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두라이 술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두라이 술탄국은 14세기 초 델리 술탄국의 혼란을 틈타 타밀나두 지역에 건국된 이슬람 왕조이다. 1335년 잘랄루딘 아흐산 칸이 델리 술탄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며 건국되었으며, 이후 43년간 마두라이, 티루치라팔리, 사우스 아르코트 일부 지역을 통치했다. 이븐 바투타의 기록에 따르면, 마두라이 술탄국은 힌두교도에 대한 박해를 자행했으며, 1344년부터 1357년 사이에는 쇠퇴기에 접어들었다. 결국 1370년 비자야나가라 제국에 의해 정복당하며 멸망하고 마두라이 나야크 왕조가 그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밀나두주의 중세사 - 촐라 제국
    9세기 중반부터 13세기 말까지 남인도를 중심으로 번성한 촐라 제국은 비자얄라야에 의해 건국되어 라자라자 1세와 라젠드라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며 해상 무역을 장악했지만, 찰루키아 왕조와의 전쟁과 판디아 왕조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13세기 말에 멸망한 타밀족의 해양 제국이다.
  • 타밀나두주의 중세사 - 팔라바 왕조
    팔라바 왕조는 3세기 중엽 심하바르만 1세가 건국하여 9세기 말 촐라 왕조에 흡수될 때까지 남인도를 지배하며 6세기 심하비슈누 왕 시대부터 흥성하여 나라심하바르만 1세 시대에 마하발리푸람을 중심으로 해상 교역이 활발해지며 전성기를 맞이했고, 라트 사원과 같은 독창적인 건축 양식과 팔라바 문자를 발전시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타밀의 역사 - 판디아 왕조
    판디아 왕조는 기원전 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남인도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존재하며, 로마 등과 무역을 통해 번영하고 힌두교를 숭배하며 상감 문학을 발전시켰으나, 델리 술탄국의 침략 등으로 멸망한 타밀 왕조이다.
  • 타밀의 역사 - 아티야만
    아티야만은 기원전 3세기 아소카왕 시대에 서고츠산맥 동쪽 계곡에 위치한 강력한 고대 인도 왕국으로 촐라, 판디야, 케랄라푸트라와 함께 언급되었으며, 타밀-브라흐미 비문과 상감 문학을 통해 아티야만 왕조와 추장 네두만 안지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 인도 아대륙의 이슬람 국가 - 마이소르 왕국
    마이소르 왕국은 1610년 라자 워디야 1세가 건국한 남인도의 왕국으로, 여러 왕조와의 경쟁 속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집권화를 이루었으나, 하이데르 알리와 티푸 술탄 시대에 영국 동인도 회사와 전쟁을 치른 후 영국 인도 제국 내 토후국이 되었다가 인도 독립 후 카르나타카 주에 편입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 독특한 문화, 군사적·행정적 개혁으로 인도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인도 아대륙의 이슬람 국가 - 델리 술탄국
    델리 술탄국은 1206년부터 1526년까지 인도 북부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튀르크계 유목민의 이동과 이슬람 확산 속에서 노예, 할지, 투글루크, 사이이드, 로디 왕조를 거치며 인도-페르시아 문화 융합과 독특한 건축 양식을 발전시켰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무굴 제국에 멸망하였다.
마두라이 술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마바르 술탄국
원어 명칭}} (페르시아어)
일반 명칭마두라이 술탄국
역사
성립1335년
멸망1378년
이전 국가델리 술탄국
이후 국가비자야나가라 제국
위치
오늘날 국가인도
수도마두라이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국교이슬람 (공식)
공용어페르시아어, 힌두스타니어
사용 언어타밀어
역대 술탄
초대 술탄잘랄 웃딘 아흐샨 칸 (1335년 – 1339년)
마지막 술탄시칸다르 샤 (1368년 – 1378년)

2. 기원

마바르 술탄국의 첫 통치자인 잘랄루딘 아흐산 칸의 주화


14세기 초, 타밀나두 지역은 2세기 이상(950년~1200년) 지속된 촐라 왕조의 쇠퇴 이후 판디아 왕조가 지배하고 있었다(1200년~1300년). 마라바르만 쿨라세카라 판디안 왕(1268~1310)의 두 아들, 순다라 판디안(왕비 소생)과 비라 판디아(후궁 소생) 사이에 왕위 계승 분쟁이 발생했다. 왕이 작은 아들 비라 판디아를 후계자로 선언하자, 순다라 판디안은 1310년 아버지를 살해하고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왕국의 일부 족장들이 비라 판디안에게 충성을 맹세하면서 내전이 발발했다.[18]

