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르셀 파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셀 파뇰은 프랑스의 극작가, 영화 제작자, 소설가, 그리고 번역가였다. 1895년 마르세유 근처에서 태어나, 희곡 《토파즈》의 성공과 마르세유 3부작(《마리우스》, 《파니》, 《세자르》)으로 명성을 얻었다. 영화 시나리오 작가로도 활동하며, 1930년대에 영화 제작에 전념하여 《빵집 여인의 딸》과 같은 작품을 남겼다. 파뇰은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된 최초의 영화 제작자였으며, 자전적 소설 시리즈 《어린 시절의 추억》을 통해 소설가로서도 인정받았다. 그는 셰익스피어와 베르길리우스의 작품을 프랑스어로 번역하기도 했으며, 1974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극작가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로제 마르탱 뒤 가르는 프랑스 소설가로, 19세기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전통을 계승하여 부르주아 사회의 모순과 제1차 세계 대전의 비극을 묘사하고 사회주의적 이상과 평화주의적 신념을 작품에 담아 1937년 《티보 가의 사람들》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프랑스의 극작가 - 올랭프 드 구주
    프랑스 혁명 시대 작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인 올랭프 드 구주는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 선언'을 통해 여성의 권리 신장을 촉구하고 노예제 폐지 등을 주장했으나, 반혁명 혐의로 처형당했다.
  • 스페인계 프랑스인 - 파블로 피카소
    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태생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입체파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입체주의 미술 양식을 창시했으며 《아비뇽의 처녀들》, 《게르니카》 등의 대표작과 함께 회화, 조각, 판화,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긴 20세기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스페인계 프랑스인 - 앙드레 테시네
    앙드레 테시네는 194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965년 단편 영화로 데뷔하여 인간의 복잡한 감정을 다루는 우아하고 감성적인 연출로 유명한 영화 감독이다.
  • 프랑스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뤼시앵 페브르
    뤼시앵 페브르는 마르크 블로크와 함께 아날 학파를 창시하여 총체적 역사와 심성사를 개척하고 다양한 사료 활용 및 학문 간 협력을 강조하며 20세기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 프랑스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샤를 드골
    샤를 드골은 프랑스의 장군이자 정치가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 운동을 이끌고 전후 제5공화국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프랑스 해방과 재건에 기여했으나, 독단적인 성격과 국수주의적 경향으로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마르셀 파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48년의 파뇰
1948년의 파뇰
본명마르셀 폴 파뇰
출생1895년 2월 28일
출생지오바뉴, 프랑스 제3공화국
사망1974년 4월 18일 (79세)
사망지파리, 프랑스
국적프랑스인
직업작가
극작가
영화 감독
활동 기간알 수 없음
배우자시몬 콜린 (1916년-1941년)
자클린 파뇰 (1945년-1974년)
웹사이트마르셀 파뇰 공식 웹사이트
주요 작품
수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
1939년 『두 번째 수확』
1940년 『빵 굽는 아내』
세자르상명예상
1981년

2. 생애

마르세유 근처에서 태어나 중학교 영어교사로 남프랑스를 전전한 후 파리로 부임하여 극작가가 되었다.[1] 1928년 〈토파즈〉가 상연횟수 1,000회를 넘는 대성공을 거두었으며, 〈마리우스〉, 〈파니〉, 〈세잘〉로 이어지는 마르세유 3부작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들은 풍속적인 서정성과 경쾌한 사회 풍자를 조화시켰지만, 때로는 통속적인 오락극에 빠질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영화 시나리오 작가로서도 〈빵가게 마누라〉 등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평론 〈웃음에 대하여〉와 소설도 있다.

1916년 시몬 콜린과 마르세유에서 결혼했지만, 아버지 조제프에게는 평판이 좋지 않았다[16]. 1945년 배우 자클린 부비에와 결혼했다.

1946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이 되었는데, 이는 영화 제작자로서는 최초였다.

