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푸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푸춘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 건설에 기여한 중국 공산당의 정치인이다. 프랑스 유학 중 마르크스주의에 경도되어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으며, 중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국무원 부총리 및 국가발전화개혁위원회 주임을 역임하며 사회주의 경제 계획을 감독했고,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비판을 받아 실각했으나 복권되어 중앙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는 중국의 사회주의 경제를 기초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 대혁명 관련자 - 마오쩌둥
    마오쩌둥은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군사 전략가, 공산주의 이론가이며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 아버지로서, 중국 공산당을 이끌며 최고지도자로서 중국을 통치했고, 마오쩌둥 사상의 창시자로서 그의 정책과 통치는 중국 사회, 경제, 문화, 외교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문화 대혁명 관련자 - 야오원위안
    야오원위안은 중국의 문학 평론가이자 정치인으로 문화대혁명을 주도한 4인방 중 한 명이며, 희곡 비판을 통해 문화대혁명의 도화선을 만들고 권력을 행사하다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징역형을 살고 석방 후 사망했다.
  • 창사시 출신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창사시 출신 - 리간제
    중국 공산당의 고위급 관리인 리간제는 칭화대학교 출신으로 핵 안전 분야 전문가로서 경력을 쌓았으며 환경보호부장, 산둥성 성장 등을 역임하고 중국 공산당 중앙조직부 부장에 임명되어 당내 인사 및 조직 개편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 - 저우융캉
    저우융캉은 중국의 정치인으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며 사법, 정보, 공안 기관을 총괄했지만, 퇴임 후 권력 남용 등의 혐의로 체포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리푸춘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1940년의 리푸춘
원어 이름李富春
로마자 표기Lǐ Fùchūn
출생 이름리푸춘
출생일1900년 5월 22일
출생지후난성 산화현, 청나라
사망일1975년 1월 9일
사망지베이징, 중국
배우자차이창 (1923년 결혼, 1975년 사망)
자녀리터터
소속 정당중국 공산당
모교동방 노동자 공산대학
주요 경력
직책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임기 시작1954년 9월
임기 종료1975년 1월 9일
총리저우언라이
직책국가계획위원회 주임
임기 시작1954년 9월
임기 종료1970년 6월
총리저우언라이
이전가오강
이후위추리
직책기관 생산 가공 위원회 주임
임기 시작1952년 2월
임기 종료1954년 9월
총리저우언라이
이전신설
이후직위 폐지
직책중공업부 부장
임기 시작1950년 4월
임기 종료1952년
총리저우언라이
이전허창궁
이후왕허서우
직책중앙판공청 주임
임기 시작1941년 9월
임기 종료1945년 10월
이전신설
이후양상쿤
직책총정치부 주임 대리
임기 시작1934년
임기 종료1935년
이전궈쭤린
이후보구

2. 생애

리푸춘은 1900년 5월 22일 후난성 창사시에서 태어났다.[4] 창사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근공검학(勤工儉學)'이라 불리는 유학 프로그램을 통해 프랑스로 건너가 정치 운동을 시작했다.[3][5] 마르크스주의에 경도되어 1921년 중국사회주의청년단에 가입했으며, 1922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3] 1923년 차이허썬의 동생 차이창과 결혼했다.[8] 1925년 소비에트 연방으로 유학을 떠났지만, 북벌에 참가하기 위해 중국으로 돌아와 국민혁명군 제2군 정치부 부장과 장시성 당 위원회 비서 대리를 역임했다. 이 시기에 농민운동연구소에서 일하던 마오쩌둥을 만났다.

1927년 국공 분열 이후, 상하이, 홍콩에서 지하 활동을 하며, 장쑤성 당위원회 선전부장 등을 역임했다.[10] 제1차 국공 내전 시기에는 중국 공산당 장시성 위원회 서기 대행, 홍군 총정치부장 대행 등을 역임했다. 1934년 대장정에 참가했으며, 준의 회의에도 참석했다.[13]

중일 전쟁 시기에는 중국공산당 중앙 비서장, 중앙조직부 부부장, 재정경제부 부장, 판공청 주임 등 여러 직책을 맡았다.[1] 1941년에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비서장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처 판공청 주임도 겸임했다.[17]

