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17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 17세는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의 차남으로, 프랑스 혁명 시기에 탕플 감옥에 수감되어 10세의 어린 나이에 사망했다. 그는 형의 죽음으로 왕세자가 되었으나, 혁명 발발 후 부모와 함께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루이 16세가 처형된 후 명목상 왕위에 올랐지만, 가혹한 감옥 생활과 부모의 죽음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사망했다. 그의 심장은 DNA 검사를 통해 루이 17세의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사망 후 여러 논란과 루이 17세 사칭 사건이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이 17세 - 가브리엘 드 폴리냑
마리 앙투아네트의 총애를 받으며 베르사유 궁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던 가브리엘 드 폴리냑은 왕실 자녀의 가정교사로 사회적 지위를 높였으나, 사치스러운 생활과 궁정 내 권력 장악으로 프랑스 혁명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어 오스트리아로 망명 후 사망했으며 여러 작품에서 묘사되었다. - 프랑스 왕위 요구자 - 정통왕당파
정통왕당파는 프랑스 부르봉 왕정 복고 이후 앙시앵 레짐으로의 회귀를 추구하며 입헌 군주제, 자유주의, 공화주의, 민주주의 사상에 반대하는 극우 정치 세력으로, 부르봉 왕가의 왕위 복귀를 목표로 했으나, 왕정 복고에 실패하고 분열되어 현재는 프랑스 독립을 위협하는 모든 것에 반대한다. - 실종된 어린이 - 요코타 메구미
요코타 메구미는 1977년 북한에 납치되어 한국인과 결혼하여 딸을 낳았으며, 북한은 1994년 사망했다고 주장하지만 일본 정부는 이를 신뢰하지 않고 생존 가능성을 믿고 있다. - 실종된 어린이 - 비지 본
비지 본은 본 석스 앤 하모니로 데뷔하여 솔로 활동을 병행한 미국의 래퍼이며, 어린 시절의 학대 경험을 공개하고 여러 앨범을 발매했으며 2020년에 결혼했다.
루이 17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프랑스의 도팽 (주장자) |
![]() | |
왕가 | 부르봉 왕가 |
종교 | 가톨릭교 |
출생명 | 루이 샤를, 노르망디 공작 |
![]() | |
통치 | |
재위 유형 | 재임 기간 |
재위 시작 | 1793년 1월 21일 |
재위 종료 | 1795년 6월 8일 |
선임자 | 루이 16세 |
후임자 | 루이 18세 |
출생 및 사망 | |
출생일 | 1785년 3월 27일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베르사유 궁전 |
사망일 | 1795년 6월 8일 |
사망지 | 프랑스 제1공화국, 파리 템플 |
매장일 | 1795년 6월 10일 |
매장지 | 파리 생트마르그리트 묘지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루이 16세 |
어머니 | 마리 앙투아네트 |
왕위 계승 | |
계승 | 프랑스 국왕 (주장자) |
기타 정보 | |
프랑스어 이름 | 루이 샤를 드 프랑스 |
작위 | 프랑스의 왕자 |
관련 항목 | 처형 프랑스의 왕자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표기 | 루이=샤를 |
로마자 표기 | Rui-Sharuru |
프랑스어 표기 | Louis-Charles |
공식 칭호 | 프랑스의 도팽 |
추가 칭호 | 노르망디 공작, 프랑스의 왕자 |
프랑스어 전체 이름 | 루이 샤를 |
프랑스어 (전체) | Louis-Charles |
화가 | 알렉상드르 쿠샤르스키 |
그림 위치 | 베르사유 궁전 |
사망 장소 (일본어) | 파리、탕플 탑 |
매장 장소 (일본어) | 생=드니、생=드니 대성당 |
한국어 정보 | |
휘 | 루이 샤를 |
모비 | 오스트리아의 마리 앙투아네트 |
사망 장소 (한국어) | 탕플 감옥 |
2. 생애
1785년 3월 27일 베르사유 궁전에서 태어났다. 태어나자마자 노르망디 공작으로 책봉되었으나, 1789년 6월 4일 형인 왕세자 프랑스 도팽 루이 조제프가 죽자, 왕세자인 도팽 작위를 받았다.
