뢱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뢱팅은 페로 제도의 의회이다. 1274년 노르웨이의 법률 도입으로 사법 권한이 축소되었고, 1852년 덴마크 의회에 종속되어 제한적인 권한을 갖는 등 역사를 거쳐왔다. 1940년 영국 점령 후 행정 권한을 갖게 되었으며, 1948년 자치법 제정으로 자체적인 권한을 갖게 되었다. 뢱팅은 입법, 행정, 사법 권한을 가지며, 페로 제도의 자치권 확대와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페로 제도의 의회인 뢰그팅(Løgting)은 바이킹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초기 뢰그팅은 입법권과 사법권을 모두 가진 일종의 알팅(Allting)으로, 토르스하운의 팅가네스 반도에서 열렸던 것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설립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페로잉가 사가에 언급될 정도로 오래된 기관이었다.
홈룰 발효 이후 뢰그팅(Løgting|뢰그팅fo)의 의회 업무는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홈룰 이전 뢰그팅은 자문 기관에 불과했지만, 홈룰 발효 후에는 덴마크 의회(폴케팅)에서 이관받은 모든 분야에서 입법 권한을 갖게 되었다. 홈룰법에 따라 입법 권한 분야는 'A-분야'와 'B-분야'로 나뉜다.
2. 역사
1274년 노르웨이의 통치가 강화되면서 뢰그팅은 사법 기능 중심으로 역할이 축소되었고, 의장은 국왕이 임명하는 뢰그마우르가 맡게 되었다. 1298년에는 양 사육에 관한 규정인 세이다브레비드(Seyðabrævið)가 제정되었는데, 이는 현재까지 전해지는 페로 제도의 가장 오래된 문서이다. 1380년 이후 덴마크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고, 1660년 프레데리크 3세의 절대 왕정 도입 이후 점차 권한이 약화되어 1816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1849년 덴마크가 새 헌법을 제정하면서 페로 제도의 특별한 지위가 사라지자, 뢰그팅 부활 요구가 높아졌다. 결국 1852년 자문 기관 형태로 재건되었으며, 점차 페로 민족주의 운동의 구심점 역할을 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 점령으로 덴마크와의 관계가 단절되자, 뢰그팅은 실질적인 입법 기관으로 기능하며 자치 능력을 보여주었다.
전쟁 후 자치 요구가 거세졌고, 1946년 국민투표를 거쳐 1948년 자치법(Heimastýrislógin)이 제정되었다. 이 법에 따라 뢰그팅은 페로 제도의 특정 사안에 대한 입법권을 갖게 되었으며, 이후 의회주의 도입 등 현대적인 의회로 발전해왔다.[2]
2. 1. 바이킹 시대
페로 제도의 팅 또는 의회는 원래 입법권과 사법권을 모두 가진 일종의 알팅(Allting)이었다. 이 시기에는 국가 차원의 행정 권한이 존재하지 않았다. 페로 제도 사회는 가족 중심의 사회(eitt ættarsamfelagnon)였으며, 각 가족들이 뢰그팅의 판결과 결의안이 실제로 집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맡았다.
페로 제도는 기원후 650년경 이미 사람들이 정착했을 가능성이 있다. 초기 주민들은 켈트족의 후손이었으나, 약 825년경 노르드족 토지 정착민들에 의해 밀려났다. 바이킹 시대와 중세 시대의 페로 사회는 다른 북유럽 지역과 여러 면에서 유사했는데, 특히 법률 제정 방식이 그러했다. 가장 중요한 법률은 고대 노르웨이의 농업법인 Gulatingslóginnon이었으며, 이는 노르웨이 베스트란트의 굴라팅 입법 지역에서 유래했다. 이 법은 원래 구전으로 전해졌으나, 1100년경 문자로 기록되었다.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에 따르면, 뢰그팅은 오늘날 토르스하운에서 가장 오래된 지역인 팅가네스 반도에 위치했다. 바이킹 시대에는 특정 세력에게 유리하지 않도록 중립적이고 사람이 살지 않는 장소에서 Þing|팅non(의회)을 개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당시 팅가네스에는 정착지가 없었고, 다른 섬들과의 중심적인 위치 덕분에 이상적인 장소로 여겨졌을 것이다.
