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법소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법소녀는 변신하여 초자연적인 힘을 사용하는 소녀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일본의 서브컬처 장르이다. 1953년 만화 《리본의 기사》를 기원으로, 1960년대 애니메이션 《마녀 샐리》를 통해 장르가 정립되었다. 1990년대 《세일러 문》의 성공으로 변신 히어로의 요소와 여성적 관심사를 결합하며 큰 변화를 겪었고, 이후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했다. 마법소녀물은 주로 어린 소녀를 대상으로 하며, 여성성과 젊음을 주요 테마로 다룬다. 작품 속 마법소녀는 마법 세계와 현실 세계를 오가며, 변신, 마법 주문, 수호 요정 등의 특징을 가지며, 로맨스와 우정을 중요한 요소로 다룬다. 이 장르는 일본뿐 아니라 서구 및 아시아에서도 인기를 얻으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법소녀 - 야마부키 이노리
    야마부키 이노리는 수의사를 꿈꾸는 소심한 소녀로, 《프레쉬 프리큐어!》에서 큐어 파인으로 변신하여 동료들과 함께 악에 맞서 싸우며 필살기를 사용한다.
  • 마법소녀 - 토모에 마미
    토모에 마미는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마법소녀로, 금발 트윈테일과 머스킷 총을 사용하는 미타키하라 중학교 3학년 선배이며, 마도카에게 멘토 역할을 하지만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반전을 선사하고 '마미루' 밈을 생성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마법소녀
기본 정보
명칭
일본어魔法少女 (마호 쇼조)
로마자 표기mahō shōjo
작은 마녀 (마조코)
특징
장르애니메이션만화 장르
주요 등장인물마법 능력을 가진 소녀
전형적인 설정평범한 소녀가 마법 능력을 얻음
변신하여 악과 싸움
귀여운 외모와 화려한 의상
인기 요인소녀들의 꿈과 희망을 그림
귀여운 캐릭터와 화려한 액션
다양한 연령층의 팬덤 형성
역사
초기 작품마법사 샐리 (1966)
발전1980년대: 크리미 마미, 마법의 프린세스 밍키 모모 등
1990년대: 미소녀전사 세일러문의 큰 성공
현대의 마법소녀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다크 판타지 요소 도입
다양한 주제와 스타일의 작품 등장
하위 장르
전투 마법소녀악과 싸우는 액션 중심의 마법소녀
변신 마법소녀변신을 통해 능력을 사용하는 마법소녀
아이돌 마법소녀아이돌 활동과 마법 능력을 겸하는 마법소녀
다크 마법소녀어둡고 비극적인 설정을 가진 마법소녀
관련 용어
마조코작은 마녀 (마법소녀의 다른 명칭)
토쿠사츠특수 촬영물 (마법소녀물에 영향을 줌)
문화적 영향
애니메이션일본 애니메이션의 주요 장르 중 하나
만화일본 만화의 주요 장르 중 하나
팬덤전 세계적으로 큰 팬덤 보유
기타
관련 문서마법소녀 (동음이의)
마법소녀물

2. 장르의 역사

만화 시리즈 《리본의 기사》(1953)는 평소 할 수 없는 일을 하기 위해 변신하는 소녀들의 매력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마법소녀 장르의 원형으로 여겨진다.[4]비밀의 아코짱》(1962)는 소녀 만화 잡지 《리본》에 연재되었으며, 가장 초기의 마법소녀 만화 시리즈로 여겨진다.[5]

도에이 애니메이션이 제작한 1966년 애니메이션 텔레비전판 《마녀 샐리》는 최초의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으로 여겨진다.[4][6][7] 横山光輝(요코야마 미츠테루) 원작으로 동애 애니메이션(東映アニメーション)(동애동화(東映動画))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된 『마법사 샐리(魔法使いサリー)』(1966년)에서는 인간 세계에 온 대마왕의 딸 "샐리"를 둘러싼 인간 관계와 마법을 사용한 사람 돕기를 중심으로 한 인정 드라마가 메인이었다.[74] 이 애니메이션은 변신을 위해 컴팩트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소개했는데, 이는 현재도 마법소녀 장르의 현대 시리즈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8]