내전에서 패배한 순다라 판디안은 델리 술탄국의 술탄 알라 웃 딘 킬지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당시 말리크 카푸르가 이끄는 킬지 군대는 타밀나두 북쪽 드바라사무드라에 주둔하고 있었다. 킬지는 순다라 판디아를 돕기로 결정하고, 1311년 말리크 카푸르에게 타밀나두 침공을 명령했다. 역사가들은 말리크 카푸르가 원래 타밀나두까지 진군할 계획은 없었으나, 순다라 판디아의 요청과 술탄의 명령으로 침공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처럼 델리의 첫 타밀나두 침공은 판디아 왕가 내부 분쟁의 직접적인 결과였다.[19]

이후 델리 술탄국은 두 차례 더 원정을 감행했다. 1314년 쿠스로 칸, 1323년 울루흐 칸이 이끈 원정은 판디아 제국을 붕괴시켰다. 울루흐 칸은 이전 판디아 영토를 델리 술탄국의 마바르 주로 합병했고, 남인도는 데바기리, 틸링, 캄필리, 도라사무드라, 마바르의 5개 주로 분할되어 델리의 지배를 받았다.

2. 1. 델리 술탄국의 혼란

1325년, 울루그 칸은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라는 이름으로 델리 술탄국의 술탄이 되었다. 그는 이란호라산을 침공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이는 국고를 파탄시켰다. 결국 주조된 화폐를 발행하였지만, 이로 인해 위조 화폐 문제가 발생하며 술탄국의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19] 술탄이 자신의 대군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을 지불할 수 없게 되자, 먼 지방에 주둔한 군인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을 일으킨 첫 번째 주는 벵골이었고, 곧 마바르가 뒤를 이었다. 마바르 주지사인 잘랄 웃 딘 아산 칸은 독립을 선언하고 마두라이 술탄국(마바르 술탄국)을 건국하였다.[19] 마두라이 술탄국의 정확한 건국 연도는 분명하지 않으나, 화폐 증거에 따르면 1335년으로 추정된다.[19] 그러나 페르시아 역사가 피리슈타는 마바르의 반란이 일어난 해를 1340년으로 기록하고 있다.[19]

2. 2. 잘랄 웃딘 아흐샨 칸의 독립

델리 술탄국의 마바르 주 주지사였던 잘랄 웃딘 아흐샨 칸은 1335년경 독립을 선언했다.[18][19] 그러나 마바르 술탄국의 정확한 건국 연도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화폐 증거에 따르면 건국 연도는 1335년으로 추정되지만,[18] 페르시아 역사가 피리슈타는 마바르의 반란이 일어난 해를 1340년으로 기록하고 있다.[18] 잘랄 웃딘 아흐샨 칸은 델리 술탄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에게 반기를 들고 독립적인 마두라이 술탄국을 세웠다.[19]

잘랄 웃딘 아흐샨 칸의 딸은 유명한 여행가 이븐 바투타와 결혼했고, 그의 아들 이브라힘은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의 재정 담당이었다.[19] 투글루크는 잘랄 웃딘의 반란 소식을 듣고 보복으로 이브라힘을 처형했다.[19] 투글루크는 1337년 마바르(타밀 지역)를 정복하려 했으나, 도중에 병에 걸려 데기리로 돌아가야 했다. 그의 군대는 잘랄 웃딘에게 패배했다.[19]

마바르 술탄국의 부유한 상인 아부 알리는 마바르 왕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아부 알리는 그들과 결별한 후 원나라로 이주했다. 그는 몽골 대칸으로부터 고려인 여성을 아내로 맞이했는데, 이 여성은 채인규의 딸로 기록되어 있다.[21][22]

3. 역사

14세기 초, 델리 술탄 왕조의 투글루크 왕조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는 다울라타바드 천도 등 실정을 거듭하여 각지가 불안정한 상황이었다.

