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도스의 중세 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도스의 중세 도시는 1309년부터 1522년까지 성 요한 기사단의 통치 하에 있었으며, 이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 14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성 요한 기사단에 의해 확장 및 요새화된 이 도시는 유럽에서 가장 큰 중세 방어 시설 중 하나로 꼽힌다. 로도스 중세 도시는 비잔틴 시대에 축조되었으며, 현재는 로도스 시의 구시가지에 해당한다. 1912년 이탈리아에 점령된 후, 1947년 그리스에 반환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의 성 - 로도스 구호기사단 총장궁
    로도스 구호기사단 총장궁은 14세기 초 성 요한 기사단에 의해 개보수되어 행정 중심지로 사용되었고, 오스만 제국 점령 후 요새로 활용, 파괴 후 이탈리아 통치 시기에 재건되어 그리스 반환 후 박물관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 로도스 (도시) - 로도스의 거상
    로도스의 거상은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로도스 시민들이 침공을 막아낸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태양신 헬리오스의 거대한 청동 조각상이었으나 지진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잔해조차 남아있지 않다.
  • 로도스 (도시) - 로도스 구호기사단 총장궁
    로도스 구호기사단 총장궁은 14세기 초 성 요한 기사단에 의해 개보수되어 행정 중심지로 사용되었고, 오스만 제국 점령 후 요새로 활용, 파괴 후 이탈리아 통치 시기에 재건되어 그리스 반환 후 박물관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 그리스의 세계유산 - 테살로니키
    테살로니키는 그리스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에게해 연안의 중요한 항구 도시로,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초기 기독교 및 비잔틴 건축물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고, 그리스와 동남유럽의 중요한 도시이다.
  • 그리스의 세계유산 - 미케네
    미케네는 아르골리스 지방의 고대 유적지로, 미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아 에게 문명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아가멤논 왕의 도시로도 알려져 있고 청동기 시대 붕괴와 함께 쇠퇴했으나 후대 그리스 문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도스의 중세 도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마리아 문 로도스
마리아 문
위치그리스
등재 기준문화: (ii), (iv), (v)
ID493
등재 연도1988년
면적65.85 ha
상세 정보
영어 명칭Medieval City of Rhodes
프랑스어 명칭Ville médiévale de Rhodes

2. 역사

''이 문서에서는 중세 도시에 관련된 역사만 기술한다. 로도스 섬의 통사는 로도스 섬#역사를 참조하십시오.''

1307년 성전 기사단 박해 이후 성 요한 기사단은 이탈리아를 떠나 로도스 섬을 점령하고 본거지로 삼았다. 1309년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성 요한 기사단이 로도스 섬을 소유하는 것을 인정했고, 이후 무슬림이 손을 쓰기 전까지 2세기 동안 로도스 섬은 성 요한 기사단의 본거지로 유지되었다.

1444년 이집트의 맘루크 함대가 로도스 섬을 포위했을 때, 성 요한 기사단은 부르고뉴 공국의 해군 사령관 조프로아 드 투아지(Geoffroy de Thoisy)의 도움을 받아 이를 격퇴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이 급속도로 세력을 확장했다. 1480년 술탄 메흐메트 2세는 메시크 파샤(Mesic Pasha)에게 로도스 침공을 명령했다. 섬의 기사들은 육해상에서 잘 방어했고, 격파된 오스만 제국군은 섬에서 물러났다. 이 패배와 함께 오스만 제국은 이탈리아 침공도 중단했고, 그 결과 로도스 섬은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부터 서유럽을 지키는 방파제 역할을 했다.

1480년에 오스만 제국을 물리친 후, 기사단장 파브리지오 델 카레토(Fabrizio Del Carreto)는 도시 방어력 강화에 착수했고, 이후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다. 그리고 그가 죽은 1521년에는 로도스의 요새 도시는 어떤 기독교도 요새보다 견고함을 자랑하게 되었다.