赤塚不二夫(아카츠카 후지오) 원작의 『비밀의 아코짱(ひみつのアッコちゃん)』(만화 1962년, 애니메이션 1969년)에서는 거울 요정으로부터 마법 콤팩트를 받은 인간 소녀 "거울 아츠코"(후의 작품에서는 "카가미 아츠코")가 등장한다. 『샐리』의 "이세계에서 온 방문자" 설정에 대하여 『아코짱』의 "마법의 힘을 받은 인간 소녀" 설정이 제시되면서 이후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에서의 "선천형 마법소녀", "후천형 마법소녀"의 두 가지 주류 장르의 원형이 확립되었다.

《마법사 샐리》 이후 미국 영화 『메리 포핀스』의 영향으로 요코야마 미츠테루 원작의 『코멧씨(コメットさん)』(1967년)가 실사(実写)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이시노모리 쇼타로(石ノ森章太郎) 원작의 『좋아! 좋아!! 마녀 선생님(好き! すき!! 魔女先生)』(1971년)에서 마법소녀에 들어가는지 미묘하지만, 애니메이션에 20년 앞서 미소녀 전사(안드로이드 가면)가 등장한다.

2. 1. 초기 (1953년 ~ 1971년)

만화 시리즈 《리본의 기사》(1953)는 평소 할 수 없는 일을 하기 위해 변신하는 소녀들의 매력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마법소녀 장르의 원형으로 여겨진다.[4]비밀의 아코짱》(1962)는 소녀 만화 잡지 《리본》에 연재되었으며, 가장 초기의 마법소녀 만화 시리즈로 여겨진다.[5]

도에이 애니메이션이 제작한 1966년 애니메이션 텔레비전판 《마녀 샐리》는 최초의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으로 여겨진다.[4][6][7] 横山光輝(요코야마 미츠테루) 원작으로 동애 애니메이션(東映アニメーション)(동애동화(東映動画))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된 『마법사 샐리(魔法使いサリー)』(1966년)에서는 인간 세계에 온 대마왕의 딸 "샐리"를 둘러싼 인간 관계와 마법을 사용한 사람 돕기를 중심으로 한 인정 드라마가 메인이었다.[74] 이 애니메이션은 변신을 위해 컴팩트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소개했는데, 이는 현재도 마법소녀 장르의 현대 시리즈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8]

赤塚不二夫(아카츠카 후지오) 원작의 『비밀의 아코짱(ひみつのアッコちゃん)』(만화 1962년, 애니메이션 1969년)에서는 거울 요정으로부터 마법 콤팩트를 받은 인간 소녀 "거울 아츠코"(후의 작품에서는 "카가미 아츠코")가 등장한다. 『샐리』의 "이세계에서 온 방문자" 설정에 대하여 『아코짱』의 "마법의 힘을 받은 인간 소녀" 설정이 제시되면서 이후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에서의 "선천형 마법소녀", "후천형 마법소녀"의 두 가지 주류 장르의 원형이 확립되었다.

《마법사 샐리》 이후 미국 영화 『메리 포핀스』의 영향으로 요코야마 미츠테루 원작의 『코멧씨(コメットさん)』(1967년)가 실사(実写)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이시노모리 쇼타로(石ノ森章太郎) 원작의 『좋아! 좋아!! 마녀 선생님(好き! すき!! 魔女先生)』(1971년)에서 마법소녀에 들어가는지 미묘하지만, 애니메이션에 20년 앞서 미소녀 전사(안드로이드 가면)가 등장한다.