아이슬란드의 알팅과 달리, 뢰그팅의 정확한 설립 시기는 역사적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페로잉가 사가에서 처음 언급될 때 이미 잘 자리 잡은 기관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사가에는 10세기 중반, 족장 하우그리무르와 에이나르 수도로잉거 사이의 법적 분쟁이 팅에서 다뤄진 내용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으며, 이 사건으로 엘드야른 캄뵈투르가 추방되었다. 이 분쟁은 Straumseyjarþing|스트룀세이야르팅non("스트레모이 팅"이라는 의미)으로 기록되었다.
초기 페로 제도의 팅은 부유한 농부들, 즉 "페로 제도의 최고 인물들"이 자유롭게 모이는 회의체로 묘사된다. 당시 페로 제도는 약 4,000명의 인구와 60,000마리의 양을 가진 일종의 공화국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팅의 의장은 Løgmaður|뢰그쇠구마두르non였으나, 그에게는 투표권이 없었다.
페로 제도의 바이킹 시대는 1035년 트론두르 이 고투가 사망하고, 레이부르 외수르손(시그문두르 브레스티손의 사위)이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1세 왕의 봉신이 되면서 막을 내렸다. 하지만 이후 약 150년 동안 페로 제도는 어느 정도 자치적인 사회 형태를 유지했다.
2. 2. 노르웨이 통치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6세가 1274년 노르웨이 란슬로그(Land's Law, 토지법)를 도입하면서 페로 제도의 지위는 변화를 맞이했다. 이때부터 페로 제도의 의회인 팅(ting)은 6개 지역 바팅(vártings) 대표들의 회의체가 되었고, 사법 권한만을 가지게 되었다. 이 의회는 고대 노르드어로 '''뢰그팅'''이라 불렸으며, 노르웨이 고등 법원에 따라 의장인 뢰그마우르는 재판관의 역할을 했고 국왕이 직접 임명했다. 뢰그팅의 구성원들은 "배심원"을 뜻하는 Løgrættumenn|뢰그레툼엔non이라고 불렸으며, 페로 제도 주재 국왕의 프로보스트(Provost, 검찰관)가 임명했다.
1298년 6월 24일, 페로 제도는 Seyðabrævið|세이다브레비드non("양 편지")를 획득했다. 이는 양 사육에 관한 규정을 담고 있으며,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페로 제도에서 가장 오래된 문서이자 최초의 헌법적 성격을 지닌 문서이다.
1380년경 페로 제도는 노르웨이와 함께 덴마크 왕위 아래로 편입되었지만, 과거 노르웨이 영토로서의 특별한 지위는 유지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뢰그팅은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3세가 1660년 절대 왕정을 도입하기 전까지 입법과 섬 행정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러나 절대 왕정 도입 이후 뢰그팅의 영향력과 권한은 점차 축소되었고, 결국 1816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폐지와 동시에 뢰그팅이 가졌던 사법 권한은 새로 설치된 페로 제도 법원 등 다른 법원으로 넘어갔다.
2. 3. 덴마크 통치
1849년 덴마크가 자유 민주 헌법을 제정하면서 페로 제도가 덴마크 왕국 내에서 누리던 특별한 지위는 종식되었다. 이 헌법은 페로 제도 주민들과의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제정되었다. 당시 많은 페로 제도 주민들은 뢰그팅의 부활을 원했다. 이는 덴마크 정부가 임명한 최고 관리인 암트마두르가 페로 제도 입법 문제에 대한 유일한 자문 기관이라는 상황에 대한 불만 때문이기도 했다. 페로 제도의 정치적 권리를 위해 노력한 인물 중에는 닐스 빈터 (1822–1892)가 있었다.
