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로자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자예는 몬테네그로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일리리아인 정착 이후 슬라브족이 정착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술탄 무라트 2세 모스크가 건설되었고, 1700년대 세르비아인의 대이동 이후 알바니아 부족들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 1912년 몬테네그로 왕국에 점령된 후 세르비아화 정책이 추진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다양한 세력 간의 갈등이 있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대를 거쳐 보스니아 전쟁과 코소보 전쟁으로 인해 인구 이동이 있었고, 현재는 보스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몬테네그로의 보스니아인 중심 도시로 여겨진다. 로자예는 몬테네그린어, 보스니아어, 알바니아어, 세르비아어가 사용되며,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도로를 통해 몬테네그로, 코소보, 세르비아와 연결되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로자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로자예의 기
로자예의 기
로자예의 문장
로자예의 문장
공식 명칭로자예
토착어 명칭로자예/Рожаје
지방 자치 단체 종류도시 및 지방 자치체
국가몬테네그로
지역북부
지방 자치체로자예
차량 번호판RO
ISO 3166-2 코드ME-17
기후Cfb
행정
정부 형태시장-의회
시장라흐만 후소비치 (BS)
지리
좌표42.84
면적432 km2
해발고도1109 m
인구
전체 인구 (2023년)13,608명 (도시)
전체 인구 (2023년)11,639명 (농촌)
전체 인구 (2023년)25,247명 (지방 자치체)
인구 순위몬테네그로에서 7번째
인구 밀도53명/km2
거주민로자예인
기타 정보
시간대CET
UTC 오프셋+1
하계 시간 (DST)CEST
UTC 오프셋 (DST)+2
우편 번호84310
지역 번호+382 51
웹사이트www.rozaje.me
갤러리
도시 전경
도시 전경
술탄 무라트 2세 모스크
술탄 무라트 2세 모스크
가니차 탑
가니차 탑

2. 역사

로자예는 고대 일리리아인 정착 이후, 슬라브족의 이동을 거쳐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500년대 술탄 무라트 2세 모스크가 건설되었고, 1700년대에는 세르비아인의 대이동으로 알바니아계 부족들이 정착했다. 1797년 건설된 가니치 쿨라는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된다.[7]

제1차 발칸 전쟁 이후 1912년 몬테네그로 왕국에 편입되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알바니아인들의 저항과 플라브 반란이 일어났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여러 세력 간의 갈등이 있었고, 전후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1960년대 목공 회사 고르니 이바르가 설립되어 번영했으나 1992년 파산했다. 보스니아 전쟁코소보 전쟁을 거치며 난민들이 유입되었고, 2018년에는 사라예보의 세빌지 복제품이 설치되었다.[15]

2. 1. 고대와 중세

로자예는 고대 시대에 일리리아인에 의해 처음 정착되었다. 이러한 일리리아 정착의 증거는 브레조예비차 언덕에 위치해 있다. 이후 슬라브족의 이동 기간 동안 슬라브족이 이 지역에 정착했다.[3] 로자예는 1571년과 1585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당시 요새를 둘러싼 정착지는 트르고비슈테라고 불렸으며, 1912년까지 그렇게 불렸다.

오스만 제국이 몬테네그로를 지배하는 동안, 1500년대에 술탄 무라트 2세 모스크가 도시에 건설되었으며, 술탄의 유해 묘도 포함하고 있다. 이 모스크는 도시 전체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로 여겨진다.

1700년, 세르비아인의 대이동 이후, 켈멘디와 쿠치를 포함한 알바니아 부족과 루고바의 슈크렐리와 같은 다른 부족들이 로자예와 세르비아의 인근 도시 투틴 지역에 정착했다. 샬라, 크라스니치, 가시도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4][5][6]

1797년, 쿠치의 무슬림 측에서 지원하여 건설된 방어 타워인 가니치 쿨라가 건설되었다. 이 타워는 현재 도시의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7]

2. 2. 오스만 제국 시대

로자예는 1571년과 1585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당시 요새를 둘러싼 정착지는 트르고비슈테라고 불렸으며, 1912년까지 그렇게 불렸다.