2. 2. 1972년 ~ 1979년: 마녀 시리즈

도에이 애니메이션은 1970년대 대부분의 마법소녀 시리즈[1]를 제작했는데, 이는 통칭 "동애 마녀 시리즈(東映魔女っ子シリーズ)"[1]로 알려져 있다. 특히 《마법사 챠피(Mahōtsukai Chappy)》(1972)와 《마법소녀 메구짱(Majokko Megu-chan)》(1974)을 통해 장르에 대한 용어 "작은 마녀"}}를 대중화시켰다.[1] 《메구짱》은 여러 마법소녀의 묘사와 소녀들 간의 우정으로 주목받았다.[1] 일본의 여성 해방 운동의 영향과 때를 같이하여, 1970년대의 마법소녀들은 "어떤 요염함"을 보여주기 시작했다.[1]

일본의 마법소녀 작품은, 요코야마 미츠테루 원작으로 동애 애니메이션(東映アニメーション)(동애동화(東映動画))에 의해 애니메이션화된 『마법사 샐리(魔法使いサリー)』(1966년)가 장르 최초 작품으로 여겨진다.[74] 『샐리』에서는 인간 세계에 온 대마왕의 딸 "샐리"를 둘러싼 인간 관계와 마법을 사용한 사람 돕기를 중심으로 한 인정 드라마가 메인이다.

아카츠카 후지오 원작의 『비밀의 아코짱(ひみつのアッコちゃん)』(만화 1962년, 애니메이션 1969년)에서는 거울 요정으로부터 마법 콤팩트를 받은 인간 소녀 "거울 아츠코"가 등장한다. 『샐리』의 "이세계에서 온 방문자" 설정에 대하여 『아코짱』의 "마법의 힘을 받은 인간 소녀" 설정이 제시되면서 이후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에서의 "선천형 마법소녀", "후천형 마법소녀"의 두 가지 주류 장르의 원형이 확립되었다.

『마법사 샐리』 바로 후에 미국 영화 『메리 포핀스(メリー・ポピンズ)』의 영향으로 같은 요코야마 미츠테루 원작(원화)의 『코멧씨(コメットさん)』(1967년)가 실사(実写)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애니메이션 장르에서는 『아코짱』 이후에도 동애 제작에 의해 시리즈가 계속되었고, 당시 소녀 만화(少女漫画)의 영향을 받는 형태로 등장한 1974년의 『마녀소녀 메그짱(魔女っ子メグちゃん)』의 주인공으로 등장한 장난기 많고 코케티쉬한 "메그"의 캐릭터는 『샐리』의 우등생적인 마법소녀 이미지를 일소하고, 이후의 마법소녀물에서는 장난기 많은 주인공이 활약하게 된다.

2. 3. 1980년 ~ 1989년: 마법소녀로의 전환

1980년, 토에이 애니메이션은 '마법소녀 라라벨'을 통해 "6/마법소녀}}"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9] 《밍키 맘》과 《크리미 맘》은 소녀들이 성장한 모습으로 변신하는 특징을 보였는데,[10] 이는 도이 다카코와 프린세스 프린세스, 마츠다 세이코 등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1985년 일본 남녀고용평등법 제정과 관련이 있다.[1]

『마법의 프린세스 민키 모모』와 『마법의 천사 크리미 마미』는 저연령층 여아뿐만 아니라 10대 후반에서 20대 남성층에게도 인기를 얻어 "마법소녀" 장르의 팬층을 넓혔다. 당시 사회적인 아이돌 붐과 더불어, 누노카와 유지는 변신 장면과 남성이 할 수 없었던 방식으로 마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소녀들을 보는 것을 남성 팬들이 즐겼기 때문에 《크리미 맘》 이후 마법소녀 장르의 남성 팬이 증가했다고 언급했다.[11] 이러한 인기로 인해 ""라는 용어는 "마법소녀"로 대체되었다.

1980년대 후반에는 리메이크 붐으로 『비밀의 아코짱』(제2작, 1988년)과 『마법사 샐리』(제2작, 1989년)이 제작되었다. 『비밀의 아코짱』(제2작)은 큰 인기를 얻지는 못했으나, 반다이의 여아 완구 강화에 기여했다. 실사판으로는 『마법소녀 츄카나 파이파이!(魔法少女ちゅうかなぱいぱい!)』(1989년)가 제작되어 이후 같은 시리즈에서 1990년대 초까지 같은 장르의 작품들이 제작되었다.[78]