1852년 3월 23일, 법 제정을 통해 페로 뢰그팅이 재건되었으나, 입법권을 가진 의회가 아닌 자문 기관인 '암츠라드'(Amtsråd)의 지위에 머물렀다. 재건된 뢰그팅은 1852년 올라보스카 축제일에 첫 회의를 열어, 1816년 폐지되었던 옛 기관의 전통을 이었다.
당시 뢰그팅의 정치적 권한과 영향력은 제한적이었지만, 덴마크 정부와 의회(릭스다그)에 페로 제도를 대표하고, 정치 의식이 있는 페로 제도 주민들이 정치 경험을 쌓는 정치적 토론의 장으로서 점차 중요성을 더해갔다. 뢰그팅은 페로 민족주의 운동의 중요한 정치적 기반이 되었다. 민족주의 운동 지지자들은 정치적 자치를 요구하며 뢰그팅의 입법권 확보를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삼았다.
1852년 재건 당시에는 덴마크 정부가 임명한 암트마두르가 뢰그팅 의장을 겸임했다. 하지만 이 방식은 1923년에 변경되어, 이후로는 뢰그팅 구성원들이 직접 의장을 선출하게 되었다. 1927년부터는 뢰그팅 회의록이 페로어로 작성되기 시작했으며, 1935년에는 뢰그팅에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 4월 12일, 영국군이 페로 제도를 점령하면서 덴마크와의 관계가 단절되었다. 이 시기 뢰그팅은 실질적인 입법 의회 역할을 수행했으며, 페로 제도는 Amtmaður|암트마두르fo 칼 오에 히르베르트와 뢰그팅이 임명한 장관들로 구성된 자체 정부를 운영하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페로인들은 스스로를 통치할 능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쟁이 끝난 후, 특히 새로운 정당 폴카플로쿠린의 영향으로 독립 운동이 크게 강화되었다. 이로 인해 어떤 정당도 페로 제도의 지위가 사실상 덴마크의 카운티(Færøernes amt|페뢰르네스 암트da)였던 전쟁 이전 상태로 돌아가기를 원치 않게 되었다.
2. 5. 자치 정부
덴마크 정부와 뢰그팅 대표단 사이에 길고 어려운 협상이 진행되었다. 마침내 1946년 9월 14일 국민투표가 열렸고, 유권자들은 덴마크의 자치 제안과 덴마크로부터의 완전한 분리 독립 사이에서 선택해야 했다. 이 투표는 의회가 결과를 의무적으로 따라야 하는 것은 아니었기에 공식적인 국민투표는 아니었다. 투표 결과, 덴마크로부터의 분리 독립이 161표라는 근소한 차이(찬성 48.7%, 반대 47.2%, 무효/기권 4.1%)로 가결되었다.
당시 의회의 다수를 차지한 공화 연립 세력은 이 결과를 페로 제도 국민이 완전한 독립을 원한다는 의사 표현으로 해석했다. 이들은 분리 독립 절차를 시작하고 독립 국가를 위한 행정 기구 설립에 착수했다. 덴마크 정부는 이러한 독립 절차의 합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결국 9월 25일, 덴마크 국왕은 페로 제도 의회를 해산하는 문서에 서명했고, 몇 달 뒤 새로운 의회 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는 덴마크와의 연합을 지지하는 정당들이 2,000표 이상 더 얻으며 과반수를 확보했고, 새로운 연합주의 연립 정부가 들어섰다. 새 정부는 늘어난 득표율을 근거로 분리 독립안을 추진하지 않는 대신, 타협안으로 자치법을 제정했고, 이 법은 1948년 4월 1일부터 효력을 발휘했다.[2]
1946년 투표 결과에 대한 해석은 당시부터 현재까지도 논란거리이며, 크게 두 가지 입장이 맞서고 있다. 한편에서는 비록 근소하더라도 분리 독립에 대한 다수 의견이 확인되었으므로 독립 의사가 표명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불과 161표 차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국가의 운명을 결정하는 중대한 사안에는 특별 다수결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편다.