1945년 일본 항복 후 제2차 국공 내전에서 리푸춘은 中共中央东北局|중공중앙 동북국|중국어 서기 등을 역임하며 중국 공산당이 중국 본토 전체의 권력을 쟁취하는데 중요한 공헌을 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베이징으로 전출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프랑스 유학

리푸춘은 1900년 5월 22일 후난성 창사시에서 태어났다.[4] 창사에서 어린 시절과 학생 시절을 보냈고, 창군 중학교를 졸업하였다. 1919년 마오쩌둥 등이 조직한 고학생()[4]의 일원으로 프랑스로 건너갔다.[3][5]

프랑스에서 클램프 공이나 열차 운전사로 일했으며, 소설 『어떤 프랑스 병사의 고백』을 썼다. 또한, 『프랑스 아브르의 슈나이더 공장에서의 중국인 노동자 실태』라는 제목의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6] 1920년 8월, 리웨이한 등과 함께 "사회 혁명을 목표로 한다"는 기치를 내걸고 근로검약학회를 세계공학회로 개칭하고, 많은 정치 투쟁에 참여했다.[6]

1921년 중국사회주의청년단에 가입했으며, 1922년 6월, 재유럽 중국소년공산당의 설립을 발기하여 노르망디 지부의 서기가 되었다. 1922년에 중국 공산당 파리 지부에서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으며,[3] 1923년 2월, 재유럽 중국 청년 공산당의 명칭이 정식으로 재유럽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8월부터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유럽 집행 위원회 위원, 학생 운동 위원회 주임, 서기국원, 집행 위원회 주석을 역임했다.[7]

1923년 6월, 중국 국민당에 입당했고, 같은 해 11월, 국민당 유럽 지부 집행부 선전 책임자가 되어 '국민당의 새로운 일'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같은 해, 덩샤오핑의 입회하에 차이허썬의 동생 차이창과 결혼했다.[8]

1925년 1월에 소비에트 연방으로 건너가 동방노동자 공산대학에서 공부했으며, 같은 해 중국으로 귀국했다.

2. 2. 중국 공산당 초기 활동

리푸춘은 1900년 5월 22일 후난성 창사시에서 태어났다.[4] 그는 고향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근공검학(勤工儉學)'이라 불리는 유학 프로그램을 통해 프랑스로 건너가 정치 운동을 시작했다.[3][5] 마르크스주의에 경도되어 1921년 중국사회주의청년단에 가입했으며, 1922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3] 1923년 차이허썬의 동생 차이창과 결혼했다.[8] 1925년 소비에트 연방으로 유학을 떠났지만, 북벌에 참가하기 위해 중국으로 돌아와 국민혁명군 제2군 정치부 부장과 장시성 당 위원회 비서 대리를 역임했다. 이 시기에 그는 농민운동연구소에서 일하던 마오쩌둥을 만났다.

2. 3. 국민혁명군 북벌 참가와 국공 내전

리푸춘은 국민혁명군 제2군 정치부장과 장시성 당 위원회 비서 대리로 북벌에 참가했다.[9] 이 시기에 농민운동연구소에서 일하던 마오쩌둥을 만났다.

1927년 국공 분열 이후, 상하이, 홍콩에서 지하 활동에 종사했으며, 장쑤성 당위원회 선전부장, 장쑤성 위원회 부서기, 상하이 법남구 위원회 서기, 광둥성 위원회 선전부장, 광둥성 위원회 부서기를 역임했다.[10]

제1차 국공 내전 시기에는 중국 공산당 장시성 위원회 서기 대행, 홍군 총정치부장 대행, 중국 공산당 중앙 서만 분국 서기, 중국 공산당 중앙 동북국 상무위원, 부서기, 동북인민정부 부주석, 동북군구 부정치위원을 역임했다. 1931년 중국 공산당 혁명 근거지 중 하나인 장시성의 중앙혁명근거지중국어에 들어가 중공 장시성 위원회 부서기를 맡았다.