한편, 판타지 측면에서도 마법을 사용하는 소녀들이 등장했다. 드래곤 퀘스트(1986년)를 시작으로 롤플레잉 게임(RPG) 붐이 일었고, 드래곤 퀘스트 II 악령의 신들(1987년)에는 동료로 마법사 소녀인 문불크의 공주가, 드래곤 퀘스트 III 그리고 전설로…(1988년)에는 선택 주인공으로 마법검사 여용사가 등장했다. 마도 이야기(1989년)에서는 마도사 소녀가 주인공으로 등장했으며, 판타지 소설 슬레이어즈(1989년)에서도 천재 마도사 소녀가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2. 4. 1990년 ~ 1999년: 변신 히로인과 다양화

1990년대 마법소녀 장르는 세일러 문(1991)의 성공으로 큰 변화를 맞이했다. 1992년부터 1997년까지 방영된 애니메이션 세일러 문은 슈퍼전대 시리즈와 가면라이더 같은 특촬 영웅물의 "변신 히어로" 요소에 로맨스와 패션 등 여성적 관심사를 결합하여 장르에 혁명을 일으켰다.[1][9] 이전까지 마법소녀 시리즈는 주로 코미디 성격이 강했고, 마법 사용은 사회적 갈등을 악화시키는 역할이었으나,[2] 세일러 문은 화려한 화장과 패션을 통해 등장인물들의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귀여움과 약함의 연관성을 부정했다.[1] 또한, 주인공으로 마법소녀 팀을 등장시키고 남성 캐릭터는 지원하는 역할을 맡겨, 싸우는 변신 히로인 형식을 유행시켰다.[10][5][12]

세일러 문의 성공에 힘입어 빨간망토 차차, 큐티하니 플래시(1997), 웨딩피치 등 "변신 히로인" 특징을 가진 작품들이 등장했다.[9][13][14] 『美少女전사 세일러문』(1992년-1997년)의 성공은 애니메이션판 『빨간망토 차차』(1994년), 『마법기사 레이어스』(1994년), 『러브엔젤 전설 웨딩피치』(1995년), 『간호사 엔젤 릴리카 SOS』(1995년) 등의 작품을 탄생시켰고, 전투 미소녀(배틀 히로인) 계열 마법소녀 작품은 마법소녀의 한 장르가 되었다. “배틀”, “전대물(복수의 메인 히로인)”, “연애” 등의 요소는 후속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1997년 『소녀혁명 우테나』는 幾原邦彦이 소수 정예 스태프와 ビーパパス를 결성, 소녀 만화가 さいとうちほ와 함께 제작한 독특한 작품이었다. 같은 해 OVA로 발매된 『정글DE가자!』는 폴리네시아멜라네시아 같은 환태평양 남국 문화권 출신 마법소녀를 등장시켜, 기존의 서구적이지 않은 마법소녀상을 제시했다.

세일러 문은 남성 팬도 끌어들였지만, 카드캡터 사쿠라(1998)는 코스프레, 야오이, 오토코노코, 유리 등의 주제를 포함해 남성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15] 카드캡터 사쿠라모에 개념에 영향을 준 시리즈 중 하나였다.[15] 큐티하니 플래시도 원작 큐티하니 팬인 남성 시청자를 끌어들였다.[13]

OVA 시리즈 『천지무용!』의 스핀오프 OVA 『마법소녀 프리티 새미』(1995년)는 소녀가 아닌 다른 대상을 위한 변신 히로인 마법소녀물의 미디어 믹스로, 1996년 저녁 애니메이션으로 방영되었다. 만화에서는 『월간 G 판타지』에서 『마녀소녀 전대 파스테리온』(1995년-1998년)이 등장, 여장이나 남장 여자물의 선구적 작품이 되었다.

게임 분야에서는 1993년 슈퍼패미컴용 대전 격투 게임 『美少女전사 세일러문R』, 1994년 아케이드 대전 격투 게임 『고케츠지 일족2』에 마법소녀 캐릭터 코케츠지 클라라가 등장했다. 또한, 『푸요푸요』 시리즈(1991년~)나 『패널로 뿅』 시리즈(1995년~) 등 퍼즐 게임도 마법소녀를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1990년대 후반 플레이스테이션용 댄스 리듬 게임 『파라파 래퍼』(1996년)가 인기를 얻자,[79] 드림캐스트 및 아케이드 게임으로 『푸요푸요DA!』(1999년)가 등장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 CLAMP 원작의 『카드캡터 사쿠라』는 설정과 비주얼이 기존 작품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흩어진 마법 카드를 모아 사용하고 마법을 쓰는 소년 라이벌이 등장하는 등 새로운 요소를 선보였다.

