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크푸르트 (오데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크푸르트(오데르)는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1253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중세 시대에는 브로츠와프, 슈체친 사이의 교역 중심지로 발전했고, 1430년 한자 동맹에 가입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지만, 이후 복구되었으며, 오데르강 동쪽 지역은 폴란드 영토가 되어 강 건너편의 담포어슈타트는 폴란드의 슬루비체로 변경되었다. 동독 시기 프랑크푸르트 구의 중심 도시였으며, 독일 재통일 이후 인구가 감소했으나, 폴란드의 솅겐 조약 가입으로 교역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비아드리나 유럽 대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베를린-바르샤바 익스프레스가 운행되는 프랑크푸르트(오데르) 중앙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란덴부르크주의 도시 - 포르스트
    포르스트는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루사티안 네이세 강을 횡단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역사적으로 무역로의 중심지였으며 섬유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했고, 현재는 재생 에너지 산업과 관광 산업을 통해 경제 회복을 모색하고 있다.
  • 브란덴부르크주의 도시 - 페를레베르크
    페를레베르크는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프리그니츠 지역 중심부에 위치한 도시로, 슈테페니츠 강이 관통하며 14세기 한자 동맹에 속했고, 1294년 성 야고보 교회가 처음 언급되었으며, 1875년 이후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 분단된 도시 - 발카
    발카는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 국경에 위치한 도시로, 128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920년 분할되었고, 1917년 독립 라트비아 공화국을 선포했으며, 2004년 유럽 연합 가입으로 양국 간 왕래가 자유로워졌다.
  • 분단된 도시 - 발가 (에스토니아)
    발가는 에스토니아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128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에스토니아와 라트비아의 국경 분쟁으로 분할되었고, 1918년 에스토니아 독립 후 에스토니아 군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 온대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고 2021년 기준 12,010명이 거주한다.
  • 한자 동맹 가맹도시 - 스톡홀름
    스톡홀름은 발트해와 멜라렌호 사이에 위치한 스웨덴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14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정치, 문화,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유럽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 중 하나이다.
  • 한자 동맹 가맹도시 - 함부르크
    함부르크는 독일 북부의 자유 한자 도시이자 연방 주로, 중세 한자 동맹의 주요 항구 도시로 번영했으며 현재는 유럽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대도시이다.
프랑크푸르트 (오데르) - [지명]에 관한 문서

2. 역사

1253년 도시 설립의 칙허장(勅許狀)을 얻었고, 중세 말기부터 브레슬라우(현 폴란드 브로츠와프)와 슈테틴(현 폴란드 슈체친) 사이의 교역도시로 발전하였고, 1430년 한자 동맹에 가입하였다. 19세기 프로이센의 브란덴부르크 주에 속했다. 이후 19세기에 들어서는 베를린과 포젠(현 폴란드의 포즈난) 사이의 교역 중심지로 중요시되었고, 한때 독일 제국에서 라이프치히 다음가는 연례 무역박람회(Messe) 개최지였다.

제2차 세계대전 때 소련군의 진입을 막는 기지로 큰 전쟁터가 되어 파괴되었으나, 전쟁 후 복구되었다. 전쟁이 끝나면서 오데르강 동쪽이 폴란드 영토로 넘어가면서 강 건너편의 담포어슈타트(Dammvorstadtde)는 폴란드의 도시 스우비체(Słubicepl)가 되었고, 이후 동독과 폴란드의 국경 도시로 남아 있었다. 동독 시절인 1952년 브란덴부르크 주가 해체되고 이 곳을 중심으로 하는 프랑크푸르트 구가 설정되었다가, 독일의 재통일 후인 1990년 브란덴부르크 주가 부활되어 현재에 이른다. 한때 인구가 87,000명에 달하였으나, 통일 후 산업의 쇠퇴로 인구가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 폴란드의 솅겐 조약 가입으로 국경 통행이 자유화되면서 다시 교역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프랑크푸르트(오데르) 주변에는 오데르 강의 얕은 여울이 있어 강을 건너는 중요한 장소였다.

13세기에 독일과 발트해 연안을 잇는 무역이 활발해지면서, 파리-아헨-베를린-바르샤바-모스크바를 잇는 무역로와 프라하-마이센-크라쿠프를 잇는 무역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무역상들이 정착지를 건설한 것이 프랑크푸르트(오데르)(Frankfurt (Oder))의 기원이다. 그로가우 공작 하인리히 1세는 1225년에 시장 개설 특허장을 발급했고, 1226년경에 최초의 교회인 성 니콜라우스 교회(현재 명칭은 평화 교회)가 건설되었다.

