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리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리콘은 1955년 소설 《롤리타》에서 유래된 용어로, 어린 소녀에 대한 성적 매력을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1970년대부터 오타쿠 문화를 중심으로 만화나 애니메이션 속 어린 소녀 캐릭터에 대한 욕망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소아성애의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1980년대 일본에서 로리콘 붐이 일어났지만, 아동 성범죄 사건과 사회적 비판으로 인해 쇠퇴했다. 현재는 법적, 윤리적 문제와 함께 모에 문화와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논쟁을 낳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섹슈얼리티 - 헨타이
    헨타이는 일본어로 "변태"를 뜻하며, 일본 밖에서는 과도하게 성적으로 묘사된 일본 만화 및 애니메이션의 하위 장르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지만, 일본 내에서는 남성 이성애적 변태를 가리키거나 성인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검열과 사회적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 일본의 섹슈얼리티 - 그라비아 아이돌
    그라비아 아이돌은 남성향 매체에서 섹스 어필을 하는 모델을 지칭하며, 최근에는 활동 영역 확장 및 윤리적 문제 제기, 다양한 시도 등의 변화를 겪고 있다.
  • 1970년대 신조어 - 힙합
    힙합은 1970년대 후반 뉴욕 브롱크스에서 시작된 아프리카계 미국인 문화 운동으로, 랩, 디제잉, 브레이크댄스, 그라피티 아트 4대 요소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독자적인 음악 형태와 서브컬처를 형성, 시대별 다양한 스타일과 아티스트를 거치며 미국 대중음악의 주요 장르이자 전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 1970년대 신조어 - 마약과의 전쟁
    마약과의 전쟁은 닉슨 대통령이 1971년 선포한 마약류 억제 정책 및 운동으로, 국제 협력을 통해 강화되었으나 인권 침해 논란과 함께 문제 해결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최근에는 공중 보건 문제로 접근하는 대안적 정책과 비범죄화 논의가 진행 중이다.
로리콘
용어
정의성적 매력을 느끼는 어린 소녀 캐릭터
관련 용어니지콘
쇼타콘
특징
묘사어린 소녀의 이미지를 성적으로 대상화하여 묘사함.
논란아동 성적 대상화 논란이 있음.
윤리적 문제
아동 보호아동의 권리 침해 및 착취 문제와 관련됨.
사회적 인식사회적으로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함.

2. 용어의 유래 및 정의

1955년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에서 '롤리타 콤플렉스'라는 용어가 유래했다.[2] 이 소설은 12세 소녀에게 집착하는 중년 소아성애자에 관한 이야기이다.

일본에서는 '로리타 콤플렉스'를 줄여 '''로리콘'''(ロリコン일본어)이라고 부르며, 197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52] 1969년에 출판된 러셀 트레이너의 《로리타 콤플렉스》 일본어 번역판이 처음 소개되었지만, 이 책에서는 "소녀가 중년 남성에게 관심을 갖는" 의미로 사용되어 현재 '로리콘'의 의미와는 반대였다. 시부사와 타츠히코는 1972년 '소녀 컬렉션 서설'에서 트레이너의 책에 나오는 "로리타 현상"을 언급하며, 소설 《롤리타》의 주인공인 험버트의 관점에서 이 현상을 봐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를 현재 용법의 기원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53]

와다 신지는 1974년 자신의 작품에서 '로리타 콤플렉스'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초기 사용 사례 중 하나로 여겨진다. 1973년 하기오 모토의 작품에도 이 단어가 등장하는 것을 보면, 1970년대 초에는 이미 '로리타 콤플렉스'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로리콘'이라는 약칭은 마더 콤플렉스(マザコン일본어)와 비슷한 방식으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며, 197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어 1980년경부터 급속히 퍼졌다.

영어권에서는 '''lolicon'''이라는 단어가 일본의 오타쿠 문화를 통해 전파되어, 애니메이션이나 만화 등에 등장하는 어린 소녀 캐릭터에 대한 성적 취향을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된다. 영어로 '''Lolita'''라고 하면 '''로리콘'''이 아닌 고스로리 등 일본의 로리타 패션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2. 1. 의미의 변화

'''로리콘'''(Lolicon)은 "로리타 콤플렉스"의 일본식 약어이다.[2]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롤리타''(1955)에서 유래한 영어 표현으로, 일본에는 러셀 트레이너의 ''The Lolita Complex''(1966, 1969년 번역)를 통해 소개되었다.[3] 초기에는 성인 남성과 어린 소녀 간의 성적 결합에 대한 욕망을 의미했다.[3]

1970년대 일본 대중 매체에서 '소녀'의 이미지는 귀여움, 순수함, 이상적인 에로스의 상징으로 부상했다. 1980년대에는 에로 만화에서 "로리콘 붐(로리콘 부-무)"(ロリコンブーム|로리콘 부-무일본어)이 일어나면서, '로리콘'의 의미는 만화와 애니메이션 속 '귀여움'과 '소녀스러움'에 대한 욕망으로 확장되었다.[52] 아키라 아카기에 따르면, ''로리콘''은 나이 많은 남성과 어린 소녀의 성적 결합에서 벗어나 만화와 애니메이션의 "귀여움"과 "소녀스러움"에 대한 욕망을 설명하게 되었다.

1980년대 당시에는 ''미소녀''(귀여운 소녀) 캐릭터를 특징으로 하는 만화 스타일의 모든 에로티시즘이 이 용어와 연관되었으며, "로리타 콤플렉스"의 동의어로는 "2차원 콤플렉스", "2차원 페티시즘", "2차원 증후군", "귀여운 소녀 증후군", "병" 등이 있었다.

미야자키 츠토무 사건(1989) 이후, '로리콘'은 소아성애와 동일시되기도 했으며, 오타쿠들 사이에서는 캐릭터에 대한 애정을 표현하는 ''모에''라는 용어로 대체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실제 아동이 아닌, 허구의 캐릭터에 대한 성적 지향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오타쿠''는 캐릭터에 대한 매력을 명시하기 위해 "2차원 ''로리콘''"으로 정체성을 밝히기도 한다.