1974년 4월 18일 파리 16구에서 사망했다. 라 트레유 시립 묘지에 부모, 남동생, 아내와 함께 안장되었으며, 제2차 마른 전투에서 전사한 소꿉친구도 근처에 묻혀 있다.

파뇰의 소설 '언덕의 샘'은 자신의 영화 '샘의 마농' 2부작을 소설화한 것으로, 클로드 베리 감독이 1980년대에 영화화하여 국제적인 평가를 받았다.( '사랑과 숙명의 샘 플로레트가의 장', '사랑과 숙명의 샘 샘의 마농')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895년 2월 28일, 마르세유 근처 오바뉴에서 학교 선생님인 아버지 조제프 파뇰과 재봉사 어머니 오귀스틴 랑소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 남동생 폴과 르네, 여동생 제르멘과 함께 마르세유에서 성장했다.[4]

어린 시절 글을 빨리 깨우쳐 아버지를 놀라게 했으나, 어머니는 아들의 건강을 염려하여 6살까지 책 읽는 것을 금지하기도 했다.[14] 10세에 마르세유의 명문 리세 장학 시험에 2등으로 합격하여 입학했고, 훗날 아카데미 프랑세즈 작가가 되는 알베르 코엔을 만나 평생 친구가 되었다. 15세에 첫 희곡을 썼으며, 아버지의 뒤를 이어 리세의 영어 교사가 되기도 했다.

1904년 7월부터 가족과 함께 오바뉴와 마르세유 사이 언덕에 위치한 라 트레유의 별장 ''바스티드 뇌브''에서 여름 휴가를 보내기 시작했다.[1], [5] 그러나 어머니 오귀스틴의 건강이 악화되어 1910년 6월 16일, 36세의 나이로 가슴 감염으로 사망했다.[6] 아버지 조제프는 1912년에 재혼했다.[1]

1913년, 18세에 철학 바칼로레아를 통과하고[1] 엑상프로방스 대학교에서 문학을 공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니스에서 보병으로 징집되었으나, 1915년 1월 허약 체질로 제대했다.[1] 1916년 3월 2일, 마르세유에서 시몬 콜랭과 결혼했고, 11월에 영어 학위를 취득하여[1] 여러 지역 전문학교와 마르세유의 리세에서 영어 교사로 재직했다.[1]

2. 2. 결혼과 가족

1916년 시몬 콜린과 마르세유에서 결혼했지만, 아버지 조제프에게는 평판이 좋지 않았다[16]. 1945년 배우 자클린 부비에와 결혼했다.

2. 3. 교직 생활과 극작 활동

1895년 2월 28일 마르세유 근처에서 태어나 중학교 영어교사로 남프랑스를 전전한 후 파리로 부임하여 극작가에 뜻을 두었다.[1] 1922년부터 1927년까지 파리에서 영어를 가르쳤으며, 이후 극작에 전념했다.[7]

이 시기에 그는 젊은 작가 그룹에 속해 있었는데, 그 중 한 명인 폴 니보아와 협력하여 1924년 희곡 《영광의 상인들》을 썼다. 1928년에는 야심을 주제로 한 풍자극 《토파즈》가 나왔다.[1] 파리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그는 향수병에 젖어 프로방스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희곡 《마리우스》를 썼으며, 이 작품은 1931년 영화로 각색된 그의 첫 번째 작품이 되었다.[7]

《토파즈》는 상연횟수 1,000회를 넘는 대성공을 거두었으며, 《마리우스》, 《파니》, 《세잘》로 이어지는 마르세유 3부작은 그의 세계적 명성을 보증했다. 이 작품들은 교묘한 극작술을 구사하여 풍속적인 서정성과 경쾌한 사회 풍자를 조화시켰는데, 때로는 통속적인 오락극에 빠질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2. 4. 영화계 진출과 활동

1929년, 런던을 방문한 파뇰은 최초의 유성 영화 중 하나를 관람하고 깊은 감명을 받아 영화에 전념하기로 결심했다.[8] 그는 파라마운트 영화사에 연락하여 자신의 희곡 ''마리우스''를 영화로 각색할 것을 제안했다. 이 영화는 알렉산더 코르다가 감독했으며 1931년 10월 10일에 개봉되었다.[1] 이 영화는 최초의 성공적인 프랑스어 유성 영화 중 하나가 되었다.