2. 5. 2000년 ~ 현재: 대상 확대 및 패러디 작품

2000년대 초반 심야 애니메이션 제작이 증가하면서, 트라이앵글 하트의 스핀오프 작품인 마법소녀 리리컬 나노하(2004)와 같이 나이 든 남성 시청층을 대상으로 하는 마법소녀 작품이 제작되었다.[15] 2010년대에는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2011)가 성숙한 주제와 어두운 접근 방식으로 기존 시청자층 이외의 시청자와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으며 마법소녀 장르의 인기를 회복시켰다.[17][18][19][20]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는 사회 현상이라고 불릴 만큼 큰 인기를 얻었다.[89]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이후, 마법소녀를 좀비처럼 그린 《마법소녀 오브 지 엔드》(2012년-2017년), 불행한 소녀들이 수명을 깎아가며 싸우는 《마법소녀 사이트》(2013년-), 마법소녀들의 배틀 로열을 그린 《마법소녀 육성 계획》(2012년-), 이세계 세력과 싸운 마법소녀가 전후 테러 등에 휘말리는 《마법소녀 특수전 아스카》(2015년-) 등 아류작들이 등장했다.

2010년대 초, 애니메이션 붐으로 일반 기업들도 애니메이션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자동차 제조업체 스바루(SUBARU)는 마법소녀물 《방과 후의 플레이아데스》(2011년)를 제작했다.[90]

한편, 프리큐어 시리즈에서는 마법사의 요소를 도입한 《마법사 프리큐어!》(2016년)가 등장했다. 산리오에서도 고전적인 사람 돕는 마법소녀 애니메이션 《뮤클 드리미》(2020년-2022년)가 등장했다.[103] 《프리티 시리즈》에서는 마법의 개념을 도입한 《왓챠 프리마지!》(2021년-2024년)가 등장했다.

2010년대 전후에는 평범한 소녀가 남자 마법소녀로 변신하는 《마법소녀 오레》(2012년-)나, 중년 남성이 여성으로 변장하여 싸우는 《마법소녀 프리티☆벨》(2009년) 등의 “기묘한 계열”도 등장했다. 소년이 마법소녀가 되는 작품으로는 만화 《우리는 마법소년》(2018년-2021년)이 등장했다.

또한, 2010년대에는 배틀 히로인계 마법소녀에 음악 요소를 더한 《걸즈×전사 시리즈》(2017년-)가 등장했다.

최근에는 마법소녀물에서도 주인공이 마법소녀의 적이 되는 작품이 등장했다. 여기에는 《블랙 하트 스타》(2013년)[104], 《마치카도 마조쿠》(2014년-), 《자히 님은 굴하지 않는다!》(2017년-), 《마법소녀에 동경해서》(2019년-) 등이 있다.

2020년대에는 비즈니스 요소를 도입한 작품이 등장했다. 여기에는 《부업 마법소녀 사이드 비즈니스 매지컬 걸》(2020년), 《주식회사 마지르미에》(2021년-)[108], 《마법 중년》(2022년-)[109] 등이 있다.

3. 마법소녀의 특징

마법소녀가 등장하는 작품에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설정이 있다.


  • 주인공 마법의 배경이 되는 마법세계가 존재한다.
  • 주인공은 인간세계(현실세계)에서 마법의 비밀을 지켜야 한다. 마법세계에서는 마법사가 평범한 사람이고 누구나 마법의 존재를 알고 있으므로 그렇지 않다.[117]
  • 주인공에게 감시 역할을 하는 수호요정이나 동물이 1~3마리 붙어 있다.
  • 주인공은 마법을 사용할 때 마법 주문과 아이템이 필요하며, 특별한 복장(예복)으로 갈아입는 경우도 있다.[117]
  • 주인공의 싸움은 마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격투는 그다지 일어나지 않으나 아이템에 의한 검술 등은 가끔 사용된다.
  • 가장 중요한 규칙은 일반적으로 마법소녀는 속물적이거나 소승적 이유가 아닌, 꿈과 희망같은 대승적 이유를 기반으로 활동한다.[117]