1334년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가 다울라타바드에서 델리로 철수하자, 남인도 타밀 지방(당시에는 마바르)의 지방 장관 잘랄루딘 아흐산 칸은 투글루크 왕조로부터 독립하여 마두라이 술탄국을 건국했다.[13]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는 군대를 이끌고 이 반란을 진압하려 했으나, 타밀 지방에 도착하기 전에 군대의 대부분이 전염병에 걸려 실패했다.[14]

1336년에는 남인도 카르나타카 지방의 하리하라와 부카 형제가 투글루크 왕조로부터 독립하여 비자야나가르 제국을 건국했다.[15]

마두라이 술탄국은 호이살라 왕조와 다투어, 1342년 발라라 3세를 전사시켰지만,[16] 1346년 호이살라 왕조는 비자야나가르 제국에 병합되었다.

이후 마두라이 술탄국은 비자야나가르 제국에 밀리다가 1370년 쿠마라 캄파나가 이끄는 원정군에 제압되었다.[13] 1378년 하리하라 2세는 마두라이 술탄국의 영토 병합을 선언했다.[17]

3. 1. 잘랄 웃딘 아흐샨 칸

잘랄루딘 아산 칸은 1335년경 델리 술탄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그의 딸은 역사가 이븐 바투타와 결혼했고, 그의 아들 이브라힘은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의 재무관이었다.[1] 투글루크는 잘랄루딘의 반란 소식을 듣고 보복으로 이브라힘을 죽였다. 잘랄루딘은 역사가 피리슈타와 지아우딘 바라니에 의해 "사예드", "하산" 또는 "후순"으로 다양하게 불렸다. 투글루크는 1337년경 무슬림 연대기에 마바르로 알려진 타밀 지역을 정복하려 했다. 그러나 그는 마바르로 가는 길에 비다르에서 병이 났고 데오기리로 돌아가야 했다. 그의 군대는 잘랄루딘에게 패했다.[2] 잘랄루딘은 1340년에 그의 귀족 중 한 명에게 살해되었다.

3. 2. 알라 웃딘 우다우지 및 쿠트브 웃딘 피루즈

마두라이 술탄국의 알라 웃딘 우다우지 주화, 1339년


1340년 잘랄 웃딘 아흐샨 칸이 죽자 알라 웃딘 우다우지 샤가 정권을 잡았다.[1] 그의 사위 쿠트브 웃딘 피루즈 샤가 그 뒤를 이어 술탄이 되었으나, 즉위한 지 40일 만에 암살당했다.[1] 1340년 쿠트브 웃딘을 암살한 기야스 웃딘 다마가니가 술탄의 자리에 올랐다.[1]

3. 3. 기야스 웃딘 마흐무드 담가니

기야스 웃딘은 처음에 호이살라 국왕 비라 발라라 3세에게 패했지만, 1343년 칸나누르 코팜 포위전에서 발랄라를 붙잡아 죽였다. 그는 발랄라를 생포하여 재산을 약탈하고 살해한 뒤, 시신을 박제하여 마두라이 성벽에 전시했다.[23] 이후 1344년에 최음제의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3. 3. 1. 이븐 바투타의 기록

이븐 바투타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을 광범위하게 여행한 것으로 알려진 무슬림 마린 왕조 모로코 탐험가로, 중국으로 가는 길에 마두라이 술탄국을 방문했다. 그는 잘랄루딘 아산 칸의 딸과 결혼했다. 그의 여행 기록은 기야스 앗딘 무하마드 담가니가 지역 주민들에게 저지른 끔찍한 행동을 언급하고 있다.[9]

이븐 바투타의 기록에 따르면, 기야스 앗딘 무하마드 담가니는 그의 개인적인 명령에 따라 군대를 시켜 지역 힌두교 마을 사람들을 자주 체포하게 했다. 그리고 이들을 무차별적으로 날카롭게 한 나무 말뚝에 꿰어 죽게 내버려두는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다.[9] 이러한 기록들은 '리흘라(Rihla)' (문자 그대로 "여행")라는 여행기에 실려 전해지며, 아랍 에미리트 두바이의 이븐 바투타 몰에도 전시되어 있다.[9]

3. 4. 나시르 웃딘 마흐무드 담가니

나시르 웃딘 마흐무드 담간 샤는 기야스 웃딘의 조카로, 델리 출신의 군인이었다. 그는 힌두스탄을 탈출하여 삼촌이 있던 마두라이에 합류했다.[24] 그는 즉위하자마자 자신의 왕위 계승을 방해할 것 같은 장교와 귀족들, 그리고 여러 정치적 적들을 대거 해임하고 죽이기 시작했다.[23] 그는 실정을 거듭하다 짧은 시간 안에 죽음을 맞이했다.