이후 반봉쇄 토벌 전쟁중국어[11]을 치러냈고, 1934년 9월, 홍군 총정치부중국어 부주임, 주임 대행을 맡았으며[12], 1934년 10월부터 대장정에 참가했다. 대장정 도중인 1935년 1월에 개최된 준의 회의에 참석했다.[13] 이후, 중국 노동 농민 홍군 제1방면군중국어 정치부 주임, 중국 노동 농민 홍군 제3군단중국어 정치위원[14], 산시성, 간쑤성 지대 제2종대 정치위원[15]을 역임했다. 이 기간 동안 장궈타오가 중앙군에서 상당수의 병력을 유지하며 분열하여 중공 중앙을 자칭하며 남하하는 사태에 반대하여 군을 이끌고 산시성 북부에 도착했다. 1936년 5월 옌안에 도착한 후 산간닝 변구 당위원회 서기가 되었다.[16]

2. 4. 중일 전쟁과 제2차 국공 내전

1937년부터 중일 전쟁 시기에 리푸춘은 중국공산당 중앙 비서장, 중앙조직부 부부장, 재정경제부 부장, 판공청 주임 등 여러 직책을 맡았다.[1]

1939년 초, 중앙재정경제위원회 제1부주임을 겸임하였고(이후 中共中央财政经济部|중공중앙재정경제부|중국어 부부장과 생산운동 중앙위원회 부주임), 산간닝 변구에서의 재정 경제 정책을 직접 지도하여 大生产运动|대생산운동|중국어을 조직·추진했다.

1941년에는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비서장과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처 판공청 주임도 겸임했다.[17] 이때, "관민합작, 관민이익"의 원칙을 내걸고, 그것을 일에 응용하여, 1944년 중앙위원회 직속 부대의 대생산 회의에서 총괄 보고를 실시하여, 마오쩌둥 등 참가자들로부터 칭찬을 받았다.[18]

1945년 10월 22일, 미군기를 타고 한단으로 향했으며, 11월 22일에는 선양에 도착했다.[19]

리푸춘은 中共中央东北局|중공중앙 동북국|중국어 서기, 서만군구 정치위원을 지냈다.[20] 그는 서만 지역에 혁명 근거지를 건설했다. 1947년 5월부터 中共中央东北局|중공중앙 동북국|중국어 상무위원, 재정경제위원회 서기를 지냈다. 1948년부터 동북국 부서기, 동북군구 부정치위원 겸 후근부 부장을 지내며,[21] 동북 해방구의 재정 경제와 인민해방군 후근부에 관련된 정책에 매달렸다. 1949년 8월, 东北人民政府|동북인민정부|중국어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

이처럼, 1945년 일본 항복 후 제2차 국공 내전에서 리푸춘은 중국 공산당이 중국 본토 전체의 권력을 쟁취하는데 중요한 공헌을 했다.

3.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함께, 리푸춘과 그의 아내 차이창은 베이징으로 이동했다. 리푸춘은 정무원 재정경제위원회 부주임 겸 중화인민공화국 중공업부 부장에 임명되었다. 당시 재정경제위원회 주임은 천윈이었다. 1954년에는 국무원 부총리 겸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화개혁위원회 주임으로 승진하여, 중국에서 사회주의 경제 계획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 1956년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 지명되었고, 1958년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로 선출되었다.[1]

문화 대혁명 초기, 1966년 8월 제8차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11중전회에서 리푸춘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문화 대혁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1967년 2월, 리푸춘은 천이, 리셴녠, 네룽전 등과 함께 문화 대혁명을 공개적으로 비판하여, "2월 역류"로 불리며 비판받았다.[1]

1969년 중국공산당 제9기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고, 1971년 린뱌오 몰락 이후 마오쩌둥이 "2월 역류"가 끝났다고 선언하면서 복권되었다. 1973년 제10기 중앙위원, 1974년 제4차 전국대표대회에 선출되었으나, 1975년 1월 9일 사망했다.[1] 그는 중국 사회주의 경제의 기초를 닦은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3. 1. 경제 분야 활동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리푸춘은 천윈 아래 중앙 경제 재정 위원회 부주임 겸 중공업부 부장에 임명되었다.[22] 1953년 9월에는 국가계획위원회 부주임을 겸임했다. 1954년 국무원 부총리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으로 승진하여, 중국의 사회주의 경제 계획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았다.[23]

1964년, 리푸춘은 보이보와 함께 중국 남서부를 방문하여 마오쩌둥의 지시에 따라 판즈화를 철강 산업 개발의 중심지로 선정했다.[1] 그는 국가계획위원회 주임으로서 제3전선 프로젝트가 생산과 관련 없는 건물은 짓지 않도록 하는 설계 규칙을 설정했다.[2] 대신, 흙다짐 주택을 건설하는 등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생산에 투입하도록 지시했다.[2] 이러한 정책은 "먼저 공장을 짓고, 그 후에 주택을 짓는다"는 슬로건으로 나타났다.[2]

