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길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길란은 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계곡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9세기부터 실크로드의 주요 대상 숙소로 번성했다. 16세기 무굴 제국의 바부르는 마르길란의 풍요로운 자연환경과 상업 활동에 대해 기록했다. 현재는 우즈베키스탄 최대의 견직 공장이 있는 견직 생산 중심지이며, 이슬람 보수주의의 거점이기도 하다. 주요 유적지로는 요드골릭 실크 공장, 마르길란 실크 공장, 쿰테파 바자르, 토론 모스크, 코나칸 모스크 등이 있다. 2014년 기준 인구는 215,400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 페르가나
    페르가나는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았고, 1875년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며, 석유 생산과 섬유 제조업이 주요 산업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도시 - 나보이
    나보이는 우즈베키스탄 나보이주에 위치한 도시로 알리셰르 나보이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실크로드의 중요한 지점이었고, 나보이광산제련콤비나트와 나보이아조트 같은 산업 시설과 자유산업경제구역, 역사 유적지, 국제공항, 철도 역 등을 갖춘, 2024년 기준 약 161,300명이 거주하는 도시다.
마르길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마르길란/Марғилон
현지 명칭Marg‘ilon / Марғилон
Khonakhan Mosque, Margilan
호나한 모스크
Khonakhan Mosque, Margilan
호나한 모스크
호나한 모스크
호나한 모스크와 시내 중심부 항공 사진
국가우즈베키스탄
페르가나 주
면적40.83km²
해발 고도487m
우편 번호151100
지역 번호(+998) 73
웹사이트마르길란 공식 웹사이트
인구 통계
인구 (2022년)242500명
기타 정보
언어우즈베크어
러시아어
페르시아어

2. 역사

마르길란 시장


전설에 따르면 마르길란은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해 건립되었다. 어느 날 점심 식사에서 대왕에게 닭고기(무르그/murghfas)와 빵(난/nanfas)이 제공된 데서 도시 이름이 유래했다.

9세기부터 실크로드의 주요 대상 숙소였으며, 톈산산맥을 넘어 카슈가르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었다.

16세기, 무굴 제국바부르는 "석류와 살구가 맛있고, 사냥감은 흰 사슴 등 훌륭하며, 토착민인 사르트인은 싸움을 좋아하고, 트란스옥시아나 전역에서 유행하는 악마 퇴치는 마르길란 사람들이 퍼뜨리고 있다" 등 마르길란에 대한 인상을 기록했다.

마르길란 사람들의 강인함은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 마르길란 상인들은 중앙아시아 상업을 지배하며, 우즈베키스탄의 암시장을 장악해 왔다. 현재 마르길란은 이슬람 보수주의의 거점이 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최대의 견직 공장이 있으며, 최고 품질의 견직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모든 것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지켜지고 있다.

마르길란 남쪽의 페르가나를 "뉴마르길란"(노비마르길란, Новый Маргелан)이라고 러시아인들이 불렀기 때문에 마르길란은 "올드마르길란"이라고도 불렸다.

2. 1. 고대

마르길란이라는 도시 이름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침략과 관련된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현지 주민들은 알렉산드로스가 방문한다는 소식을 듣고 그를 위해 붉은 융단을 준비했고, 원로의 제안으로 닭고기와 빵을 대접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요리 이름을 묻자 "무르지논"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닭고기와 빵"을 의미한다. 이후 그곳을 "무르지논"이라 불렀고, 도시 이름은 마르길란이 되었다.[4] 하지만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페르가나에 없었고, 그의 중앙아시아 확장의 최전선은 후잔드였으며, 그곳에 알렉산드리아 에스케이트라는 요새 도시를 건설했다.

마르길란은 페르가나 계곡의 고대 도시 중 하나로, 1994년부터 2004년까지 우즈베키스탄 고고학 연구소의 연구 결과 기원전 4-3세기 이전에 마르길란 오아시스에서 관개 농업이 존재했음이 밝혀졌다.