4. 통치

마두라이 술탄국의 통치자들은 동시대 역사 기록에 따르면 힌두교도들에게 폭정을 펼치고 박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븐 바투타강가데비의 기록은 술탄들이 힌두교도들에게 저지른 잔혹 행위를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븐 바투타는 기야스 웃딘 담가니가 힌두교 포로와 그 가족들을 잔혹하게 살해했다고 묘사했고,[25] 강가데비의 마두라 비자얌은 무슬림 통치가 삼계에 고통을 준다고 표현하며 마두라이의 참상을 묘사했다. 이븐 바투타는 마두라이에 역병이 창궐했다고 기록했고,[25] 강가데비는 이를 죽음의 신이 내린 형벌이라고 묘사했다.

4. 1. 힌두교 박해

이븐 바투타강가데비의 기록에 따르면, 마두라이 술탄국의 통치자들은 힌두교도들을 잔혹하게 박해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븐 바투타는 기야스 웃딘 담가니가 힌두교 포로들을 말뚝에 꿰어 죽이고, 그들의 아내와 아이들까지 잔인하게 살해하는 장면을 묘사했다.[25] 그는 이러한 행위를 "다른 어떤 주권자도 저지른 적이 없는 부끄러운 행위"라고 비판했으며, 기야스 웃딘이 힌두교도의 손발을 자르는 등 잔혹한 형벌을 내렸다고 기록했다.

강가데비의 마두라 비자얌에서는 무슬림 통치가 "삼계에 고통"을 준다고 표현하며, 마두라이의 숲이 파괴되고 힌두교도들이 쇠사슬에 묶여 끌려가는 참상을 묘사했다.[25] 또한, 탐브라파르니 강물이 힌두교도들의 피로 붉게 물들었다고 기록했다.

이븐 바투타는 마두라이에 역병이 창궐하여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고 기록했으며,[25] 강가데비는 이를 죽음의 신이 힌두교도들에게 내린 형벌이라고 묘사했다.

이러한 기록들은 마두라이 술탄국이 종교적 다양성을 존중하지 않고 힌두교도들을 억압했음을 보여준다.

5. 쇠퇴와 몰락

1334년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가 다울라타바드에서 델리로 철수하면서, 남인도 타밀 지방(당시에는 마바르)의 지방 장관 잘랄루딘 아흐산 칸은 투글루크 왕조로부터 독립하여 마두라이 술탄국을 건국했다.[13]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는 반란을 진압하려 했으나, 타밀 지방에 도착하기 전에 군대의 대부분이 전염병에 걸려 실패했다.[14]

1344년1357년 사이 마두라이 술탄국은 내분과 북쪽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발흥으로 쇠퇴했다. 이 시기에는 발행된 동전이 없어 그 쇠퇴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1358년부터 1378년까지 샴스 웃딘 아딜 샤, 파크르 웃딘 무바라크 샤, 알라 웃 딘 시칸다르 샤 등 세 명의 마두라이 술탄의 이름이 새겨진 동전이 발견되어, 1357년에서 1378년 사이에 짧은 부활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342년 호이살라 왕조와의 전투에서 발라라 3세를 전사시켰지만,[16] 1346년 호이살라 왕조의 영토는 비자야나가르 제국에 병합되었다. 이후 마두라이 술탄국은 비자야나가르 제국에 밀리기 시작했다.

5. 1.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정복

14세기 중반, 부카 라야 1세가 통치하던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남인도를 정복하기 위해 여러 차례 군대를 파견했다. 이러한 침략은 초기에는 마두라이 술탄국의 남인도 통치를 제한하는 데 그쳤으나, 결국에는 술탄국을 멸망시키는 데 성공했다.[26] 비자야나가라 군대는 부카 라야 1세의 아들이자 나야카 가문의 일원인 쿠마라 캄파나가 이끌었다.

