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라바 왕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라바 왕조는 기원후 3세기 중엽 심하바르만 1세에 의해 건국된 고대 남인도의 왕조이다. 팔라바인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파르티아인, 안드라인, 타밀인 등 여러 설이 있으나 아직 정설은 없다. 6세기 후반 심하비슈누 왕 때부터 본격적으로 흥기하여 촐라국을 정복하며 영토를 확장했고, 이후 찰루키아와의 전쟁, 문화적 전성기를 거쳤다. 팔라바는 굽타 제국과 유사한 행정 조직을 갖추었으며, 팔라바 문자는 동남아시아 여러 문자에 영향을 미쳤다. 건축 양식은 마헨드라, 마말라, 라자싱하, 아파라지타 양식으로 구분되며, 893년 촐라국에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라바 왕조 - 페룸비두구 무타라이야르 2세
    페룸비두구 무타라이야르 2세는 2세기에 촐라 왕조와 동시대에 무타라이야르 왕조를 통치했던 왕이다.
  • 타밀나두주의 중세사 - 촐라 제국
    9세기 중반부터 13세기 말까지 남인도를 중심으로 번성한 촐라 제국은 비자얄라야에 의해 건국되어 라자라자 1세와 라젠드라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며 해상 무역을 장악했지만, 찰루키아 왕조와의 전쟁과 판디아 왕조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13세기 말에 멸망한 타밀족의 해양 제국이다.
  • 타밀나두주의 중세사 - 마두라이 술탄국
    마두라이 술탄국은 14세기 중반 델리 술탄국에서 독립한 잘랄 웃딘 아흐산 칸이 세운 남인도의 이슬람 왕국으로, 약 40년간 존속하며 호이살라 왕조와 경쟁하다 비자야나가라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마두라이 나야크 왕조가 들어섰으며 힌두교 박해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인도사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인도사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팔라바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팔라바 왕국의 심하 깃발
왕실기
현지 이름பல்லவ நாடு
다른 표기팔라바국
데모님팔라바인
통용 문자팔라바 문자
통용어타밀어
산스크리트어
프라크리트어
종교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정부 형태군주제
수도칸치푸람
지역타밀라캄
역사
존속 기간 시작275년
존속 기간 끝897년
이전칼라브라
이후촐라 제국
촐라 제국 국기
촐라 제국 국기
정치
심하바르만 1세 (초대, 275년 ~ 300년)
심하비슈누 (570년 ~ 600년)
마헨드라바르만 1세 (600년 ~ 630년)
나라심하바르만 1세 (630년 ~ 668년)
아파라지타바르만 (말대, 880년 ~ 897년)
기타 정보
팔라바 영토
팔라바 영토

2. 기원

팔라바 왕조를 건국한 팔라바인들의 정체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 파르티아인 후예설, 사타바하나 왕조를 건국한 안드라인과 같은 민족이라는 설,[5][6] 타밀인 계통설 등 여러 가지 설들이 있지만 아직 정설로 굳혀진 것은 없다.

2. 1. 파르티아인 후예설

팔라바국을 건국한 팔라바인들의 정체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 파르티아인들의 후예라는 설, 사타바하나를 건국한 안드라인들과 같은 민족이라는 설,[5][6] 타밀인 계통이라는 설 등 여러 가지 설들이 있지만 아직 정설로 굳혀진 것은 없는 실정이다.

2. 2. 안드라인 동일 민족설

팔라바국을 건국한 팔라바인들의 정체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 파르티아인들의 후예라는 설, 사타바하나 왕조를 건국한 안드라인들과 같은 민족이라는 설,[5][6] 타밀인 계통이라는 설 등 여러 가지 설들이 있지만 아직 정설로 굳혀진 것은 없는 실정이다.

2. 3. 타밀인 계통설

팔라바 왕조를 건국한 팔라바인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학자들 사이에서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아직 정설로 굳혀진 것은 없다. 주요 학설로는 파르티아인 후예설, 사타바하나 왕조를 건국한 안드라인과 같은 민족이라는 설,[5][6] 타밀인 계통설 등이 있다.

3. 역사

팔라바국은 기원후 3세기 중엽 심하바르만 1세(275년 ~ 300년)에 의해 건국되었다. 이후 6세기 후반 심하비슈누 왕 때부터 본격적으로 흥기하기 시작하였다. 심하비슈누 왕조의 흥기, 찰루키아와의 전쟁, 문화적 전성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난디바르만 2세 이후 팔라바국은 계속해서 이웃 나라들의 공격을 받으면서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였으며, 쇠퇴와 멸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1. 심하비슈누 왕조의 흥기

6세기 후반 심하비슈누(570년 ~ 600년) 때부터 팔라바 왕조가 본격적으로 흥기하기 시작하였다. 심하비슈누는 팔라바 왕조의 기반을 다진 왕으로, 정통 힌두교도로서 힌두교를 거부한 칼라브라를 비롯한 여러 적들을 물리치고 촐라국을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 그 결과 팔라바 왕조의 영토는 카베리강크리슈나강 사이의 지역으로 넓혀졌다.

