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서우신 (1892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서우신(李守信, 1892년)은 몽골인으로 동화된 한족 출신으로, 중화민국과 만주국에서 군인으로 활동했다. 그는 직예 군벌의 열하성 군대에서 대령까지 승진했으며, 만주국에 협력하여 내몽골 지역의 지휘관을 역임했다. 이후 국민당으로 전향했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체포되어 투옥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70년 내몽골 후허하오터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에 거주한 몽골인 - 재일 몽골인
재일 몽골인은 일본에 거주하는 몽골인들을 지칭하며, 유학, 가족 체류, 기술 등의 다양한 자격으로 체류하고, 몽골 유학생의 일본 유학은 1974년부터 시작되었고, 특히 몽골 출신 스모 선수들의 활약과 도쿄 네리마구와 스가모 지역을 중심으로 몽골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다. - 바오터우시 출신 - 여포
여포는 후한 말, 뛰어난 무용을 지녔으나 변덕과 배신으로 부정적 평가를 받은 무장으로, 정원과 동탁을 배신하고 여러 군벌을 전전했으며 조조에게 패배해 처형당했고,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맹장으로, 초선과의 로맨스와 함께 다양한 모습으로 재해석된다. - 바오터우시 출신 - 런구이신
런구이신은 중국 여자 축구 선수로, 2018년 아시안 게임 은메달, AFC 여자 아시안컵 2014년과 2018년 3위를 기록했으며, 2014년부터 2018년까지 국제 경기에서 여러 골을 넣었다.
리서우신 (1892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리서우신 |
한자 | 李守信 |
몽골 문자 | ᠪᠤᠶᠠᠨᠳᠡᠯᠭᠡᠷ |
로마자 표기 | Ri Shou-hsin |
몽골어 | Буяндэлгэр |
출생 | 1892년 7월 11일 |
사망 | 1970년 5월 (향년 78세) |
사망 장소 | 후허하오터 시, 내몽골 자치구, 중화인민공화국 |
국적 | 몽골족 (중국) |
경력 | |
소속 | 중화민국 만주국 몽강 |
직책 | 내몽골군 사령관 |
임기 시작 | 1937년 12월 1일 |
임기 종료 | 1945년 8월 20일 |
전임 | 데므치그돈로브 |
후임 | 직책 폐지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중국 국민당 |
훈장 | |
훈장 | 서보장 |
2. 생애
리서우신(李守信, 1892년)은 몽골인으로 동화된 한족 출신의 소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한족 조상은 청나라 시대에 몽골인을 섬기고 몽골 여성과 결혼한 "몽골 추종자"라고 불리는 한족 집단의 일원이었다. 그들의 후손들은 계속해서 몽골 여성과 결혼하여 민족을 몽골인으로 바꾸었다. 그들은 "진정한 몽골인"(真蒙古)과는 구별되었다.[1][2][3]
1919년, 그는 직예 군벌의 열하성 군대에 입대하여 대령의 지위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승진했으며, 국민당 정부로부터 동등한 지위를 받았다.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인 통랴오시에 배치되어 1929년 가다 메이렌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협력했다.
1933년, 그의 부대는 만주국과의 국경에서 일본 제국 육군과 충돌했으며, 리는 일본 항공기 한 대를 격추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것은 협상의 문을 열었고, 무기, 돈 및 물품의 대가로 리는 일본 측으로 전향하여 내몽골과 열하의 일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1933년 그는 두룬 주변의 요새를 차하얼 인민 항일군으로부터 방어하는 만주국 군대를 지휘했다. 1935년 말, 그는 차하얼의 6개 북부 지구를 장악하는 데 데무치크동루브 공작을 돕는 만주국 군대를 지휘했다. 다음 2년 동안 그는 내몽골군의 만주국 파견대를 지휘하여 수이위안 성을 점령하려 했다.
1936년 2월까지 리는 차하얼 성의 넓은 지역을 통제했고, 데무치크동루브에게 충성을 옮겨 새로운 내몽골군의 참모총장이 되었다. 멍장이 설립되면서 리는 멍장 국민군의 사령관이 되었다.