오스만 제국이 몬테네그로를 지배하는 동안, 1500년대에 술탄 무라트 2세 모스크가 도시에 건설되었으며, 술탄의 유해 묘도 포함하고 있다. 이 모스크는 도시 전체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로 여겨진다.

1700년, 세르비아인의 대이동 이후, 켈멘디와 쿠치를 포함한 알바니아 부족과 루고바의 슈크렐리와 같은 다른 부족들이 로자예와 세르비아의 인근 도시 투틴 지역에 정착했다.[4][5][6] 샬라, 크라스니치, 가시도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

1797년, 쿠치의 무슬림 측에서 지원하여 건설된 방어 타워인 가니치 쿨라가 건설되었다. 이 타워는 현재 도시의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7]

제1차 세계 대전 중, 몬테네그로 왕국의 군대는 제1차 발칸 전쟁 중 1912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도시를 점령했다. 이 기간 동안, 니콜라 1세 국왕 휘하의 몬테네그로군은 알바니아 현지인들의 침략이나 봉기의 위협을 줄이기 위해 신속하게 인구를 세르비아화하려 했다. 1913년 전쟁을 종식시킨 런던 조약에 따라 공식적으로 몬테네그로에 양도되었다.

2. 3. 몬테네그로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중, 몬테네그로 왕국 군대는 제1차 발칸 전쟁 중인 1912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로자예를 점령했다.[8] 니콜라 1세 국왕 휘하의 몬테네그로군은 알바니아 현지인들의 침략이나 봉기 위협을 줄이기 위해 신속하게 인구를 세르비아화하려 했다. 1913년 전쟁을 종식시킨 런던 조약에 따라 로자예는 공식적으로 몬테네그로에 양도되었다.[8] 1917년, 현지 알바니아 카디 바이람 발로타는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점령한 베라네와 로자예 주변 지역에서 불규칙 병력을 조직했으며, 그의 병사들과 동맹들은 정교회 몬테네그로인을 박해하고 살해했다.[8] 이들의 운동은 1918년 6월 1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인들에게 패배한 후 해산되었다.[8] 1919년, 전쟁 후 로자예는 알바니아 반란에 참여한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며, 나중에 플라브 반란(몬테네그로어: ''플라브스카 포부나'')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들은 플라브 및 구시네 지역과 함께 산자크의 세르브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 편입에 반대하여 봉기했다.[9][10] 반란이 진압되었을 때 세르비아 군대에 의해 로자예에서 약 700명의 알바니아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사건으로 인해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로 이주하게 되었다.[11][1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로자예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체트니크, 산자크 무슬림 민병대, 알바니아 불네타리 간의 갈등을 겪었다.[13] 물라 야쿱 카르도비치는 민병대의 저명한 사령관이 되어 노비 파자르 전투에 참여했는데, 그는 도시에서 4~5km 떨어진 비셰보 마을 출신이었다.[1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로자예는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고, 궁극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13] 이 기간 동안 로자예 자치구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당시 이반그라드(현재 베라네) 자치구의 일부였다. 1960년대에 당국은 목공, 제재, 가구 조립 공장인 고르니 이바르 회사를 설립했다.[13] 한때 이 회사는 도시 전체 인구의 53% 이상을 고용하여 도시의 경제적 지위를 확장시켰고, 이 지역 목공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13] 그러나 1992년, 고르니 이바르 회사는 청산되어 사업을 중단하면서 로자예는 경제적 혼란에 빠졌다.[13]

보스니아 전쟁 동안, 포차에서 이 지역에서 발생한 학살에서 탈출한 보스니아인들이 로자예로 재정착했다.[13] 1999년 코소보 전쟁 동안에는 전쟁을 피해 약 1,000명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이 로자예 남쪽에 정착했는데, 이들은 대부분 드레니차와 미트로비차 구 지역 출신이었다.[14]

