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2011년 2월 27일 벵가지에서 결성된 반정부 세력의 임시 행정 기구이다. NTC는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에 대항하여 리비아 내전을 주도했으며,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어 리비아의 합법 정부로 인정받았다. 2011년 8월 3일 헌법 선언을 발표하여 국가의 기본 원칙과 과도 정부의 역할을 규정하고, 2012년 8월 8일 국민의회로 권력을 이양하며 해산되었다. 그러나 권력 이양 이후 정치적 불안정, 사회적 갈등, 폭력 사태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비아 정부 - 리비아 항공
리비아 항공은 1964년 리비아 왕국 항공으로 설립되어 1965년부터 운항을 시작한 리비아의 국영 항공사로, 왕정 폐지 후 사명 변경, 국제 제재와 내전으로 인한 운항 중단 및 재개를 거쳐 2014년 트리폴리 국제공항 전투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현재는 리비아 정부가 소유하고 있다. - 리비아의 정치 - 자마히리야
자마히리야는 무아마르 카다피가 제시한 '대중에 의한 국가'라는 정치 철학에 기반한 체제이나, 실제로는 카다피의 군사 독재 체제로 운영되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제 사회에서 비판받았다. - 리비아의 정치 - 토요타 전쟁
토요타 전쟁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차드에서 벌어진 내전으로, 도요타 픽업트럭을 개조한 테크니컬을 사용한 점에서 유래되었으며, 리비아의 지원을 받는 GUNT와 서방의 지원을 받는 하브레 정부 간의 갈등과 차드군의 리비아군 축출, 그리고 아프리카 분쟁에서 비정규군의 역할과 무기 기술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전쟁이다. - 2011년 리비아 - 제1차 리비아 내전
제1차 리비아 내전은 2011년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붕괴를 초래한 내전으로, 카다피의 장기 집권에 대한 불만이 원인이 되어 벵가지 시위로 시작되었으며, 국제 연합의 개입과 카다피 사망으로 종식되었다. - 2011년 리비아 - 리비아 위기
리비아 위기는 카다피 집권 후 아랍의 봄으로 촉발된 내전과 정권 붕괴 이후 정치적 불안정, 무장 단체 난립, 사회적 혼란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국제 사회가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대한민국도 재건을 지원하고 있다.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정식 명칭 | 리비아 |
통용 명칭 | 리비아 |
정부 형태 | 단일 과도 정부 |
종교 | 이슬람교 |
국가 모토 | (없음) |
국가 | 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
정치 | |
의회 | 국가 과도 위원회 |
의장 | 무스타파 압둘 잘릴 |
의장 임기 | 2011년–2012년 |
부의장 | 무스타파 호니 |
총리 | 마흐무드 지브릴 , 압두라힘 엘-케이브 |
총리 임기 | 2011년 , 2011년-2012년 |
역사 | |
시대 | 2011년 리비아 내전 |
시작 이벤트 | 설립 |
시작일 | 2011년 2월 27일 |
주요 사건 1 | 트리폴리 함락 |
주요 사건 1 발생일 | 2011년 8월 28일 |
주요 사건 2 | 무아마르 카다피 사망 |
주요 사건 2 발생일 | 2011년 10월 20일 |
종료 이벤트 | 선출된 총국민 의회로의 권력 이양 |
종료일 | 2012년 8월 8일 |
지리 | |
수도 | 트리폴리 |
최대 도시 | 수도 |
![]() | |
경제 | |
통화 | 리비아 디나르 |
통화 코드 | LYD |
기타 정보 | |
이전 국가 |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
후임 국가 | 리비아 |
공용어 | 아랍어 |
국가 과도 위원회 정보 | |
아랍어 명칭 | المجلس الوطني الانتقالي |
로마자 표기 | al-majlis al-waṭanī al-intiqālī |
영어 명칭 |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
설립일 | 2011년 2월 27일 |
해산일 | 2012년 8월 8일 |
유형 | 과도 정부 |
목적 | 대의/숙의 민주주의 |
본부 | 트리폴리 |
위치 | 리비아 |
의장 | 무스타파 압둘 잘릴 |
부의장 | 무스타파 호니 |
총리 | 압두라힘 엘-케이브, 마흐무드 지브릴 |
이전 기관 | 인민 의회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
후임 기관 | 국민 의회 |
웹사이트 | 국가 과도 위원회 웹사이트 |
2. 역사적 배경
2011년 2월 27일, 벵가지에서 반정부 인사들은 과도 정부 구성을 논의했다. 이들은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에 대항하기 위한 임시 행정부 구성을 제안했다. 3월 5일에는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가 공식 출범했다. NTC는 카다피 축출 이후 리비아를 통치할 기구였다. NTC는 리비아 내 폭력 사태를 종식시키고 민주주의적 정부 수립을 목표로 했다. NTC는 카다피 정권에 대항하는 세력들을 통합하고,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NTC는 리비아의 미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을 천명했다.
NTC는 국제 사회에 리비아 국민의 권리를 옹호해줄 것을 요청하며, 국제 연합(UN)의 개입을 촉구했다. NTC 설립 이후, 국제 사회는 이 새로운 정치 기구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일부 국가들은 NTC를 리비아의 합법적인 대표 기구로 인정하고, 지원을 약속했다. 특히 프랑스는 NTC에 대한 강력한 지지 의사를 표명하며,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반면, 러시아와 중국 등은 NTC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국제 사회의 반응은 NTC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 NTC는 벵가지에서 창설되었으며, 무스타파 압둘 잘릴을 의장으로 선출했다. 잘릴 의장은 카다피 정권의 종식과 자유롭고 민주적인 리비아의 건설을 강조하며, 국제 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호소했다. 그는 또한, NTC가 리비아의 모든 국민을 대표하며, 포용적인 정부를 구성할 것을 약속했다.
2. 1. 아랍의 봄과 리비아 내전
2011년,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을 휩쓴 아랍의 봄의 물결은 리비아에도 영향을 미쳤다. 튀니지에서 시작된 재스민 혁명과 이집트에서 일어난 혁명은 리비아 국민들에게 민주주의와 자유에 대한 열망을 더욱 키웠다.당시 리비아는 무아마르 카다피의 독재 통치가 장기화되면서 국민들의 불만이 팽배한 상황이었다. 카다피 정권은 반정부 시위에 대해 강경 진압으로 대응했고, 이는 시위 규모를 더욱 확대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2011년 2월, 벤가지를 중심으로 반정부 시위가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시위대는 카다피 정권의 퇴진을 요구하며 무력 투쟁을 벌였고, 이는 곧 리비아 내전으로 확대되었다. 반정부 세력은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를 구성하여 카다피 정권에 대항했다.
