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는 당 간부와 공무원의 선발, 승진 및 훈련을 담당하는 중국 공산당의 부서이다. 2000년대 초, 간부 제도에 대한 평가 절차를 도입하여 관리들의 성과를 평가하고 2018년에는 국가공무원국을 흡수하여 당의 간부 통제를 강화했다. 중앙조직부는 노멘클라투라 시스템을 통해 당-국가 내 주요 직위의 임명을 결정하며, 고위직 후보의 승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공산당 조직 -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는 당 내부 사항을 결정하고 지도부를 선출하는 중국공산당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중앙위원회를 감독하며 중국 공산당 발전과 현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중국공산당 조직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는 중국 공산당의 최고 의사결정 기관으로서 전국대표대회 폐회 기간 동안 당의 노선과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며, 당, 정부, 군대의 주요 인사들로 구성되어 정치국, 상무위원회, 총서기를 선출하고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중국 국무원 산하 최고 경제기획 및 관리 기관으로, 경제 및 사회 발전 계획 총괄, 거시경제 관리, 투자 정책 수립 등 광범위한 분야를 담당하며 시대적 상황에 따라 기능과 역할이 변화해왔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 국가민족사무위원회
    국가민족사무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산하 부처로, 소수 민족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1949년 설립되어 문화대혁명 기간 해체되었다가 1978년 부활하였고, 현재는 중국공산당 중앙통일전선공작부의 지도를 받으며 소수 민족의 자치 보장과 권익 보호,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
개요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 본부
약칭중조부 (中组部)
설립일1921년 7월
유형중앙위원회 직속 부서
성부급 기관
본부 위치중국 베이징시 시청구 서장안가 80호
상위 기관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지도부
부장리간제
상무 부부장장신즈
부부장리샤오신*
황젠파
펑진후이
쉬치팡
장광쥔
비고* 리샤오신은 정식 부장급 직위를 유지한다.
역사
설립1921년 7월
역할 및 기능
주요 업무당의 조직 건설, 간부 관리, 인재 업무를 담당
당 중앙의 조직, 인사 방침, 정책 결정 및 집행
당의 간부 제도 개혁 추진
당의 기층 조직 건설 지도
당원 관리 및 발전
간부 선발, 임용, 교육, 평가, 감독
우수 인재 발굴 및 육성
퇴직 간부 관리
기타 당 중앙이 위임한 업무 수행
조직 구조
내부 부서판공청 (办公厅)
조직일국 (组织一局)
조직이국 (组织二局)
조직삼국 (组织三局)
간부일국 (干部一局)
간부이국 (干部二局)
간부삼국 (干部三局)
간부사국 (干部四局)
간부오국 (干部五局)
선전교육국 (宣传教育局)
당원관리국 (党员管理服务中心)
인재국 (人才工作局)
퇴직간부국 (离退休干部局)
국제합작국 (国际合作交流局)
순시공작판공실 (巡视工作办公室)
기관당위 (机关党委)
직속 기관당건연구소 (党建研究所)
전국당원정보센터 (全国党员信息中心)
중국공산당신문망 (中国共产党新闻网)
중요성
역할중국공산당의 간부 인사를 담당하는 핵심 부서로, 당과 국가의 고위직 인사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2. 역사

2000년대 초, 중앙조직부는 정책 실행에서 관리들의 성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간부 제도 평가 절차를 도입했다.[9] 데이비드 섐보는 2002년 7월 ''당 및 정부 지도 간부의 선발 및 임명에 관한 규정''이 공포되어 간부에 대한 연례 평가가 강화되었다고 기록했다.[3] 그러나 토마스 헤베러의 2007년 연구에 따르면, 효과적인 평가 절차는 아직 마련되지 않았고, 환경 문제와 같은 중요 정책 분야는 평가되지 않으며, 평가는 주로 자기 평가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9]

2018년, 중앙조직부는 국가공무원국을 흡수했다.[4] 이는 "당이 간부를 통제한다"는 원칙을 시행하기 위한 것이었다.[4]

2. 1. 설립 초기 (1921년 ~ 1949년)

2000년대 초, 중앙조직부는 정책 실행에서 관리들의 성과와 성공을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지도 관리(간부 제도) 평가 절차를 도입했다.[9] 데이비드 섐보는 2002년 7월에 공포된 ''당 및 정부 지도 간부의 선발 및 임명에 관한 규정''에 주목하며, 중앙조직부가 다양한 기준에 따른 연례 평가 검토를 포함하여 간부에 대한 평가를 강화했다고 기록했다.[3] 그러나 토마스 헤베러가 2007년 중국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효과적인 평가 절차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환경 문제와 같은 중요한 정책 분야는 평가되지 않고, 평가는 주로 자기 평가에 기반을 두고 있다.[9]

2018년에는 이전의 국가공무원국을 흡수했다.[4] 이 변경의 이유는 "당이 간부를 통제한다"는 원칙을 더 잘 시행하기 위한 것이었다.[4]

2. 2.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1949년 ~ 현재)