1940년, 리는 칭다오에서 저우포하이 및 왕징웨이 정권의 대표자들과 만나 멍장의 중국 통합에 대해 논의했다. 이것은 1941년에 완료되어 멍장은 몽골 자치 연맹(蒙古自治邦)이 되었지만 완전한 자치 행정 구역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을 향해 일본 제국에 대한 상황이 악화되면서 리는 장제스와 은밀히 만나 중국 제10로군 사령관으로 임명되는 대가로 국민당으로 다시 전향했다. 1949년 중국 공산당의 중국 내전 승리 이후, 리는 잠시 타이완으로 망명했다. 그러나 데무치크동루브의 강력한 요청에 따라 그는 내몽골 자치구로 돌아와 내몽골 자치 정부의 국방 부국장 직을 맡았다. 그러나 중국 인민 해방군은 그의 지위를 인정하지 않고 몇 달 후 그의 체포 명령을 내렸다. 리는 그 후 몽골 인민 공화국으로 도망쳤다. 1950년 9월, 몽골은 중국의 요구에 동의하여 리를 중국으로 송환했으며, 그곳에서 그는 반중 활동 혐의로 기소되어 투옥되었다. 그는 1964년에 사면되어 내몽골 후허하오터의 역사 박물관에 배정되었다. 그는 1970년 5월 내몽골 후허하오터에서 사망했다.
2. 1. 어린 시절과 청년기
리서우신은 1892년 청나라 네이멍구 자치구 바오터우의 몽골족 후예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더왕 데므치그돈로브(德王 德穆楚克棟魯普) 가문의 집사였다. 1908년 3년 연상녀 퉁기야 메이메이(佟佳 美梅)와 결혼했으나, 1911년 부인과 사별했다.1909년 음서로 천거되어 청나라 하급 무관이 되었고, 1912년 청나라 멸망 후 몽골 육군에 투항했다가 1919년 중화민국 육군에 다시 투항하여 장교로 복무했다. 그는 직예 군벌의 열하성 군대에 입대하여 대령까지 승진했으며, 국민당 정부로부터 동등한 지위를 받았다.[1] 1928년에는 동북군 기병 제17여 제34단 단장에 취임했다. 1930년 전후로 가다 메이렌의 봉기를 진압하는데 협력했다.
2. 2. 중화민국 군벌, 몽강국, 만주국 군인
이수신은 몽골인으로 동화된 한족 출신으로, 직예 군벌의 열하성 군대에서 복무하며 대령까지 승진했다.[1][2][3] 1919년 열하성 군대에 입대한 후, 1928년 동북군 기병 제17여 제34단 단장을 역임했다. 1929년에는 가다 메이렌의 반란을 진압하는 데 협력했다.[1] 1930년 전후로 가다메린의 봉기를 진압했다.1933년 만주국과의 국경에서 일본 제국 육군과 충돌하여 일본군 항공기 1대를 격추하기도 했지만,[1] 이후 일본 측과 협상하여 전향, 내몽골과 열하 일부 지역의 지휘관이 되었다. 그는 무기, 돈, 물품을 대가로 일본에 협력하여[1] 열하유격군 사령, 차동 경비군 사령, 흥안서 경비군 사령관 대리 등을 역임했다. 같은 해 두룬 주변의 요새를 차하얼 인민 항일군으로부터 방어하는 만주국 군대를 지휘했다. 1935년 말, 그는 차하얼의 6개 북부 지구를 장악하는 데 데므치그돈로브 공작을 돕는 만주국 군대를 지휘했다.
1936년 데므치그돈로브(덕왕)가 몽골군 총사령부를 창설하자, 이수신은 부총사령 겸 군무부장을 맡았다.[1] 같은 해 5월 몽골군정부가 성립되자 참모부장에 임명되었고, 군정부 총재방변과 제1군 군장을 겸임하며 일본의 원조를 받아 몽골군을 확충했다. 그해 11월, 수이위안을 공격했다가 푸쭤이·쑹저위안의 반격에 패하여 퇴각했다(수이위안 사건).[1] 이후 몽골군 총사령부가 설립되어 데므치그돈로브가 총사령, 이수신이 부사령에 취임했다.