2. 2. 과도 정부 수립 노력
2011년 2월 27일, 벵가지에서 반정부 인사들이 모여 과도 정부 구성을 논의했다. 이들은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에 대항하기 위한 임시 행정부 구성을 제안했다. 3월 5일에는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가 공식 출범했다. NTC는 카다피 축출 이후 리비아를 통치할 기구였다. NTC는 국제 사회에 리비아 국민의 권리를 옹호해줄 것을 요청하며, 국제 연합(UN)의 개입을 촉구했다. NTC는 리비아 내 폭력 사태를 종식시키고, 민주주의적 정부 수립을 목표로 했다.2. 3. 국가 평의회 설립
2011년 3월 5일, 리비아 반군은 벵가지에서 국가 과도 위원회(NTC)를 창설했다. 이 위원회는 반군 세력의 정치적 지도부 역할을 수행했으며, 무스타파 압둘 잘릴을 의장으로 선출했다. NTC는 카다피 정권에 대항하는 세력들을 통합하고,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어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 NTC는 리비아의 미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을 천명했다.NTC 설립 이후, 국제 사회는 이 새로운 정치 기구에 대해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일부 국가들은 NTC를 리비아의 합법적인 대표 기구로 인정하고, 지원을 약속했다. 특히 프랑스는 NTC에 대한 강력한 지지 의사를 표명하며,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반면, 러시아와 중국 등은 NTC에 대한 공식적인 인정에는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러한 국제 사회의 반응은 NTC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
무스타파 압둘 잘릴 의장은 NTC의 수장으로서 리비아의 미래를 위한 비전을 제시하고, 국제 사회와의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잘릴 의장은 카다피 정권의 종식과 자유롭고 민주적인 리비아의 건설을 강조하며, 국제 사회의 지지와 협력을 호소했다. 그는 또한, NTC가 리비아의 모든 국민을 대표하며, 포용적인 정부를 구성할 것을 약속했다.
3. 목표 및 이념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는 리비아의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해 헌법 선언을 발표했다. 2011년 8월 3일에 발표된 이 선언은 국가의 기본 원칙과 과도 정부의 역할을 규정했다.
헌법 선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수도는 트리폴리로 정해졌고, 아랍어가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리비아는 아랍 국가로 정의되었으며, 이슬람교를 국교로 존중했다. 소수 민족의 권리를 보호하고, 차별 없는 평등한 대우를 보장했다.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모든 종교적 신념을 존중했다. 헌법 선언은 과도 정부의 형태를 규정하고, 임시 정부의 권한과 책임을 명시했다.
3. 1. 주요 목표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리비아의 국가 영토와 시민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다. 또한, 리비아 내 잔여 지역의 해방을 위한 노력을 조정하고, 민간 생활의 회복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군사위원회를 감독하고, 제헌 의회 선거를 촉진하여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개최하기 위한 과도 정부를 구성하는 것 역시 중요한 목표였다. 더불어, 외교 정책을 수행하며 국제 사회와의 관계를 맺는 데에도 힘썼다.NTC는 리비아의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며,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통해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는 정부 수립을 강조했다. 국가 헌법 초안 마련을 추진하고, 정치적 다원주의를 옹호하며, 인권 보장을 위해 노력했다. 더불어, 차별과 테러를 단호히 거부하며, 모든 리비아 국민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는 데 주력했다.
3. 2. 헌법 선언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2011년 8월 3일에 임시 헌법 선언을 발표했다. 이 헌법 선언은 리비아의 새로운 시대를 열기 위한 중요한 조치였다. 헌법 선언은 국가의 기본 원칙과 구조를 제시하며, 과도 정부의 역할을 규정했다.헌법 선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수도: 리비아의 수도는 트리폴리로 정해졌다.
- 공식 언어: 아랍어가 리비아의 공식 언어로 지정되었다.
- 국가 정체성: 리비아는 아랍 국가로 정의되었으며, 이슬람교를 국교로 존중했다.
- 소수 민족 권리: 소수 민족의 권리를 보호하고, 차별 없는 평등한 대우를 보장했다.
- 종교 자유: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고, 모든 종교적 신념을 존중했다.
- 정부 형태: 헌법 선언은 과도 정부의 형태를 규정하고, 임시 정부의 권한과 책임을 명시했다.
이 헌법 선언은 리비아의 정치적 전환을 위한 중요한 토대를 마련했다. NTC는 이 선언을 바탕으로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4. 조직 및 구조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국가의 행정부 역할을 담당하는 집행 위원회를 두어 주요 정책을 결정하고 국가를 운영했다. 집행 위원회는 의장과 각 부서 담당자로 구성되었다. 2011년 3월 5일, 무스타파 압델 잘릴은 NTC 의장으로, 마흐무드 지브릴은 집행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지브릴 위원장은 대외 관계 및 경제 정책을 주도했으며,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다. 집행 위원회는 보건, 교육, 외교, 재정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했으며, 위원회의 결정은 NTC 전체 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었다.
2011년 11월 NTC가 해산된 후, 아브델 라힘 알-키브가 이끄는 임시 정부가 출범하여 2012년 8월까지 리비아를 통치하며 자유 선거를 통한 권력 이양을 목표로 했다. 임시 정부는 국가 재건과 안보 확립, 민주주의 기반 마련을 주요 정책 방향으로 삼았다. 외무부 장관은 아쉬르 아부라킴, 내무부 장관은 파우지 압델알, 국방부 장관은 우사마 알-주왈리가 임명되었다. 임시 정부는 민병대 간의 갈등, 부패, 국가 자원 분배에 대한 불만 등 어려움에 직면했음에도 헌법 제정, 선거법 마련 등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NTC가 통제하는 지역에서는 지방 정부가 지역 위원회를 구성하고,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사회의 복구를 위해 노력했다. NTC는 지역의 안전과 기본적인 서비스 제공을 책임지며,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지방 정부는 지역 사회의 의견을 수렴하고,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어 리비아의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NTC는 국가 재정을 관리하기 위해 벵가지 중앙은행과 리비아 석유 회사를 설립했다. 벵가지 중앙은행은 리비아의 통화 및 금융 정책을 담당했으며, 리비아 석유 회사는 석유 자원 관리 및 수출을 담당했다.