로도스의 해군은 무슬림 상인들에 대한 공격을 지속했는데, 이것은 새롭게 오스만 제국 황제에 즉위한 쉴레이만 1세에 의한 제2차 로도스 포위(1522년)를 초래했다. 수적으로 압도적으로 열세인 기사단은 사력을 다해 도시를 방어했고, 포위군에게 중대한 인적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마침내 1522년12월에 기사단과 쉴레이만 1세는 협정을 맺어, 기사단이 가진 모든 재산과 함께 섬을 떠나는 것으로 합의했다. 이와 교환으로, 남겨진 도시 주민들에게는 일체의 보복이 가해지지 않고, 주민들이 기독교를 계속 신앙해도 좋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523년1월 1일에 기사단은 섬을 떠났고, 이후 로도스 섬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2. 1. 성 요한 기사단의 통치 (1309년 ~ 1522년)

1307년 성전 기사단 박해 이후 성 요한 기사단은 이탈리아를 떠나 로도스 섬을 점령하고 본거지로 삼았다. 1309년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성 요한 기사단이 로도스 섬을 소유하는 것을 인정했고, 이후 무슬림이 손을 쓰기 전까지 2세기 동안 로도스 섬은 성 요한 기사단의 본거지로 유지되었다.

1444년 이집트의 맘루크 함대가 로도스 섬을 포위했을 때, 성 요한 기사단은 부르고뉴 공국의 해군 사령관 조프로아 드 투아지(Geoffroy de Thoisy)의 도움을 받아 이를 격퇴했다.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이 급속도로 세력을 확장했다. 1480년 술탄 메흐메트 2세는 메시크 파샤(Mesic Pasha)에게 로도스 침공을 명령했다. 섬의 기사들은 육해상에서 잘 방어했고, 격파된 오스만 제국군은 섬에서 물러났다. 이 패배와 함께 오스만 제국은 이탈리아 침공도 중단했고, 그 결과 로도스 섬은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부터 서유럽을 지키는 방파제 역할을 했다.

1480년에 오스만 제국을 물리친 후, 기사단장 파브리지오 델 카레토(Fabrizio Del Carreto)는 도시 방어력 강화에 착수했고, 이후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다. 그리고 그가 죽은 1521년에는 로도스의 요새 도시는 어떤 기독교도 요새보다 견고함을 자랑하게 되었다.

로도스의 해군은 무슬림 상인들에 대한 공격을 지속했는데, 이것은 새롭게 오스만 제국 황제에 즉위한 쉴레이만 1세에 의한 제2차 로도스 포위(1522년)를 초래했다. 수적으로 압도적으로 열세인 기사단은 사력을 다해 도시를 방어했고, 포위군에게 중대한 인적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마침내 1522년12월에 기사단과 쉴레이만 1세는 협정을 맺어, 기사단이 가진 모든 재산과 함께 섬을 떠나는 것으로 합의했다. 이와 교환으로, 남겨진 도시 주민들에게는 일체의 보복이 가해지지 않고, 주민들이 기독교를 계속 신앙해도 좋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523년1월 1일에 기사단은 섬을 떠났고, 이후 로도스 섬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2. 2. 오스만 제국의 통치 (1522년 ~ 1912년)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오스만 제국이 급속도로 세력을 확장했다. 1480년 술탄 메흐메트 2세는 메시크 파샤(Mesic Pasha)에게 로도스 침공을 명령했다. 섬의 기사들은 육해상에서 잘 방어했고, 격파된 오스만 제국군은 섬에서 물러났다. 이 패배와 함께 오스만 제국은 이탈리아 침공도 중단했고, 그 결과 로도스 섬은 오스만 제국의 침공으로부터 서유럽을 지키는 방파제 역할을 했다.