2000년대 초, 중앙조직부는 정책 실행에서 관리들의 성과와 성공을 정기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간부 제도(간부 제도) 평가 절차를 도입했다.[9] 데이비드 섐보는 2002년 7월에 공포된 ''당 및 정부 지도 간부의 선발 및 임명에 관한 규정''을 언급하며, 중앙조직부가 다양한 기준에 따른 연례 평가 검토를 포함하여 간부에 대한 평가를 강화했다고 기록했다.[3] 그러나 토마스 헤베러가 2007년 중국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효과적인 평가 절차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 환경 문제와 같은 중요한 정책 분야는 평가되지 않았고, 평가는 주로 자기 평가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9]

2018년, 중앙조직부는 이전의 국가공무원국을 흡수했다.[4] 이 변경의 이유는 "당이 간부를 통제한다"는 원칙을 더 잘 시행하기 위한 것이었다.[4]

3. 기능과 역할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는 당 간부와 공무원의 선발, 승진 및 훈련을 담당한다.[5][8] 중국 공산당은 노멘클라투라 방식을 사용하여 임명을 결정한다.[6] 노멘클라투라 시스템은 레닌주의 집권당이 국가를 구성하는 방식이며, 임명에 대한 조직적 헤게모니를 행사하고 국가의 정치 생활을 지배한다.[7] 중앙 노멘클라투라 목록에는 당-국가 내 상위 5,000개의 직위가 포함되며, 모두 조직부의 통제를 받는다. 여기에는 모든 부 부서장 및 부 부서장 직위, 성(省) 지사 및 제1당 서기 임명, 중국과학원중국사회과학원 원장 임명 등이 포함된다.[7] 고위직의 경우, 조직부는 후보자를 상무위원회에 추천하며, 상무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이를 승인한다.[8]

노멘클라투라 목록과 관련된 것은 ''편제''(编制, 비안즈) 목록으로, 정부 행정 기관, 국영 기업 및 서비스 조직의 인가된 인원 수와 그들의 직무 및 기능을 나열한 것이다. ''편제''는 이러한 조직에 고용된 사람들을 포괄하는 반면, ''노멘클라투라''는 지도부 직위에 적용된다.[3] 그러나 중국 공산당과 그 조직 부서가 국가 기관의 인사 및 행정 기능에 지속적으로 개입하기 때문에, ''편제''와 ''노멘클라투라'' 시스템의 병존은 중국의 근본적인 행정 개혁에 걸림돌이 되었다.[9]

더 타임스에 따르면, 미국의 조직부에 해당하는 역할은 "미국 주지사 및 부지사, 대도시 시장, 연방 규제 기관장, 제너럴 일렉트릭, 엑손모빌, 월마트 및 나머지 대기업 50여 곳의 최고 경영자, 대법관, 뉴욕 타임스, 월스트리트 저널워싱턴 포스트 편집자, 텔레비전 네트워크 및 케이블 방송사 사장, 예일 대학교하버드 대학교를 포함한 주요 대학 총장, 브루킹스 연구소헤리티지 재단과 같은 싱크탱크의 수장을 감독"하는 것이다.[10] 중산대학의 위안 웨이시는 파이낸셜 타임스에 "중국 공산당이 이를 극단으로 몰고 갔다"고 말하며, "중국은 더 급진적입니다. [여기 당은] 모든 것을 이끌고 싶어합니다."라고 덧붙였다.[10]

브루스 길리와 앤드루 J. 네이선은 고위직 후보의 승진에서 조직부의 좋은 평점이 필수적이라고 썼다. 조직부는 "이념적 성실성, 당에 대한 충성심, 업무 태도, 타인을 동원하는 능력"과 같은 자질을 평가한다. 고위직 후보에 대한 조사는 "정밀"하며 평가는 종종 예리하다.[11]

중국 공산당 내부 문서는 통제를 강화하기 위한 조직부의 전략에 대한 솔직한 평가를 제공한다. 중국공산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 전에, 장쩌민의 세 가지 대표 사상을 명시적으로 지지하는 간부의 임명을 장려하기 위해 일련의 ''임시 규정''이 개정되었다.[12] 당시 중앙정부에서 장쩌민의 최측근이었던 쩡칭훙은 2002년 규정 공식 발표 전에 조직 및 인사 간부들을 위한 특별 훈련 세션에서 발표했다. 그는 " '임시 규정' 개정 작업은 '세 가지 대표 사상'의 요구에 따라 당 전체 내에서 더욱 강력한 사상, 조직 및 업무 스타일을 구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했다.[12]

중국공산당 중앙조직부는 2005년부터 2006년까지 간부 개혁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3] 1999년 6월, 조직부는 부패를 막기 위해 성(省) 지도자들이 자신의 출신 성에서 근무하는 것을 막는 노력을 기울였다.[13]