1789년 7월 14일,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루이 샤를은 부모와 같이 도피하려다 파리 민중에게 체포되어 튈르리 궁전에 갇혔다.
1792년 8월 10일 국민 공회에서 왕정을 폐지하고 제1공화국이 선포되자, 루이 샤를은 프랑스 왕족, 귀족들과 함께 파리 탕플 감옥에 수감되었다. 1793년 1월 21일, 부왕 루이 16세가 콩코드 광장에서 단두대로 처형되자, 도팽 루이 샤를은 외국으로 도피한 프랑스 귀족들에 의해 루이 17세로 명목상 왕위에 올랐으며, 숙부 루이 스타니슬라스 자비에가 사실상 섭정을 맡았다. 당시 루이 17세는 프랑스 정부와 오스트리아 사이의 협상에서 중요한 인질이었다.
1793년 7월 3일 루이 17세는 모후 마리 앙투아네트에게서 강제로 떨어져 구두 수선공 앙투안 시몽에게 맡겨졌다. 시몽은 루이 17세를 구타하고 강제로 중노동을 시키는 등 몹시 구박하였다. 1793년 10월 16일, 공안위원장 로베스피에르에 의해 어머니 앙투아네트가 처형되자, 다시 탕플 감옥에 수감되었다.
1794년 7월 28일 로베스피에르가 조제프 푸셰에 의해 권좌에서 축출되어 단두대로 처형되었다. 루이 17세는 힘든 감옥 생활과 부모의 죽음에 대한 충격, 시몽의 심한 구박 등으로 건강이 나빠져 1795년 6월 8일 림프절 결핵으로 사망하였다. 사망 당시 나이는 겨우 10살이었다.[9][10]
2. 1. 탄생과 유년 시절
1785년 3월 27일 베르사유 궁전에서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1] 태어나자마자 노르망디 공작으로 책봉되었으나, 1789년 6월 4일 형인 프랑스 도팽 루이 조제프가 죽자 도팽 작위를 받았다.

루이 샤를은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 사이에서 태어난 셋째 아이였다.[21] 세례명은 루이-샤를이었고, 노르망디 공작에 임명되었다.[21] 1789년 6월 4일 형 루이 조제프가 사망하면서 왕세자(도팽)가 되었다.[21] 누나는 훗날 샤를 10세의 장남 루이 앙투안의 부인이 되는 마리 테레즈이다.[22]
왕족의 관례에 따라 루이 샤를은 여러 사람의 보살핌을 받았다. 루이 샤를의 유모는 폴리냑 공작 부인 욜랑드 드 폴라스트론이었는데, 1789년 7월 14일 프랑스 혁명 발발 직후 7월 16일에서 17일 밤에 프랑스를 떠났다.[2] 그녀는 루이즈 엘리자베스 드 투르젤 후작 부인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아가트 드 랑보는 루이 샤를의 공식 유모였다. 알랭 데코는 랑보가 7년 동안 왕자를 보살폈으며, 이 기간 동안 그녀는 왕자를 돌보고, 옷을 입히고, 위로하고, 꾸짖었다고 기록했다.[3]
1789년 10월 6일, 왕가는 파리 폭도에 의해 베르사유에서 튈르리 궁전으로 강제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국민방위군의 감시 아래 죄수 신분으로 지냈다. 1790년, 마리 앙투아네트는 루이 샤를의 놀이 상대로 "조에" 잔 루이즈 빅투아르를 입양했다.[6] 1791년 6월 21일, 가족은 바렌으로의 탈출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1792년 8월 10일 튈르리 궁전에 무장 폭도들이 들이닥쳤을 때, 왕족은 입법 의회로 피신했다.