1253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요한 1세는 시장 마을에 베를린을 모델로 한 도시 권리를 부여했다. 같은 해 후펜란트(Hufenland)를 하사받았다. 1300년경에는 약 36ha의 면적을 에워싸는 시벽이 건설되었다.

교통의 요충지로서 교량 건설과 통행세 특권 덕분에 도시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시청사, 니콜라이 교회, 마리아 교회를 건설했다. 프란치스코회와 카르투시오회의 수도원, 그리고 3개의 병원(Spital)이 설치되었다. 14세기 초 이후로 상인과 재봉사들이 시정을 이끌었다. 시민들에 의한 도시 주변 토지 확보가 크게 진행되었다. 도시 경제적 번영의 정점은 14세기였다. 오데르 강의 자유 선박 운항권을 가지고 있었고, 연 3회의 대규모 시장을 개최할 수 있었다. 비텐베르크에 대항하여 1506년에 요아힘 1세에 의해 브란덴부르크 변경백령의 주요 대학인 비아드리나 대학교(Alma Mater Viadrina, 오데르 강의 라틴어 명칭 Viadra에서 유래)가 신학, 의학, 법학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학생 수는 약 1000명, 도시 인구는 약 5000명이었다.[32]

1253년 도시로 인정받았고, 도시는 곧 서안에서 동안(현재의 슬루비체)으로 확장되었다. 또한 1430년에는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짧은 기간 동안 그 일원이 되었다. 1510년경 처음 출판된 독일 민중소설 『틸 울렌슈피겔의 쾌락스러운 장난』의 제85화는 주인공이 동행하는 사제를 후대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그를 냉대하는 여관 주인에게 복수하는 우스갯소리인데, 그 마을이 이곳으로 여겨진다.[33]

비아드리나 대학교는 1811년에 폐교되어 브레슬라우 대학교와 합병되었고, 일부는 신설된 베를린 대학교로 이전했다. 비아드리나 대학교는 1991년에 "비아드리나 유럽 대학교(Europa-Universität Viadrina)"로 부활했다.

19세기 프랑크푸르트(오데르)는 프로이센 왕국 중앙에 위치한 중요한 무역 도시가 되었고, 독일에서는 라이프치히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박람회가 열리게 되었다. 또한 1842년에는 베를린과를 잇는 철도가 개통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제3제국의 수도 베를린으로 진격하는 소련 적군에 대한 독일 국방군의 요새가 되었고, 프랑크푸르트(오데르)는 전장이 되었다. 전후 독일 국경은 오데르-나이세 선으로 정해졌기 때문에, 도시 중 강 동쪽에 있던 담포어슈타트 지역(Dammvorstadt)은 폴란드 영토가 되어 슬루비체시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소련 점령 지역이 되었고, 그 후 설립된 동독에서는 프랑크푸르트 주의 주청소재지였다.

현재 프랑크푸르트(오데르)는 맞은편 폴란드와의 교류와 공동 프로젝트가 활발하다. 폴란드의 EU 가입(2004년)과 함께 셰엥겐 조약이 폴란드 국경에 시행되어 국경 검문소가 철폐되고 왕래가 자유로워졌다. 그러나 독일 재통일 후 이 지역의 경제는 침체되었고, 실업률도 높아져 1990년 8만 7000명이었던 인구도 크게 감소했다(현재 인구: 약 /1 round -3}}}}명).

2. 1. 중세 시대

1225년 그로가우 공작 하인리히 1세가 시장 개설 특허장을 발급하면서 도시의 기틀을 마련했다.[2] 1226년에는 성 니콜라우스 교회(현재 명칭은 평화 교회) 건설이 시작되었다.[2] 1253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요한 1세가 도시 권한을 부여하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3] 같은 해 후펜란트(Hufenland)를 하사받았다. 1300년경에는 약 36ha의 면적을 에워싸는 시벽이 건설되었다.

교통의 요충지로서 교량 건설과 통행세 특권 덕분에 도시는 급속한 발전을 이루었고, 시청사, 니콜라이 교회, 마리아 교회를 건설했다. 프란치스코회와 카르투시오회의 수도원, 그리고 3개의 병원(Spital)이 설치되었다. 14세기 초 이후로 상인과 재봉사들이 시정을 이끌었다.