3. 2. 찰루키아와의 전쟁

심하비슈누의 후계자 마헨드라바르만 1세(600년 ~ 630년) 치세부터는 사타바하나 이후 데칸 지역을 지배하던 국가인 찰루키아와 대를 이은 전쟁이 시작되었다. 마헨드라바르만은 시인이자 음악가로, 학문과 예술 보호에 힘썼으며 트리치노폴리, 발람, 마헨드라바디 등에 시바비슈누를 위한 힌두교 사원들을 건립하였다. 그의 후계자인 나라심하바르만 1세(630년 ~ 668년) காலத்தில் 팔라바 왕국의 주요 항구 마하발리푸람은 중요한 교역 중심지로 성장하여, 이곳을 통해 팔라바의 문화적 영향이 동남아시아로 확산되었다. 이 시기 마하발리푸람에는 팔라바 시대 건축물의 최고작으로 평가받는 라트 사원이 세워졌다.

3. 3. 문화적 전성기

심하비슈누의 후계자 마헨드라바르만 1세(600년 ~ 630년)의 치세부터는 사타바하나 이후 데칸 지역을 지배하던 국가인 찰루키아와의 대를 이은 전쟁이 시작되었다. 시인이며 음악가이기도 했던 마헨드라바르만은 학문과 예술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트리치노폴리, 발람, 마헨드라바디 등에 시바비슈누를 위한 힌두교 사원들을 세우기도 하였다.[1] 마헨드라바르만의 후계자는 나라심하바르만 1세(630년 ~ 668년)로, 이 기간 동안 팔라바 왕국의 주요 항구였던 마하발리푸람은 중요한 교역 중심지가 되어 이곳으로부터 팔라바의 문화적 영향이 동남아시아로 확산되었다.[1] 이 시기에는 팔라바 시대 건축물의 최고작으로 평가받는 라트 사원이 마하발리푸람에 세워졌다.[1]

3. 4. 쇠퇴와 멸망

난디바르만 2세 이후 팔라바국은 계속해서 이웃 나라들의 공격을 받으면서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880년 아파라지타 왕 때에는 촐라국의 아디트야 1세의 도움으로 간신히 판디아국의 침략을 물리치기도 했지만, 결국 893년 촐라국에 흡수되면서 팔라바국은 멸망하였다.

4. 정치

팔라바국은 굽타 제국과 유사한 행정 조직을 지니고 있었다. 군주는 절대적인 권력을 지녔지만 재상들의 도움을 받으며 법에 따라 통치를 시행하였다.

4. 1. 왕권과 법치

팔라바국은 굽타 제국과 유사한 행정 조직을 지니고 있었다. 군주는 절대적인 권력을 지녔지만 전제군주처럼 무제한으로 권력을 휘두르진 않고 재상들의 도움을 받으며 법에 따라 통치를 시행하였다.

5. 문자

팔라바국에서는 팔라바 문자라고 하는 고유 문자를 사용했다. 이 문자는 이후 동남아시아 문자들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7][8][9][10][11]

5. 1. 동남아시아 문자에 미친 영향

팔라바국에서는 팔라바 문자라고 하는 고유 문자를 사용했는데, 이 문자들이 후에 동남아시아에 전파되며 크메르 문자[7], 자와 문자[8], 라오 문자[9], 타이 문자[10], 버마 문자[11] 등 오늘날 동남아시아에서 사용되는 문자들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6. 건축

팔라바의 건축 양식은 마헨드라 양식, 마말라 양식, 라자싱하 양식, 아파라지타 양식의 네 단계로 구별된다.[1]

6. 1. 마헨드라 양식

마헨드라 양식은 600년부터 625년까지 유행한 건축 양식이다.

6. 2. 마말라 양식

마말라 양식은 625년부터 647년까지 유행하였으며, 마말라푸람(마하발리푸람)에 있는 라트 사원이 대표적인 건물이다.[1]

6. 3. 라자싱하 양식

8세기에 유행한 라자싱하 양식의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칸치에 있는 카일라샤나타 시바 사원이 있다.[1]

6. 4. 아파라지타 양식

팔라바의 건축 양식 중 하나로, 팔라바의 마지막 왕 아파라지타 시대(880년 ~ 897년)에 유행하였다.[1]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바하사라 사원이 있다.[1]

참조

[1] 인용 Defining the Early Deccan: A Re-think* http://dx.doi.org/10[...] Routledge 2023-05-14
[2] 저널인용 Pallavas http://dx.doi.org/10[...] 2021-10-28
[3] 인용 The Pallavas Asian Educational Services 1995
[4] 인용 Past and present: Manasara (English translation) https://www.wisdomli[...] 2020-05-14
[5] harvnb 1960
[6] harvnb 1970
[7] 웹인용 Khmer https://www.omniglot[...] 2018-09-13
[8] 웹인용 Javanese alphabet http://www.omniglot.[...] 2018-09-13
[9] 웹인용 Lao https://www.omniglot[...] 2018-09-13
[10] 웹인용 Thai https://www.omniglot[...] 2018-09-13
[11] 웹인용 Burmese https://www.omniglot[...] 2018-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