중국 공산당 고위 지도자들은 종종 주요 직책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예를 들어, 리펑의 자녀들은 그가 통치했던 전력 부문에서 막강한 직책을 갖게 되었고, 주룽지가 금융 부문을 감독하는 동안 그의 아들은 중국 최대 투자 은행인 중국국제금융공사의 고액 연봉 책임자가 되었으며, 장쩌민은 기술 담당 공산당 관리였을 때 다른 사람들을 교체하고 충성스러운 사람들을 핵심 직책에 앉혔으며, 그의 아들을 핵심 직책에 앉혔다.[10]

2009년 보고서에 따르면, 관직 매매 또한 이루어지며, 특히 작은 지역에서 조직부 책임자의 자리가 가장 탐나는 직책 중 하나이다. 이 직책은 막대한 재량권을 부여하여, 현직자는 현금과 교환하여 다른 개인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다. 조직부가 지린성에서 생산한 내부 문서를 검토한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하위 계층에서는 이러한 관행이 뇌물 수수, 부패, 배신, "절실한 사리사욕"으로 특징지어진다.[10]

4. 역대 중앙조직부장

대수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장궈타오1921년 7월1923년 6월
2마오쩌둥1924년 5월1925년 1월
3천두슈1925년 1월1927년 4월
4장궈타오1927년 4월1927년 7월
5리웨이한1927년 8월1927년 9월
6뤄이농1927년 9월1928년 1월조직부 판공실 주임
7저우언라이1928년 1월1930년 2월
8샹잉1928년 11월대행
9샹중파1930년 2월1930년 8월조직부 책임자
10저우언라이1930년 2월1930년 3월조직부 실질 책임자
11리리싼1930년 3월1930년 8월조직부 실질 책임자
12저우언라이1930년 9월1931년 1월
13캉성1931년 1월1931년 3월
14리주성1931년 3월1931년 12월대행
15캉성1931년 12월1932년 말조직국 국장
16황리1932년
17쿵위안1932년 말1933년 1월조직국 국장
18런비스1933년 1월1933년 3월
19리웨이한1933년 3월1935년 11월조직국 국장
20저우언라이1935년 11월1935년조직국 책임자
21리웨이한1935년1936년 9월중국 공산당 서북국 조직부 주임
22장원톈1936년 9월1936년 10월대행
23궈훙타오1936년 10월1937년 2월대행
24보구1937년 2월1937년 12월
25천윈1937년 12월1944년 3월1943년 3월에 무능력해짐
26펑전1944년 3월1953년 4월1945년 8월까지 대행
27라오수스1953년 4월1954년 4월
28덩샤오핑1954년 4월1956년 11월
29안쯔원1956년 11월1966년 8월
-니에지펑1966년 8월조직부 실무 그룹 책임자
-주광조직부 실무 그룹 책임자
-양스롱1967년 10월특별 조사 그룹 책임자로서 조직부 대행 책임자
-궈위펑1967년 10월1973년 8월조직부 실무 그룹 책임자
-캉성1970년 11월1975년 12월중앙 조직 및 선전 지도 소조 책임자
-궈위펑1973년 8월1975년 6월중앙 조직부 지도 소조 책임자
30궈위펑1975년 6월1977년 12월
31후야오방1977년 12월1978년 12월
32쑹런충1978년 12월1983년 2월
33천예핑1983년 2월1984년 4월
34차오스1984년 4월1985년 7월
35웨이젠싱1985년 7월1987년 5월
36쑹핑1987년 5월1989년 12월
37뤼펑1989년 12월1994년 10월
38장취안징1994년 10월1999년 3월
39쩡칭훙1999년 3월2002년 10월
40허궈창2002년 10월2007년 10월
41리위안차오2007년 10월2012년 11월
42자오러지2012년 11월2017년 10월
43천시2017년 10월2023년 4월
44리간제2023년 4월현재



문화대혁명이 시작되면서 중앙조직부는 업무가 중단되었다.[1]

참조

[1] 뉴스 China's New Rulers: What They Want https://www.nybooks.[...]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2023-08-04
[2] 뉴스 Veil lifted on the Party's personnel department http://japanese.chin[...] 2020-03-13
[3] 서적 China's Communist Party: Atrophy and Adaptation http://archive.org/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4] 서적 The Political Thought of Xi Jinping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Decoding Chinese Politics: Party Center https://asiasociety.[...] 2024-10-11
[6] 서적 The New China Playbook: Beyond Socialism and Capitalism Viking 2023
[7] 서적 The Modern Chinese Stat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3-28
[8] 서적 China's World View: Demystifying China to Prevent Global Conflict W. W. Norton & Company 2024
[9]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China https://archive.org/[...] Charles Scribner's Sons/Gale, Cengage Learning 2009
[10] 뉴스 The party organiser https://www.ft.com/c[...] Financial Times 2023-08-04
[11] 뉴스 China's New Rulers: The Path to Power https://www.nybooks.[...]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2023-08-04
[12] 서적 Decentralized Authoritarianism in China: The Communist Party's Control of Local Elites in the Post-Mao E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08-04
[13] 서적 China's Leaders: The New Generation http://archive.org/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1
[14] 서적 Rejuvenating Communism: Youth Organizations and Elite Renewal in Post-Mao China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