하지만 모든 작품이 이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 초기 작품에서는 수호요정이나 동물, 싸움 등의 모티브가 등장하지 않았던 것이 많다.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변신하는 것은 대체로 《요술공주 밍키》(1982년) 이후이나, 요술공주 밍키와 그 계보의 마법소녀의 변신 자체는 《비밀의 아코짱》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특정한 모습으로 변신하는 것이 아니었다. 특정 복장으로 변신하는 것은 대체로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이후이다.[117]

마법소녀의 기본적인 요소는 히로인이 주변 사람 누구도 가지지 못한 신비한 힘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힘은 신이나 정령과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에게서 받은 후천적인 것과, 타고난 선천적인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선천적인 것은 처음부터 사용할 수 있는 경우와, 성장에 따라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68] 『마법소녀 메구짱』처럼 선천적으로 초능력을 가진 종족, 일족 출신인 자가 마녀, 마법사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닌자의 『원숭이소녀 에짱』(1963년-1968년)이나 사이보그의 『기적소녀 리미트짱』(1973년-1974년)이 다른 마법소녀 작품과 함께 "변신 소녀"라는 카테고리로 취급된 사례가 있으며,[69] 초자연적인 것이 아닌 마술사의 『괴도 세인트 테일』(1994년-1996년)이나 네트워크 상의 가상현실에서 활동하는 『콜렉터 유이』(1999년-2000년)를 마법소녀로 분류하는 문헌도 있다.[70] 또한, 『두 사람은 프리큐어』(2004년-2005년)이나 『나와 히어로와 마법소녀』(2014년-2018년)처럼, 격투전을 중심으로 하는 격투계 마법소녀라고 해야 할 유형도 존재한다.

마법소녀의 나이는 대부분 10세에서 14세이지만, 이것은 제2차 성징기에 해당한다. 마법소녀의 "변신"은 아이에서 여성으로의 성숙을 상징하고 있다.[68] 어른이 되고 싶다는 것은 아이들이 자주 품는 희망이며,[68] 마법소녀는 종종 자신이 성장한 모습으로 변신하지만, 그러한 작품에서는 "변신한 자신과 진짜 자신의 갭"에 고민하는 이중 생활의 어려움을 그리며, 특히 연애가 얽히면 상황은 더욱 어려워진다. 히로인이 동경하는 남성이 자신이 변신한 모습 쪽에 반하거나 하는 것이다. 이러한 줄거리는 사람들이 외모에 현혹되기 쉬운 경향에 대한 비판이다.[71]

여아를 위한 애니메이션 작품에서는 프로그램의 스폰서가 된 완구 회사의 상품(변신 완구)을 등장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마법소녀는 마법의 아이템으로 컴팩트·스테이크·보석 등의 액세서리나, 극중에 등장하는 소품을 사용한다. "마법소녀=액세서리"라는 도식은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완구를 발매할 필요가 없는 남성 대상 작품에서도 이러한 소품은 등장한다. 하지만, 그러한 아이템이 진정한 의미에서 힘의 원천인 것은 드물며, 히로인의 순수함이야말로 사랑과 생명의 힘을 이끌어내는 열쇠이다.[71] 그러나, 『마법의 프린세스 민키 모모』(1982년)이나 『간호사 엔젤 릴리카 SOS』(1995년-1996년)처럼, 존재하는 마법의 힘 자체가 고갈되는 경우도 있다.

마법소녀는 인간의 말을 이해하는 신비로운 마스코트 캐릭터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1971년 애니메이션 『원숭이 엣짱』의 오사카 사투리를 구사하는 개 「부쿠」에서 시작하여, 1972년 『마법사 챕피』의 자동차를 조종하는 레서판다 「돈짱」 등 한 마리의 마스코트를 거쳐, 『마법의 프린세스 민키 모모』 이후로는 여러 마리의 마스코트를 동반하는 경우가 증가했다. 마법소녀가 감정에 따라 행동하는 데 반해, 마스코트는 이성적인 역할을 하며, 마법소녀를 타이르고 가르치려 한다. 두 존재는 종종 다투지만, 마법소녀는 조언을 통해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을 익히고, 마스코트 역시 감정에 따른 행동이 어렵더라도 올바른 길로 이어진다는 것을 이해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대부분의 마스코트가 남성이라는 점이다.