2. 4. 현대

오스만 제국이 몬테네그로를 지배하는 동안, 1500년대에 술탄 무라트 2세 모스크가 도시에 건설되었으며, 술탄의 유해 묘도 포함하고 있다. 이 모스크는 도시 전체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로 여겨진다.[3]

1700년, 세르비아인의 대이동 이후, 켈멘디와 쿠치를 포함한 알바니아 부족과 루고바의 슈크렐리와 같은 다른 부족들이 로자예와 세르비아의 인근 도시 투틴 지역에 정착했다. 샬라, 크라스니치, 가시도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4][5][6]

1797년, 쿠치의 무슬림 측에서 지원하여 건설된 방어 타워인 가니치 쿨라가 건설되었다. 이 타워는 현재 도시의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7]

제1차 세계 대전 중, 몬테네그로 왕국의 군대는 제1차 발칸 전쟁 중 1912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도시를 점령했다. 이 기간 동안, 니콜라 1세 국왕 휘하의 몬테네그로군은 알바니아 현지인들의 침략이나 봉기의 위협을 줄이기 위해 신속하게 인구를 세르비아화하려 했다. 1913년 전쟁을 종식시킨 런던 조약에 따라 공식적으로 몬테네그로에 양도되었다. 1917년, 현지 알바니아 카디 바이람 발로타는 오스트리아-헝가리가 몬테네그로에서 점령한 베라네와 로자예 주변 지역에서 불규칙 병력을 조직했으며, 그의 병사들과 동맹들은 정교회 몬테네그로인을 박해하고 살해했다. 그의 운동은 1918년 6월 18일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인들에게 패배한 후 해산되었다.[8] 1919년, 전쟁 후 로자예는 알바니아 반란에 참여한 주요 도시 중 하나였으며, 나중에 플라브 반란(몬테네그로어: ''플라브스카 포부나'')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플라브 및 구시네 지역과 함께 산자크의 세르브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 편입에 반대하여 봉기했다.[9][10] 반란이 진압되었을 때 세르비아 군대에 의해 로자예에서 약 700명의 알바니아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건으로 인해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알바니아로 이주하게 되었다.[11][12]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 도시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체트니크, 산자크 무슬림 민병대, 알바니아 불네타리 간의 갈등을 겪었다. 물라 야쿱 카르도비치는 민병대의 저명한 사령관이 되어 노비 파자르 전투에 참여했는데, 그는 도시에서 4~5km 떨어진 비셰보 마을 출신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로자예는 SR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되었고, 궁극적으로 SFR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이 기간 동안 로자예 자치구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당시 이반그라드(현재 베라네) 자치구의 일부였다. 1960년대에 당국은 목공/제재/가구 조립 공장인 고르니 이바르 회사를 설립했다. 한때 이 회사는 도시 전체 인구의 53% 이상을 고용했다. 이는 도시의 경제적 지위를 확장시켰고, 이 지역의 목공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1992년, 고르니 이바르 회사는 청산되어 사업을 중단하면서 도시를 경제적 혼란에 빠뜨렸다.

보스니아 전쟁 동안, 포차에서 이 지역에서 발생한 학살에서 탈출한 보스니아인들이 로자예로 재정착했다.[13]

1999년 코소보 전쟁 동안, 전쟁에서 탈출한 약 1,000명의 알바니아계가 로자예 남쪽에 정착했다. 그들은 대부분 드레니차와 미트로비차 구 지역 출신이었다.[14]

2018년, 사라예보의 세빌지 복제품이 완성되어 현재 도시의 주요 광장에 전시되어 있다.[15]

3. 지리

이 지역은 넓은 언덕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과 남동쪽에는 하이아, 모크라 고라, 아흐미차, 크르스타츠, 즐리에브, 슈테딤, 투르약 산맥이 있다. 이 산들은 저주받은 산맥의 북쪽에 속한다. 이바르강이 이 지역을 관통하며, 침엽수림이 사람이 살지 않는 지역의 대부분을 덮고 있다. 강 덕분에 이 지역에는 풍부한 대규모 숲, 경작 가능한 목초지, 초원이 있다. 겨울철에는 주변 산에서 강력한 한랭 전선이 발생하여 도시와 이 지역 전체에 눈과 얼음이 흔하게 나타난다. 쾨펜 기후는 Cfb, 즉 해양성 기후로 기록되었다. 이 도시의 해발 고도는 약 1014m이다.