4. 1. 입법 기구
NTC는 2011년 3월 5일에 결성되어, 리비아 내전 당시 임시 정부 역할을 수행했다. NTC는 리비아의 입법 기구 역할을 수행했으며, 위원회 의장, 부의장, 그리고 각 도시 대표들로 구성되었다. 의사 결정은 위원회 내에서 합의를 통해 이루어졌다. NTC는 여러 위원회를 구성하여 행정 및 입법 활동을 수행했다. 위원회 의장 및 부의장은 NTC의 주요 직책이었으며, 각 도시 대표들은 지역 사회의 의견을 수렴하고 NTC의 결정에 참여하는 역할을 했다. NTC는 리비아의 과도 정부로서, 내전 종식 후 국가 재건 및 민주주의 기반 마련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4. 2. 집행 위원회
집행 위원회는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의 행정부 역할을 담당했다. 위원회는 의장과 각 부서 담당자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정책 결정 과정을 거쳐 국가를 운영했다.2011년 3월 5일, 무스타파 압델 잘릴은 NTC 의장으로, 마흐무드 지브릴은 집행 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지브릴 위원장은 카다피 정권 붕괴 이후 과도 정부를 이끌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대외 관계 및 경제 정책을 주도했으며, 특히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다. 지브릴 위원장은 국민들의 지지를 받으며, 리비아의 민주주의 전환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집행 위원회는 여러 부서로 나뉘어 각 분야의 정책을 담당했다. 이들은 보건, 교육, 외교, 재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했다. 위원회의 결정은 NTC 전체 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되었다. 지브릴 위원장은 각 부서의 정책 조율을 통해 효율적인 정부 운영을 추구했다.
집행 위원회의 주요 정책 결정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먼저, 각 부서에서 정책 제안을 수립하고, 이를 위원회 회의에서 논의했다. 논의 결과는 NTC 전체 회의에 상정되어 최종 승인을 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집행 위원회는 리비아의 민주주의적 전환을 위한 정책들을 추진해 나갔다.
4. 3. 임시 정부
2011년 11월,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가 해산된 후, 아브델 라힘 알-키브가 이끄는 임시 정부가 출범했다. 이 임시 정부는 2012년 8월까지 리비아를 통치하며, 자유 선거를 통해 구성된 새로운 정부로의 권력 이양을 목표로 했다. 알-키브는 국무총리직을 수행했으며, 내각은 다양한 정치 세력과 지역 대표들로 구성되었다. 각 부처의 장관들은 다음과 같다.- 외무부 장관: 아쉬르 아부라킴
- 내무부 장관: 파우지 압델알
- 국방부 장관: 우사마 알-주왈리
임시 정부는 국가 재건과 안정화라는 막중한 과제를 안고 있었다. 주요 정책 방향은 다음과 같았다.
- 국가 재건: 리비아 내전으로 파괴된 사회 기반 시설을 복구하고 경제를 재건하는 데 주력했다.
- 안보 확립: 민병대의 무장 해제와 통합, 그리고 국가의 안보 역량 강화에 힘썼다.
- 민주주의 기반 마련: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시민 사회의 참여를 장려했다.
이러한 과제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임시 정부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민병대 간의 갈등, 부패, 그리고 국가 자원 분배에 대한 불만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정부의 안정성을 위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시 정부는 헌법 제정, 선거법 마련 등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다.
4. 4. 지방 정부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가 통제하는 지역에서는 지방 정부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지역 위원회를 구성하고, 시민들에게 행정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지역 사회의 복구를 위해 노력했다. NTC는 지역의 안전과 기본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책임지며,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지방 정부의 노력은 리비아의 안정과 재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각 지역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함으로써, NTC는 리비아 전역의 균형 있는 발전을 추구했다. 또한, 지방 정부는 지역 사회의 의견을 수렴하고,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고,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노력은 리비아의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4. 5. 상업 기구
벵가지에 본부를 둔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국가 재정을 관리하기 위한 여러 기구를 설립했다.- 벵가지 중앙은행: NTC의 주요 금융 기관으로, 리비아의 통화 및 금융 정책을 담당했다. 이 은행은 리비아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국제 금융 시스템과의 관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리비아 석유 회사: 리비아의 주요 석유 자원 관리 및 수출을 담당하는 국영 기업이다. 이 회사는 석유 판매 수익을 NTC의 재정으로 이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NTC의 주요 수입원 역할을 했다. 이 회사의 활동은 리비아 경제의 회복과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5. 군사 활동
2011년 리비아 내전 기간 동안,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여러 국가로부터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 프랑스는 NTC에 무기를 제공했으나, 이는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70을 위반하는 행위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반면,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73은 리비아 민간인 보호를 위해 다국적 군사 개입을 승인했다. 이 결의안에 따라, 나토는 통합 보호 작전을 수행하며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나토의 작전에는 무기 지원, 공습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NTC의 승리에 기여했다.
5. 1. 리비아 인민군
리비아 인민군은 2011년 리비아 내전 당시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에 대항하여 결성된 반 카다피 세력의 군사 조직이다. 이들은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의 지휘를 받았으며, 카다피 정권 붕괴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조직 및 지휘 체계
리비아 인민군은 다양한 민병대와 자원병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주로 각 지역의 부족, 도시, 또는 이슬람주의 세력에 기반을 두었다. 과도국가평의회는 리비아 인민군을 통제하기 위해 군사 위원회를 설치했다. 이 위원회는 군사 작전을 조율하고, 무기 획득 및 병력 배치를 담당했다. 그러나 각 민병대는 상당한 자율성을 유지하며, 지휘 체계의 일원화는 어려움을 겪었다.