1932년, 파뇰은 마르세유 근교의 시골에 자신의 영화 제작 스튜디오를 설립했다.[1] 그 후 10년 동안 파뇰은 재정가, 감독, 각본가, 스튜디오 책임자, 외국어 각본 번역가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아 영화를 제작했으며, 당대 최고의 프랑스 배우들을 고용했다.

; 감독 작품

연도제목비고
1933년조프로이(Jofroi)
1934년안젤르(Angèle)
1935년메르뤼스(Merlusse)
1935년시갈롱(Cigalon)
1936년토파즈(Topaze)루이 쥐베 주연, 최초의 영화화
1936년세자르(César)
1937년레갱(Regain)
1938년슈퐁츠(Le Schpountz)
1938년빵집 여인(La Femme du boulanger)
1940년우물 파는 여인의 딸(La Fille du puisatier)
1941년별에 바치는 기도(La Prière aux étoiles)미완성
1945년나이스(Naïs)
1948년아름다운 방앗간 여인(La Belle meunière)컬러 작품
1951년토파즈(Topaze)페르낭델 주연, 리메이크판
1952년샘의 마농(Manon des sources)후에 사랑과 숙명의 샘 샘의 마농으로 리메이크, 감독 클로드 베리 (1986년)
1954년풍차 방앗간의 편지(Les Lettres de mon moulin)


2. 5. 소설가로서의 활동

1945년, 파뇰은 배우 자클린 파뇰(Jacqueline Bouvier)과 재혼했다.[1] 슬하에 두 자녀, 프레데릭(1946년생)과 에스텔(1949년생)을 두었으나,[1] 에스텔은 두 살에 사망했다. 파뇰은 큰 충격을 받아 남부 지방을 떠나 파리로 돌아와 살았다. 다시 희곡을 쓰기 시작했지만, 차기작이 좋지 않은 평가를 받자 직업을 바꾸기로 결심하고 어린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소설 시리즈인 ''어린 시절의 추억''을 쓰기 시작했다.

1957년, 이 시리즈의 첫 번째 소설 두 편인 ''내 아버지의 영광''과 ''내 어머니의 성''이 출판되어 즉각적인 호평을 받았다.[1] 세 번째 작품인 ''비밀의 시간''은 1959년에 출판되었고,[1] 네 번째 작품인 ''사랑의 시간''은 미완성으로 남아 그의 사후인 1977년에 출판되었다. 그동안 파뇰은 두 번째 시리즈인 ''언덕의 물(L'Eau des Collines)'' – ''장 드 플로레트''와 ''샘의 마농(Manon des Sources)'' – 에 집중했는데, 이 소설은 20세기 초 프로방스 농민들의 음모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1962년에 출판되었다.[1]

파뇰은 자신의 영화 ''샘의 마농''을 각색하여 아내 자클린을 타이틀 롤로 캐스팅하여 ''장 드 플로레트''와 ''샘의 마농'' 두 편의 소설로 만들었고, 이 소설들은 통칭하여 ''언덕의 물(L'Eau des Collines)''이라고 불린다.

2. 6. 번역


  • Topaze프랑스어 (1928), Fanny프랑스어 (1931)
  • * 토파즈/파니한국어, 최완복 역, 을유문화사, 1990.
  • Souvenirs d'enfance프랑스어 (1957, 1958, 1960)
  • * 마르셀의 여름한국어, 이재형 역, 서해문집, 전 2권, 2012.
  • L'Eau des collines프랑스어 (1963)
  • * 마농의 샘한국어, 조은경 역, 뿔, 전 2권, 2007.
  • * 마농의 샘한국어, 조은경 역, 펭귄, 전 2권, 2015.
  • Le temps des amours프랑스어 (1977)
  • * 사랑의 시절한국어, 이재형 역, 문예출판사, 1999.