14세기에는 오데르 강의 자유로운 선박 운항권과 연 3회 대규모 시장 개최권 등을 획득하며 경제적 번영의 정점을 맞이했다.[3] 1430년 한자 동맹에 가입하여 발트해 무역 네트워크의 일원이 되었다.[4] 1432년에는 체코의 후스파에게 점령되기도 했다.[4]

2. 2. 근대

1506년, 브란덴부르크 변경백 요아힘 1세가 비아드리나 대학교를 설립하여 학문 중심지로 발돋움했다.[32] 16세기에는 곡물, 목재, 재 등 폴란드산 수출품이 프랑크푸르트를 거쳐 슈체친 항구로 수송되며, 서부 폴란드 무역의 중요한 거점 역할을 수행했다.[5]

1631년 4월, 30년 전쟁스웨덴신성 로마 제국 간 프랑크푸르트 안 데어 오더 전투가 벌어져 큰 피해를 입었다.[7] 이틀간의 포위 공격 후, 스코틀랜드 보조 부대[6]의 지원을 받은 스웨덴군은 도시를 급습하여 게오르겐 병원 등 많은 건물을 파괴했다.[7] 스웨덴의 승리로 끝났지만,[7][6] 30년 전쟁이 끝날 무렵 도시 인구는 12,000명에서 2,366명으로 감소했다.[8]

프랑크푸르트 안 데어 오더 전투


18세기에는 7년 전쟁 중 쿠너스도르프 전투의 서막으로 러시아 제국군에게 잠시 점령되기도 했다.[10]

19세기 프랑크푸르트는 베를린과 포젠(포즈난) 사이의 교역 중심지로 중요시되었고, 독일 제국에서 라이프치히 다음가는 연례 무역박람회(Messe) 개최지였다.[11] 1842년, 베를린과 프랑크푸르트(오데르)를 잇는 철도가 개통되어 교통의 요충지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었다.[12]

2. 3. 현대

제2차 세계 대전소련군의 진입을 막는 기지로 큰 전쟁터가 되어 파괴되었으나, 전쟁 후 복구되었다.[13][14][15][16] 전쟁이 끝나면서 오데르 강 동쪽이 폴란드 영토로 넘어가면서 강 건너편의 담포어슈타트(Dammvorstadtde)는 폴란드의 도시 스우비체(Słubicepl)가 되었고,[15][16] 이후 동독과 폴란드의 국경 도시로 남아 있었다. SS 소속인 아인자츠그룹 VI가 폴란드 침공 당시 여러 폴란드 도시(포즈난, 칼리시, 레슈노 등)에 진입하기 전에 이 도시에 주둔하며 폴란드인에 대한 나치의 범죄를 저질렀다.[13]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은 폴란드와 소비에트 연방에서 다수의 남녀 강제 노동자를 이 도시로 데려왔다.[14] 1945년 초, 자비코보와 시베츠코의 해체된 수용소에서 여러 국적의 수감자들이 죽음의 행군을 통해 이 도시를 거쳐 작센하우젠 강제 수용소로 향했다.[15][16]

동독 시절인 1952년 브란덴부르크 주가 해체되고 이 곳을 중심으로 하는 프랑크푸르트 구가 설정되었다가, 독일의 재통일 후인 1990년 브란덴부르크 주가 부활되어 현재에 이른다. 독일 통일 후 산업의 쇠퇴로 인구가 크게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 폴란드의 솅겐 조약 가입으로 국경 통행이 자유화되면서 다시 교역 활성화를 기대하고 있다.

포스트 공산주의 시대, 주요 고용주였던 VEB 할브라이터베르크의 붕괴 이후 프랑크푸르트는 높은 실업률과 낮은 경제 성장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90년 독일 재통일 당시 약 87,000명이었던 인구는 크게 감소했다.

오늘날 프랑크푸르트와 슬루비체는 우호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여러 공동 프로젝트와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폴란드는 2004년 5월 1일 유럽 연합에 가입했고, 2007년 12월 21일 솅겐 협정을 시행하여 국경 통제를 폐지했다.