하지만, 여전히 소아성애의 함축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4][5]

3. 역사

1970년대 일본 대중 매체에서 어린 소녀의 이미지는 귀여움, 순수함, 이상적인 에로스의 상징으로 여겨졌다.[5] 1969년에는 『님펫: 12세의 신화』라는 소녀 누드 사진집이 출판되었고, 1972년과 1973년에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주제로 한 누드 사진의 "앨리스 붐"이 있었다.[6]

아즈마 히데오의 첫 작품으로, 빨간 모자를 에로틱하게 패러디한 의 표지.


1975년, 코미켓(코믹 마켓)에서 '로리콘' 장르가 시작되었다.[7] 1979년, 남성 예술가 그룹은 동인지 シベール (同人誌)|시베르|Cybele일본어의 첫 번째 호를 발간했는데,[7] 이 작품의 주요 창작자는 "로리콘의 아버지"로 알려진 아즈마 히데오였다.[8] 아즈마는 테즈카 오사무 작품의 통통한 몸매와 소녀 만화의 감성적인 얼굴을 결합하여 미소녀의 출현과 "귀여운 에로티시즘" (카와이 에로) 미학을 만들었다.[10]

1980년대 초, 프로와 아마추어 예술 분야에서 '로리콘 붐'이 일어났다.[6] 오타쿠 커뮤니티 내에서 로리콘의 인기는 출판사들의 관심을 끌었고, 1982년에 레몬 피플과 만화 브릿코와 같은 전문 출판물이 설립되었다.[2] 오츠카 에이지는 만화 브릿코의 편집자로, 로리콘 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만화 브릿코의 편집자 오츠카 에이지.
''오타쿠''라는 단어는 1983년 Burikko에서 만들어졌다.[5]

''로리콘'' 잡지에는 오카자키 쿄코, 사쿠라자와 에리카와 같은 여성 아티스트와, "로리콘의 왕"으로 불리는 우치야마 아키와 같은 남성 아티스트가 정기적으로 실렸다.[12] 최초의 포르노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1984년과 1985년에 출시된 OVA인 로리타 애니메이션이었다.[14] 미야자키 하야오가 감독한 영화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1979)의 클라리스와 TV 시리즈 미래소년 코난(1978)의 라나는 ''로리콘'' 붐의 상징적인 캐릭터이다.[15]

1982년, 우치야마 아키의 『안드로 트리오』가 『주간 소년 챔피언』에 게재되어 "로리콘 붐"으로 다루어졌고,[57][58][59] 같은 시기, "2대 로리콘 잡지"로 불리는 『레몬 피플』과 『만화 브릿코』가 창간되었다. "로리콘"은 네크라, "(거의) 뵤키"와 함께 젊은이들의 유행어가 되기도 했다.[55]

타이완 하쿠레이 신사 례대제 3에서 판매되는 ''로리콘'' 동인지. Fate/kaleid liner Prisma Illya와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의 인기 캐릭터를 포함한 다양한 작품들이 테마로 사용되었다.


1988년 도쿄・사이타마 연속 유녀 유괴 살인 사건이 발생하고, 1989년 범인 미야자키 츠토무 체포를 거쳐 "유해 코믹 소동"이 발발하면서, 1991년에는 업계에서 로리콘 코믹의 자율 규제가 시작되어 붐은 종식된다.[60] 1990년대에는 '유해 만화' 단속이 강화되었지만, 로리콘 이미지는 만화 내에서 더욱 확산되고 수용되었다.[13] 2000년대 초반에는 《코믹 LO》와 같은 잡지에 의해 로리콘 장르의 소규모 붐이 다시 일어났다.

3. 1. 1970년대: 로리콘 문화의 태동

1970년대 일본 대중 매체에서 '소녀'(어린 소녀)의 이미지는 귀여움, 순수함, "이상화된 에로스"의 상징으로 부상했다.[5] 이러한 속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린 소녀의 이미지에 더해졌다.[5] 순수 미술로 여겨지는 소녀의 누드 사진이 인기를 얻었다. 1969년에 『님펫: 12세의 신화』라는 사진집이 출판되었고, 1972년과 1973년에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주제로 한 누드 사진의 "앨리스 붐"이 있었다.[6]

장르로서 ''로리콘''의 부상은 1975년, ''소녀'' 만화의 성인 남성 팬들이 설립한 코미켓(코믹 마켓)에서 시작되었다.[7] 당시 코믹 마켓의 참가자는 대부분 여성(90%) 이었으나, 1981년에는 남녀 참가자 비율이 동일해졌다.[6] 1979년, 남성 예술가 그룹이 동인지 シベール (同人誌)|시베르|Cybele일본어의 첫 번째 호를 발간했다.[7] 이 작품의 주요 창작자는 "''로리콘''의 아버지"로 알려진 아즈마 히데오였다.[8] ''Cybele'' 이전에 세이넨 만화 (남성 대상)와 포르노 만화 (''헨타이'')에서 지배적인 스타일은 현실주의, 날카로운 각도, 어두운 해칭, 그리고 거친 선을 특징으로 하는 ''극화''였다.[9] 반면, 아즈마의 만화는 가벼운 음영과 깨끗하고 둥근 선을 보여주었으며, 그는 이를 ''소녀'' 만화와 "현실감 부족"을 공유하는 "철저히 에로틱"한 것으로 보았다.[9] 아즈마는 테즈카 오사무 작품의 통통한 몸매와 ''소녀'' 만화의 감성적인 얼굴을 결합하여 ''미소녀''의 출현과 "귀여운 에로티시즘" (''카와이 에로'') 미학을 만들었다.[10]

