49] 1861년 10월 23일 래드클리프 도서관 건물의 열쇠가 보들리안 도서관 사서에게 넘겨졌다.[52]
2. 5. 보들리 도서관 통합 이후
1861년 헨리 애클랜드의 제안에 따라 래드클리프 도서관은 보들리 도서관에 통합되었고, 건물은 '래드클리프 카메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6] 래드클리프 도서관의 과학 서적들은 새로 건설된 래드클리프 과학 도서관으로 이전되었다.[67]1909년부터 1912년 사이에는 도서관 북쪽 잔디밭 아래에 2층짜리 지하 서고가 건설되었고, 이는 보들리 도서관과 지하 통로로 연결되어 두 도서관 건물을 눈에 보이지 않게 이어주었다.[6] 이 지하 서고는 1930년대에 "래더(Radder)"로 알려졌으나, 이후 "래드클리프 연결 통로(Radcliffe Link)" 또는 "연결 통로(the Link)"로 불렸다. 2011년에 열람실로 개조된 이 공간은 현재 "글래드스톤 연결 통로(Gladstone Link)"로 알려져 있다.[54]
1927년, 래드클리프 카메라 건물의 소유권은 래드클리프 재단에서 옥스퍼드 대학교로 이전되었다.[67] 래드클리프 과학 도서관이 다른 건물로 이전한 후, 래드클리프 카메라는 보들리 도서관의 추가 열람실을 수용하게 되었다. 위층 열람실 내부에는 존 마이클 라이즈브랙이 조각한 6피트 높이의 대리석 동상인 존 래드클리프의 동상이 있다.[6]
현재 이곳에는 주로 학부 및 대학원생 강의 계획서에 있는 2차 출처인 영문학, 역사, 신학 자료의 서적들이 보관되어 있다. 래드클리프 광장 아래 방에는 약 60만 권의 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67]
3. 건축
이 건물은 영국에서 가장 초기의 원형 도서관 건물이다. 크게 지상층(Upper camera)과 지하층(Lower camera)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 돔 아래는 지상층 바닥까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주변은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개방된 부분 주위는 8개의 코린트식 기둥으로 지탱된다. 지상 2층과 중앙 개방 공간 사이는 난간으로 구분되어 있다. 지상 2층에는 미술품 전시 공간도 있다. 지하층은 치석 쌓기Rustication (architecture)|러스티케이션영어 구조로 되어 있다. 치석ashlar|애슐러영어으로 사용된 돌은 헤딩턴Headington영어과 버포드에서 가져왔다. 돔은 납으로 덮여 있다. 원래 설계는 돌로 된 돔이었지만, 2미터 정도 만들어진 후 현재의 형태로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내부 벽과 돔이 조화되지 않는다고 여겨져 나중에 조각된 돌로 교체되었다. 돔의 일부 장식은 석고로 만들어졌다.[67]
원래 지하실은 둥근 아치형 아케이드와 둥근 천장으로 되어 있었으며, 중앙에는 래드클리프의 문장이 있었다. 아케이드 아치에는 철제 격자가 설치되었는데, 그중 3개는 야간에 닫히는 문으로, 웅장한 계단을 통해 도서관으로 통하는 통로였다. 1863년 보들리안 도서관의 열람실이 되었을 때, 아치는 유리창으로 바뀌었고, 원형 창문 대신 북쪽에 새로운 입구가 만들어졌으며, 석재 계단이 입구로 이어졌다.[6]
도서관 주변 지역은 원래 일부는 포장되고, 일부는 자갈길이며, 일부는 자갈밭이었다. 1751년 램프가 얹혀진 돌기둥과 오벨리스크가 주변에 설치되었다. 브레이즈노스 레인 입구에 있는 세 개를 제외한 모든 기둥은 잔디밭이 조성되고 철제 난간이 설치된 1827년경에 제거되었다.[6]
3. 1. 건축 양식
이 건물은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원형 도서관 중 하나이다. 외부는 세 개의 주요 층으로, 내부는 2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층에는 갤러리가 있다. 지상층은 매우 거친 돌로 마감되었고, 8개의 박공 장식이 있는 돌출부와 벽감이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중앙 부분은 짝을 이룬 코린트식 기둥으로 구획되며, 이 기둥들은 연속적인 엔타블러처를 지지한다. 박공 장식이 있는 창문은 중이층 개구부 위에 있어 내부 배치를 반영한다. 최상층은 팔각형 드럼 위에 등롱형 돔이 있고, 난간이 있는 흉벽에는 화병이 있다.[6]건축에는 헤딩턴과 버포드의 현지 석재가 사용되었으며, 이후 치장석으로 마감되었다. 돔과 큐폴라에는 납이 덮여 있다. 내부의 원래 벽과 돔은 회반죽으로 마감되었지만, 나중에 제거되어 돌로 조각된 장식이 드러났다. 돔의 장식 작업만 석고로 되어 있다.[6]