### 주요 전투
리비아 인민군은 벵가지, 미스라타, 아자비야 등 주요 도시에서 카다피 정권의 군대와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특히 미스라타는 정부군의 포위 공격을 장기간 견뎌내면서 반군의 저항 의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소가 되었다. 또한, 리비아 인민군은 나토(NATO)의 공습 지원을 받아 카다피 정권의 거점인 트리폴리 진격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 병력 및 무기
리비아 인민군의 병력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지만, 수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소총, 기관총, 로켓 추진 수류탄(RPG) 등 경무기를 주로 사용했으며, 일부는 장갑차, 대공포, 탱크 등 중장비를 보유했다. 무기 획득은 주로 밀수, 기증, 또는 카다피 정권 군대의 노획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등 일부 국가로부터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
5. 2. 해외 군사 지원
2011년 리비아 내전 동안,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여러 국가로부터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 프랑스는 NTC에 무기를 제공했는데, 이는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70에 위반되는 행위였다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UN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73은 리비아 민간인 보호를 위해 다국적 군사 개입을 승인했다. 이 결의안에 따라, 나토(NATO)는 통합 보호 작전을 수행하며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나토의 작전에는 무기 지원, 공습 등이 포함되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NTC의 승리에 기여했다.6. 외교 관계
2011년 리비아 내전 기간 동안,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 (NTC)는 국제적인 승인을 얻기 위해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NTC의 국제적 승인은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 붕괴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프랑스는 2011년 3월 10일, 가장 먼저 NTC를 리비아의 합법 정부로 공식 승인했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의 주도 아래 프랑스는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며 NTC를 지지했다. 프랑스는 군사적 지원뿐만 아니라, 외교적 지지를 통해 NTC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카타르는 아랍 국가 중 가장 먼저 NTC를 승인했다. 카타르는 내전 기간 동안 NTC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알 자지라 방송을 통해 NTC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이탈리아는 2011년 9월 15일 NTC를 승인했다. 이탈리아는 과거 리비아를 식민 지배했던 국가로서, 카다피 정권과의 오랜 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내전 발발 이후, 이탈리아는 NTC를 지지하며 관계를 전환했다. 독일은 2011년 8월 22일 NTC를 승인했다. 독일은 리비아 내전에 군사적으로 직접 개입하지는 않았지만, 인도주의적 지원과 외교적 노력을 통해 NTC를 지원했다. 터키는 2011년 7월 15일 NTC를 승인했다. 터키는 내전 기간 동안 NTC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하고, 카다피 정권과의 관계를 단절했다. 미국은 2011년 7월 15일 NTC를 승인했다. 미국은 리비아 내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NTC를 지원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카다피 정권의 붕괴를 목표로 NTC에 대한 외교적, 군사적 지원을 강화했다. 영국은 2011년 7월 27일 NTC를 승인했다. 영국은 프랑스, 미국과 함께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NTC를 지원했다. 일본은 2011년 9월 NTC를 승인했다. 일본은 리비아 내전에 군사적으로 직접 개입하지는 않았지만, 인도주의적 지원과 외교적 노력을 통해 NTC를 지원했다. 러시아는 처음에는 NTC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지 않았지만, 카다피 정권의 붕괴 이후 NTC와의 관계를 정상화했다. 러시아는 리비아 내전 과정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려 노력했지만, NTC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리비아 내에서의 영향력을 유지하려 했다. 중국은 비교적 늦게 NTC를 승인했다. 중국은 리비아 내전에 신중한 입장을 취하며,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고려하여 NTC와의 관계를 구축했다.
대한민국은 2011년 9월 26일 NTC를 리비아의 합법 정부로 승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리비아 내전 상황을 주시하며 NTC의 국제적 지위 확보를 지지했다. 대한민국은 리비아와의 경제적 협력 관계를 고려하여 NTC 승인을 결정했다. 특히, 과거 김대중 대통령의 대북 포용정책과 유사하게, 국제 사회의 흐름에 발맞춰 NTC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결정했다.
2011년 3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리비아 내전과 관련하여 일련의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결의안 1973호로, 민간인 보호를 목적으로 리비아 영공에 비행 금지 구역을 설정하고, 필요한 경우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이는 당시 리비아의 지도자였던 카다피 정권의 무력 진압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를 막기 위한 국제 사회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었다.
결의안 통과 이후, 다수의 국가들이 리비아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결정했다. 특히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는 "오디세이 새벽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군사 작전을 시작하여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나토는 리비아 정부군의 군사 시설과 장비를 공습하고, 반군 세력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나토의 군사 작전에는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주요 서방 국가들이 참여했으며, 이들의 공습은 카다피 정권의 붕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나토의 군사 개입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러시아와 중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은 나토의 군사 작전이 유엔 결의안의 범위를 넘어섰다고 비판했다. 또한, 군사 개입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와 리비아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나토의 군사 개입은 NTC가 카다피 정권을 축출하고 리비아의 새로운 정부로 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6. 1. 국제 사회의 승인
2011년 3월 10일, 프랑스는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이하 과도평의회)를 리비아의 합법적인 정부로 공식 승인했다. 이는 서방 국가 중 최초의 공식 승인이었다. 프랑스의 승인 이후, 3월 12일에는 아랍 연맹이 과도평의회를 리비아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했다. 아랍 연맹의 승인은 과도평의회의 정당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이어서 3월 23일, 쿠웨이트에서 열린 리비아 연락 그룹 회의에서는 과도평의회가 리비아 국민을 대표하는 합법적인 정부임을 재확인했다. 이 회의에는 40개 이상의 국가와 국제기구가 참여하여 과도평의회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유럽 연합은 6월 6일, 과도평의회를 리비아의 합법적인 정치 파트너로 공식 인정했다. 유럽 연합의 이 같은 결정은 과도평의회에 대한 외교적, 재정적 지원을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2011년 9월 16일에는 유엔 총회에서 과도평의회를 리비아의 공식 대표 기구로 인정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이는 과도평의회가 국제 사회에서 완전한 합법성을 확보했음을 의미했다. 유엔의 승인은 과도평의회가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국제적인 지원과 협력을 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6. 2. 국가별 관계
2011년 리비아 내전 기간 동안,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국제적인 승인을 얻기 위해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NTC의 국제적 승인은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 붕괴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프랑스는 2011년 3월 10일, 가장 먼저 NTC를 리비아의 합법 정부로 공식 승인했다.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의 주도 아래 프랑스는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며 NTC를 지지했다. 프랑스는 군사적 지원뿐만 아니라, 외교적 지지를 통해 NTC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카타르는 아랍 국가 중 가장 먼저 NTC를 승인했다. 카타르는 내전 기간 동안 NTC에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알 자지라 방송을 통해 NTC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이탈리아는 2011년 9월 15일 NTC를 승인했다. 이탈리아는 과거 리비아를 식민 지배했던 국가로서, 카다피 정권과의 오랜 관계를 유지해왔다. 그러나 내전 발발 이후, 이탈리아는 NTC를 지지하며 관계를 전환했다.
독일은 2011년 8월 22일 NTC를 승인했다. 독일은 리비아 내전에 군사적으로 직접 개입하지는 않았지만, 인도주의적 지원과 외교적 노력을 통해 NTC를 지원했다.
터키는 2011년 7월 15일 NTC를 승인했다. 터키는 내전 기간 동안 NTC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제공하고, 카다피 정권과의 관계를 단절했다.
미국은 2011년 7월 15일 NTC를 승인했다. 미국은 리비아 내전에 군사적으로 개입하여 NTC를 지원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카다피 정권의 붕괴를 목표로 NTC에 대한 외교적, 군사적 지원을 강화했다.
영국은 2011년 7월 27일 NTC를 승인했다. 영국은 프랑스, 미국과 함께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NTC를 지원했다.