초기 로리콘 작품은 남성 예술가들이 소녀 만화를 모방한 것[11][12]과 남성 독자를 위해 여성 예술가들이 제작한 에로틱 만화의 영향을 받았다.[13] "로리타 콤플렉스"라는 용어가 만화에 처음 등장한 것은 와다 신지의 작품인 『양배추밭에서 넘어지다』(キャベツ畑でつまずいて|캬베츠바타케데 츠마즈이테|일본어)로, 1974년 소녀 만화 잡지 『별책 마가렛』에 게재되었으며, 여기에서 한 남성 캐릭터가 루이스 캐롤을 어른 독자를 위한 농담으로 "어린 아이들만 좋아하는 이상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고 칭했다.[14]

3. 2. 1980년대: 로리콘 붐

1980년대 초, 프로와 아마추어 예술 분야에서 '로리콘 붐'이 일어났다.[6] 오타쿠 커뮤니티 내에서 로리콘의 인기는 출판사들의 관심을 끌었고, 1982년에 레몬 피플과 만화 브릿코와 같은 이 장르에 전념하는 전문 출판물이 설립되었다.[2] 붐 당시 다른 잡지로는 , ''Melon Comic'', ''''가 있었다.[3] 이 장르의 부상은 동시대 ''오타쿠'' 문화의 발전과 팬 의식의 증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었다.[4] ''오타쿠''라는 단어는 1983년 Burikko에서 만들어졌다.[5] 원래 수익성이 없는 ''극화'' 잡지로 설립되었지만, 편집자 오츠카 에이지에 의해 1983년에 ''로리콘'' 잡지로 변모했다.[6] 그의 의도는 "소년들을 위한 소녀 만화"를 출판하는 것이었다.[7] 소녀 만화의 영향을 받아, ''로리콘'' 작품에서 현실적인 캐릭터와 명시적인 성적 묘사는 점점 줄어들었다.[10] 1983년, Burikko 편집자들은 독자들의 요구에 따라 표지에서 그라비아 아이돌 모델의 사진을 제거하고 "완전한 미소녀 코믹 잡지"라는 부제를 가진 호를 발행했다.[11]

''로리콘'' 잡지에는 오카자키 쿄코, 사쿠라자와 에리카와 같은 여성 아티스트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한 달에 160페이지의 만화를 제작한 "''로리콘''의 왕"으로 불리는 우치야마 아키와 같은 남성 아티스트가 정기적으로 실렸다.[12] 우치야마 아키의 작품은 레몬 피플과 같은 틈새 잡지와 주류 주간 소년 챔피언에 모두 게재되었다.[13] 최초의 포르노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1984년과 1985년에 에피소드별로 출시된 OVA인 로리타 애니메이션이었다.[14]

''로리콘'' 붐의 상징적인 캐릭터로는 영화 루팡 3세: 칼리오스트로의 성(1979)의 클라리스와 TV 시리즈 미래소년 코난(1978)의 라나가 있는데, 둘 다 미야자키 하야오가 감독했다.[15] 클라리스는 특히 인기가 많았고, 애니메이션 전문 잡지 , , Animage에서 그녀의 매력을 논하는 일련의 기사를 썼으며,[16] "클라리스 잡지"라는 팬 작품의 유행을 낳았다.[17] 이는 명시적으로 성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동화 같고" "소녀스러운" 성격을 띠었다.[18] 많은 초기 ''로리콘'' 작품은 메카미소녀 요소를 결합했다.[19] 1981년 일본 SF 컨벤션에서 Daicon III 오프닝 애니메이션의 초연은 당시 초기 오타쿠 문화에서 과학 소설과 ''로리콘''의 두드러짐을 보여주는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예이다.[20] 마법의 프린세스 밍키 모모(1982–1983)와 같이 어린 소녀 주인공을 내세운 어린 소녀들을 위한 애니메이션 쇼는 성인 남성 팬들로부터 새로운 시청자를 얻었고, 그들은 팬클럽을 결성했으며[21] 제작자들의 관심을 받았다.[22]

3. 3. 1990년대 이후: 로리콘과 오타쿠 문화

1989년 미야자키 츠토무 사건 이후, '로리콘'과 '오타쿠'는 부정적인 사회적 낙인과 도덕적 공황의 대상이 되었다.[60] 1990년대에는 '유해 만화' 단속이 강화되었지만, 로리콘 이미지는 만화 내에서 더욱 확산되고 수용되었다.[13]

1982년, "네크라", "(거의) 뵤키"와 함께 "로리콘"이 젊은이들의 유행어가 되면서[55] 신문이나 잡지에서 특집이 편성될 정도였다. 당시 "로리콘"은 "네크라"와 함께 일본 전역의 젊은이들을 좀먹는 "뵤키"라고도 불렸지만,[56] "나우이"라고 칭찬받는 경우도 있었다.

이 시기에는 로리콘을 테마로 한 만화, 잡지, 애니메이션, 사진집 등이 활발하게 출시되며 붐을 이루었다. 이는 아이돌 이토 츠카사가 데뷔한 1981년경부터 유해 코믹 소동이 일어난 1991년경까지의 기간에 해당한다.

1982년, 우치야마 아키의 『안드로 트리오』가 『주간 소년 챔피언』에 게재되어 『개구리 중사 케로로』, 『도카벤』에 이은 간판 작품이 되면서 매스컴에서 "로리콘 붐"으로 다루어졌다.[57][58][59] 같은 시기, "2대 로리콘 잡지"로 불리는 『레몬 피플』과 『만화 브릿코』가 창간되었다. 1983년경에는 로리콘 동인지의 앤솔로지인 『로리콘 백서』와 카와모토 코지 편집의 무크지 『로리콘 대전집』이 간행되며 붐의 정점을 이루었다. 당시에는 "극화"풍 그림체가 주류였으나, 새로운 감각과 그림체를 가진 젊은 크리에이터들이 로리콘 붐에 편승하여 동인에서 프로로 데뷔하기도 했다.