2008년 3월 프랑크푸르트의 유대인 공동체는 홀로코스트 이후 처음으로 토라 봉헌식을 거행했다. 새로운 토라 두루마리 행렬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프랑크푸르트 시나고그가 있던 자리(독일의 현재 폴란드 국경에서 500미터 떨어진 곳)에서 시작되었다. 참석자들은 두루마리를 들고 도시의 차바드-루바비치 센터로 행진했고, 베를린의 차바드-루바비치 공동체 회원들이 기증한 토라와 함께 춤을 추었다.[17]

3. 지리

3. 1. 기후

만슈노우(Manschnow) 관측소는 프랑크푸르트(오데르)에서 북쪽으로 약 24km 떨어져 있으며, 1991~2020년 기후 자료[28]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은 9.7℃, 연평균 강수량은 545.4mm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94.78.915.319.723.025.325.120.114.27.63.9
평균 최저 기온 (℃)-2.3-1.80.23.57.711.113.413.09.45.61.8-0.9
평균 강수량 (mm)33.125.329.126.649.249.374.259.042.934.832.229.6
평균 강수일 (≥ 1.0 mm)15.513.513.610.412.612.914.212.311.013.013.415.2
평균 상대 습도 (%)86.382.677.669.269.569.869.970.076.282.988.587.9
평균 일조 시간53.477.5128.6204.0233.4235.2235.2227.1163.8110.457.043.7
평균 적설일 (≥ 1.0 cm)7.66.42.50.2000000.11.04.6


4. 인구

오데르탑에서 바라본 풍경


프랑크푸르트(오데르)의 인구는 1875년 43,491명에서 1989년 87,126명까지 꾸준히 증가했다.[35][18] 그러나 독일 통일 이후 산업 쇠퇴와 함께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0년에는 57,015명을 기록했다.[35][18]

5. 교육

1506년 요아힘 1세 네스토르 선제후에 의해 설립된 프랑크푸르트 알마 마테르 비아드리나(Alma Mater Viadrina)는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최초의 대학교였다. 초대 총장이었던 게오르크 폰 블루멘탈(1490-1550) 주교는 종교 개혁의 중요한 반대자였다. 이 대학교는 1811년 폐교되었고, 그 자산은 베를린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브레슬라우 실레지아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학교로 나뉘었다.

1991년 비아드리나 유럽 대학교로 재건립된 이 대학교는 유럽 중심의 대학교로, 포즈난의 아담 미츠키에비치 대학교와 긴밀히 협력하여 슬루비체에 폴로니쿰 콜레기움을 공동 운영하고 있다.

비아드리나 유럽 대학교와 마리아 교회 탑
폴란드와의 국경에 위치한 프랑크푸르트(오데르)는 독일-폴란드 관계와 유럽 통합과 관련하여 특별한 역할을 수행하며, 비아드리나 유럽 대학교는 폴란드 스우비체에 건물 하나를 두고 있다.[19] 이 대학교는 학생들에게 무료 폴란드어 강좌를 제공하는 등 폴란드와 독일을 하나로 묶는 여러 프로젝트와 구상을 진행하고 있다.[19]

오데르 강 건너편 스우비체가 보이는 프랑크푸르트 항공 사진


프랑크푸르트(오데르)의 독일-폴란드 통합에 기여하는 또 다른 프로젝트는 포르스트 하우스(Fforst House)이다.[19] 독일-폴란드 학생 프로젝트인 이곳은 시 행정부[20]와 비아드리나[21]의 지원을 받았으며, 전임 총장인 게지네 슈반은 이곳을 "유럽이 시작되는 곳"이라고 묘사했다.[22]

6. 교통

프랑크푸르트(오데르) 중앙역은 베를린-바르샤바 익스프레스가 운행하는 역이며, 마그데부르크콧부스로 가는 정기적인 지역 연결편이 있다. 도시 내에는 1898년 1월 22일 첫 노선이 개통된 트램 노선 5개가 운행 중이다.

프랑크푸르트(오데르) 중앙역


7. 정치

7. 1. 시장 및 시의회

현재 프랑크푸르트(오데르)의 시장은 2018년부터 레네 빌케(무소속, 전 좌파당)가 맡고 있다.

프랑크푸르트(오데르) 시의회는 46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장과 함께 도시를 통치한다. 2024년 6월 9일에 실시된 가장 최근 시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의석 수
독일을 위한 대안 (AfD)13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CDU)11
좌파당 (Die Linke)7
독일 사회민주당 (SPD)5
녹색당/개발 이니셔티브 (Grüne/BI)3
프랑크푸르트 시민 이니셔티브/자유 유권자 (FBI–BVB/FW)2
Die PARTEI2
독일 자유민주당 (FDP)2


8. 자매 도시

프랑크푸르트(오데르)는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23]

9. 문화

9. 1. 상징

도시 문장은 녹색 언덕 위에 서 있는 금빛 볏을 가진 붉은 수탉(오른쪽 방향)을 묘사하고 있다. 바탕은 흰색이며, 배경에는 좌우에 탑을 가진 시의 문(붉은색)이 있다. 두 개의 탑 위에는 금색 문장기(금색 수탉)가 서 있으며, 문 위에는 브란덴부르크 문장인 붉은 독수리 문장이 꽂혀 있다.