쿠마라 캄파나는 먼저 현재의 칸치푸람 구 지역에 있던 삼부바라야르 왕조를 정복했다. 삼부바라야르 왕조는 델리 술탄국투글루크 왕조와 동맹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 마두라이 술탄국 정복에 방해가 되었다. 이후 캄파나는 마두라이 술탄국을 공격하여 1370년에 정복했다.[12]

쿠마라 캄파나의 마두라이 정복은 그의 아내 간가데비가 쓴 산스크리트 서사시 ''마두라 비자얌''(마두라이의 승리)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26] 1371년에는 캄파나의 승리를 기념하여 스리랑감의 랑가나타 랑가나야키 사원이 화려하게 복원되었다.

하리하라 2세의 통치 기간인 1378년에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마두라이를 공식적으로 자국의 영토로 선언했다. 나야카의 등장은 남인도를 술탄국의 지배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마두라이 역사의 흐름을 바꾸었다고 평가받는다.

6. 역대 술탄

왕호재위
델리 술탄국으로부터 독립
잘랄 웃딘 샤아흐샨 칸1335년 ~ 1339년
알라 웃 딘 샤알라 웃 딘 우다우지 샤1339년
쿠트브 웃 딘 샤피루즈 칸1339년 ~ 1340년
기야스 웃 딘 샤마흐무드 담가니1340년 ~ 1344년
나시르 웃 딘 샤마흐무드 담가니1344년 ~ 1345년
샴스 웃 딘 샤아딜 칸1356년 ~ 1358년
파크르 웃 딘 샤무바라크 칸1358년 ~ 1368년
알라 웃 딘 샤 2세시칸다르 칸1368년 ~ 1378년
비자야나가라 제국에게 멸망


7. 기타

참조

[1] 서적 "'How Best Do We Survive?' A Modern Political History of the Tamil Muslim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
[2] 서적 Essays on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Discovery Publishing House 2003
[3] 서적 The Sharqi of Jaunpur: A Political &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Karachi 1972
[4] 서적 Tamil Nadu, a Real History https://books.google[...] Ratna Publications 2005
[5] 기타 2006
[6] 간행물 Shaykh 'Âlam: the Emperor of Early Sixteenth-Century China http://www.sino-plat[...] 2000-10
[7] 서적 The East Asian Mediterranean: Maritime Crossroads of Culture, Commerce and Human Migration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8
[8] 기타 "The Yuan Khanate and India: Cross-cultural Diplomacy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http://www2.ihp.sini[...] Academia Sinica 2006
[9] 서적 "The Adventures of Ibn Battuta: A Muslim Traveler of the 14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10]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The Delhi Sultanat, A.D. 1206-1526, edited by Mohammad Habib and Khaliq Ahmad Nizami https://books.google[...] 1970
[11] 웹사이트 A portion from the Madhura Vijayam http://bharatendu.co[...]
[12]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09-05
[13]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3―南インド―
[14]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5]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3―南インド―
[16]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3―南インド―
[17] 기타
[18] 서적 Muslim Architecture of South India : the Sultanate of Ma'bar and the Traditions of Maritime Settlers on the Malabar and Coromandel Coasts (Tamil Nadu, Kerala and Goa). https://www.worldcat[...] Taylor and Francis 2013
[19] 서적 Muslim Architecture of South India : the Sultanate of Ma'bar and the Traditions of Maritime Settlers on the Malabar and Coromandel Coasts (Tamil Nadu, Kerala and Goa). https://www.worldcat[...] Taylor and Francis 2013
[20] 기타 2006
[21] 서적 The East Asian Mediterranean: Maritime Crossroads of Culture, Commerce and Human Migration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8
[22] 기타 "The Yuan Khanate and India: Cross-cultural Diplomacy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http://www2.ihp.sini[...] Academia Sinica 2006
[23] 서적 "The Adventures of Ibn Battuta: A Muslim Traveler of the 14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6
[24]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India: The Delhi Sultanat, A.D. 1206-1526, edited by Mohammad Habib and Khaliq Ahmad Nizami https://books.google[...] 1970
[25] 웹사이트 A Portion from Madhura Vijaya http://bharatendu.co[...]
[26]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