붐의 최성기에는 무엇이든 "로리콘"이라고 붙여서 팔릴 정도였지만, 1980년대 후반 "미소녀 만화지"가 다수 창간되고 로리콘 만화지 출신 만화가들이 일반지나 소년지에서 연재를 가지면서 붐은 진정된다. 1988년 도쿄・사이타마 연속 유녀 유괴 살인 사건이 발생하고, 1989년 범인 미야자키 츠토무 체포를 거쳐 "유해 코믹 소동"이 발발하면서, 1991년에는 업계에서 로리콘 코믹의 자율 규제가 시작되어 붐은 종식된다.[60]

2000년대 초반에는 《코믹 LO》와 같은 잡지에 의해 로리콘 장르의 소규모 붐이 다시 일어났다.

4. 대한민국에서의 로리콘

대한민국에서 '로리콘'이라는 단어는 모에(서브컬처) 문화에서 어린 캐릭터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은 사람들을 지칭한다.[2] '로리콘'이라는 단어에는 '소아성애'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지만, 이를 대체할 용어가 없어 인터넷상에서 관습적으로 널리 사용된다.[3] 이러한 현상은 쇼타콘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로리콘'(Lolicon)은 "로리타 콤플렉스(Lolita complex)"(ロリータ・コンプレックス|로리타 콘푸렛쿠스일본어)의 일본식 약어이다.[4][5]

5. 논란과 비판

로리콘은 성도착증의 일종으로, 옹호자들은 아동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는 아동을 성적인 대상으로 보도록 유도하여 아동성학대를 부추길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35][36][37] 캐나다, 호주, 영국 등에서는 관련 자료를 소지하는 것만으로도 불법이지만, 처벌 여부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1980년대 일본에서는 성적으로 미숙한 여자아이와 소녀를 묘사한 사진, 비디오, 만화가 대량으로 출판되는 "로리콘 붐"이라는 사회 현상이 일어났다.[52] 그러나 1985년 네리마구청 직원의 소녀 폭행 사건[78][79]과 1989년 도쿄·사이타마 연속 여아 유괴 살인 사건을 계기로 로리콘에 대한 비난이 거세졌다. 범인의 방에서 발견된 "로리콘 잡지"는 큰 충격을 주었고, 이는 "유해 코믹 소동"으로 이어져 1991년 로리콘 코믹 자율 규제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 이후, 로리콘 이미지는 가상의 캐릭터에 대한 감정적 반응인 모에와 관련된 디자인 요소 발전에 기여했다.[13] 비쇼조 게임과 세일러 문, 신세기 에반게리온 같은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인기를 얻으면서, 여성 주인공에 대한 팬들의 애정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와 상품화가 이루어졌다. 모에 캐릭터는 신체적으로 미성숙한 여자 캐릭터로, 현대 만화와 애니메이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일부 학자들은 '로리콘'을 남성 창작자와 소비자의 자기 표현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한다. 사회학자 샤론 킨셀라는 '로리콘' 팬들에게 "유아화된 여성적 욕망 대상[...]은 그들 자신의 자아상과 성적 취향의 한 측면이 되었다"고 주장한다.[46] 사회학자 이토 키미오는 '로리콘' 만화의 부상을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변화로 돌리며, 소년들이 소녀들이 "의지와 행동 면에서 그들을 능가한다"는 느낌에 휩싸여 어린 소녀 캐릭터가 "통제하기 쉬운" "상상의 세계"로 눈을 돌렸다고 보았다.[46]

문화 및 미디어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로리콘'을 실제 어린 소녀에 대한 성적 매력과는 구별한다.[42]

5. 1. 법적 문제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실제 아동이 등장하는 아동 포르노는 불법이다.[15]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등 일부 국가에서는 가상의 아동 성애 묘사도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지만, 처벌 수위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15] 일본에서는 아동 포르노의 정의에서 허구를 제외하고 있으나,[15] '유해 만화'에 대한 지방 조례는 강화되는 추세이다.

1999년 일본은 아동 포르노의 제작 및 배포를 처벌하는 국가 법률을 통과시켰다.[16] 이 법 초안에는 가상의 아동 묘사가 포함되었으나, 비판 여론으로 인해 최종 버전에서 삭제되었다. 2014년 일본 국회는 이 법을 개정하여 아동 포르노 소지를 처벌하도록 했다.[16] 자유민주당이 2013년에 도입한 초안은 만화, 애니메이션 등이 아동 성학대와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고, 이후 규제 결정을 내리도록 했으나,[17] 일본 만화가 협회 등의 반대로 2015년 최종 법안에서 삭제되었다.[19]

''로리콘'' 미디어는 일본에서 청소년에게 유해하다고 지정된 자료의 배포를 제한하는 지방 조례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걸쳐 강화되었다. 도쿄도 조례에 2010년에 제안된 수정안은 18세 미만으로 보이는 "존재하지 않는 청소년"의 묘사를 제한했으나, 반대 여론으로 인해 2010년 6월 도쿄 도의회에서 부결되었다.[21] 그러나 2010년 12월에는 새로운 개정안이 통과되어, 등장인물이 "실제 생활에서 불법이 될 수 있는 성적 행위"를 하는 만화, 애니메이션 등을 제한했다.