일본은 2011년 9월 NTC를 승인했다. 일본은 리비아 내전에 군사적으로 직접 개입하지는 않았지만, 인도주의적 지원과 외교적 노력을 통해 NTC를 지원했다.
러시아는 처음에는 NTC를 공식적으로 승인하지 않았지만, 카다피 정권의 붕괴 이후 NTC와의 관계를 정상화했다. 러시아는 리비아 내전 과정에서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려 노력했지만, NTC와의 관계 개선을 통해 리비아 내에서의 영향력을 유지하려 했다.
중국은 비교적 늦게 NTC를 승인했다. 중국은 리비아 내전에 신중한 입장을 취하며,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고려하여 NTC와의 관계를 구축했다.
대한민국은 2011년 9월 26일 NTC를 리비아의 합법 정부로 승인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리비아 내전 상황을 주시하며 NTC의 국제적 지위 확보를 지지했다. 대한민국은 리비아와의 경제적 협력 관계를 고려하여 NTC 승인을 결정했다. 특히, 과거 김대중 대통령의 대북 포용정책과 유사하게, 국제 사회의 흐름에 발맞춰 NTC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결정했다.
6. 3. 군사 개입
2011년 3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리비아 내전과 관련하여 일련의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결의안 1973호로, 민간인 보호를 목적으로 리비아 영공에 비행 금지 구역을 설정하고, 필요한 경우 "모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 이는 당시 리비아의 지도자였던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의 무력 진압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를 막기 위한 국제 사회의 개입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었다.결의안 통과 이후, 다수의 국가들이 리비아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결정했다. 특히 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는 "오디세이 새벽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군사 작전을 시작하여 리비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나토는 리비아 정부군의 군사 시설과 장비를 공습하고, 반군 세력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나토의 군사 작전에는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주요 서방 국가들이 참여했으며, 이들의 공습은 카다피 정권의 붕괴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나토의 군사 개입은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러시아와 중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들은 나토의 군사 작전이 유엔 결의안의 범위를 넘어섰다고 비판했다. 또한, 군사 개입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와 리비아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나토의 군사 개입은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가 카다피 정권을 축출하고 리비아의 새로운 정부로 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7. 2012년 이후 불안정
2012년 8월 8일,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권력을 국민의회로 이양했다. 이는 리비아 내전 이후 리비아의 민주주의 전환을 위한 중요한 단계였다. NTC 의장이었던 무스타파 압델 잘릴은 권력 이양과 함께 사임했다. 이로써 NTC는 공식적으로 해산되었으며, 2012년 7월 선거를 통해 선출된 국민의회는 새로운 과도 정부를 구성하고 국가를 이끌어갈 책임을 맡게 되었다. 국민의회는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고, 정부를 구성하며,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7. 1. 시위 및 반발
2011년 11월, NTC(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과도국가평의회)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여러 도시에서 시위가 발생했다. 시위대는 NTC의 지출 투명성을 요구하며, 카다피 시대의 관료들을 해임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일부 시위대는 샤리아 율법의 적용을 요구했다. 이러한 시위와 반발은 NTC가 직면한 과제들을 보여주는 것이었다.7. 2. 권력 이양 및 해산
2012년 8월 8일,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NTC)는 권력을 국민의회로 이양했다. 이는 리비아의 민주주의 전환을 위한 중요한 단계였다. 2011년 리비아 내전 이후, NTC는 국가를 통치하는 역할을 수행해왔다. NTC 의장이었던 무스타파 압델 잘릴은 권력 이양과 함께 사임했다. 이로써 NTC는 공식적으로 해산되었으며, 국민의회는 새로운 과도 정부를 구성하고 국가를 이끌어갈 책임을 맡게 되었다. 국민의회는 2012년 7월에 실시된 선거를 통해 선출된 대표들로 구성되었다. 국민의회는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고, 정부를 구성하며,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8. 평가 및 영향
권력 이양 이후 리비아는 심각한 정치적 불안정, 사회적 갈등, 폭력 사태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과도국가평의회는 통치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고, 이는 리비아의 민주화 과정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특히 중앙 정부의 통제력 약화는 각 지역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으며, 무장 세력의 난립은 치안 불안을 야기했다. 또한, 과도국가평의회의 부패 문제는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으며, 이는 리비아의 재건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들은 리비아의 민주주의 정착을 어렵게 만들었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켰다.
2012년 7월 7일, 리비아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이는 1965년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총선으로, 과도국가평의회가 해산되고 국민의회로 권력이 이양되는 중요한 과정이었다. 이번 선거는 200석의 의석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중 120석은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로, 나머지 80석은 지역구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다.
선거 결과, 자유주의 성향의 정당 연합인 "국가역량연합(National Forces Alliance)"이 39석을 얻어 1위를 차지했다. 이들은 비교적 세속적인 국가 건설을 옹호하며, 비교적 현대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세력으로 평가받았다. 반면, 이슬람주의 정당들은 득표율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정의건설당(Justice and Construction Party)"은 17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는 리비아 사회 내에서 다양한 정치적, 이념적 스펙트럼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특히 정의건설당은 무슬림 형제단의 지원을 받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외에도 여러 소규모 정당들과 무소속 후보들이 의석을 확보하며 국민의회를 구성했다.
총선 이후, 리비아 정국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국민의회는 과도국가평의회를 대체하여 입법 및 행정 권한을 행사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정부 구성과 헌법 제정 등 국가 재건을 위한 중요한 과제들을 수행해야 했다. 그러나 선거 이후에도 리비아는 여전히 정치적 불안정 상태에 놓여 있었으며, 권력 투쟁과 사회적 갈등이 지속되었다. 특히, 이슬람주의 세력과 세속주의 세력 간의 갈등은 이후 리비아의 정치적 혼란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8. 1. 긍정적 평가
카다피 정권의 종식과 리비아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2011년, 오랜 독재 체제를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과도국가평의회는 리비아 국민들의 지지를 받았다. 또한, 국제 사회의 광범위한 지지를 확보하여 정당성을 인정받았다. 이러한 지지는 리비아의 정치적 안정과 경제 재건을 위한 국제적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과도국가평의회는 국민의 자유와 인권을 증진하고, 억압적인 법률을 개정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를 시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과도국가평의회는 내전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불안정한 치안 상황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8. 2. 부정적 평가
권력 이양 이후 리비아는 심각한 정치적 불안정, 사회적 갈등, 그리고 폭력 사태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과도국가평의회는 통치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고, 이는 리비아의 민주화 과정에 걸림돌로 작용했다. 특히, 중앙 정부의 통제력 약화는 각 지역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으며, 무장 세력의 난립은 치안 불안을 야기했다. 또한, 과도국가평의회의 부패 문제는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았으며, 이는 리비아의 재건 노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문제들은 리비아의 민주주의 정착을 어렵게 만들었고, 시민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켰다.8. 3. 총선 결과
2012년 7월 7일, 리비아에서 자유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이는 1965년 이후 처음으로 치러진 총선으로, 과도국가평의회가 해산되고 국민의회로 권력이 이양되는 중요한 과정이었다. 이번 선거는 200석의 의석을 배분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중 120석은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로, 나머지 80석은 지역구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다.선거 결과, 자유주의 성향의 정당 연합인 "국가역량연합(National Forces Alliance)"이 39석을 얻어 1위를 차지했다. 이들은 비교적 세속적인 국가 건설을 옹호하며, 비교적 현대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세력으로 평가받았다. 반면, 이슬람주의 정당들은 득표율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정의건설당(Justice and Construction Party)"은 17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는 리비아 사회 내에서 다양한 정치적, 이념적 스펙트럼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특히 정의건설당은 무슬림 형제단의 지원을 받았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외에도 여러 소규모 정당들과 무소속 후보들이 의석을 확보하며 국민의회를 구성했다.