1480년에 오스만 제국을 물리친 후, 기사단장 파브리지오 델 카레토(Fabrizio Del Carreto)는 도시 방어력 강화에 착수했고, 이후 수십 년 동안 지속되었다. 그리고 그가 죽은 1521년에는 로도스의 요새 도시는 어떤 기독교도 요새보다 견고함을 자랑하게 되었다.

로도스의 해군은 무슬림 상인들에 대한 공격을 지속했는데, 이것은 새롭게 오스만 제국 황제에 즉위한 쉴레이만 1세에 의한 제2차 로도스 포위(1522년)를 초래했다. 수적으로 압도적으로 열세인 기사단은 사력을 다해 도시를 방어했고, 포위군에게 중대한 인적 피해를 입혔다.

그러나 마침내 1522년12월에 기사단과 쉴레이만 1세는 협정을 맺어, 기사단이 가진 모든 재산과 함께 섬을 떠나는 것으로 합의했다. 이와 교환으로, 남겨진 도시 주민들에게는 일체의 보복이 가해지지 않고, 주민들이 기독교를 계속 신앙해도 좋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523년1월 1일에 기사단은 섬을 떠났고, 이후 로도스 섬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2. 3. 이탈리아 통치와 현대

로도스섬은 1912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으로 이탈리아 왕국이 점령하였고, 1923년 로잔 조약으로 정식으로 이탈리아령이 되었다. 1943년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군에 항복하자 독일군이 점령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는 영국의 신탁통치를 받다가 1947년 그리스 왕국에 반환되었다.

3. 건축

wikitext

로도스 구시가지


; 성채 도시

비잔틴 제국 시대에 축조된 도시는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성 요한 기사단에 의해 확장되어 요새화가 이루어졌다. 이 성채 도시가 중세 로도스의 시역을 정하는 것이 되었다. 과거의 방어 설비는 매우 잘 갖춰져 있었고, 11개의 문, 많은 방벽을 포함하여, 물이 채워지지 않은 큰 해자로 둘러싸인 성벽 열도 존재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16세기 이후에도 유지되었고, 20세기에 수리도 이루어진 이 성채 도시의 건조물군은 유럽에 현존하는 중세 방어 시설군 중 최대 규모이다.

이 성채 도시는 현재의 로도스 시에서 구시가지에 해당한다. 북쪽의 카스테로 지구는 과거 기사단이 살았던 거리이고, 남쪽의 코라 지구는 일반 주민이 거주했던 거리이다.

로도스 시와 기사단장 관저


; 기사단장 관저

원래는 비잔틴 제국령 아래 있던 7세기에 도시의 군사 거점으로서 언덕 위에 건조되었다. 건물은 그 후 개수를 거쳐 1309년 이후에는 성 요한 기사단 단장의 저택과 기사단령의 행정부를 겸하게 되었다. 1522년에 오스만 제국이 섬을 점령한 후에는 감옥으로 전용되었다. 그러나 1856년에 화약고 폭발 사고로 붕괴되어, 현존하는 것은 1937년에 이탈리아인에 의해 재건된 것이다. 이 재건은 역사적 정당성을 결여한 개변이 가해지기는 했지만, 이 관저가 지금도 로도스 시의 주요 관광 명소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이 관저의 바깥쪽에는 15세기 말에 건조된 아름다운 구 시료원을 전용한 고고학 박물관이 존재한다.

3. 1. 성채 도시

비잔틴 제국 시대에 축조된 도시는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성 요한 기사단에 의해 확장되어 요새화가 이루어졌다. 이 성채 도시가 중세 로도스의 시역을 정하는 것이 되었다. 과거의 방어 설비는 매우 잘 갖춰져 있었고, 11개의 문, 많은 방벽을 포함하여, 물이 채워지지 않은 큰 해자로 둘러싸인 성벽 열도 존재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16세기 이후에도 유지되었고, 20세기에 수리도 이루어진 이 성채 도시의 건조물군은 유럽에 현존하는 중세 방어 시설군 중 최대 규모이다.