일본 외 지역에서도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의 성적 묘사는 검열과 제한의 대상이 되었다. 2006년 북미 출판사 세븐 시즈 엔터테인먼트는 만화 ''코도모노 지칸'' 출간 계획을 취소했는데, 회사는 해당 만화가 미국 시장에 적합하지 않다고 밝혔다. 2020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라이트 노벨 ''No Game No Life''의 3권이 어린 캐릭터의 성적 묘사로 인해 수입 및 판매 금지되었다.[26] 디스코드,[28] Reddit,[29] 및 Twitter 등 일부 온라인 플랫폼은 ''로리콘'' 콘텐츠를 금지한다.[30]

2014년 일본 아동 포르노법 개정에서 '로리콘' 자료를 제외한 이유에 대해, 자민당 의원은 "만화, 애니메이션, CG 아동 포르노는 소녀 또는 소년의 권리를 직접적으로 침해하지 않으며", "간접적으로라도 피해를 유발한다는 과학적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31] 만화 작가와 활동가들은 일본국 헌법이 예술의 자유를 보장하며, '로리콘' 자료 규제 법률은 위헌이라고 주장한다.[36]

유엔 아동 매매 및 성 착취 특별 보고관은 2015년 일본에서 "극심한 아동 포르노를 묘사하는 만화"와 그로 인한 "아동 성 학대의 진부화"에 대한 추가 논의와 연구를 촉구하며, 이러한 자료에 대한 금지를 요구했다.[38] 유엔 인권 위원회는 2019년 지침에서 아동 포르노에 대한 법률에 허구의 아동에 대한 명시적인 그림을 포함하도록 권장했다.[39][40]

지방 자치 단체에 따라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음행 조례)가 정해져 있으며, 18세 미만 청소년과의 음행이 금지되는 경우가 많다. 후쿠오카현 청소년 보호 육성 조례 사건의 최고 재판소 판결에서는 18세 미만의 청소년에게 "부당한 수단에 의한 성행위", "자신의 성적 욕망을 만족시키기 위한 성행위"를 한 경우에만 "음행"으로 처벌할 수 있다고 했다.

법적으로는 EU의 일부처럼 법 규제가 완화된 나라도 있는가 하면, 영국, 미국캐나다 등의 영어권에서는 아동 및 미성년자에 대한 성애 및 성범죄에 대한 태도가 매우 엄격하다.

5. 2. 윤리적 문제

로리콘 옹호자들은 아동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비판론자들은 로리콘이 아동을 성적 대상으로 만들어 아동 성 학대를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37] 일부 비평가들은 로리콘 작품이 성적 접근에 이용될 수 있으며, 아동 성 학대를 용인하는 문화를 조장한다고 주장한다.[37]

법학자 나카사토미 히로시는 '로리콘' 자료가 소비자의 성적 욕망을 왜곡하고 범죄를 유발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35] 비영리 단체 CASPAR의 창립자인 곤도 미츠에는 "표현의 자유가 어린 소녀가 폭력적으로 강간당하고 기본적인 인권을 박탈당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36]

유엔 아동 매매 및 성 착취 특별 보고관인 모드 드 부어-부퀴치오는 2015년 일본에서 "극심한 아동 포르노를 묘사하는 만화"와 그로 인한 "아동 성 학대의 진부화"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와 연구를 촉구했으며, 이러한 자료에 대한 금지를 요구했다.[38] 유엔 인권 위원회는 2019년 지침에서 아동 포르노에 대한 법률에 허구의 아동에 대한 명시적인 그림을 포함하도록 권장하며, "특히 그러한 묘사가 아동을 성적으로 착취하는 과정의 일부로 사용될 때" 더욱 그렇다고 명시했다.[39][40]

페미니스트 비평가 후나바시 쿠니코는 '로리콘' 자료가 소녀를 수동적으로 묘사하고 "여성의 신체를 남자의 소유물로 제시"함으로써 성폭력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41]

반면, 자민당 의원은 2014년 아동 포르노법 개정에서 '로리콘' 자료를 제외한 이유에 대해 "만화, 애니메이션, CG 아동 포르노는 소녀 또는 소년의 권리를 직접적으로 침해하지 않으며", "간접적으로라도 피해를 유발한다는 과학적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31] 만화 작가와 활동가들은 일본국 헌법이 예술의 자유를 보장하며, '로리콘' 자료 규제 법률은 위헌이라고 주장한다.[36]

통계적으로 일본에서 미성년자 대상 성 학대는 '로리콘' 매체 보급이 증가하면서 1960년대와 1970년대 이후 감소했다.[36] 문화 인류학자 패트릭 W. 갤브레이스는 이를 '로리콘' 이미지가 반드시 범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라는 증거로 해석하며,[36] 스티븐 스멧은 '로리콘'을 일본의 낮은 범죄율에 기여하는 "환상의 퇴치"라고 제안한다.[32]

갤브레이스는 현장 연구를 바탕으로 '오타쿠' 문화가 집단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와 픽션, 현실을 구분하는 윤리적 입장을 장려하며, 특히 둘을 혼동하는 것이 위험할 경우 더욱 그렇다고 주장한다.[36] 2012년 덴마크 정부의 성학 클리닉 보고서에 따르면, 허구의 아동 성 학대를 묘사하는 만화와 그림을 보는 개인이 현실 세계에서 아동 성 학대에 관여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증거는 없었다.[33]

샤랄린 오브는 미성년자 성행위를 묘사하는 만화가 아동 성 학대 피해자가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그러한 만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피해보다 성적 표현을 규제하는 것이 더 큰 해를 끼친다고 주장한다.[34]

5. 3. 모에(萌え)와의 관계

1990년대 이후, 로리콘 이미지는 '모에'와 관련된 디자인 요소 발전에 기여했다. 모에는 가상의 캐릭터에 대한 감정적 반응을 의미하며, 성적 표현이 간접적이거나 없는 경우가 많다. 일부 작품은 모에와 로리콘의 경계를 넘나들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31][36]

1989년 미야자키 츠토무가 체포된 후, 일본 언론은 그를 ''오타쿠''로 묘사하면서 ''로리콘''이 핵심어가 되었다.[4][5] ''로리콘''이 "유해 만화"에 대한 대중적 논쟁에서 소아성애와 동일시되면서, 오타쿠들 사이에서 캐릭터에 대한 애정은 ''모에''로 대체되었다.[13] ''모에''와 마찬가지로, ''로리콘''은 많은 ''오타쿠''가 의식적으로 현실과 구별되는 매력을 나타내는 데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32] 일부 ''오타쿠''는 캐릭터에 대한 매력을 명시하기 위해 "2차원 ''로리콘''"으로 정체성을 밝히기도 한다.[33][34]