파뇰은 셰익스피어 (영어)와 베르길리우스 (라틴어) 번역으로도 유명했다.

파뇰의 Hamlet영어은 프랑스에서 여전히 공연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햄릿의 묘사가 다소 여성스럽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 『소년 시대』 사토 후사키치 역, 평론사 출판, 이후 평론사 문고 전 3권
  • 『사랑과 운명의 샘』 사토 후사키치 역, 평론사 문고 전 2권
  • 『"철가면"의 비밀』 사토 후사키치 역
  • 『웃음에 대하여』 스즈키 치카에 역, 이와나미 신서 청판
  • 『평론가를 평론하다』 카와마타 코우지 역, 이와나미 신서 청판
  • 『토파즈』, 『마리우스』 나가토 토시오 역, 백수사

2. 7. 죽음

파뇰은 1974년 4월 18일 파리에서 사망했다.[1] 그는 마르세유의 라 트레유 묘지에 어머니, 아버지, 형제, 아내와 함께 묻혔다. 그의 어린 시절 친구였던 다비드 마냥(자서전에서 ''릴리 데 벨롱'')은 1918년 7월 마른 전투에서 사망했으며, 근처에 묻혔다.

3. 작품 세계

마르셀 파뇰은 교묘한 극작술을 구사하여 풍속적인 서정성과 경쾌한 사회 풍자를 조화시켰지만, 때로는 통속적인 오락극에 빠질 위험성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영화 시나리오 작가로서도 <빵가게 마누라>와 같은 뛰어난 작품을 남겼으며,[9] 평론 <웃음에 대하여>와 소설도 발표했다.

3. 1. 주제와 특징

마르세유 근처에서 태어나 중학교 영어교사로 남프랑스를 전전한 후 파리로 부임하여 극작가가 되었다. 1928년 <토파즈>는 상연 횟수 1,000회를 넘는 대성공을 거두었으며, <마리우스>, <파니>, <세잘>로 구성된 마르세유 3부작은 그의 세계적 명성을 보증했다.[9] 이 작품들은 풍속적인 서정성과 경쾌한 사회 풍자를 조화시켰다.[9] 영화 시나리오 작가로서도 <빵가게 마누라> 등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9]

파뇰은 영화를 통해 희곡 작가로서의 재능을 스크린으로 옮겼다. 그의 편집 스타일은 신중하고 절제되어 있으며, 이미지의 내용에 중점을 둔다. 파뇰은 그림 같은 자연주의자로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도구뿐만 아니라 더 깊은 의미를 전달하는 예술로서 영화에 의존했다. 또한 배우 유형에도 많은 신경을 써서, 독특한 억양과 문화를 강조하기 위해 지역 배우들을 영화에 출연시켰다. 그의 희곡처럼 파뇰의 영화는 대화와 음악성을 강조한다. 파뇰 영화의 많은 주제는 사회적 의례에 대한 날카로운 관찰을 중심으로 한다. 자부심 강한 아버지와 반항적인 자식과 같은 상호 교환 가능한 상징과 반복되는 역할들을 사용하여 파뇰은 하층 계급의 지방 생활을 조명한다. 특히 파뇰은 여성과 토지를 자주 비교하여 둘 다 불모하거나 비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무엇보다도 파뇰은 이 모든 것을 사용하여 인간의 유대와 그 갱신의 중요성을 보여준다.[9]

