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비히 비버바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트비히 비버바흐는 나치즘에 동조하고 반유대주의 활동을 한 독일의 수학자이다. 그는 나치 돌격대와 나치당에 가입하여 유대인 동료들을 해고하고, 유대인 수학을 배척하는 "독일 수학" 운동을 주도했다. 1936년에는 유대인의 영향을 배제한 『독일 수학』 잡지 발행을 주도하기도 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나치즘 지지로 인해 학문적 지위를 잃었으나, 1949년 바젤 대학교에서 강의했다. 비버바흐는 복소해석학 및 군론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비버바흐 추측을 제시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치 당원 - 마르틴 하이데거
마르틴 하이데거는 1889년에 태어나 1976년에 사망한 독일의 철학자이며, 현상학과 실존주의, 언어와 기술 비판을 탐구했고, 대표작으로 『존재와 시간』이 있으며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지만, 나치즘 협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나치 당원 - 카를 슈미트
카를 슈미트는 20세기 정치사상에 큰 영향을 미친 독일 법학자이자 정치철학자로, 나치 정권에 협력한 과거에도 불구하고 주권, 독재, 전쟁 등에 대한 독창적인 분석을 담은 저서를 통해 현대 정치 이론에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동문 -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 경제학자, 역사학자, 법학자로서, 종교사회학, 정치 체제 등을 연구하고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에서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프로테스탄티즘의 영향을 분석했으며, 권위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회과학 연구의 객관성과 가치 중립성을 강조했다. -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동문 - 오토 카리우스
오토 카리우스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150대 이상의 적 전차를 격파한 독일 국방군의 전차 에이스였으며, 종전 후 약학을 공부하여 약국을 운영하다 2015년에 사망했다. - 독일의 수학자 - 레기오몬타누스
레기오몬타누스는 15세기 독일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빈 대학교에서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하고 이탈리아에서 연구하며 《알마게스트》 요약, 《삼각형에 대하여》 저술, 뉘른베르크 과학 출판 인쇄소 설립, 천문 관측 및 역법 개혁 기여, 천문표 제작 등으로 탐험가들에게 활용되었다. - 독일의 수학자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철학자, 수학자, 과학자, 외교관, 법학자, 도서관학자이자 언어학자로, 합리주의 철학을 대표하며 모나드론과 예정조화설을 주장했고, 미적분학을 독자적으로 발견하고 이진법을 체계화하는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 기여했다.
루트비히 비버바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루트비히 게오르크 엘리아스 모제스 비버바흐 |
출생 | 1886년 12월 4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헤센 대공국 고델라우 |
사망 | 1982년 9월 1일 |
사망지 | 서독 바이에른주 오버라우도르프 |
국적 | 독일 |
로마자 표기 | Luteubihi Bibeobahheu |
학문 분야 | |
분야 | 수학 |
모교 | 괴팅겐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
지도 교수 | 펠릭스 클라인 |
제자 | 베르너 펜헬, 막시밀리안 헤르츠베르거, 하인츠 호프, 쿠르트 슈뢰더, 빌헬름 쉬스, 요한 프리드리히 슐체 |
경력 | |
직장 |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프랑크푸르트 대학교 |
업적 | |
주요 업적 | 파투-비버바흐 영역, 비버바흐 추측, 비버바흐의 부등식, 비버바흐의 정리 |
2. 생애
루트비히 비버바흐는 초기 생애와 교육, 학문적 경력, 나치즘 동조와 반유대주의 활동, 그리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생애를 거쳤다.
그는 나치즘과 반유대주의에 적극적으로 동조하여, 1933년 나치 돌격대에 가입하고 1937년에는 나치당에 가입하였다. 에드문트 란다우와 이사 슈어를 포함한 유대인 동료들을 해고하려는 노력에 열정적으로 참여했고, 율리우스 슈아우더와 같은 몇몇 가까운 동료들의 게슈타포 체포를 돕기도 했다.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테오도어 발렌과 함께 반유대주의 "독일 수학(Deutsche Mathematik)" 운동을 시작하였다. 이는 유대인적인 수학을 배척하고, 순수하게 "독일적인" 수학을 만들려는 운동이었다.