1937년 몽골 연합 자치 정부 수립 후 몽골군 총사령으로 승격되었고,[1] 1938년 7월, 몽골 연합 자치 정부 부주석에 당선되었다. 1939년 몽강국 수립 후에도 몽강국 지상군 대장, 1940년 몽강국 지상군 원수로 승진하며 몽강국의 군사적 지도자가 되었다.[1]
1940년 칭다오에서 저우푸하이 및 왕징웨이 정권의 대표자들과 만나 멍장의 중국 통합에 대해 논의했고, 1941년 멍장은 몽골 자치 연맹(蒙古自治邦)이 되었지만 완전한 자치 행정 구역을 갖게 되었다. 같은 해 6월 몽골 연합 자치 정부가 몽골 자치 방으로 개칭되자 부주석에 당선되었으며, 만주국 육군 원수로 편입되었다.[1] 1945년 3월 예편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활동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의 패망으로 몽강국이 멸망한 후, 리서우신은 전범으로 기소되었다가 석방되었다.[4][5][6] 석방 이후 1947년 3월 20일부터 1949년 10월 3일까지 몽골 인민협상위원회 참의원을 역임했고, 1949년 10월 3일부터 10월 10일까지 중국 공산당 내몽골 자치구 인민위원회 참의원을 지냈다.[4][5] 1949년 10월 10일부터 1950년 1월 3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을 역임했다.[4][5]1950년 1월 3일, 중화인민공화국 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 직위를 사퇴한 리서우신은 1950년 2월 10일 중화인민공화국을 탈출하여 중화민국 타이베이로 망명했다.[4][5] 1950년 3월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민국 국적을 취득했으며, 1950년 5월부터 8월까지 중국 국민당 군사정훈교육위원 직위를 맡았다.[4][5] 이후 타이완을 탈출하여 일본, 홍콩, 마카오를 거쳐 중국공산당 당국의 감시망을 피해 도주, 1950년 9월에 중화인민공화국 네이멍구 자치구 후허하오터로 귀환하여 어린 시절 일가족들이 거주하던 옛 사저촌에 은신했다.[4][5]
1960년 8월, 몽골 인민공화국 울란 바토르로 건너가 잠스랑긴 삼부 당시 몽골 인민공화국 총통의 환대를 받아 중화민국 국적을 포기하고 몽골 인민 공화국 시민권을 취득했다.[4][5] 1960년 9월부터 1964년 3월까지 몽골 인민협상위원회 행정위원 직위를 지냈다.[4][5]
1964년 4월 17일, 몽골 시민권자 신분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네이멍구 자치구 후허하오터 향리에 재귀환했다.[4][5] 1964년 12월 28일, 제5회 전범 특사에서 리서우신은 석방되었고[7], 이후 회고록을 쓰면서 내몽골 자치구 문사관 관원을 역임했다.
1949년 국민 정부의 패색이 짙어지자, 리서우신은 잠시 타이완으로 도망쳤지만, 그 후 데무치크돈로브의 권유에 따라 내몽골로 돌아왔다. 같은 해 8월 몽골 자치 정부가 성립되자, 정무 위원 겸 보안 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었다. 같은 해 12월 중순에는 외몽골을 곤치긴 붐첸드/곤치긴 붐첸드mn, 내몽골을 데무치크돈로브에게 맡기고, 자신은 전 몽골의 통치자가 되려고 생각했던 몽골의 독재자 초이발상에게 초청받아[4][5], 이에 응하여 데무치크돈로브와 함께 몽골 인민 공화국으로 망명했다[6].
1950년 9월, 몽골 당국에 의해 체포된 데무치크돈로브와 리서우신은, 당시 막 성립된 중화인민공화국에 인도되어 수감과 함께 사상 개조를 받았다.
2. 4. 사망
리서우신은 1970년 5월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에서 만성 당뇨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78세(만 77세)였다. 그는 중공 내몽골 자치구 귀환 이후에도 몽골 시민권자 신분으로 거주하며 중공의 반공주의자와 반체제 운동가로 활동했다.3. 평가
3. 1. 긍정적 평가
3. 2. 부정적 평가
참조
[1]
학위논문
MONGOLIZATION OF HAN CHINESE AND MANCHU SETTLERS IN QING MONGOLIA, 1700–1911
https://www.proquest[...]
ProQuest LLC
2017-06
[2]
서적
Reins of Liberation: An Entangled History of Mongolian Independence, Chinese Territoriality, and Great Power Hegemony, 1911-1950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6
[3]
간행물
The Complex Structure of Ethnic Conflict in the Frontier: Through the Debates around the 'Jindandao Incident' in 1891
https://www.jstor.or[...]
2004
[4]
서적
脱南者が語るモンゴルの戦中戦後 : 1930~1950
https://id.ndl.go.jp[...]
社会評論社
2015
[5]
학위논문
蒙古青年結盟党(1938-1941年)から蒙古青年革命党(1944-1945年)へ : 日本支配期から戦後にかけての内モンゴルにおける民族主義政党
https://hdl.handle.n[...]
[6]
서적
徳王の見果てぬ夢 南北モンゴル統一独立運動
社会評論社
2013
[7]
뉴스
『人民日報』
1964-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