하지만 '로리콘' 자료가 소비자의 성적 욕망을 왜곡하고 범죄를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도 있으며,[35] '로리콘' 작품이 성적 접근에 사용될 수 있고, 아동 성 학대를 용인하는 문화를 조장한다는 비판도 있다.[36][37][38][39][40][41]

참조

[1] 간행물 # Assuming harvnb refers to a publication "Japanese scholarship has, on the whole, argued that, in the case of Japanese fans, neither the Loli nor the [[Boys' Love|BL]] fandom represent the interests of paedophiles since moe characters are not objectified in the same manner that actual images of children can be, rather they express aspects of their creators' or consumers' own identities." 2011
[2] 웹사이트 ロリコン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Nihon Kokugo Daijiten 2023-07-19
[3] 서적 The End of Cool Japan: Ethical, Legal, and Cultural Challenges to Japanese Popular Culture Routledge 2016
[4] 간행물 # Assuming harvnb refers to a publication 2019
[5] 간행물 # Assuming harvnb refers to a publication "Today, ''lolicon'' is understood in at least three ways: as a subgenre of or tag for pornographic comics and cartoons specifically interested in young characters; as more generalized interest in manga/anime-style cute girls; and as something synonymous with child abuse material. It is also used casually to refer to men interested in younger women and girls." 2023
[6] 학술지 Comic Market: How the World's Biggest Amateur Comic Fair Shaped Japanese ''Dōjinshi'' Culture 2010
[7] 서적 Manga: Sixty Years of Japanese Comics Laurence King Publishing
[8] 웹사이트 Manga Answerman - Is Translating 'Lolicon' as 'Pedophile' Accurate? https://www.animenew[...] 2021-06-16
[9] 서적 Manga's Cultural Crossroads Routledge 2013
[10] 백과사전 Lolicon https://archive.org/[...] Kodansha International
[11] 서적 Applied Ethics: Old Wine in New Bottles? Hokkaido University 2021-07-12
[12] 학술지 Plumbing the Depths of Superflatness 2001
[13] 잡지 Pharrell Williams's Lolicon Video https://www.newyorke[...] 2014-10-15
[14] 웹사이트 Ask John: Are Moé and Lolicon the Same Thing? https://www.animenat[...] 2013-11-01
[15] 서적 The End of Cool Japan: Ethical, Legal, and Cultural Challenges to Japanese Popular Culture Routledge 2016
[16] 뉴스 Why hasn't Japan banned child-porn comics? https://www.bbc.com/[...] 2015-01-07
[17] 웹사이트 Japan Animation Creators Assoc. Adds Opposition to New Child Porn Revision Bill https://www.animenew[...] 2013-05-30
[18] 학술지 An advocacy coalition analysis of the game RapeLay: the regulation of sexual violence and virtual pornography in Japan 2021
[19] 웹사이트 Japan nears outlawing possession of child pornography http://ajw.asahi.com[...] 2014-06-05
[20] 뉴스 Creators Decry Tokyo's Proposed 'Virtual' Child Porn Ban (Update 7) http://www.animenews[...] 2010-03-15
[21] 뉴스 Tokyo's 'Nonexistent Youth' Bill Rejected by Assembly http://www.animenews[...] 2010-06-16
[22] 뉴스 1st Manga to Be Restricted by Revised Tokyo Law Listed (Updated) https://www.animenew[...] 2011-05-16
[23] 뉴스 Akamatsu's J-Comi Site Posts Adult Manga Restricted by Tokyo Law http://www.animenews[...] 2011-10-03
[24] 웹사이트 Imōto Paradise! 2 Manga to Be Restricted as 'Unhealthy' in Tokyo https://www.animenew[...] 2014-05-12
[25] 웹사이트 Anime and manga depicting sexual images of children spark calls for review of classification laws https://www.abc.net.[...] 2020-02-28
[26] 웹사이트 Australia Bans Import, Sales of 3 'No Game, No Life' Novels (Updated) https://www.animenew[...] 2020-08-11
[27] 웹사이트 What's A Light Novel? https://www.animenew[...] 2016-10-19
[28] 웹사이트 Discord strikes popular server over NSFW room reportedly sharing offensive images https://www.polygon.[...] 2018-07-26
[29] 웹사이트 Do Not Post Sexual or Suggestive Content Involving Minors https://www.reddithe[...] 2021-10-06
[30] 웹사이트 Child sexual exploitation policy https://help.twitter[...] 2024-04-29
[31] 뉴스 Japan's Kiddie Porn Empire: Bye-Bye? https://www.thedaily[...] 2014-06-03