루이 샤를은 1789년 6월 4일 형 루이 조제프, 프랑스의 도팽이 사망하자 4살의 나이로 프랑스의 도팽이 되었다. 그는 1791년 9월까지 이 칭호를 유지했는데, 이때 프랑스는 입헌 군주제가 되었다. 새로운 헌법에 따라, "도팽"으로 불리던 프랑스 왕위 계승자는 "왕세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 2. 프랑스 혁명과 투옥
1789년 7월 14일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루이 샤를은 부모와 함께 도피하려다 파리의 민중에게 체포되어 튈르리 궁전에 갇혔다.[23] 10월 5일 베르사유 행진으로 국왕 가족은 파리 튈르리 궁전에 연금되었다.[23] 1791년 6월, 국왕 가족은 바렌 사건을 일으켰고,[23] 1792년 8월 10일 8월 10일 사건 이후 8월 13일에 템플 탑에 유폐되었다.[21][24] 이때 루이 샤를은 6세였다.1792년 8월 10일 국민 공회에서 왕정을 폐지하고 제1공화국이 선포되자, 루이 샤를은 프랑스 왕족, 귀족들과 함께 파리 탕플 감옥에 수감되었다. 템플 탑에서 처음에는 작은 탑에 유폐되었지만, 10월 27일에 큰 탑으로 옮겨졌다.[21] 작은 탑에서는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테레즈, 엘리자베트 공주 (루이 16세의 여동생)와 함께였지만, 큰 탑에서는 3명과 헤어져 대신 루이 16세와 함께 지냈다 (단, 매일 몇 시간은 어머니들과 만날 수 있었다).[21] 루이 16세의 재판이 시작되자 루이 샤를은 다시 어머니들과 함께 지냈다.[21] 국왕 가족은 템플 탑에서 애견 코코와 함께 지냈으며, 코코는 후에 살아남은 마리 테레즈의 망명 생활을 함께 했고, 1801년 바르샤바에서 사고사했다.
1793년 1월 21일, 루이 16세가 콩코드 광장에서 단두대로 처형되자,[21] 도팽 루이 샤를은 외국으로 도피한 프랑스 귀족들에 의해 루이 17세로 명목상 왕위에 올랐으며, 숙부 루이 스타니슬라스 자비에가 사실상 섭정을 맡았다. 당시 루이 17세는 프랑스 정부와 오스트리아 사이의 협상에서 중요한 인질이었다.
1793년 7월 3일, 루이 17세는 마리 앙투아네트에게서 강제로 떨어져 난폭한 구두수선공 앙투안 시몽에게 맡겨졌다. 시몽은 루이 17세를 구타하고 강제로 중노동을 시키는 등 몹시 구박하였다. 1793년 10월 16일, 공안위원장 로베스피에르에 의해 어머니 앙투아네트가 처형되자, 다시 탕플 감옥에 수감되었다.

2. 3. 탕플 탑에서의 삶과 죽음
1792년 8월 10일 국민 공회에서 왕정이 폐지되고 제1공화국이 선포되자, 루이 샤를은 프랑스의 왕족 및 귀족들과 함께 파리의 탕플 감옥에 수감되었다.[7] 1793년 1월 21일, 아버지 루이 16세가 콩코드 광장에서 단두대로 처형되자, 도팽 루이 샤를은 외국으로 도피한 프랑스 귀족들에 의해 루이 17세로 명목상 왕위에 올랐으며, 숙부 루이 스타니슬라스 자비에가 사실상 섭정을 맡았다. 그 당시 루이 17세는 프랑스 정부와 외가인 오스트리아 사이의 협상에서 중요한 인질이었다.