자치법에 따라 뢰그팅은 페로 제도의 특별 사안(særanliggender|세라늘리겐두르fo)에 대한 입법권을 갖게 되었고, 그 외 일반 사안(fællesanliggender|페들레사늘리겐두르fo)은 덴마크 국가 기관이 관리하게 되었다. 1995년에는 새로운 법령이 통과되어 의회주의가 법적으로 채택되었으며, 이와 함께 뢰그팅의 구조와 기능도 현대화되었다. 독자적인 페로 제도 헌법 제정 또한 계획되어 추진 중이다.
3. 권한
국방 및 외교 정책 관련 사항은 홈룰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덴마크 폴케팅은 뢰그팅이 이관받은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입법 권한을 가지며, 페로 제도 주민들은 폴케팅에 2명의 대표 의원을 선출하여 보낸다. 홈룰의 틀 안에서 뢰그팅은 헌법 문제와 의사 일정에 관한 규정을 스스로 정한다.
페로 제도 홈룰법에 따라 내부 문제의 조직은 전적으로 뢰그팅의 관할이다. 이와 관련된 법률은 1994년 7월 26일에 통과되었다. 이 법 제1조에 따르면, 홈룰에 따라 이관된 문제에 대한 법적 권한은 입법권은 뢰그팅과 총리가 공동으로 갖고, 행정권은 정부에, 사법권은 해당 문제에 대해 덴마크 법원에 귀속된다. 의회는 4년 임기로, 최대 32명의 의원이 공개, 비밀,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정부는 총리(løgmaður|뢰그마두르fo)와 2명 이상의 장관(landsstýrismenn|란스티리스멘fo)으로 구성된다.
총리는 의회에 의해 간접적으로 임명된다. 의회 의장은 각 정당 대표들과 협의를 거쳐 새로운 총리 후보를 제안한다. 이후 투표를 통해 과반수 의원이 후보를 거부하지 않으면 후보는 총리로 선출된다. 총리는 장관들을 임명한다. 총리나 장관에 대한 불신임 투표가 제기되어 17명 이상의 의원이 반대하지 않으면(즉, 불신임에 찬성하거나 기권하면) 자리에서 물러나야 한다. 총리는 언제든지 선거를 소집할 권한을 갖는다. 총리와 장관은 의회 의원직을 겸할 수 없다.
4. 위원회
뢰그팅은 페로 의회 회기 동안 선출되는 7개의 상임위원회를 두고 있다. 이 위원회들은 의원들이 새로 선출하기로 합의하지 않는 한 선출 기간 동안 유지된다.
주요 상임 위원회와 그 역할은 다음과 같다.
위원회 명칭 | 주요 역할 |
---|---|
재정 위원회 | 자치법 제44조 2항에 따라 추가 승인을 부여하며, 재정, 경제, 세금, 관세 문제에 대해 페로 의회에 권고한다. |
외무 위원회 | 자치법 제54조에 따라 외무, 통상, 국방 문제, 그리고 덴마크와의 관계에 대해 페로 정부에 권고한다. |
어업 및 산업 위원회 | 어업 문제, 해운 문제, 어업 관련 문제, 산업 문제, 양식 문제, 농업 문제, 환경 문제, 통신 및 교통 문제, 에너지 및 석유 산업 문제, 통상 문제, 그리고 상업 회사 및 등록 문제 등에 대한 의회 권고를 담당한다. |
사회 복지 위원회 | 사회 문제, 노동 시장 문제, 주택 문제에 대한 의회 권고를 담당한다. |
사법 위원회 | 사법 및 지방 자치 문제에 대한 의회 권고를 담당한다. |
정부 문제 위원회 | 자치법 제38조에 따라, 총리와 장관에 대한 사법적 감독을 수행하고 그들이 법의 규칙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임무를 가진다. 위원회는 총리 또는 장관을 소환하여 모든 정치적 질문에 대한 세부 사항을 설명하도록 할 권한이 있다. |
5. 1906년 이후 선거 결과
파로 제도의 주요 정당은 일반적으로 네 개의 정당으로 나뉘며, 각 정당은 선거에서 약 20%의 득표율을 보인다. 주요 정당으로는 보수적인 연합당, 사회민주당, 자유주의적-독립주의 성향의 인민당, 그리고 민주사회주의 성향의 공화국이 있다. 이들 정당은 각각 좌/우 및 독립/연합주의 축에서 뚜렷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이 외에도 고전적 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진보, 자유주의 자치 정부당, 기독교 보수주의 중앙당 등 세 개의 소규모 정당도 의회 의석을 확보하고 있다.