총선 이후, 리비아 정국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 국민의회는 과도국가평의회를 대체하여 입법 및 행정 권한을 행사하게 되었으며, 새로운 정부 구성과 헌법 제정 등 국가 재건을 위한 중요한 과제들을 수행해야 했다. 그러나 선거 이후에도 리비아는 여전히 정치적 불안정 상태에 놓여 있었으며, 권력 투쟁과 사회적 갈등이 지속되었다. 특히, 이슬람주의 세력과 세속주의 세력 간의 갈등은 이후 리비아의 정치적 혼란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9. 기타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에 대한 추가 정보와 자료는 다음과 같다.
- [http://www.un.org/News/Press/docs/2011/sc10389.doc.htm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973]
- [http://www.state.gov/p/nea/ci/li/index.htm 미국 국무부 리비아 관련 자료]
- [http://www.guardian.co.uk/world/libya 가디언지 리비아 관련 보도]
- [http://www.bbc.co.uk/news/world-middle-east-13791029 BBC 뉴스 리비아 관련 보도]
- [http://english.aljazeera.net/watch_now/ 알자지라 영어 채널]
- [http://www.france24.com/en/ 프랑스 24 리비아 관련 뉴스]
9. 1. 관련 인물
무스타파 압델 잘릴은 리비아의 정치인으로,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의 의장을 맡았다. 그는 2011년 3월 5일부터 2012년 8월 8일까지 이 직책을 수행하며 리비아 내전 기간 동안 반정부 세력을 이끌었다. 잘릴은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에서 법무장관을 역임했으나, 2011년 2월에 반정부 시위에 동참하며 카다피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 그는 과도정부 수립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리비아의 민주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마흐무드 지브릴은 리비아 과도국가평의회의 집행위원회의 의장을 역임했다. 그는 2011년 3월 5일부터 2011년 10월 23일까지 이 직책을 맡아 리비아 내전 동안 외교 및 행정 분야를 담당했다. 지브릴은 서방 국가들과의 관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지원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또한 과도정부의 정책 수립에 관여하며, 민주적 전환을 위한 노력을 지원했다.
압둘 파타 유니스는 리비아 내전에서 반군을 이끈 군사 지도자였다. 그는 2011년 2월에 카다피 정권을 탈출하여 반군에 합류했으며, 과도국가평의회의 군사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유니스는 반군의 주요 작전을 지휘하며, 카다피 군에 맞서 싸웠다. 그러나 2011년 7월에 의문스러운 암살 사건으로 사망하면서 논란을 낳았다. 그의 죽음은 반군 내부의 갈등과 혼란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참조
[1]
간행물
National Congress to meet on 8 August: NTC
http://www.libyahera[...]
2012-07-24
[2]
웹사이트
Libya's transitional rulers hand over power
https://www.boston.c[...]
2012-08-08
[3]
뉴스
The US recognises Libya's Transitional National Council
http://www.wsws.org/[...]
World Socialist Web Site
2011-07-20
[4]
뉴스
Ferocious Battles in Libya as National Council Meets for First Time
http://www.news.com.[...]
NewsCore
2011-03-06
[5]
문서
The Interim Transitional National Council Decree 3. 5 March 2011.
[6]
뉴스
Excerpts from Libya Contact Group Chair's Statement
https://af.reuters.c[...]
Reuters
2011-07-15
[7]
뉴스
UN approves Libya seat for former rebels
http://www.mercuryne[...]
2011-09-16
[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interoffice memorandum dated 16 September 2011 from Desmond Parker, Chief of Protocol, to Shaaban M. Shaaban, Under-Secretary-General for General Assembly and Conference Management, attaching memorandum from Stadler Trengove, Senior Legal Officer
http://unterm.un.org
Unterm.un.org
2013-02-05
[9]
웹사이트
ISO 3166-1 Newsletter VI-11: Name change for Libya
http://www.iso.org/i[...]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11-11-08
[10]
웹사이트
Live Blog – Libya
http://blogs.aljazee[...]
Al Jazeera
2011-02-17
[11]
웹사이트
News | Libya February 17th
http://archive.libya[...]
Libyafeb17.com
2011-02-23
[12]
뉴스
Map of How the Protests Unfolded in Libya
https://www.nytimes.[...]
2011-02-25
[13]
뉴스
Libya's Col Muammar Gaddafi killed, says NTC
https://www.bbc.co.u[...]
BBC News
2011-10-20
[14]
웹사이트
http://www.iso.org/i[...]
[15]
웹사이트
Spotlight Libya
http://english.aljaz[...]
Al Jazeera English
2011-03-25
[16]
뉴스
Discussions Under Way for Provisional Government in Libya
http://maltastar.com[...]
2011-02-25
[17]
뉴스
New Government Forms in Eastern Libya
https://www.npr.org/[...]
NPR
2011-02-23
[18]
뉴스
Libya's Eastern Rebels Long Time Qaddafi Foes Driving Revolt
http://www.businessw[...]
2011-02-25
[19]
뉴스
Terror in Tripoli as pressure builds in Yemen
http://www.abs-cbnne[...]
CBN News
2011-02-26
[20]
뉴스
Live Blog
http://blogs.aljazee[...]
2011-02-26
[21]
뉴스
Ex-Libyan Minister Forms Interim Government: report
http://www.lse.co.uk[...]
lse.co.uk
2011-02-26
[22]
뉴스
Update 1-Exclusive-Libya Envoy to U.S. Backs Interim Government
https://af.reuters.c[...]