이 성채 도시는 현재의 로도스 시에서 구시가지에 해당한다. 북쪽의 카스테로 지구는 과거 기사단이 살았던 거리이고, 남쪽의 코라 지구는 일반 주민이 거주했던 거리이다.

3. 2. 기사단장 관저

원래는 비잔틴 제국령 아래 있던 7세기에 도시의 군사 거점으로서 언덕 위에 건조되었다. 건물은 그 후 개수를 거쳐 1309년 이후에는 성 요한 기사단 단장의 저택과 기사단령의 행정부를 겸하게 되었다. 1522년오스만 제국이 섬을 점령한 후에는 감옥으로 전용되었다. 그러나 1856년에 화약고 폭발 사고로 붕괴되어, 현존하는 것은 1937년이탈리아인에 의해 재건된 것이다. 이 재건은 역사적 정당성을 결여한 개변이 가해지기는 했지만, 이 관저가 지금도 로도스 시의 주요 관광 명소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이 관저의 바깥쪽에는 15세기 말에 건조된 아름다운 구 시료원을 전용한 고고학 박물관이 존재한다.

3. 3. 기타 건축물



비잔틴 제국 시대에 축조된 도시는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성 요한 기사단에 의해 확장되어 요새화가 이루어졌다. 이 성채 도시가 중세 로도스의 시역을 정하는 것이 되었다. 과거의 방어 설비는 매우 잘 갖춰져 있었고, 11개의 문, 많은 방벽을 포함하여, 물이 채워지지 않은 큰 해자로 둘러싸인 성벽 열도 존재했다.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16세기 이후에도 유지되었고, 20세기에 수리도 이루어진 이 성채 도시의 건조물군은 유럽에 현존하는 중세 방어 시설군 중 최대 규모이다.

이 성채 도시는 현재의 로도스 시에서 구시가지에 해당한다. 북쪽의 카스테로 지구는 과거 기사단이 살았던 거리이고, 남쪽의 코라 지구는 일반 주민이 거주했던 거리이다.

원래는 비잔틴 제국령 아래 있던 7세기에 도시의 군사 거점으로서 언덕 위에 건조되었다. 건물은 그 후 개수를 거쳐 1309년 이후에는 성 요한 기사단의 단장의 저택과 기사단령의 행정부를 겸하게 되었다. 1522년에 오스만 제국이 섬을 점령한 후에는 감옥으로 전용되었다. 그러나 1856년에 화약고 폭발 사고로 붕괴되어, 현존하는 것은 1937년에 이탈리아인에 의해 재건된 것이다. 이 재건은 역사적 정당성을 결여한 개변이 가해지기는 했지만, 이 관저가 지금도 로도스 시의 주요 관광 명소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이 관저의 바깥쪽에는 15세기 말에 건조된 아름다운 구 시료원을 전용한 고고학 박물관이 존재한다.

4. 유네스코 세계유산

로도스 중세 도시는 세계유산 기준에 따라 지정되었다.

기준내용
기준 2특정 기간이나 문화권 내 건축, 기술, 유적, 도시 계획, 경관 디자인의 발전 등 인류 가치의 중요한 교류를 보여주는 유산
기준 4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건물, 건축, 기술적 총체, 경관의 뛰어난 사례


4. 1. 등록 기준

wikitext

로도스 중세 도시는 세계유산 기준에 따라 지정되었다.

기준내용
기준 2특정 기간이나 문화권 내 건축, 기술, 유적, 도시 계획, 경관 디자인의 발전 등 인류 가치의 중요한 교류를 보여주는 유산
기준 4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단계를 보여주는 건물, 건축, 기술적 총체, 경관의 뛰어난 사례


참조

[1] 웹사이트 https://whc.unesco.o[...]
[2] 웹사이트 https://whc.unesco.o[...]
[3] 웹사이트 https://whc.unesco.o[...]
[4] 서적 世界の美しい階段 エクスナレッ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