선거에서 각 정당은 다음 표와 같이 특정 문자를 할당받으며, 이 문자는 선거 포스터에도 사용된다.
문자 | 정당 | 문자 | 정당 | 문자 | 정당 |
---|---|---|---|---|---|
A | 인민당 | F | 진보 | K | 무소속 |
B | 연합당 | G | 중앙당 | L | 진보당 (1988), 학생당 (2008) |
C | 사회민주당 | H | 노동자 연합 | M | 자유 연합 |
D | 자치 정부당 | I | 사업가당 (1936), 기독교 인민당, 파로 제도 진보 및 어업당 (1958–1988) | N | 사회 분리주의 정당 |
E | 공화국 | J | 분리주의 정당 | O | 파로 제도 정당 |
아래는 1906년부터 2019년까지의 뢰그팅 선거 결과(정당별 득표율 %)이다.
날짜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
1906년 7월 18일 | 62.4 | 37.6 | |||||||||||||
1908년 2월 2일 | 66.1 | 33.9 | |||||||||||||
1910년 2월 12일 | 72.3 | 24.3 | 3.4 | ||||||||||||
1912년 2월 2일 | 52.3 | 41.6 | 6.0 | ||||||||||||
1914년 2월 2일 | 52.8 | 47.2 | |||||||||||||
1916년 2월 28일 | 37.9 | 51.7 | 10.4 | ||||||||||||
1918년 4월 24일 | 50.3 | 49.7 | |||||||||||||
1920년 11월 10일 | 58.4 | 41.6 | |||||||||||||
1924년 1월 22일 | 58.7 | 39.1 | 2.2 | ||||||||||||
1928년 1월 23일 | 46.1 | 10.6 | 42.3 | 1.0 | |||||||||||
1932년 1월 19일 | 50.1 | 10.5 | 37.3 | 0.2 | 1.8 | ||||||||||
1936년 1월 28일 | 33.7 | 24.0 | 34.2 | 8.1 | |||||||||||
1940년 1월 30일 | 24.7 | 32.3 | 23.9 | 16.2 | 1.6 | 1.3 | |||||||||
1943년 8월 24일 | 41.5 | 28.3 | 19.9 | 10.4 | |||||||||||
1945년 11월 6일 | 43.4 | 24.4 | 22.8 | 9.4 | |||||||||||
1946년 11월 8일 | 40.9 | 28.7 | 28.1 | 2.3 | |||||||||||
1950년 11월 8일 | 32.3 | 27.3 | 22.4 | 8.2 | 9.8 | ||||||||||
1954년 11월 8일 | 20.9 | 26.0 | 19.8 | 7.1 | 23.8 | 2.5 | |||||||||
1958년 11월 8일 | 17.8 | 23.7 | 25.8 | 5.9 | 23.9 | 2.9 | |||||||||
1962년 11월 8일 | 20.2 | 20.3 | 27.5 | 5.9 | 21.6 | 4.4 | |||||||||
1966년 11월 8일 | 21.6 | 23.7 | 27.0 | 4.9 | 20.0 | 2.8 | |||||||||
1970년 11월 7일 | 20.0 | 21.7 | 27.2 | 5.6 | 21.9 | 3.5 | |||||||||
1974년 11월 7일 | 20.5 | 19.1 | 25.8 | 7.2 | 22.5 | 2.5 | 2.5 | ||||||||
1978년 11월 7일 | 17.9 | 26.3 | 22.3 | 7.2 | 20.3 | 6.1 | |||||||||