마법소녀와 마스코트의 관계는 부부나 절친처럼 의사소통과 이해가 좋은 관계를 쌓는 비결임을 보여주지만,[71] 『마법소년 마조리안』에 등장하는 「젠타」와 「다-코」나, 2011년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의 「큐베」처럼 마법소녀를 교묘하게 유도하여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악의적인 마스코트도 존재하기 때문에, 그 관계는 본래의 친구 같은 단순한 구조에서 벗어나고 있다.

1990년대의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이후로는 전투를 중심으로 한 마법소녀도 확립되었다. 『슈퍼돌★리카짱』처럼 주인공이 싸우지 않고 마스코트인 「돌 나이츠」가 대신 싸우는 작품이나, 『마법기사 레이어스』처럼 거대 로봇이 등장하여 싸우는 작품도 있다.

마법의 힘에는 제한이 부과되는 경우가 있다. 사용 가능 기간이 1년뿐이거나, 비밀이 누설되어서는 안 된다는 등의 예가 있다.[71] 반대로 『밍키 모모』처럼 현세에 고갈되어 가는 마법의 힘을 부흥시키려고 노력하는 경우도 있지만, 분투도 헛되이 중간에 마법의 힘을 잃고 마법 능력을 상실하는 사례도 있다.

마법소녀가 특별한 힘을 버리고 평범한 소녀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평범"하고 "평균적"인 것이 결코 나쁜 것이 아니라, 단지 "자기 자신인 것"이 무엇보다 훌륭하다는 이상을 보여주고 있다.[72] 그리고 『마법의 스타 매지컬 에미』의 "코우즈키 마이"처럼, 다른 사람에게서 받은 마법의 힘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힘으로 꿈을 이루기 위해" 마법소녀를 그만두는 예도 많다.

『아내는 마법소녀』(2005년)이나 『미소녀 전려무 판셔누』(2007년)처럼, 마법소녀가 은퇴 후, 성인이 된 후, 어떤 원인으로 다시 마법소녀가 되는 작품도 있다. 이 경우, 마법소녀로 변신할 때 자신의 정체를 숨길 필요성에서 비롯되는 부부 생활이나, 자신의 낳은 아이에 대한 딜레마 등이 주요 테마가 되는 경우가 많다.

“마법소녀”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魔女っ子(마죠코)”는 도에이 애니메이션이 2002년 6월에 상표 등록을 출원하여 2003년 5월에 등록상표로 인정받았다(등록번호 4673664). 이 때문에 고유명사 취급으로 방송 매체에서는 이 단어가 사용되는 기회가 줄었지만, 일반적으로는 일반명사처럼 사용될 뿐만 아니라, 『魔女っ子モモカ(마죠코 모모카)』처럼 작품명에도 사용되거나, “魔女っ娘(마죠코)” 또는 “魔女っこ(마죠코)”처럼 “子(코)”의 표기를 바꾼 작품도 발표되고 있다.[73]

4. 주요 테마

마법소녀 작품 중 다수는 여자 어린이를 주요 시청자로 여기며, 주인공 마법소녀는 사춘기 소녀에 대한 역할 모델의 측면이 있다.[13] 주인공은 전투력보다 헌신이나 박애정신 같은 여성적인 면으로 평가받게 된다. 마법소녀 작품의 주인공 대다수는 자신이 마법 세계의 공주이거나, 마법 세계의 여왕이나 왕비가 후견인이 되어 주고 있다.