비버바흐는 1934년에 "잘 발달된 공간지각력은 독일 인종의 특성"이며 "형식주의는 인간의 본성과 독립된, 수학적 진리로만 구성된 절대적 세계를 건립하려" 한다고 주장했다.[5]
1945년, 비버바흐는 나치즘 지지 때문에 모든 학문적 지위에서 해고되었다. 1982년 9월 1일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독일 다름슈타트 근처의 고델라우(현 리트슈타트)에서 태어났다. 하이델베르크와 괴팅겐에서 펠릭스 클라인의 지도를 받으며 공부하였고, 1910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2] 그의 논문은 ''자동형 함수 이론에 관하여'' (Theorie der automorphen Funktionende)였다.1910년에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강사(Privatdozentde)로 있으면서, 1911년에 하빌리타치온을 취득하였다. 1911년에 쓴 군(群)에 관한 논문에서 군이 유클리드 공간을 덮는 병진 부분군을 가져야 하는 조건을 밝혀 힐베르트의 18번째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1913년에 바젤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다. 1915년에는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강의하였고, 1921년부터 1945년까지 베를린 대학교에서 강의하였다.
1916년, 비버바흐 추측을 제시했는데, 이는 정칙 함수가 열린 단위 원판을 복소 평면에 단사적으로 매핑하기 위한 필요 조건을 함수의 테일러 급수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1984년 루이 드 브랑제가 이 추측을 증명하여 드 브랑제 정리라고도 불린다. 1928년, 비버바흐는 이사히 슈르와 함께 ''양의 이차 형식에 대한 민코프스키 환원 이론''이라는 책을 저술했다. 1932년 취리히에서 열린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연설했다.
2. 2. 학문적 경력
1910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에서 연구원(Privatdozentde)으로 있으면서, 1911년에 하빌리타치온을 취득하였다.[5] 1911년 군(群)에 관한 논문으로 하빌리타치온을 썼으며, 이 논문에서 군이 유클리드 공간을 덮는 병진 부분군을 가져야 하는 조건을 밝혀 힐베르트의 18번째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했다. 1913년 바젤 대학교 정교수가 되었다.[5] 1915년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강의하였고, 1921년~1945년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강의하였다.[5]그는 복소해석학과 수학의 다른 분야에 대한 응용에 대해 연구했다. 그는 여러 복소 변수에서의 역학에 대한 연구로 알려져 있으며, 이 분야에서 피에르 파투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1916년 비버바흐 추측을 제시했는데, 이는 정칙 함수가 열린 단위 원판을 복소 평면에 단사적으로 매핑하기 위한 필요 조건을 함수의 테일러 급수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1984년 루이 드 브랑제가 이 추측을 증명했다(이 때문에 비버바흐 추측은 때때로 드 브랑제 정리라고 불린다).[5] 1928년 이사히 슈르와 함께 ''양의 이차 형식에 대한 민코프스키 환원 이론''이라는 책을 저술했다.[5]
1932년 취리히 세계 수학자 대회에서 초청 강의를 하였다.[5]
2. 3. 나치즘 동조와 반유대주의 활동
비버바흐는 나치즘과 반유대주의에 적극적으로 동조했다. 1933년 나치 돌격대에 가입하고, 1937년에는 나치당에 가입하는 등 나치 정권에 적극 협력하였다.[5] 에드문트 란다우와 이사 슈어를 포함한 유대인 동료들을 해고하려는 노력에 열정적으로 참여했고, 율리우스 슈아우더와 같은 몇몇 가까운 동료들의 게슈타포 체포를 돕기도 했다.[3]비버바흐는 테오도어 발렌과 함께 반유대주의적 "독일 수학(Deutsche Mathematik)" 운동을 주도했다. 이들은 유대인적인 수학을 배척하고, 순수하게 "독일적인" 수학을 추구했다. 비버바흐는 "잘 발달된 공간지각력은 독일 인종의 특성"이며 "형식주의는 인간의 본성과 독립된, 수학적 진리로만 구성된 절대적 세계를 건립하려" 한다고 주장했다.[5]
비버바흐와 발렌의 독일 수학에 대한 관점은, 나치 독일의 과학계에서 과학에 인종적 특성을 부여하려는 더 광범위한 경향의 일부였다. "독일 물리학", "독일 화학", "독일 생물학"을 위한 유사 과학 운동도 있었다.[3]
1945년, 비버바흐는 나치즘 지지 때문에 모든 학문적 지위에서 해고되었으나, 1949년 알렉산더 오스트로프스키의 초청으로 바젤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기도 했다. 오스트로프스키는 비버바흐의 정치적 견해가 그의 수학적 기여와는 무관하다고 여겼다.[4]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비버바흐는 나치즘 지지 때문에 모든 학문적 지위에서 해고되었다.[4] 패전 후 비버바흐는 나치당을 지지했던 전력 때문에 모든 직위에서 파면되었으며[5], 베를린의 나치당 관계자 대부분이 미군에 구금되어 심문을 받을 때 미 육군에 징용된 정보 장교 아돌프 그륀바움이 비버바흐의 심문을 담당했다.1949년, 알렉산더 오스트로프스키의 초청으로 바젤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기도 했는데, 오스트로프스키는 비버바흐의 정치적 견해가 그의 수학적 기여와는 무관하다고 여겼다.[4]
1982년 서독 오버바이에른 오버아우도르프에서 사망하였다.