Reuters
2011-02-26
[23]
뉴스
Live Blog – Libya
http://blogs.aljazee[...]
2011-02-27
[24]
뉴스
Interim Libyan Govt Wins Support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2-27
[25]
뉴스
Anti-Gaddafi Figures Say Form National Council
https://www.reuters.[...]
Reuters
2011-02-28
[26]
뉴스
Libyan Rebels Said To Debate Seeking U.N. Airstrikes
https://nytimes.com/[...]
2011-03-01
[27]
기타
Reported on Al-Jazeera English TV by Hoda Abdel-Hamid
[28]
웹사이트
Libya: France recognises rebels as government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3-10
[29]
뉴스
למען מיסראתה: מטוסי המערב תקפו טנקים
http://www.nrg.co.il[...]
2011-03-23
[30]
뉴스
Libyan Air Force 'No Longer Exists'
http://english.aljaz[...]
2011-03-23
[31]
웹사이트
Libyan protesters storm government headquarters in Benghazi
http://english.alara[...]
Al Arabiya
2012-01-21
[32]
웹사이트
Libya's NTC faces protesters' wrath as it grapples with transition
http://www.firstpost[...]
Firstpost.com
2012-01-22
[33]
웹사이트
Libya's ruling council hands over power to new assembly
https://www.reuters.[...]
Reuters
2012-08-08
[34]
웹사이트
Libya's transitional council hands over power
http://www.cnn.com/2[...]
CNN
2012-08-08
[35]
웹사이트
Libya's NTC hands power to newly elected assembly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8-08
[36]
웹사이트
'ar:إعلان تاسيس المجلس الوطني الانتقالي المؤقت | الجمهورية الليبية - المجلس الوطني الانتقالي'
http://ntclibya.org/[...]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2011-03-19
[37]
웹사이트
A vision of a democratic Libya
https://www.theguard[...]
2011-03-29
[38]
웹사이트
A Vision of a Democratic Libya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1-03-29
[39]
뉴스
Libya's new rulers set out steps to elections
https://www.reuters.[...]
2011-08-31
[40]
웹사이트
'Introducing the Council | The Libyan Republic - The Interim Transitional National Council'
http://ntclibya.org/[...]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41]
뉴스
Abdul Raheem al-Keeb elected Libya's interim PM
http://english.libya[...]
2011-11-01
[42]
웹사이트
The National Democratic Institute Update on Libya June 29, 2011
http://www.omarturbi[...]
omarturbi.org
2011-06-29
[43]
뉴스
Libya Opposition Launches Council
http://english.aljaz[...]
2011-02-27
[44]
웹사이트
Founding Statement of the Interim Transitional National Council
http://ntclibya.org/[...]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2011-03-05
[45]
웹사이트
Council Members
http://ntclibya.org/[...]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2011-03-05
[46]
뉴스
Council Says It's Libya's Sole Representative
http://www.thenation[...]
2011-03-06
[47]
뉴스
'Thursday, September 8, 2011 – 17:28 GMT+3 - Libya'
http://blogs.aljazee[...]
Al Jazeera
2011-09-08
[48]
웹사이트
The Libyan Interim National Council
http://www.ntclibya.[...]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49]
뉴스
The members of Libya's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http://www.csmonitor[...]
2011-09-02
[50]
웹사이트
List of NTC Members 1 of 2
http://www.twitpic.c[...]
twitpic.com
[51]
웹사이트
Libyan Rebels Form 'Interim Government'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3-22
[52]
Webarchive
http://www.ntclibya.[...]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2011-07-27
[53]
뉴스
Libyan Rebel Leader Sacks Executive Branch of Transitional Council
http://english.alara[...]
Al Arabiya
2011-08-08
[54]
뉴스
Libya Live Blog
http://blogs.aljazee[...]
Al Jazeera
2011-08-09
[55]
뉴스
Libyan rebel leader sacks entire cabinet
https://www.theguard[...]
2011-08-09
[56]
뉴스
Libyan Opposition Dissolves Leadership Board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8-08
[57]
뉴스
New cabinet takes shape in Libya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10-02
[58]
뉴스
Libya declares liberation after Gaddafi's death
http://www.ft.com/in[...]
2011-10-23
[59]
citation
Full List of Official NTC Executive Board
http://feb17.info/of[...]
FEB17.info
2011-11-22
[60]
Webarchive
Former rebels get key posts
http://www.timesofma[...]
times of malta
2016-05-31
[61]
Webarchive
Ministries and ministers
https://www.pm.gov.l[...]
The Libyan government transition - Prime Minister's Office
2012-12-01
[62]
뉴스
Libya's Second City, Benghazi, Learns To Govern Itself After Decades of Oppression
http://www.guelphmer[...]
2011-02-24
[63]
뉴스
BBC Libya Live Coverage
https://www.bbc.co.u[...]
[64]
웹사이트
First Edition of the Benghazi Newspaper
http://feb17.info/me[...]
feb17.info
2011-02-24
[65]
웹사이트
'Founding statement of the Interim Transitional National Council | The Libyan Republic - The Interim Transitional National Council'
http://ntclibya.org/[...]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66]
웹사이트
New Government Forms in Eastern Libya
https://www.npr.org/[...]
NPR
2011-02-23
[67]
웹사이트
Meeting Outcomes of the Interim National Council Held on 19 March 2011
http://ntclibya.org/[...]
National Transitional Council
2011-03-19
[68]
웹사이트
Libyan Rebel Council Forms Oil Company To Replace Qaddafi's
https://www.bloomber[...]
2011-03-21
[69]
뉴스
Libya: The Colonel Feels the Squeeze
http://www.economist[...]
2011-05-19
[70]
뉴스
Jibril vows to quit after Libya 'liberation'
http://english.aljaz[...]
2011-10-03
[71]
뉴스
Rebel head Abdel-Fattah Younis Killed
https://www.mirror.c[...]
2012-08-08
[72]
웹사이트
Libyan Rebel Military Leader Is Killed
http://news.sky.com/[...]
Sky News
2012-08-08
[73]
뉴스
Officer accuses fellow rebels in Libya killing
https://www.usatoday[...]
2011-07-29
[74]
뉴스
Excerpts from Libya Contact Group Chair's Statement
https://af.reuters.c[...]
2011-07-16
[75]
뉴스
Libyan Rebels Win International Recognition as Country's Leaders
https://www.theguard[...]
2011-07-16
[76]
뉴스
Libyan Regime 'Lost Legitimacy'—Arab League
http://newsinfo.inqu[...]