1980년 11월 8일 | 18.9 | 23.9 | 21.7 | 8.4 | 19.0 | 8.2 | |||||||||
1984년 11월 8일 | 21.6 | 21.2 | 23.4 | 8.5 | 19.5 | 5.8 | |||||||||
1988년 11월 8일 | 23.2 | 21.2 | 21.6 | 7.1 | 19.2 | 5.5 | 2.1 | ||||||||
1990년 11월 17일 | 21.9 | 18.9 | 27.5 | 8.8 | 14.7 | 5.9 | 2.3 | ||||||||
1994년 7월 7일 | 16.0 | 23.4 | 15.3 | 5.6 | 13.7 | 5.8 | 9.5 | 6.3 | 1.9 | 2.4 | |||||
1998년 4월 30일 | 21.3 | 18.1 | 21.9 | 7.6 | 23.8 | 4.1 | 0.8 | 2.5 | |||||||
2002년 4월 30일 | 20.8 | 26.0 | 20.9 | 4.4 | 23.7 | 4.2 | |||||||||
2004년 1월 20일 | 20.6 | 23.7 | 21.8 | 4.6 | 21.7 | 5.2 | 2.4 | ||||||||
2008년 1월 19일 | 20.1 | 21.0 | 19.3 | 7.2 | 23.3 | 8.4 | 0.7 | ||||||||
2011년 10월 29일 | 22.5 | 24.7 | 17.8 | 4.2 | 18.3 | 6.3 | 6.2 | ||||||||
2015년 9월 1일 | 18.9 | 18.7 | 25.1 | 4.1 | 20.7 | 7.0 | 6.5 | ||||||||
2019년 8월 31일 | 24.5 | 20.3 | 22.1 | 3.4 | 18.1 | 4.6 | 5.4 |
5. 1. 최근 선거 결과
가장 최근의 총선거는 2022년 12월 8일에 치러졌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의석수 | 증감 (+/–) | |
---|---|---|---|---|---|
style="background-color:#A82C30" | | 사회민주당 (C) | 9,094 | 26.58 | 9 | +2 |
style="background-color:#04688A" | | 연합당 (B) | 6,874 | 20.3 | 7 | 0 |
style="background-color:#008538" | | 인민당 (A) | 6,473 | 18.92 | 6 | -2 |
style="background-color:#C4D000" | | 공화당 (E) | 6,057 | 17.71 | 6 | 0 |
style="background-color:#E17605" | | 진보 (F) | 2,571 | 7.52 | 3 | +1 |
style="background-color:#007DC3" | | 중앙당 (G) | 2,242 | 6.55 | 2 | 0 |
style="background-color:#E72E7F" | | 자치당 (D) | 938 | 2.74 | 0 | -1 |
무효표 | 52 | – | – | – | |
합계 | 34,356 | 100 | 33 | 0 | |
등록 유권자 / 투표율 | 39,020 | 88.05% |
6. 뢰그팅 회의
뢰그팅의 첫 회의는 전통적으로 매년 7월 29일, 성 올라프의 날인 올라브쇠카(Ólavsøka)에 열린다. 이 날이 되면 뢰그팅 의원, 장관(란스스튀르스멘), 덴마크 고등판무관(리키스움보드스마두르), 고위 공무원들이 의회 건물에서 대성당(하브나르 키르캬)까지 행렬( skrúðgonga|스루드가르나fo )을 지어 이동한다. 대성당에서 예배를 마친 후, 행렬은 다시 의사당으로 돌아와 뢰그팅 개회를 선언한다.