[32] 잡지 Cream Lemon: An Almost Complete Overview Japan Communication 1995
[33] 웹사이트 Report: cartoon paedophilia harmless https://cphpost.dk/?[...] 2012-07-23
[34] 서적 The End of Cool Japan: Ethical, Legal, and Cultural Challenges to Japanese Popular Culture Routledge 2016
[35] 학술지 'Rapelay' and the problem of legal reform in Japan: Government regulation of graphically animated pornography https://www.japanese[...] 2013
[36] 웹사이트 Lolicon Backlash in Japan http://www.animenews[...] 2007-06-07
[37] 뉴스 Sexually explicit Japan manga evades new laws on child pornography https://edition.cnn.[...] 2014-06-18
[38] 웹사이트 UN human rights expert urges Japan to step up efforts to combat child sexual exploitation https://www.ohchr.o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24-04-29
[39] 웹사이트 CRC/C/156: Guideline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Op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n the sale of children, child prostitution and child pornography https://www.ohchr.or[...]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2019-09-10
[40] 웹사이트 UN Human Rights Committee's New Guidelines for Child Pornography Express 'Deep Concerns' About Drawings https://www.animenew[...] 2019-12-01
[41] 서적 Japanese Women: New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Feminist Press at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1995
[42] 논문 Lethal Girls Drawn for Boys: Girl Assassins in Manga/Anime and Comics/Film 2014
[43] 논문 Animēshion teki na gohai toshite no tajūkentōshiki: Hitaijinseiai teki na 'Nijigen' heno sekushuarite ni kansuru rironteki kousatsu https://researchmap.[...] 2022
[44] 논문 Erasure by Ethical Universalization in Global Risk Society: Human Oriented Sexualism in Regulation of Fictional “Child Pornography” https://researchmap.[...]
[45] 서적 Otaku no hon JICC Shuppankyoku 1989
[46] 논문 Cultural Change and Gender Identity Trends in the 1970s and 1980s
[47] 논문 Reorganizations of Gender and Nationalism: Gender Bashing and Loliconized Japanese Society 2010
[48] 서적 Pink Globalization: Hello Kitty's Trek Across the Pacific Duke University Press 2013
[49] 웹사이트 ロリータコンプレックス 2021-12-14
[50] 서적 構造的差別のソシオグラフィ 世界思想社 2006
[51] 웹사이트 お問い合わせ「本キャンペーンが規制を求めている『子どもポルノ』の具体的な定義について」 http://www.unicef.or[...] 日本ユニセフ協会
[52] 서적 ロリータ・コンプレックス 小学館 1995
[53] 서적 少女コレクション序説 中央公論社 1985
[54] 서적 ポルノ雑誌の昭和史 ちくま新書 2011
[55] 뉴스 ロリコンのネクラ族、もうほとんどビョーキ 朝日新聞 1982-12-22
[56] 간행물 週刊宝石 1982-07-31
[57] 간행물 週刊読売 1982-03-21
[58] 간행물 美術手帖 1982-04
[59] 간행물 週刊ポスト 1982-06-25
[60] 간행물 imago 青土社 1991-10
[61] 간행물 創 1982-11
[62] 간행물 月刊アドバタイジング 1981-12
[63] 간행물 朝日ジャーナル 1986-07-25
[64] 간행물 學鐙 1971-08
[65] 서적 Child Pornography - An Internet Crime
[66] 서적 Sex Offenders and the Internet
[67] 서적 Child pornography : An Investigation 1990
[68] 간행물 週刊宝石 1985-07-05
[69] 서적 おたくの本 1989
[70] 간행물 週刊宝石 1984-03-30
[71] 書적 日本昭和トンデモエロ大全 辰巳出版 2022
[72] 간행물 週刊読売 1982-03-21
[73] 간행물 アニメージュ 徳間書店 1982-05
[74] 간행물 月刊アウト 1982-03
[75] 서적 おたくの本 別冊宝島 1989
[76] 서적 美少女同人誌 スーパーアンソロジー 白夜書房 1984
[77] 간행물 週刊新潮 1987-11-12
[78] 간행물 ヘイ!バディー 白夜書房 1985-09
[79] 간행물 週刊文春 文藝春秋 1985-06-27
[80] 간행물 週刊宝石 1985-07-05
[81] 서적 日本昭和エロ大全 辰巳出版 2020
[82] 서적 少女古写真館 ちくま学芸文庫 2001
[83] 서적 少女古写真館 ちくま学芸文庫 2001
[84] 서적 ダークウェブ・アンダーグラウンド 社会秩序を逸脱するネット暗部の住人たち
[85] 간행물 アニメージュ 徳間書店 1982-06
[86] 웹사이트 アニメ様365日 第121回 ロリコンブーム http://www.style.fm/[...]
[87] 서적 女と男のだましあい―ヒトの性行動の進化 2000-02
[88] 뉴스 NHKwebNEWS“卵子の老化”とどう向き合うか http://www3.nhk.or.j[...]
[89] 웹사이트 平成27年(2015)人口動態統計(確定数)の概況|厚生労働省 https://www.mhlw.go.[...]
[90] 웹사이트 最新結果一覧 政府統計の総合窓口 GL08020101 - 人口動態調査 http://www.e-stat.go[...]
[91] TED メアリー・ローチ「あなたの知らないオーガズムに関する10の事実」 | TED Talk Subtitles and Transcript | TED https://www.ted.com/[...]
[92] 논문 初恋についての探索的研究 https://doi.org/10.4[...] 2008
[93] 서적 少女美 1926
[94] 서적 文明崩壊 滅亡と存続の命運を分けるもの(下) 草思社