1793년 7월 3일 루이 17세는 어머니 마리 앙투아네트와 격리되어 공안위원회에 의해 후견인으로 임명된 앙투안 시몽이라는 제화공에게 맡겨졌다.[21] 왕당파 작가들은 시몽과 그의 아내가 아이에게 잔혹 행위를 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입증되지 않았다.[8][21] 다만, 시몽 부부가 루이 17세에게 과식과 과음을 권장하고, 천박한 언어를 가르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8][21]
1793년 10월 16일, 공안위원장 로베스피에르에 의해 어머니 앙투아네트가 처형되자, 루이 17세는 다시 탕플 감옥에 수감되었다. 1794년 1월 19일, 시몽 부부는 탕플을 떠났고, 이후 루이 17세는 거의 격리된 채로 지냈다.[21]
1794년 7월 27일 테르미도르 9일 이후 폴 바라스가 감옥을 방문했을 때, 루이 17세는 극심한 방치 상태에 있었지만, 학대에 대해 불평하지는 않았다.[21] 이후 루이 17세는 새 옷을 입고 깨끗이 씻겨졌으며, 그의 방은 청소되었다.[21] 1794년 11월 8일부터는 고맹이라는 남자가 루이 17세를 돌보았다.[21] 루이 17세는 탕플 탑 옥상에서 신선한 공기를 쐬고 산책을 할 수 있게 되었지만, 10월 말부터 침묵을 지켰다.[21]


1795년 3월 31일, 에티엔 라스네가 로랑을 대신하여 루이 17세의 보호자로 임명되었다.[21] 그해 5월, 루이 17세는 심각한 병을 앓았고, P. J. 데소가 소환되었으나 6월 1일 사망했다.[21] 이후 필리프-장 펠르탕과 장 밥티스트 뒤망쟁 의사가 불려왔으나, 루이 17세는 1795년 6월 8일 사망했다.[21]
다음 날 펠르탕에 의해 부검이 실시되었고, 루이 17세는 오랫동안 앓아온 림프절 결핵 감염으로 사망했다는 보고서가 작성되었다.[9][10] 이 질병은 오늘날 결핵성 경부 임파선염이라고 불리며, 결핵과 관련된 목의 림프절염을 의미한다.[9][10] 부검 과정에서 펠르탕 박사는 소년의 몸에 탕플에 갇혀 있는 동안 겪었던 신체적 학대의 결과로 보이는 수많은 흉터가 있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았다.

루이 17세는 6월 10일에 생트 마르그리트 묘지에 묻혔지만, 그 자리를 표시하는 비석은 세워지지 않았다.[11]

3. 루이 17세의 심장과 DNA 감정
루이 17세가 죽기 전 몇 달 동안의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이 때문에 루이 17세가 탕플 감옥에서 탈출했다거나, 독살당했다거나, 죽은 소년은 대역이었다는 등의 여러 소문이 무성했다. 루이 17세 사후 수십 년 동안, 자신이 루이 17세라고 주장한 사람이 30명이 넘었다고 한다. SBS의 다큐멘터리 백만불 미스터리 취재에 따르면, 루이 17세를 사칭한 자들은 왕족의 명예를 욕심냈고, 자신이 진짜 루이 17세라고 확신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결국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28]
루이 17세가 죽은 뒤, 그의 시신을 부검한 의사는 루이 17세의 심장을 몰래 훔쳤다. 이 심장은 프랑스 왕실의 묘지이자 예배당으로 사용되어온 생 드니 대성당 지하묘실에 안치되었다. 그러나 이 심장의 진위 여부는 오랫동안 논란이 되었으나, 루이 17세의 어머니 마리 앙투아네트의 머리카락과 함께 DNA 검사를 한 결과 서로 일치하여 진짜 루이 17세의 심장으로 밝혀졌다.[28][29]
심장 매장의 왕실 심장 보존 전통에 따라 루이-샤를의 심장은 부검 중 지켜보던 의사 필리프-장 펠르탄에 의해 제거되어 몰래 반출되었다. 펠르탄은 심장을 보존하기 위해 증류주에 보관했으나, 8~10년 후 증류주가 증발하면서 심장은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었다.
프랑스 왕정 복고 이후 1815년, 펠르탄은 루이-샤를의 삼촌 루이 18세에게 심장을 전달하려 했으나, 루이 18세는 조카의 심장이라고 믿을 수 없다며 거절했다. 그 후 펠르탄은 심장을 파리 대주교 아쟁트-루이 드 켈렌에게 기증했다. 7월 혁명 이후 파리 대주교 궁전이 약탈당했을 때, 펠르탄의 아들 필리프-가브리엘이 폐허 속에서 유물을 찾아 현재까지 보관되어 있는 수정 항아리에 넣었다.