4. 행정

정당/연립의석지방 정부
style="background-color: #2E8B57" |보스니아당
style="background-color: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 몬테네그로 사회 민주당, 몬테네그로 자유당
style="background-color: #00cc55" |통합 개혁 행동
style="background-color: " |정의와 화해당
style="background-color: #808080" |무소속


5. 인구

로자예의 인구는 2003년 11월 1일 기준으로 9,121명이었다. 200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로자예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인구비율 (%)
보스니아인18,628명82.08
무슬림1,510명6.65
알바니아인1,008명4.44
세르비아인904명3.98
몬테네그로인440명1.93
기타150명0.69
어느 민족에도 속하지 않음53명0.23



로자예는 몬테네그로보스니아인의 중심 도시로 여겨진다.

5. 1. 인구 변화

로자예 인구 변화
연도인구
1948년1,461명
1953년1,813명
1961년2,765명
1971년5,327명
1981년7,336명
1991년8,828명
2003년9,121명
2011년9,567명
2023년13,608명
인구 규모는 행정 구역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로자예는 2023년 기준 13,608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으며, 로자예 시의 행정 중심지이다. 로자예는 몬테네그로보스니아인의 중심 도시로 여겨지며, 주민의 과반수가 보스니아인이다.

5. 2. 민족 구성

민족인구 (2003년)비율 (%)
보스니아인18,628명82.08
무슬림1,510명6.65
알바니아인1,008명4.44
세르비아인904명3.98
몬테네그로인440명1.93
기타150명0.69
어느 민족에도 속하지 않음53명0.23



2023년 인구 조사에서 84.66%가 자신을 보스니아인이라고 답했으며, 로자예는 몬테네그로 보스니아인 공동체의 중심지로 여겨진다. 보스니아인은 도시와 시 자체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알바니아인은 도시와 교외, 특히 코소보 국경과 가까운 마을(다치치, 발로티치, 플럼치, 바치, 베스니크 등)에 거주하며, 보스니아인 및 도시 내 다른 민족과 상호 관계를 유지하며 로자예 사회의 필수적인 부분이 되었다. 2023년 기준 로자예 시에 거주하는 알바니아인은 1,176명으로, 전체 인구의 5.07%를 차지한다. 이 지역의 알바니아인은 게그 방언의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며, 대부분 무슬림이다.

인구 규모가 매우 작지만, 세르비아인 (2.56%)도 로자예에 일정 기간 거주해 왔으며, 일반적으로 도시의 다른 민족 공동체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비예라 크르크바는 시 내 세르비아인이 다수인 몇 안 되는 마을 중 하나이다.

로자예 전체 인구의 3.76%가 자신을 몬테네그로인이라고 답했다.

5. 3. 언어

몬테네그린어,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표준어로서 서로 이해할 수 있다. 산자크 지역에 속하는 대부분의 도시와 지역과 마찬가지로, "'보슈냐키'"로 알려진 보스니아어 방언을 사용하며, 총 화자 수의 74.05%로 도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몬테네그린어(16.55%)이며, 알바니아어 사용자는 4.34%, 세르비아어 사용자는 인구의 3.02%를 차지한다. 전체 인구의 1.82%는 모국어 또는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밝히지 않았다.[16]

5. 4. 종교

로자예는 무슬림이 다수인 지방 자치 단체 중 하나이므로, 도시 내에 여러 개의 모스크가 있으며, 그 중 쿠찬스카 자미야와 술탄 무라트 2세 모스크가 특히 유명하다. 지방 자치 단체 내에는 2개의 정교회 교회가 있는데, 폐허가 된 루지차 교회와 세르비아 국왕 우로시 1세의 아내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고스포딘 브르흐 교회가 있다.