3. 비판과 논란
비버바흐는 1933년 돌격대에 입대했으며, 1937년 나치당에 가입했다.[3] 그는 에드문트 란다우와 그의 전 공동 저자 이사 슈어를 포함한 유대인 동료들을 해고하려는 노력에 열정적으로 참여했다.[3] 그는 또한 율리우스 슈아우더와 같은 몇몇 가까운 동료들의 게슈타포 체포를 도왔다.[3] 비버바흐는 또 다른 독일 수학자이자 반유대주의자인 테오도어 발렌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비버바흐와 함께 "독일 수학(Deutsche Mathematik)" 운동과 동명의 저널을 창립했다.[3] 이 운동의 목적은 수학에서 "독일적"(이 경우 직관주의적) 스타일을 장려하고 홍보하는 것이었다.[3] 예를 들어, 비버바흐는 "코시-구르사 정리는 독일인들에게 참을 수 없는 불쾌감을 불러일으킨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유대인 수학"의 특징인 추상적인 사고 방식과 "뚜렷한 날카로움"을 대표한다고 말했다.[3] 비버바흐와 발렌의 독일 수학에 대한 아이디어는 나치 독일의 과학계에서 과학에 인종적 특성을 부여하려는 더 광범위한 경향의 일부였다.[3] "독일 물리학", "독일 화학", "독일 생물학"을 위한 유사 과학 운동도 있었다.[3]
1945년, 비버바흐는 나치즘 지지 때문에 모든 학문적 지위에서 해고되었지만, 1949년 알렉산더 오스트로프스키의 초청으로 바젤 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게 되었는데, 오스트로프스키는 비버바흐의 정치적 견해가 그의 수학적 기여와는 무관하다고 여겼다.[4]
그는 나치당의 열렬한 신봉자이자 반유대주의 사상을 가진 인물로, 게르만족은 기하학을 논리적으로 분석하지만 유대인은 추상적으로밖에 사고할 수 없다고 공언했다. 1938년에 프로이센 학사원에서 아이제이 슈어를 추방시키는 등 유대계 교수의 배척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학내에서 돌격대 제복을 입고 강의했다.
1936년, 유대인의 영향을 배제하고 독일인의 수학적 업적을 보여주기 위해 Deutsche Mathematik|독일의 수학de 잡지 발행을 주도했다. 친나치 수학자들에 의해 발행되었지만, 해당 잡지에 게재된 논문 중 일부는 현대 수학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패전 당시 베를린의 나치당 관계자 대부분이 미군에 구금되어 심문을 받았는데, 비버바흐의 심문을 담당한 사람은 미 육군에 징용되어 정보 장교가 된 젊은 과학 철학자 아돌프 그륀바움이었다고 한다.
전후 모든 공직에서 추방되었다.
참조
[1]
MacTutor Biography
[2]
MathGenealogy
[3]
웹사이트
Hitler's Math
https://www.tabletma[...]
2017-02-08
[4]
간행물
math.ch/100: Swiss Mathematical Society, 1910–2010
European Mathematical Society Publishing House
[5]
저널
Stilarten mathematischen Schaffe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