1895년, 심장은 프랑스와 스페인 왕위 요구자인 마드리드의 카를로스에게 제안되어 비엔나 근처 프로스도르프 성에 보관되었다. 1909년, 카를로스의 아들 마드리드의 자우메가 심장을 물려받아 여동생 베아트리스 데 보르본에게 넘겼고, 1938년에는 그들의 딸 마리아 델라 네베에게 넘겨졌다.[12][13]
마리아 델라 네베는 심장을 생 드니 대성당 기념관 회장인 자크 드 보프레몽에게 넘겼다. 그는 심장을 대성당의 프랑스 왕들의 묘지에 안치했다. 1999년 12월, 심장 동맥의 일부를 제거하여 밀봉된 봉투에 넣었고, 이후 실험실에서 검사를 받았다.
2000년, 역사가 필리프 델롬은 심장과 루이-샤를의 신분을 주장하는 역사적 인물 중 한 명인 카를 빌헬름 나운도르프의 뼈 샘플에 대한 DNA 검사를 주선했다. 뮌스터 대학교와 루뱅 가톨릭 대학교의 유전학 교수들은 마리 앙투아네트와 그녀의 자매들, 어머니, 그리고 모계 친척들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사용하여 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나운도르프가 도팽이 아니며, 심장이 루이-샤를의 것이라는 것이 증명되었다.
2004년 6월 8일, 프랑스 정통 왕위 계승파는 생 드니 대성당에서 심장의 장엄한 매장을 조직했다. 매장은 미사와 함께 진행되었으며, 12세의 부르봉-파르마의 아마우리 왕자가 심장을 들고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의 무덤 옆에 있는 틈새에 안치했다.[14] 이는 백 년이 넘는 기간 동안 프랑스에서 열린 최초의 왕실 행사였다.[16][17][18]
4. 루이 17세 사망 이후의 논란
루이 17세가 죽기 몇 달 전의 기록은 거의 없기 때문에, 탕플 감옥에서 탈출했다거나 독살당했다는 등의 여러 소문이 무성했다. 죽은 소년이 루이 17세가 아니라 그와 닮은 대역이었다는 이야기도 있었다. 루이 17세 사후 수십 년 동안, 자신이 루이 17세라고 주장한 사람이 30명이 넘었다고 전해진다. 서울방송의 다큐멘터리 백만불 미스터리 취재에 따르면, 루이 17세를 사칭한 자들은 왕족의 명예를 욕심냈고, 자신이 진짜 루이 17세라고 확신하는 사람도 있었으나, 후에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28]
루이 17세가 죽은 뒤, 그의 시신을 부검한 의사가 루이 17세의 심장을 몰래 훔쳤다. 이 심장은 프랑스 왕실이 전통적으로 묘지와 예배당으로 사용해온 생 드니 교회의 지하묘실에 안치되었다. 그러나 이 심장의 진위 여부는 오랫동안 논란이 되었으나, 마리 앙투아네트의 머리카락과 함께 DNA 검사를 한 결과 서로 일치하여 진짜 루이 17세의 심장으로 밝혀졌다.[28][29]
매장된 시신이 루이 17세가 아니며, 동정심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살아있는 채로 빼돌려졌다는 소문이 빠르게 퍼지면서 "잃어버린 도팽"의 전설이 시작되었다. 1814년 부르봉 왕정 복고 이후, 약 100명의 자칭 왕위 계승자가 나타났다. 이후 수십 년 동안 유럽 전역에서 왕위 계승자들이 계속 나타났다. 2000년 4월, 마리 앙투아네트의 유해에서 채취한 머리카락과 루이 17세의 것으로 추정되는 심장에 대한 DNA 감정이 실시되었다.[27] 심장의 손상이 심해 감정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마리 앙투아네트의 형제자매 및 사촌, 현재의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인물과의 비교를 통해 DNA 감정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심장은 루이 17세의 것이 틀림없다"는 결론이 나왔고, 2004년 6월에 루이 17세의 것으로 판정되어 생드니 대성당에 심장이 매장되었다.[27]
루이 17세의 사망이 발표되자, 루이 17세가 도망쳤다는 소문이 즉시 퍼졌다.[21] 그러나 프로방스 백작(루이 17세의 사망으로 망명자들 사이에서 루이 18세로 불림)에게도 총재정부에게도 루이 17세의 죽음은 오히려 편리했고, 양쪽 모두 소문을 해명하려 하지 않았다.[21] 이후 프랑스 왕정 복고 시대에는 40명에 달하는 자칭 왕위 계승자가 나타났다고 한다.[21]
4. 1. 카를 빌헬름 나운도르프