2011-03-25
[77]
웹사이트
Foreign Minister Radosław Sikorski Visits Benghazi
http://www.msz.gov.p[...]
Polish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1-05-20
[78]
뉴스
African Union officially recognises Libya's new leadership
https://www.google.c[...]
2012-01-08
[79]
뉴스
Libya's 'Exiled Prince' Urges World Action
http://www.khaleejti[...]
2011-03-10
[80]
뉴스
UK and new Libyan leaders agree deal for IRA victims
http://www.exaronews[...]
2012-01-30
[81]
뉴스
リビア国民評議会が解散 国民議会に権限移譲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2-08-09
[82]
문서
Name change for Libya
http://www.iso.org/i[...]
[83]
문서
Ferocious battles in Libya as national council meets for first time
http://www.news.com.[...]
[84]
문서
2011年3月6日に[[グーグル]]で「リビア国民評議会」「リビア暫定政府」で検索したところ、前者が305,000件、後者が257,000件であった。
[85]
웹사이트
Live Blog - Libya | Al Jazeera Blogs
http://blogs.aljazee[...]
Blogs.aljazeera.net
2011-02-23
[86]
웹사이트
News | Libya February 17th
http://www.libyafeb1[...]
Libyafeb17.com
2011-02-23
[87]
뉴스
Map of How the Protests Unfolded in Libya.
http://www.nytimes.c[...]
2011-02-26
[88]
웹사이트
News
http://maltastar.com[...]
2021-09-18
[89]
웹사이트
UPDATE 1-EXCLUSIVE-Libya envoy to U.S. backs interim government
http://af.reuters.co[...]
2021-09-18
[90]
웹사이트
Live Blog - Libya Feb 27
http://blogs.aljazee[...]
2021-09-18
[91]
웹사이트
Interim Libyan govt wins support
http://english.aljaz[...]
2021-09-18
[92]
문서
http://www.bbc.co.uk[...]
[93]
웹사이트
Provisional Government Forming In Eastern Libya
http://www.npr.org/2[...]
2021-09-18
[94]
웹사이트
Libya’s Eastern Rebels, Long-Time Qaddafi Foes, Driving Revolt
http://www.businessw[...]
2021-09-18
[95]
뉴스
リビア:反体制派が首相指名
https://web.archive.[...]
2011-03-24
[96]
뉴스
リビア反体制派 国営TV局も掌握
http://www.tokyo-np.[...]
2011-08-24
[97]
뉴스
リビア反体制派を政府として承認 欧米・中東主要国
http://www.asahi.com[...]
2011-08-22
[98]
뉴스
リビア「国民評議会」の代表権承認…国連総会
http://www.yomiuri.c[...]
2011-09-17
[99]
뉴스
アフリカ連合、リビア国民評議会を政府承認
https://web.archive.[...]
2011-09-21
[100]
뉴스
リビア暫定首相「新政権樹立は中断」、自身の入閣も否定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11-09-30
[101]
뉴스
Libya rebels gain arms, defectors
http://www.boston.co[...]
Boston.com
2011-02-28
[102]
뉴스
仏、リビア反体制派に武器供与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1-09-21
[103]
뉴스
リビア国民評議会をロシアも承認 カダフィ政権に見切り
http://www.asahi.com[...]
2021-08-30
[104]
뉴스
米国、リビア反体制派を承認
https://www.nikkei.c[...]
2021-08-30
[105]
뉴스
リビア反体制トップ、自民小池氏と会談 日本に支援要請
http://sankei.jp.msn[...]
2011-08-06
[106]
뉴스
リビア国連代表団、カダフィ政権との関係断絶を宣言
https://www.reuters.[...]
2011-02-25
[107]
뉴스
フランス:リビア「国民評議会」を政府として承認-主要国で一番乗り
https://www.bloomber[...]
2011-03-10
[108]
뉴스
リビア、フランスと外交関係中断 政府軍が要衝制圧
http://www.asahi.com[...]
2011-03-12
[109]
뉴스
カタール リビア反政府勢力を政府承認
https://news.ntv.co.[...]
2011-03-29
[110]
뉴스
カタールがリビア反体制派を政府として承認、アラブ国家初
https://search.yahoo[...]
2011-03-28
[111]
뉴스
イタリアがリビア反体制派への支持を表明、カダフィ大佐の提案「信頼できず」
https://search.yahoo[...]
2011-04-04
[112]
뉴스
リビア反体制派が首都に向け勢力拡大、ドイツは国民評議会を承認
https://search.yahoo[...]
2011-06-13
[113]
뉴스
トルコ、リビア反体制派を正当な代表として承認
https://www.afpbb.co[...]
2011-07-04
[114]
뉴스
米国、リビア反体制派を承認
https://www.nikkei.c[...]
2011-07-15
[115]
뉴스
「日本はカダフィ側と断絶を」 リビア反体制派首脳語る
http://www.asahi.com[...]
2011-07-17
[116]
뉴스
ロシア、リビア反体制派を正統政権と承認せず
https://www.afpbb.co[...]
2011-07-19
[117]
뉴스
英国がリビア外交官を国外追放、反体制派を代表として承認
https://search.yahoo[...]
2011-07-27
[118]
뉴스
世界30カ国超、リビア反体制派を承認 米国やEU・アラブ諸国など
https://search.yahoo[...]
2011-08-23
[119]
뉴스
中国、リビアの国民評議会を承認 主要国最後に
https://www.nikkei.c[...]
2011-09-13
[120]
뉴스
国連本部にリビア「新国旗」 国民評議会の承認受け
http://www.asahi.com[...]
2011-09-20
[121]
뉴스
米、リビア反体制派支援 医療品など提供へ
https://news.ntv.co.[...]
2011-04-21
[122]
뉴스
Ferocious battles in Libya as national council meets for first time
https://web.archive.[...]
2011-03-06
[123]
문서
The Interim Transitional National Council Decree 3, published 5 March 2011
[124]
웹인용
Founding statement of the Interim Transitional National Council
http://ntclibya.org/[...]
과도국가평의회
2011-03-05
[125]
웹인용
The Libyan Republic - The Interim Transitional National Council
http://ntclibya.org/[...]
Ntclibya.org
2011-03-05
[12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uhuh-she-said[...]
2012-12-10
[127]
뉴스
리비아 과도위원회, 의회에 공식 권력이양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08-08
[128]
뉴스
https://news.naver.c[...]
[129]
뉴스
https://news.naver.c[...]
[130]
뉴스
https://news.naver.c[...]
[131]
뉴스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