이 정착지는 기원전 2-1세기에 나타났으며, 당시 실크로드의 도로 중 하나가 페르가나를 통과했다.[5] 문헌상으로는 9세기부터 알려져 있으며, 마르길란이라는 이름은 10세기부터 사용되었다. 9세기부터 실크로드의 주요 대상 숙소였으며, 톈산산맥을 넘어 카슈가르로 가는 길목에 위치했다.

16세기 무굴 제국바부르는 마르길란에 대해 "석류와 살구가 맛있고, 사냥감은 흰 사슴 등 훌륭하며, 토착민인 사르트인은 싸움을 좋아하고, 트란스옥시아나 전역에서 유행하는 악마 퇴치는 마르길란 사람들이 퍼뜨리고 있다"라고 기록했다.

2. 2. 중세 및 근세

전설에 따르면 마르길란은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해 건립되었다. 어느 날 점심 식사에서 대왕에게 닭고기(무르그/murghfas)와 빵(난/nanfas)이 제공된 데서 도시 이름이 유래했다.

9세기부터 실크로드의 주요 대상 숙소였으며, 톈산산맥을 넘어 카슈가르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었다. 16세기, 무굴 제국바부르는 "석류와 살구가 맛있고, 사냥감은 흰 사슴 등 훌륭하며, 토착민인 사르트인은 싸움을 좋아하고, 트란스옥시아나 전역에서 유행하는 악마 퇴치는 마르길란 사람들이 퍼뜨리고 있다" 등 마르길란에 대한 인상을 기록했다.

마르길란 상인들은 중앙아시아 상업을 지배하며, 우즈베키스탄의 암시장을 장악해 왔다. 현재 마르길란은 이슬람 보수주의의 거점이 되고 있다. 마르길란은 "올드마르길란"이라고도 불렸는데, 이는 마르길란 남쪽의 페르가나를 러시아인들이 "뉴마르길란"(노비마르길란, Новый Маргелан)이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2. 3. 제정 러시아 시대

전설에 따르면 마르길란은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해 건립되었다. 어느 날 점심 식사에서 대왕에게 닭고기(페르시아어로 murgh, مرغ)와 빵(페르시아어로 nan, نان)이 제공된 데서 도시 이름이 유래했다.

9세기부터 실크로드의 주요 대상 숙소였으며, 톈산산맥을 넘어 카슈가르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었다.

16세기, 무굴 제국바부르는 "석류와 살구가 맛있고, 사냥감은 흰 사슴 등 훌륭하며, 토착민인 사르트인은 싸움을 좋아하고, 트란스옥시아나 전역에서 유행하는 악마 퇴치는 마르길란 사람들이 퍼뜨리고 있다" 등 마르길란에 대한 인상을 기록했다.

마르길란 사람들의 강인함은 오늘날에도 남아 있다. 마르길란 상인들은 중앙아시아 상업을 지배하며, 우즈베키스탄의 암시장을 장악해 왔다. 현재 마르길란은 이슬람 보수주의의 거점이 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최대의 견직 공장이 있으며, 최고 품질의 견직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모든 것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지켜지고 있다.

마르길란 남쪽의 페르가나를 "뉴마르길란"(노비마르길란, Новый Маргелан)이라고 러시아인들이 불렀기 때문에 마르길란은 "올드마르길란"이라고도 불렸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내용은 제공된 문서에 존재하지 않아, 해당 섹션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5. 현대



전설에 따르면 마르길란은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해 건립되었다. 어느 날 점심 식사에서 대왕에게 닭고기(무르그/murghper)와 빵(난/nanper)이 제공된 데서 도시 이름이 유래했다고 한다.

9세기부터 실크로드의 주요 대상 숙소였으며, 톈산산맥을 넘어 카슈가르로 가는 길목에 위치해 있었다. 16세기 무굴 제국바부르는 "석류와 살구가 맛있고, 사냥감은 흰 사슴 등 훌륭하며, 토착민인 사르트인은 싸움을 좋아하고, 트란스옥시아나 전역에서 유행하는 악마 퇴치는 마르길란 사람들이 퍼뜨리고 있다"고 기록했다.