첫 회의에서는 총리(뢰그마두르)가 올라브쇠카 연설을 통해 국가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한다. 이후 뢰그팅은 총리의 연설 내용과 예산안을 중심으로 국가 상황에 대한 주요 토론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뢰그팅은 한 회기 동안 약 100개에서 150개 사이의 다양한 안건을 다룬다.
올라브쇠카에 뢰그팅 회의를 시작하는 전통은 노르웨이 통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매우 오래된 관습이다. 과거에는 뢰그팅이 1년에 단 한 번, 올라브쇠카부터 8일간 열렸으며, 매일 오전 6시부터 오후 3시까지 회의가 진행되었다. 이 기간에는 매일 교회 예배가 있었고 페로 제도의 모든 사제가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했다. 17세기 들어 이 방식이 다소 변경되어, 현재와 같이 올라브쇠카 당일에 모든 사제가 모여 회의를 여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816년 뢰그팅이 폐지되었다가 1852년 자문 기관으로 재구성되면서, 올라브쇠카에 첫 회의를 여는 오랜 전통 역시 부활하여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7. 역사적 기록
뢰그팅(Løgting) 의회 회의록과 기타 기록 보관소는 페로 제도 역사상 가장 중요한 자료를 담고 있다. 이 기록 보관소는 사실상 1298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포괄하며, 유럽 내에서도 이처럼 오랜 기간 동안 내용이 지속적으로 잘 보존된 의회 기록은 매우 드물다.
1615년부터 1816년까지의 뢰그팅 회의록과 1852년부터 현재까지의 회의록 및 기타 기록들은 모두 토르스하운에 위치한 페로 국립 기록 보관소에 보존되어 있다. 특히 1615년부터 1816년까지의 기록은 해당 시기 페로 제도 역사의 모든 측면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 1852년 이후의 기록은 페로 제도의 최근 정치사를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뢰그팅 기록 외에도 Kongsbókin|콩스보킨fo의 다른 문서들과 함께, 양 사육에 관한 법령인 Seyðabrævið|세이다브레비드fo는 당시 페로 제도 사회의 상황, 경제, 언어, 문화 및 문화 역사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러한 풍부한 기록 자료는 페로 제도 문화유산의 기초를 이루며, 정착 초기인 란드남 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페로 제도의 정체성과 역사 의식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8. 참고 문헌
- ''페로 제도 의회''. 뢰그팅 2004 ([http://www.logting.fo/Løgting%20UK%202004.pdf PDF, 4 pages]) - 영어로 된 공식 폴더로, 이 문서의 많은 부분의 근거가 된다.
- ''뢰그팅 150. 하티다르리트. 150년이 지났고, 뢰그팅이 재건되었다''. 토르스하운: 뢰그팅, 2002. ISBN 99918-966-3-5 (3권, 페로어로 작성)
- * ''하티다르리트 1''. 리트게르드: 한스 안드리아스 쇠르바라: ISBN 99918-966-4-3 ([http://www.logting.fo/Ymiskt/Løgtingssøgan%201.pdf PDF, 18MB]) - 바이킹 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역사
- * ''하티다르리트 2''. 세르그레이나르와 아이비소구르: ISBN 99918-966-5-1 ([http://www.logting.fo/Ymiskt/Løgtingssøgan%202.pdf PDF, 36MB]) - 특별한 주제에 대한 기사와 1852년 이후 모든 뢰그팅 의원들의 전기
- * ''하티다르리트 3''. 발 오 발톨, 레이토르드 오 이블리트: ISBN 99918-966-6-X - 선거와 결과
참조
[1]
웹사이트
Bjørt løgtingsforkvinna og Aksel løgmaður
https://kvf.fo/grein[...]
2022-12-23
[2]
문서
Although the Home Rule Act was not officially announced until 3 April 1948 it is usually said to come into force on 1 April 194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