리푸춘은 중국의 사회주의 경제를 기초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

3. 2. 정치 활동과 문화 대혁명

1954년 국무원 부총리 겸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화개혁위원회 주임으로 승진하여 중국 사회주의 경제 계획을 감독했다.[1] 1956년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에 지명되었고, 1958년 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로 선출되었다.[24][25]

1966년 8월, 문화 대혁명 시작과 함께 당 중앙 권력의 대규모 교체기 동안 열린 제8차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11중전회에서 리푸춘은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그는 문화 대혁명의 진행에 대해 과민 반응을 보였다.

1967년 2월, 리푸춘은 천이, 리셴녠, 네룽전 등 다른 최고위직 지도자들과 함께 회의에서 문화 대혁명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27] 이로 인해 이들은 "2월 역류"(二月逆流)로 불리며 "수정주의자"로 비판받았다. "2월 역류"의 주역 중 한 명이었지만, 리푸춘은 1969년 중국공산당 제9기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71년 린뱌오의 몰락 이후, 마오쩌둥은 "2월 역류"가 끝났다고 선언했고, 리푸춘은 완전히 복권되었다.

3. 3. 복권과 사망

1966년 문화 대혁명 시작과 함께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문화 대혁명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1] 1967년 2월, 천이, 리셴녠, 네룽전 등과 함께 문화 대혁명을 공개적으로 비난하여 '2월 역류' 사건의 주동자로 비판받았다.[1]

1969년, 제9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1] 1971년 린뱌오 실각 이후, 마오쩌둥이 '2월 역류' 사건이 끝났음을 선언하면서 복권되었다.[1] 1973년 제10기 중앙위원과 1974년 제4차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로 선출되었으나,[1] 1975년 1월 9일 사망하였다.[1]

4. 가족

리푸춘은 1923년 차이허썬의 동생 차이창(蔡暢)과 결혼했다.[29] 슬하에 외동딸 리터터(李特特)가 있었는데, 그녀는 차이허선의 아이들과 함께 소련의 인테르돔에서 고등 교육을 받은 후 중국으로 돌아왔다.[29]

5. 평가

리푸춘은 중국 혁명과 건설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그의 업적과 한계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마르크스주의에 경도되어 중국 공산당에 입당한 리푸춘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경제 분야에서 주로 활동했다. 1954년 국무원 부총리 겸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으로 승진하여 중국 사회주의 경제 계획을 감독했다.[1] 제1차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가오강 사후 국가계획위원회 주임을 맡아 계획 경제 정책을 지도했다.[7] 1960년 8월에는 국민 경제 조정 제안(「조정, 통합, 충실, 강화」의 「8자 방침」)을 제출하여 경제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7],[26]

그러나 마오쩌둥이 주도한 대약진 운동은 실패로 끝나 3년 대기근을 초래했고, 리푸춘은 이에 대한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또한 문화 대혁명 초기에는 문화대혁명에 과민반응을 보이다가, 1967년 2월에는 천이, 리셴녠 등과 함께 문화대혁명을 공개적으로 공격하여 "2월역류"(二月逆流)로 불리며 "수정주의자"로 비판받았다.[27]

린뱌오 몰락 이후 복권되긴 했지만, 1975년 사망함으로써 짧은 임기를 마쳤다. 그는 중국 사회주의 경제의 기초를 다진 인물로 평가받고 있지만,[1], 그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혼재되어 있다.

5. 1. 긍정적 평가

리푸춘은 중국 혁명과 건설에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경제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54년에는 국무원 부총리 겸 국가발전화개혁위원회 주임으로 승진하여 중국의 사회주의 경제 계획을 감독하는 중책을 맡았다.[1]

리푸춘은 제1차 5개년 계획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이 계획은 농업 집단화와 같은 급격한 사회주의화를 추진했다.[7] 가오강이 자살한 후에는 국가발전화개혁위원회 주임으로 승진하여 계획 경제 정책을 이끌었다. 비록 마오쩌둥이 주도한 대약진 운동이 실패로 끝나고 3년 대기근을 초래했지만, 리푸춘은 1960년 8월 국민 경제 조정 제안(「조정, 통합, 충실, 강화」의 「8자 방침」)을 제출하여 경제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7],[26]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리푸춘은 대약진 운동의 실패 책임을 묻는 마오쩌둥 지지 세력에 의해 비판받고 실각하기도 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중국 사회주의 경제의 기초를 다진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다.[1]