카를 빌헬름 나운도르프는 독일 시계 제작자로, 복잡한 음모에 얽힌 이야기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폴 바라가 미래의 황후인 조제핀 드 보아르네를 기쁘게 하기 위해 도팽(루이 17세)을 구출하고, 그를 루이 18세의 지배 수단으로 이용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나운도르프의 주장에 따르면, 도팽은 탑 4층에 숨겨지고 나무 인형으로 대체되었으며, 로랑은 이 인형을 청각 장애인으로 위장했다. 이 청각 장애인은 사망 증명서에 기록된 쇠약한 아이와 교환되었고, 실제 도팽은 관에 실려 감옥을 나선 뒤 친구들에게 구출되었다.나운도르프는 1810년 베를린에 도착하여 박해를 피해 도망쳤다고 주장하며 시계 제작자로 정착했다. 1818년 요한나 아이너트와 결혼했고, 1822년 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 1828년 크로센(프랑크푸르트 (오데르) 근처)으로 이사했다. 1825년부터 1828년까지 위조 혐의로 투옥되었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풀려났고, 1833년 루이 16세 궁정과 연관된 사람들에게 도팽으로 인정받아 파리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 1836년 마리 테레즈, 앙굴렘 공작부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다음 날 프랑스에서 추방되었고, 1845년 8월 10일 델프트에서 사망할 때까지 망명 생활을 했다. 그의 묘비에는 "프랑스와 나바라의 루이 17세 (샤를 루이, 노르망디 공작)"라고 새겨졌고, 네덜란드 당국은 그의 아들이 드 부르봉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도록 허락했다. 1850-51년과 1874년, 그의 가족은 루이 16세의 상속인으로서 시민권을 회복해 달라고 호소했고, 쥘 파브르가 그들의 변호를 맡았다.[21]
그러나 1993년 DNA 검사 결과 나운도르프는 도팽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26]
4. 2. 리슈몽 남작
리슈몽 남작의 이야기, 즉 그에게 진심으로 애착을 가졌던 잔 시몽이 그를 바구니에 숨겨 탈출시켰다는 이야기는 단순하고 더 신빙성이 있다. 그 후의 청각 장애인과 림프절염 환자, 즉 로랑과의 작전 이야기는 반드시 무효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이야기들의 신빙성을 매우 낮게 만든다. 리슈몽(앙리 에텔베르-루이-엑토르 에베르)은 1828년 파리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시작했다. 그는 1853년에 사망했다.[21]4. 3. 엘리저 윌리엄스
엘리저 윌리엄스는 위스콘신 출신의 모호크 원주민 혈통의 개신교 선교사였다.[20] 프란시스 빈튼의 집에서 윌리엄스는 상퀼로트의 일원인 앙투안 시몽의 초상화를 보고 몸을 떨며 "기억하는 한, 낮이나 밤이나 나를 괴롭혔다"고 말했다. 시몽은 탕플에 수감된 도팽을 신체적으로 학대했다는 소문이 있었다. 프란시스 빈튼은 엘리저 윌리엄스의 반응을 보고 윌리엄스가 루이 샤를이라고 확신했다. 윌리엄스는 탕플에서 어떻게 탈출했는지, 프랑스에서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전혀 기억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윌리엄스는 원주민 선교사였는데, 그에 따르면 조인빌 공자 (루이 필리프)의 아들이 그를 만나 잠시 대화를 나눈 후, 루이 필리프를 위해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는 문서에 서명해달라고 요청했다. 그 대가로 도팽(별칭 엘리저 윌리엄스)은 자신의 사적인 상속 재산을 받게 될 예정이었다. 엘리저 윌리엄스는 이를 거절했다. 윌리엄스의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거짓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1897년에 출판된 다른 요소들은 의심할 여지를 준다.[20]
5. 대중문화 속의 루이 17세
루이 17세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다루어졌다.