로자예는 인구의 96.52%를 차지하는 무슬림이 다수인 도시이다. 로자예의 인구는 주로 수니파 이슬람교를 따르는 보스니아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이슬람교는 이 도시의 문화와 사회 구조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모스크는 예배 장소이자 지역 사회의 모임 장소로서 이 지방 자치 단체의 눈에 띄는 랜드마크이다. 그러나 로자예는 종교적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며, 이슬람교와 함께 총 인구의 3.08%를 차지하는 소수의 동방 정교회 신자들도 있다.[17]

종교비율
이슬람교96.52%
동방 정교회3.08%
기타 종교0.40%


6. 교통

로자예는 몬테네그로와 코소보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인 로자예-쿨라-페치 도로(쿨라는 몬테네그로와 코소보 양측의 국경 검문소)에 위치해 있다. 또한 중부 세르비아의 노비 파자르와도 IB-22 고속도로(세르비아)(일명 이바르스카 마기스트랄라)를 통해 연결되는데, 이 도로는 몬테네그로세르비아를 연결하는 주요 지역 도로이다. 베라네를 경유하는 2차선 고속도로를 통해 몬테네그로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거리는 약 30km이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코소보 프리슈티나에 있는 프리슈티나 국제공항 아뎀 야샤리로, 거리는 116km이며, 포드고리차 공항은 약 180km 떨어져 있고 매년 주요 유럽 목적지로 정기 항공편이 운항된다. 그러나 2021년 11월 바르-볼야레 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포드고리차에서 로자예까지 가는 시간이 크게 단축되었고, 다른 국가에서 온 대부분의 디아스포라에게 이전 옵션보다 선호되는 추세이다.

7. 국제 관계

로자예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8]

국가도시
터키Bayrampaşa|바이람파샤tr
프랑스Betton|베통프랑스어
북마케도니아Kavadarci|카바다르치mk
터키Kütahya|퀴타히아tr[19]
불가리아Pernik|페르니크bg
스위스Pfäffikon|패피콘de


참조

[1]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23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www.monstat.[...] Monstat 2024-01-25
[2] 웹사이트 Skupstina Crne Gore http://www.skupstina[...] 2019-09
[3] 웹사이트 History of Rožaje http://www.rozaje.me[...] 2013-06-28
[4] 서적 Tutin i okolina https://books.google[...] Serbian Academy of Science and Arts
[5] 서적 The Tribes of Albania,: History,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Robert Elsie 2015-04-24
[6] 서적 Hirten, Kämpfer, Stammeshelden: Ursprünge und Gegenwart des balkanischen Patriarchats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Wien 1992
[7] 서적 The Rough Guide to Montenegro https://books.google[...] Penguin 2012-05-10
[8] 서적 Balkans and Islam: Encounter, Transformation, Discontinuity, Continu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2-11-15
[9] 서적 Less than Nations: Central-Eastern European Minorities after WWI, Volume 1 http://www.cambridg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10] 서적 Region,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ism in Southeastern Europe, Part 1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1] 서적 Politics of Ethnic Cleansing: Nation-State Building and Provision of In/Security in Twentieth-Century Balkans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8-02-22
[12]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06-09
[13] 문서 2006-Genocide,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a topical digest of the case law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Human Rights Watch
[14] Youtube MONTENEGRO: ROZAJE: KOSOVO REFUGEE CRISIS LATEST https://www.youtube.[...] 2023-01-01
[15] 웹사이트 Simbol Sarajeva u Sandžaku: Nakon Pazara, Sjenice sebilj ukrašava i Rožaje FOTO/VIDEO https://akos.ba/simb[...] 2019-01-31
[16]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23. godine https://monstat.org/[...]
[17]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23. godine https://monstat.org/[...]
[18] 웹사이트 Bratimljenje http://www.uom.co.me[...] Zajednica opština Crne Gore 2019-12-29
[19] 웹사이트 Odluka o bratimljenu opštine Rožaje sa opštinom Kutahya https://www.rozaje.m[...] Rožaje 2022-09-27
[20] 문서 2006-Genocide,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a topical digest of the case law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Human Rights Wat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