원래 지하실은 둥근 아치형 아케이드와 둥근 천장으로 되어 있었으며, 중앙에는 래드클리프의 문장이 있었다. 아케이드 아치에는 철제 격자가 설치되었는데, 그중 3개는 야간에 닫히는 문으로, 웅장한 계단을 통해 도서관으로 통하는 통로였다. 1863년 보들리안 도서관의 열람실이 되었을 때, 아치는 유리창으로 바뀌었고, 원형 창문 대신 북쪽에 새로운 입구가 만들어졌으며, 석재 계단이 입구로 이어졌다.[6]
도서관 주변 지역은 원래 일부는 포장되고, 일부는 자갈길이며, 일부는 자갈밭이었다. 1751년 램프가 얹혀진 돌기둥과 오벨리스크가 주변에 설치되었다. 브레이즈노스 레인 입구에 있는 세 개를 제외한 모든 기둥은 잔디밭이 조성되고 철제 난간이 설치된 1827년경에 제거되었다.[6]
건물은 크게 지상층(Upper camera)과 지하층(Lower camera)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 돔 아래는 지상층 바닥까지 개방되어 있으며, 그 주변은 2층 구조로 되어 있다. 개방된 부분 주위는 8개의 코린트식 기둥으로 지탱된다. 지상 2층과 중앙 개방 공간 사이는 난간으로 구분되어 있다. 지상 2층에는 미술품 전시 공간도 있다. 지하층은 치석 쌓기Rustication (architecture)|러스티케이션영어 구조로 되어 있다. 치석ashlar|애슐러영어으로 사용된 돌은 헤딩턴과 버포드에서 가져왔다. 돔은 납으로 덮여 있다. 원래 설계는 돌로 된 돔이었지만, 2미터 정도 만들어진 후 현재의 형태로 변경되었다. 처음에는 내부 벽과 돔이 조화되지 않는다고 여겨져 나중에 조각된 돌로 교체되었다. 돔의 일부 장식은 석고로 만들어졌다.[67]
3. 2. 구조 및 디자인
이 건물은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원형 도서관의 사례이다. 외부적으로는 세 개의 주요 단계로, 내부적으로는 두 층으로 지어졌으며, 위층에는 갤러리가 있다. 지상층은 매우 거친 돌로 마감되었으며, 8개의 박공 장식이 있는 돌출부와 벽감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중앙 부분은 짝을 이룬 코린트식 기둥들에 의해 구획되며, 이 기둥들은 연속적인 엔타블러처를 지지한다. 박공 장식이 있는 창문은 중이층 개구부 위에 있으며, 내부 배치를 반영한다. 최상층은 팔각형 드럼 위에 등롱형 돔이 있으며, 난간이 있는 흉벽에는 화병이 있다.[6]건축에는 헤딩턴Headington영어과 버포드의 현지 석재가 사용되었으며, 이후 치장석으로 마감되었다. 돔과 큐폴라에는 납이 덮여 있다. 내부의 원래 벽과 돔은 회반죽으로 마감되었지만, 나중에 제거되어 돌로 조각된 장식이 드러났다. 돔의 장식 작업만 석고로 되어 있다.[6]
3. 3. 재료
건축에는 헤딩턴과 버포드에서 가져온 현지 석재가 사용되었으며, 이후 치장석으로 마감되었다. 돔과 큐폴라에는 납이 덮여 있다. 내부의 원래 벽과 돔은 회반죽으로 마감되었지만, 나중에 제거되어 돌로 조각된 장식이 드러났다. 돔의 장식 작업만 석고로 되어 있다.[6]4. 현대적 의의 및 평가
토마스 솔먼은 1744년 자신의 저서에서 래드클리프 카메라를 "옥스퍼드에서 가장 웅장한 건물"이라 묘사하며, 많은 이들이 이 건물을 "래드클리프의 묘소"라고 부른다고 언급했다.[61] 1747년 출판된 책에서도 이와 같은 평가가 이어졌다.[20] 그러나 1773년 에드워드 태텀은 건물의 위치가 주변 경관을 해친다고 비판하며, 브로드 스트리트 북쪽이나 트리니티 칼리지 정원 남쪽이 더 적절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0]
건축가 깁스는 이사회에 대해 "더 큰 합의, 성실성, 그리고 솔직함으로 수행되는 신탁을 본 적이 없다"라고 말했다.[24] 당대 사람들은 책을 경멸했던 래드클리프가 도서관 설립에 거액을 기부한 것을 아이러니하게 여겼다. 새뮤얼 가스 경은 이를 "마치 환관이 세라리오(seraglio)를 설립하는 것만큼 논리적이다"라고 비꼬았다.[62]
래드클리프 카메라는 옥스퍼드의 상징적인 건물로, 여러 문학 작품과 영화에 등장하며 대중적인 인지도를 얻었고, 다양한 사회적 시위의 장소로 사용되기도 했다.