마르길란 상인들은 중앙아시아 상업을 지배하며, 우즈베키스탄의 암시장을 장악해 왔다. 현재 마르길란은 이슬람 보수주의의 거점이 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 최대의 견직 공장이 있으며, 최고 품질의 견직 제품이 생산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모든 것이 전통적인 방식으로 지켜지고 있다.

마르길란 남쪽의 페르가나를 러시아인들이 "뉴마르길란"(노비마르길란, Новый Маргелан)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마르길란은 "올드마르길란"이라고도 불렸다.

3. 경제

마르길란은 고대사부터 생산과 비단 직물 생산의 중심지였다. 기념품 공장 "요드골릭"과 "파이줄로딘", 그리고 "아틀라스" 회사가 있다. 많은 장인들이 집에서 일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큰 전통 비단 공장인 요드골릭 실크 공장이 마르길란에 있다. 이 공장에는 2,000명 이상의 노동자가 고용되어 있으며 연간 250,000 평방 미터의 실크 천을 생산한다. 인근의 마르길란 실크 공장에서는 현대식 기계를 사용하여 15,000명의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으며 연간 약 2,200만 평방 미터를 생산한다.

도시 경제는 주로 대규모 도매 바자르와 식품 시장에 집중되어 있다. 민간 부문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다. 도시의 주민들은 주로 매매와 수공예에 종사하며, 많은 사람들이 공공 기관에서 일한다.

소련 시대에 이 도시에는 실크 공장, 예술 및 봉제 공장, 수리-기계, 트랙터 수리, 목공, 주철소 및 유제품 공장이 건설되었다.

4. 주요 유적지



마르길란, 페르가나 계곡, 우즈베키스탄의 한 공장에서의 비단 생산


; 요드골릭 실크 공장 (Yodgorlik Silk Factory)

요드고르릭 실크 공장은 1983년 산업화에 직면하여 전통적인 실크 직조 기술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고품질 수공예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7] 200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으며, 누에에게 뽕나무 잎을 먹이는 것부터, 천연 광물 및 식물 염료로 실크를 염색하고, 실크를 직조하는 것까지 모든 생산 공정이 공장에서 이루어진다.[7] 이 공장은 관광객들이 마르길란의 전통적인 실크 직조 산업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가이드 투어를 위해 대중에게 공개된다.[7]

; 마르길란 실크 공장 (Margilan Silk Factory)

마르길란 실크 공장은 대규모 국영 실크 생산 시설이다.[7] 전성기에는 15,000명의 노동자를 고용하여 연간 최대 2,200만 제곱미터의 실크를 생산했다.[7] 현재도 방문이 가능하다.[8]

; 쿰테파 바자르 (The Kumtepa Bazaar)

쿰테파 바자르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활기 넘치는 시장 중 하나이다.[7] 이 시장은 마르길란 시내에서 서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서 매주 일요일과 목요일에 열리며, 섬유 제품, 신선한 농산물, 그리고 가정용품 등을 판매한다.[7]

; 토론 모스크 (Toron Mosque)

토론 사원은 마르길란 중앙 시장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다. 이 사원은 19세기, 부유한 자선가이자 차르 정부의 고문이었으며 볼셰비키 혁명 당시 마르길란으로 도망친 사이드 아흐마드 호자예프에 의해 세워졌다.[7] 20세기에는 감옥으로 사용되다가 사무실이 되었다. 현재는 전통적인 '아틀라스'와 '아드라스' 직물 제조 기술을 보존하는 마르길란 공예 개발 센터가 자리하고 있다.[9]

; 코나칸 모스크 (Khonakhan Mosque)

코나칸 모스크(Khonakhan Mosque) (코나코 모스크라고도 함)는 16세기에 지어졌으며 문화부에서 개조했다. 이 모스크는 각각 26미터 높이의 인상적인 두 개의 미나렛을 가지고 있으며, 마르길란의 장인이 시더로 만든 조각된 나무 기둥이 특징이다.[7]

4. 1. 요드골릭 실크 공장 (Yodgorlik Silk Factory)