분야 | 작품명 | 발표 연도 | 작가 | 비고 |
---|---|---|---|---|
소설 | 허클베리 핀의 모험 | 1884년 | 마크 트웨인 | 루이 17세를 사칭하는 인물 등장 |
소설 | 엘도라도 | 1913년 | 에머스카 오르치 남작부인 | |
소설 | 잃어버린 왕 | 1937년 | 라파엘 사바티니 | |
소설 | 왕을 죽인 남자 | 1951년 | 데니스 휘틀리 | |
소설 | 악의 씨앗 | 1953년 | 윌라 깁스 | |
소설 | 드래곤 런 | 1955년 | 칼리 도슨 | |
소설 | 프랑스의 잃어버린 왕: 혁명, 복수, 그리고 DNA의 진실한 이야기 | 2000년 | 데보라 캐드버리 | |
소설 | 라 샹브르 | 2003년 | 프랑수아즈 샹데르나고르 | |
소설 | 루이 17세의 대관식 | 2003년 | 아멜리 드 부르봉 파르므 | |
소설 | 어느 왕자의 기억 속에서 | 2005년 | 앤 듀크타스 | |
소설 | 내일이 없는 왕 | 2007년 | 크리스토프 도너 | |
소설 | 자유롭게 살거나 죽거나 | 2009년 | 도미닉 라간 | |
소설 | 혁명 | 2010년 | 제니퍼 도넬리 | |
소설 | 검은 탑 | 2011년 | 루이 바야르 | |
소설 | 루이 17세, 아르헨티나의 흔적 | 2011년 | 자크 소펠사 | |
소설 | 무덤 감시자 | 2011년 | 미주리 달튼 | |
영화 | 왕관 없는 왕 | 1937년 | 스코티 베켓 | |
영화 | 라 마르세예즈 | 1938년 | 마리-피에르 소르데-당테스 | |
영화 | 마리 앙투아네트 | 1938년 | 스코티 베켓 | |
영화 | 파멜라 | 1945년 | 세르주 엠리히 | |
영화 | 위험한 망명 | 1957년 | 리처드 오설리번 | |
영화 | 스칼렛 핌퍼넬 | 1982년 | 리처드 찰스 | |
영화 | 프랑스 혁명 | 1989년 | 숀 플린 | |
영화 | 킬러 토마토, 프랑스를 먹다 | 1991년 | 스티브 룬드퀴스트 | |
영화 | 파리의 제퍼슨 | 1995년 | 다미앙 그로엘 | |
영화 | 목걸이의 재판 | 2001년 | 토마스 도지슨-게이츠 | |
영화 | 마리 앙투아네트 | 2006년 | 자고 베츠, 악셀 퀑, 드리스 휴고-칼프 | |
뮤지컬 | Symphony of the Vampire | 2014년 | 카미조 | |
뮤지컬 | Sang | 2018년 | 카미조 |
5. 1. 소설
- 1884년 - 마크 트웨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 (그를 사칭하는 인물)
- 1913년 - 에머스카 오르치 남작부인, ''엘도라도''
- 1937년 - 라파엘 사바티니, ''잃어버린 왕''
- 1951년 - 데니스 휘틀리, ''왕을 죽인 남자''
- 1953년 - 윌라 깁스, ''악의 씨앗''
- 1955년 - 칼리 도슨, ''드래곤 런''
- 2000년 - 데보라 캐드버리, ''프랑스의 잃어버린 왕: 혁명, 복수, 그리고 DNA의 진실한 이야기''
- 2003년 - 프랑수아즈 샹데르나고르, ''라 샹브르''
- 2003년 - 아멜리 드 부르봉 파르므, ''루이 17세의 대관식''
- 2005년 - 앤 듀크타스, ''어느 왕자의 기억 속에서''
- 2007년 - 크리스토프 도너, ''내일이 없는 왕''
- 2009년 - 도미닉 라간, ''자유롭게 살거나 죽거나''
- 2010년 - 제니퍼 도넬리, ''혁명''
- 2011년 - 루이 바야르, ''검은 탑''
- 2011년 - 자크 소펠사, ''루이 17세, 아르헨티나의 흔적''
- 2011년 - 미주리 달튼, ''무덤 감시자''
5. 2. 영화
- 1937년 - 왕관 없는 왕 - 스코티 베켓
- 1938년 - 라 마르세예즈 - 마리-피에르 소르데-당테스
- 1938년 - 마리 앙투아네트 - 스코티 베켓
- 1945년 - 파멜라 - 세르주 엠리히
- 1957년 - 위험한 망명 - 리처드 오설리번
- 1982년 - 스칼렛 핌퍼넬 - 리처드 찰스
- 1989년 - 프랑스 혁명 - 숀 플린
- 1991년 - 킬러 토마토, 프랑스를 먹다 - 스티브 룬드퀴스트
- 1995년 - 파리의 제퍼슨 - 다미앙 그로엘
- 2001년 - 목걸이의 재판 - 토마스 도지슨-게이츠