9. 2. 영화 촬영지

프랑크푸르트(오데르)는 '''그릴 포인트'''(''Halbe Treppe'', 2002), '''먼 빛'''(''Lichter'', 2003)을 비롯한 여러 독일 영화의 촬영지로 사용되었다. 1999년 프랑크푸르트에서 발생한 방치에 의한 살인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아이들은 죽었다'''(''Die Kinder sind tot'', 2004)도 이 곳에서 촬영되었다. 이 외에도 신나치를 소재로 한 다큐멘터리 '''No Exit'''(2004)와 '''Kombat Sechzehn'''(''전투 16'', 2005) 등이 프랑크푸르트(오데르)에서 촬영되었다.

10. 기타

1968년부터 8년간 건설되어 완공된 24층, 95m 높이의 고층 건물 '데어 오데르투름'(Der Oderturm)이 있다. 브란덴부르크주에서 가장 높은 고층 건물이다. 1898년 1월 22일 첫 노선이 개통된 프랑크푸르트 노면전차는 현재 5개 노선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rgebnis der Oberbürgermeisterwahl in Frankfurt (Oder) https://wahlen.brand[...] 2021-06-30
[2] 뉴스 Märkische Oderzeitung/Frankfurter Stadtbote Märkische Oderzeitung/Frankfurter Stadtbote 2006-07-07
[3] 논문 Rywalizacja o ziemię lubuską i kasztelanię międzyrzecką w latach 1319–1326, ze szczególnym uwzględnieniem stosunków pomorsko-śląskch Zakład Narodowy im. Ossolińskich, Wydawnictwo Polskiej Akademii Nauk
[4]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II
[5] 서적 Zarys gospodarczych dziejów Polski w czasach przedrozbiorowych
[6] 서적 Mackillop (2003)
[7] 서적 Bröckling (1998)
[8] 서적 Preußen
[9] 웹사이트 Friedenskirche Frankfurt (Oder) https://www.seenland[...] 2020-07-12
[10] 서적 Empress Elizabeth: Her Reign and Her Russia, 1741–1761 Academic International Press
[11] 간행물 Losy internowanych na Pomorzu żołnierzy powstania listopadowego
[12] 웹사이트 Chronology of the Berlin-Frankfurter (O) Railway http://www.epilog.de[...] EPILOGmedia 2014-11-18
[13] 서적 Był rok 1939. Operacja niemieckiej policji bezpieczeństwa w Polsce. Intelligenzaktion IPN
[14] 웹사이트 Frankfurt (Oder) http://www.tenhumber[...] 2020-05-09
[15] 웹사이트 Ewakuacja piesza https://zabikowo.eu/[...] 2023-01-29
[16] 웹사이트 Świecko (Lager Schwetig): Odnaleziono szczątki 21 osób https://poszukiwania[...] 2023-11-30
[17] 웹사이트 German Border Town Gets First Torah Since World War II https://www.chabad.o[...] 2021-03-20
[18]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 Brandenburg at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
[19] 웹사이트 Idealistic students transform tower block into a community https://www.dw.com/e[...] 2020-10-06
[20] 웹사이트 Ad-hoc-news.de http://www.ad-hoc-ne[...] 2010-06-01
[21] 웹사이트 Euv-frankfurt-o.de http://www.euv-frank[...]
[22] 웹사이트 Berlinonline.de http://www.berlinonl[...]
[23] 웹사이트 Partnerstädte https://www.frankfur[...] Frankfurt an der Oder 2021-02-03
[24] 백과사전 Puttkammer, Robert von
[25] 백과사전 Kleist, Bernd Heinrich Wilhelm von
[26] 백과사전 Werner, Anton Alexander von
[27] 백과사전 Albinus, Bernhard Siegfried
[28] 웹사이트 Manschnow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6-07
[29] 웹사이트 SOURCE
[30] 웹사이트 公式サイトでの表記 https://www.frankfur[...]
[31] 문서 フランクフルト・アン・デル・オーデル
[32] 서적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33] 서적 ティル・オイレンシュピーゲルの愉快ないたずら 岩波書店, 法政大学出版局
[34] 웹사이트 http://www.statistik[...]
[35] 웹사이트 Population Projection Brandenburg at Wikimedia Commons http://commons.wikim[...]
[36] 웹인용 Manschnow Climate Normals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