5. 2. 부정적 평가

리푸춘은 문화 대혁명 시기 "2월 역류" 사건에 연루되어 비판받았다. 1967년 2월, 리푸춘은 천이, 리셴녠, 네룽전 등 다른 최고위직 지도자들과 함께 회의에서 문화 대혁명을 공개적으로 비판했다.[27] 이들은 "2월역류"(二月逆流)로 불리며 "수정주의자"로 비판받았다.[27] 이후 "검은 그룹(반동파)의 주임"이라는 누명을 쓰고 심한 박해를 받았다.[27]

또한, 대약진 운동 등 경제 정책 실패에 대한 책임론도 제기된다. 리푸춘은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화개혁위원회 주임으로서 계획 경제 입안을 지도했지만, 마오쩌둥이 주도한 대약진 운동은 3년 대기근을 초래하며 실패로 끝났다. 리푸춘은 1960년 8월, 경제 조정을 제안했지만,[7][26] 이는 문화 대혁명 기간 중 마오쩌둥 지지파에게 비판받는 원인이 되었다.

6. 저서

李富春选集|리푸춘 선집중국어은 1992년 중국계획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1925년부터 1964년까지 리푸춘의 중요한 글과 강연 56편이 수록되어 있다.[1] ISBN은 ISBN영어 9787800582196이다.[1]

참조

[1] 서적 Building for oil: Daqing and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Socialist Stat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21
[2] 서적 Material Contradictions in Mao's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2
[3] 서적 李富春传 中央文献出版社 2001
[4] 서적 フランス勤工倹学の回想―中国共産党の一源流 岩波書店 1976
[5] 웹사이트 留法勤工俭学运动中的李富春 https://zhuanlan.zhi[...] 2023-08-22
[6] 서적 中国共产党党史人物介绍 中国人民大学出版社 1991
[7] 서적 中共党史人物传 精选本 11 政治经济建设卷 中 中共党史出版社 2010
[8] 웹사이트 李富春与蔡畅结为连理 http://news.qq.com/z[...] 腾讯网 2014-12-21
[9] 서적 中国二十世纪纪事本末 山东人民出版社 2000
[10] 서적 现代中国著名人物 上海人民出版社 1987
[11] 서적 中华人民共和国史长编 天津人民出版社 2010
[12] 서적 中共党史人名录 重庆出版社 1986
[13] 서적 中国共产党历史 第1卷 1921-1949 上 中共党史出版社 2011
[14] 서적 中共党史人名录 重庆出版社 1986
[15] 서적 长征 https://archive.org/[...] 人民文学出版社 2006
[16] 서적 中国人民解放军军史:第一卷 军事科学出版社 2010
[17] 서적 中国革命史手册 华中师范大学出版社 1986
[18] 서적 中国革命史人物传略 湖北教育出版社 1987
[19] 서적 高岗传 https://archive.org/[...] 陕西人民出版社 2011
[20] 서적 中国人民解放军历史上的200个军区 解放军文艺出版社 2010
[21] 서적 中国人民解放军第四野战军战史 解放军出版社 1998
[22] 서적 中国共产党第七次全国代表大会代表名录 上 上海人民出版社 2005
[23] 웹사이트 歴任国務院主要領導人名単 http://politics.peop[...]
[24] 웹사이트 中共八届一中全会選出新的中央机构 http://cpc.people.co[...]
[25] 웹사이트 揭秘:陶铸是怎样成为“第四号人物”的 http://sn.people.com[...] 人民网 2014-08-19
[26] 웹사이트 李富春提出“八字方针”,国民经济调整初露成效 http://history.peopl[...] 人民网 2011-02-23
[27] 서적 大动乱的年代 人民出版社 2009
[28] 웹사이트 1969年核战阴云笼罩中国 北京高干罕见大举疏散 http://mil.sohu.com/[...] 搜狐 2013-05-19
[29] 웹사이트 李富春蔡畅独女李特特——革命家庭影响我人生 http://paper.people.[...] 《人民日报海外版》 2008-08-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