3. 2. 영화 기법

파뇰은 영화를 통해 희곡 작가로서의 재능을 스크린으로 옮겼다. 그의 편집 스타일은 신중하고 절제되어 있으며, 이미지의 내용에 중점을 둔다. 파뇰은 그림 같은 자연주의자로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도구로서뿐만 아니라 더 깊은 의미를 전달하는 예술로서 영화에 의존했다. 파뇰은 또한 배우 유형에도 많은 신경을 써서, 독특한 억양과 문화를 강조하기 위해 지역 배우들을 영화에 출연시켰다. 그의 희곡처럼 파뇰의 영화는 대화와 음악성을 강조한다. 파뇰 영화의 많은 주제는 사회적 의례에 대한 날카로운 관찰을 중심으로 한다. 자부심 강한 아버지와 반항적인 자식과 같은 상호 교환 가능한 상징과 반복되는 역할들을 사용하여 파뇰은 하층 계급의 지방 생활을 조명한다. 특히 파뇰은 여성과 토지를 자주 비교하여 둘 다 불모하거나 비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무엇보다도 파뇰은 이 모든 것을 사용하여 인간의 유대와 그 갱신의 중요성을 보여준다.[9]

4. 주요 작품

마르셀 파뇰은 극작가이자 영화 시나리오 작가였다. 희곡으로는 1928년 〈토파즈〉가 상연 횟수 1,000회를 넘는 대성공을 거두었으며, 〈마리우스〉, 〈파니〉, 〈세자르〉의 마르세유 3부작이 그의 세계적 명성을 보증했다. 영화 시나리오로는 〈빵가게 마누라〉 등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13] 이 밖에도 평론 〈웃음에 대하여〉와 소설 등이 있다.

4. 1. 희곡

마르셀 파뇰은 1928년 <토파즈>로 상연 횟수 1,000회를 넘는 대성공을 거두었으며, <마리우스>, <파니>, <세자르>를 포함한 마르세유 3부작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들은 풍속적인 서정성과 경쾌한 사회 풍자를 조화시킨 교묘한 극작술을 보여주지만, 때로는 통속적인 오락극에 빠질 위험성도 지니고 있다.

  • 영광의 상인들(1925)
  • 재즈(1926)
  • 토파즈(1928)
  • 마리우스(1929)
  • 파니(1932)
  • 세자르(1936)

4. 2. 소설

파뇰은 1928년 희곡 ''토파즈''를 시작으로, 1931년에는 ''파니''를 발표했다.[1] 1957년에는 어린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전적 소설 시리즈 ''어린 시절의 추억''을 쓰기 시작했다. 첫 번째 소설 두 편인 ''내 아버지의 영광''과 ''내 어머니의 성''은 출판되자마자 호평을 받았다.[1] 1959년에는 세 번째 작품인 ''비밀의 시간''이 출판되었고,[1] 네 번째 작품인 ''사랑의 시간''은 미완성으로 남아 그의 사후인 1977년에 출판되었다.[1]

그동안 파뇰은 ''언덕의 물(L'Eau des Collines)'' 시리즈 – ''장 드 플로레트''와 ''샘의 마농'' – 에 집중했는데, 이 소설들은 20세기 초 프로방스 농민들의 음모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1962년에 출판되었다.[1] 파뇰은 자신의 영화 ''샘의 마농''을 각색하여 ''장 드 플로레트''와 ''샘의 마농'' 두 편의 소설로 만들었고, 이 소설들을 통칭하여 ''언덕의 물''이라고 부른다.

다음은 파뇰의 소설 및 희곡 목록이다.

제목출판 연도비고
토파즈 Topaze1928희곡
파니 Fanny1931희곡
내 아버지의 영광 La Gloire de mon père1957자전적 소설, 어린 시절의 추억 시리즈
내 어머니의 성 Le château de ma mère1957자전적 소설, 어린 시절의 추억 시리즈
비밀의 시간 Le Temps des secrets1959자전적 소설, 어린 시절의 추억 시리즈
장 드 플로레트 Jean de Florette1962'언덕의 물(LEau des Collines)'' 시리즈
샘의 마농 Manon des Sources1962'언덕의 물(LEau des Collines)'' 시리즈
사랑의 시간 Le temps des amours1977자전적 소설, 어린 시절의 추억 시리즈, 미완성