요드고르릭 실크 공장은 1983년 산업화에 직면하여 전통적인 실크 직조 기술을 보존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고품질 수공예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7] 200명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으며, 누에에게 뽕나무 잎을 먹이는 것부터, 천연 광물 및 식물 염료로 실크를 염색하고, 실크를 직조하는 것까지 모든 생산 공정이 공장에서 이루어진다.[7] 이 공장은 관광객들이 마르길란의 전통적인 실크 직조 산업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가이드 투어를 위해 대중에게 공개된다.[7]

4. 2. 마르길란 실크 공장 (Margilan Silk Factory)

마르길란 실크 공장은 대규모 국영 실크 생산 시설이다.[7] 전성기에는 15,000명의 노동자를 고용하여 연간 최대 2,200만 제곱미터의 실크를 생산했다.[7] 현재도 방문이 가능하다.[8]

4. 3. 쿰테파 바자르 (The Kumtepa Bazaar)

쿰테파 바자르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활기 넘치는 시장 중 하나이다.[7] 이 시장은 마르길란 시내에서 서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서 매주 일요일과 목요일에 열리며, 섬유 제품, 신선한 농산물, 그리고 가정용품 등을 판매한다.[7]

4. 4. 토론 모스크 (Toron Mosque)

토론 사원은 마르길란 중앙 시장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다. 이 사원은 19세기, 부유한 자선가이자 차르 정부의 고문이었으며 볼셰비키 혁명 당시 마르길란으로 도망친 사이드 아흐마드 호자예프에 의해 세워졌다.[7] 20세기에는 감옥으로 사용되다가 사무실이 되었다. 현재는 전통적인 '아틀라스'와 '아드라스' 직물 제조 기술을 보존하는 마르길란 공예 개발 센터가 자리하고 있다.[9]

4. 5. 코나칸 모스크 (Khonakhan Mosque)

코나칸 모스크(Khonakhan Mosque) (코나코 모스크라고도 함)는 16세기에 지어졌으며 문화부에서 개조했다. 이 모스크는 각각 26미터 높이의 인상적인 두 개의 미나렛을 가지고 있으며, 마르길란의 장인이 시더로 만든 조각된 나무 기둥이 특징이다.[7]

5. 지리

마르길란은 페르가나 계곡 남동부에 위치하며, 알라이 산맥의 구릉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지역 중심지인 페르가나 시에서 북서쪽으로 9km 떨어져 있다. 안디잔 - 코칸드 철도 노선에 기차역이 있다.

6. 인구

마르길란은 페르가나주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페르가나, 코칸트와 함께 3대 도시로 꼽힌다. 30개 이상의 민족 대표가 이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1897년 1월 28일(2월 9일), 러시아 황제가 승인한 "러시아 제국 제1차 인구 조사 규정"에 따라 실시된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마르길란은 중앙아시아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2014년 1월 1일 기준, 인구는 215,400명이다.

참조

[1] PDF Hududlar bo'yicha shahar va qishloq aholisi soni https://www.farstat.[...] Fergana regional department of statistics
[2] 웹사이트 Margilan, Uzbekistan https://web.archive.[...] 2021-02-03
[3] 서적 The Babur-nama
[4] 웹사이트 Маргилан расположен на юге Ферганы - Samarkand Tours Operator https://samarkandtou[...] 2023-10-26
[5] 웹사이트 Маргилан :: Институт географии РАН http://www.igras.ru/[...] 2023-10-26
[6] 간행물 Polskie groby w Uzbekistanie i Kazachstanie. W 60. rocznicę polskiego wychodźstwa z ZSRR 2002
[7] 서적 Uzbekistan Bradt Guides Ltd
[8] 웹사이트 Margilan Travel Guide https://caravanistan[...] 2021-04-20
[9] 웹사이트 UNESCO - Margilan Crafts Development Centre, safeguarding of the atlas and adras making traditional technologies https://ich.unesco.o[...] 2020-11-01
[10] 이미지 https://web.archive.[...] 2024-08
[11] 문서 Демоскоп Week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