[95] 뉴스 女子高生とのセックス 「愛」あれば不倫でも「無罪」 https://news.livedoo[...] J-CASTニュース 2007-05-24
[96] 뉴스 イラン大統領が早婚奨励 「女性は16歳がベスト」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0-11-21
[97] 웹사이트 ある編集者の遺した仕事とその光跡 天災編集者!青山正明の世界 第29回 ロリコンにおける青山正明(1) http://sniper.jp/008[...] 대양도서 2020-04-27
[98] 블로그 「ぐら・こん」がなくなった日 http://blogs.itmedia[...]
[99] 논문 日本のサブカルチャーにおける《ルイス・キャロル=ロリータ・コンプレックス》像の定着史 http://www.hp-alice.[...] 2004
[100] 간행물 コミックマーケット30’sファイル https://www2.comiket[...] 青林工藝舎 2005-07
[101] 웹사이트 ヒロイン手帖 その19 永山薫 表現規制において怖いのは自主規制、問われるのは作家より編集者(文/荒玉みちお・構成/うぶモード特ロリ班) https://vobo.jp/hero[...]
[102] 웹사이트 ほぼ月刊プチトマトどっとこむ http://kojiroo.pa.la[...]
[103] 웹사이트 映画『シベールの日曜日』など http://azumahideosak[...]
[104] 웹사이트 川本耕次(&竹熊健太郎)トークイベント(2011年05月21日) http://www.kurata-wa[...]
[105] 서적 ロリコン図書リスト 1979-07-27
[106] 웹사이트 怪しい編集者 https://web.archive.[...] ネットゲリラ 2020-01-27
[107] 웹사이트 代表作はガス屋のガス公 http://my.shadowcity[...] ネットゲリラ 2020-01-27
[108] 서적 文藝別冊[総特集]吾妻ひでお 美少女・SF・不条理ギャグ、そして失踪 河出書房新社 2011
[109] 간행물 はぁど・しゅ〜る新聞 虎馬書房 1980-03-15
[110] 서적 性度は動く セックスは文化とヤル 情報センター出版局 1984
[111] 문서 三馬鹿劇画ブーム ダーティ・松本
[112] 서적 出家日記―ある「おたく」の生涯 角川書店 2005-11
[113] 간행물 GORO 小学館 1982-03-11
[114] 웹사이트 ある編集者の遺した仕事とその光跡 天災編集者!青山正明の世界 第30回 ロリコンにおける青山正明(2) http://sniper.jp/008[...] WEBスナイパー(大洋図書Web事業部) 2020-05-23
[115] 서적 出家日記―ある「おたく」の生涯 角川書店 2005-11
[116] 서적 中島史雄パラノイア けいせい出版 1984-07
[117] 간행물 特集 ロリータあるいは如何にして私は正常な恋愛を放棄し美少女を愛するに至ったか ふゅーじょんぷろだくと 1981-10
[118] 서적 美少女マンガ創世記 ぼくたちの80年代 徳間書店 2014-09
[119] 웹사이트 ロリコンの原点はルパン三世だった? 宮崎駿が考えるロリコンとは https://news.livedoo[...] エキサイトレビュー 2020-05-27
[120] 서적 青少年保護条例・公安条例 学陽書房 1981
[121] 간행물 ロリコン座談会 ロリコンの道は深くて険しいのだ ふゅーじょんぷろだくと 1981-10
[122] 서적 漫画同人誌エトセトラ'82〜'98 状況論とレビューで読むおたく史 久保書店 2004-09
[123] 간행물 ロリコン同人誌レビュー 幻の『シベール』伝説にはじまるロリコン同人誌の覚醒期を経て今日のブーム到来までをロリコン雑誌研究家・原丸太がドキュメント アニメージュ 1982-03
[124] 문서 エロ劇画編集の顛末 東考社
[12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26] 간행물 吾妻ひでおサイン会のお知らせ まんだらけ 2020-04-15
[127] 간행물 漫画の手帖 1981-12
[128] 간행물 ロリコン・まんが誌の現状を総括する ふゅーじょんぷろだくと 1982-09
[129] 웹사이트 80年代初期ロリコン漫画誌の時代−SFと美少女からエロ漫画への変遷を辿って http://sniper.jp/008[...] WEBスナイパー(大洋図書Web事業部) 2020-05-26
[130] 서적 漫画同人誌エトセトラ'82〜'98 状況論とレビューで読むおたく史 久保書店 2004-09
[131] 웹사이트 『アニメージュとジブリ展』に潜んでいた「アニメブーム終焉」の真実 https://qjweb.jp/jou[...] 太田出版 2021-05-05
[132] 간행물 大学生をおおうロリコン症候群 潮出版社 1982-09
[133] 서적 エロゲー文化研究概論 増補改訂版 総合科学出版 2017-05
[134] 웹사이트 ある編集者の遺した仕事とその光跡 天災編集者!青山正明の世界 第5回 http://sniper.jp/008[...] WEBスナイパー(大洋図書Web事業部) 2020-06-18
[135] 간행물 檸檬社の倒産と三流劇画ブームの終焉 ふゅーじょんぷろだくと 1982-11
[136] 웹사이트 とんがりギャルゲー紀行 第59回:ファイナルロリータ https://maedahiroyuk[...] チアソル 2020-05-28
[137] 웹사이트 中森明夫『おたくの研究』をめぐって (2) http://takekuma.coco[...] たけくまメモ 2020-04-20
[138] 웹사이트 とんがりギャルゲー紀行 第1回:マリちゃん危機一髪 https://maedahiroyuk[...] チアソル 2020-05-28
[139] 웹사이트 おたく30周年、発祥の地をご案内しましょう https://weekly.ascii[...] 角川アスキー総合研究所 2020-06-25
[140] 웹사이트 http://www.burikko.n[...]
[141] Togetter おたくの語源―岡崎京子・桜沢エリカ・白倉由美は誰かデビューさせたか? https://togetter.com[...] 2020-05-20
[142] 서적 エロゲー文化研究概論 増補改訂版 総合科学出版 2017-05
[143] 웹사이트 MAISON ROLITA https://fishmans.web[...]
[144] 웹사이트 とんがりギャルゲー紀行 第3回:ロリータ・シンドローム https://maedahiroyuk[...] チアソル 2020-05-28
[145] 간행물 '「クラリスマガジン」の苦情に対するお答え' 라포트 1983-12
[146] 트위터 稀見理都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21-05-04
[147] 트위터 山本直樹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21-05-07
[148] 웹사이트 とんがりギャルゲー紀行 第30回:ALICE https://maedahiroyuk[...] チアソル 2020-05-28
[149] 트위터 武市好浩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19-04-16
[150] 트위터 後藤寿庵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13-01-07
[151] 트위터 計奈恵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18-09-12
[152] 웹사이트 くりいむレモンPART3「SF超次元伝説ラル」について http://oberkochen.sa[...]
[153] 뉴스 와이세츠 출판, 삼사 적발 경시청 1985-09-19
[154] 웹사이트 ある編集者の遺した仕事とその光跡 天災編集者 - 青山正明の世界 第33回 ロリコンにおける青山正明(5) http://sniper.jp/008[...] WEB스나이퍼(大洋図書Web事業部) 2020-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