4. 1. 대중문화
- J. R. R. 톨킨은 반지의 제왕의 저자로, 이 건물이 누메노르에 있는 모르고스의 신전, 사우론과 닮았다고 언급했다.[63] 『노션 클럽 논문』에도 언급된다.
- 도로시 세이어스의 추리 소설 『화려한 밤』(1936)의 배경은 옥스퍼드이며, 피터 윔지 경과 해리엇 베인 사이의 가장 중요한 대화 중 하나가 래드클리프 카메라의 난간이 있는 원형 옥상에서 이루어진다(23장).
- 이 카메라는 영화 『젊은 셜록 홈즈』(1985), 『아편전쟁』(1997), 『세인트』(1997), 『빨간 바이올린』(1998), 『원카』(2023)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64]
- J・R・R・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누메노르 시대의 사우론의 사원은 라드클리프 카메라를 모델로 하고 있다.[68]
- 엘리자베스 코스토바(Elizabeth Kostova)의 소설 『히스토리언』에도 등장한다.
- 텔레비전 시리즈 『형사 모스』에도 등장한다.
4. 2. 사회적 논란 (또는 시위)
2010년 11월, 학생들은 대학 재정 개편안과 수업료 대폭 인상에 반대하며 전국적인 시위를 벌였고, 24시간 이상 래드클리프 카메라를 점거했다.[55][56] 이는 사회 정의를 위한 학생들의 열정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다.2023년 10월, 환경 단체 저스트 스톱 오일(Just Stop Oil)은 옥스퍼드 대학교가 이네오스(Ineos)와 같은 화석 연료 회사와 연계된 것에 항의하며 건물에 주황색 페인트를 뿌렸다.[57][58] 이들은 지구 온난화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대학 측에 친환경적인 정책을 촉구했다.

2024년 5월,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활동가들은 옥스퍼드 대학교가 이스라엘로부터 투자를 철회할 것을 요구하며, 2024년 옥스퍼드 대학교 친팔레스타인 캠퍼스 점거의 일환으로 래드클리프 카메라 부지에 천막 캠프를 설치했다.[59][60] 이들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억압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을 촉구하고, 대학이 윤리적인 투자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참조
[1]
서적
Oxford: A Cultural and Literary Companion
[2]
논문
Dr John Radcliffe and His Trust
https://www.jstor.or[...]
[3]
서적
[4]
웹사이트
The Radcliffe Camera
https://www.british-[...]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웹사이트
Find a library
http://www.bodleian.[...]
[55]
웹사이트
Oxford students protest at university fees
https://www.bbc.co.u[...]
BBC News
2010-11-24
[56]
웹사이트
Rads cram Rad Cam in 24-hour stand-off
http://www.cherwell.[...]
Cherwell
2010-11-26
[57]
웹사이트
Mixed feelings from students after Just Stop Oil vandalise RadCam
https://cherwell.org[...]
2023-10-10
[58]
웹사이트
Radcliffe Camera in Oxford daubed with paint in Just Stop Oil protest
https://www.bbc.co.u[...]
2023-10-10
[59]
웹사이트
Oxford Has Two Liberated Zones
https://www.national[...]
2024-05-20
[60]
웹사이트
Rally breaks out at the second OA4P encampment at the Radcliffe Camera
https://cherwell.org[...]
2024-05-19
[61]
논문
[62]
서적
A Pictorial History of Medicine
Charles C. Thomas
[63]
웹사이트
Fellowship of the Ring/J.R.R. Tolkien Trail
http://www.culture24[...]
2001-12-09
[64]
서적
The Oxford of Inspector Morse
Location Guides
[65]
서적
Slang To Day And Yesterday
https://archive.org/[...]
[66]
사전
ランダムハウス英和大辞典
[67]
웹사이트
The Radcliffe Camera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68]
웹사이트
Fellowship of the Ring/J.R.R. Tolkien Trail
http://www.culture24[...]
2001-12-09
[69]
서적
The Oxford of Inspector Morse
Location Guid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