4. 3. 영화

마르셀 파뇰은 영화 시나리오 작가로도 활동하여 〈빵가게 마누라〉 등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13]

제목연도
마리우스1931
파니1932
조프로이1934
앙젤1934
타르타랭 드 타라스콩1934
메를뤼스1935
시갈롱1935
토파즈 (첫 번째 버전)1936
세자르1936
레갱1937
르 슈퐁츠1938
빵집 여인의 애인1938
브로토노 씨1939
우물 파는 여인의 딸 (2011년 리메이크)1940
별을 향한 기도 (미완성)1941
나이스1945
예쁜 방앗간 아가씨 (컬러)1949
사랑의 방식1950
더 프라이즈1950
토파즈 (페르낭델 주연, 두 번째 버전)1951
샘의 마농 (나중에 라 드 콜린으로 소설화;[13] 1986년 장 드 플로레트와 샘의 마농의 두 부분으로 리메이크)1952
내 풍차 방앗간에서 온 편지 (레 레트르 드 몽 물랭)1954



; 감독 작품

제목연도
조프로이(Jofroi)1933년
안젤르(Angèle)1934년
메르뤼스(Merlusse)1935년
시갈롱(Cigalon)1935년
토파즈(Topaze) (루이 쥐베 주연, 최초의 영화화)1936년
세자르(César)1936년
레갱(Regain)1937년
슈퐁츠(Le Schpountz)1938년
빵집 여인(La Femme du boulanger)1938년
우물 파는 여인의 딸(La Fille du puisatier)1940년
별에 바치는 기도(La Prière aux étoiles) (미완성)1941년
나이스(Naïs)1945년
아름다운 방앗간 여인(La Belle meunière) (컬러 작품)1948년
토파즈(Topaze) (페르낭델 주연, 리메이크판)1951년
샘의 마농(Manon des sources) (후에 사랑과 숙명의 샘 샘의 마농으로 리메이크, 감독 클로드 베리 (1986년))1952년
풍차 방앗간의 편지(Les Lettres de mon moulin)1954년


4. 4. 수상


  • 1939년: 영화 《수확》(Harvest)으로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을 받았다.[1]
  • 1940년: 영화 《빵집 마누라》(The Baker's Wife)로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을 받았다.[2]
  • 1950년: 영화 《조프로이》(Jofroi)로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외국어 영화상을 받았다.[3]

5. 유산 및 영향

이브 로베르 감독은 1990년 파뇰의 회상록 『소년 시절의 추억』 중 2부와 3부를 바탕으로 영화 『프로방스의 여름』과 그 속편인 『마르셀의 성』을 제작했다.[11] 작가주의 영화 감독들은 "국민적 영화 감독" 사샤 기트리와 함께 파뇰의 "작가성"을 인정하고 재평가했다. 구글은 2020년 2월 28일 파뇰의 125번째 생일을 구글 두들로 기념했다.[11]

참조

[1] 웹사이트 Pagnol: Meaning and Definition of | Infoplease https://www.infoplea[...]
[2] 서적 The A to Z of French Cinema https://archive.org/[...] Scarecrow Press
[3] 문서 Castans
[4] 웹사이트 Saint-Charles Church Marseille https://tourisme-mar[...]
[5] 문서 Castans
[6] 문서 Castans
[7] 서적 501 Movie Directors Cassell Illustrated
[8] 서적 French Musical Culture and the Coming of Sound Cinema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Republic of Images Harva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Pagnol et Shakespeare Opéra
[11] 웹사이트 Marcel Pagnol's 125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20-02-28
[12] 문서 Marius and its sequels, Fanny and César
[13] 영화 Manon des Sources
[14] 웹사이트 Marcel Pagnol http://www.kirjasto.[...]
[15] 웹사이트 La Treille http://membres.lycos[...]
[16] 웹사이트 http://www.marcel-pa[...]
[17] 서적 フランス映画史の誘惑 集英社新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