- 2006년 - 마리 앙투아네트 - 자고 베츠, 악셀 퀑, 드리스 휴고-칼프
5. 3. 뮤지컬
- 2014년 – 카미조의 ''Symphony of the Vampire''
- 2018년 – 카미조의 ''Sang''
참조
[1]
EB1911
Louis XVII. of France
[2]
서적
Marie-Antoinette
Fayard
1991
[3]
서적
Louis XVII retrouvé
http://gallica.bnf.f[...]
BNF
1947
[4]
기타
2001
[5]
기타
2001
[6]
서적
Marie Antoinette
Stephens
1971
[7]
서적
The Son of Louis XVI
https://sunnyloupubl[...]
Sunny Lou Publishing
2022
[8]
서적
Marie-Thérèse: the fate of Marie Antoinette's daughte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9]
DorlandsDict
tuberculous cervical lymphadenitis
[10]
서적
Louis XVII: His Life, His Suffering, His Death, the Captivity of the Royal Family in the Temple, Volume 1
Palala Press
2016-05-20
[11]
서적
Louis XVII. Le livre du bicentenaire
Editions de Paris
1995
[12]
웹사이트
la science au secours de l'histoire
http://histoiredefra[...]
2011-01-06
[13]
웹사이트
Cottin
http://www.memoriald[...]
2015-05-19
[14]
뉴스
Tragic French boy king's heart finds a final resting place after 209 years
https://www.telegrap[...]
2020-03-17
[15]
웹사이트
France buries 200-year-old royal mystery
https://www.upi.com/[...]
2020-03-17
[16]
웹사이트
The mtDNA and its role in Ancestry: Part XIV (Descendents of Maria-Theresa)
http://www.genebase.[...]
2009-06-22
[17]
웹사이트
Revue rétrospective
http://gallica.bnf.f[...]
BNF
[18]
뉴스
French boy king's heart to be buried in crypt
https://news.google.[...]
2004-06-07
[19]
서적
Marie Antoinette: The Journey
Doubleday
2001
[20]
간행물
Louis XVII est-il venu au Canada?
https://www.canadian[...]
[21]
EB1911
Louis XVII. of France
[22]
EB1911
Louis XVI. of France
[23]
EB1911
French Revolution, The
[24]
Kotobank
八月十日事件
2023-04-12
[25]
서적
キャドベリー
2004
[26]
간행물
Mitochondrial DNA analysis on remains of a putative son of Louis XVI, King of France and Marie-Antoinette
http://www.nature.co[...]
2007-01-20
[27]
웹사이트
ルイ17世の心臓で…マリー・アントワネットとの母子鑑定
https://yomidr.yomiu[...]
読売新聞社
2014-12-25
[28]
방송
서울방송 다큐멘터리 《백만불 미스터리》 방영내용
[29]
서적
하룻밤의 미스터리를 찾아서-2. 역사 속 미스터리를 찾아서,01 수난의 황태자 루이 17세의 심장
북로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