소녀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혹은 미디어 믹스로 만화화된) 작품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결혼이나 연애에 큰 비중을 두는 작품이 많이 보인다. 주인공보다 약간 연상이면서 여성이 볼 때 이상적인 용모와 성격을 갖춘 남성이 주인공을 보호하는 역할이나 주인공이 동경하는 대상으로서 등장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현대의 마법소녀 작품 대부분은 《신데렐라》 등 고전적인 귀인 혼인담의 흐름을 잇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녀를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은 〈착한아이 작품(비전투형)〉과 〈나쁜아이 작품(전투형)〉으로 나눌 수 있다. 〈착한아이 작품(비전투형)〉은 80년대 일본의 꼬마 마녀 애니메이션에 많이 나타나고, 〈나쁜아이 작품(전투형)〉으로는 《미소녀전사 세일러문》이후의 미소녀 전사 작품의 대부분을 들 수 있다. 〈나쁜아이〉 작품의 주인공은 〈아버지=사회적 규범〉에 맞서 자립했다고도 할 수 있다.

1960년대 이후 마법소녀 캐릭터의 공통된 목표 중 하나는 결혼으로 이어지는 연애였다.[13] 이성애적 로맨스는 마법소녀 시리즈에서 존재감을 가지고 부각되었지만, 세일러문 이후 작품에서는 주요 여성 캐릭터들 간의 우정에 초점을 맞추면서 남성 캐릭터의 비중이 줄어들었다.[2] 스가와 아키코(스가와 아키코/須川 亜紀子일본어)는 마법소녀물의 미래에는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를 이성애 관계보다 유리(百合, yuri) 관계를 선호하는 예시로 들어 성적 규범에 대한 반항을 포함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

4. 1. 여성성과 젊음

마법소녀 작품 중 다수는 여자 어린이를 주요 시청자로 여기며, 주인공 마법소녀는 사춘기 소녀에 대한 역할 모델의 측면이 있다.[13] 주인공은 전투력보다 헌신이나 박애정신 같은 여성적인 면으로 평가받게 된다. 마법소녀 작품의 주인공 대다수는 자신이 마법 세계의 공주이거나, 마법 세계의 여왕이나 왕비가 후견인이 되어 주고 있다.

소녀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혹은 미디어 믹스로 만화화된) 작품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결혼이나 연애에 큰 비중을 두는 작품이 많다. 주인공보다 약간 연상이면서 여성이 볼 때 이상적인 용모와 성격을 갖춘 남성이 주인공을 보호하는 역할이나 주인공이 동경하는 대상으로서 등장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현대의 마법소녀 작품 대부분은 《신데렐라》 등 고전적인 귀인 혼인담의 흐름을 잇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녀를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은 〈착한아이 작품(비전투형)〉과 〈나쁜아이 작품(전투형)〉으로 나눌 수 있다. 〈착한아이 작품(비전투형)〉은 80년대 일본의 꼬마 마녀 애니메이션에 많이 나타나고, 〈나쁜아이 작품(전투형)〉으로는 《미소녀전사 세일러문》이후의 미소녀 전사 작품의 대부분을 들 수 있다. 〈나쁜아이〉 작품의 주인공은 〈아버지=사회적 규범〉에 맞서 자립했다고도 할 수 있다.

마법소녀 캐릭터는 일반적으로 귀여운 외모와 공주 또는 아이돌 가수와 닮은 외모를 가진 10세에서 14세 사이의 소녀이다.[13] 마법소녀 시리즈는 전통적인 여성성과 관련된 액세서리, 육아 및 로맨스와 같은 여성의 관심사와 관련된 요소들을 사용한다.[1] 나이 든 여성은 일반적으로 악당으로 묘사되는데,[13] 빌 엘리스 교수는 전통적인 일본 민속에서 강력한 여성은 오니와 유사하게 괴물로 묘사되었다고 지적했다.[26] 단,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등의 일부 작품은 특유의 설정으로 고연령층 시청자를 노리기도 한다.

4. 2. 변신

마법소녀가 등장하는 작품에는 몇 가지 공통적인 설정이 있다. 마법소녀는 대개 마법의 힘을 사용할 때 특별한 복장으로 변신하며, 마법 주문과 아이템이 필요하다.[117] 이러한 변신 아이디어는 『프린세스 나이트』에서 유래했으며, 변신 아이템은 『비밀의 아코짱』 애니메이션에서 처음 등장한 컴팩트처럼 여성성과 아름다움을 상징하는 액세서리인 경우가 많다.[1][8]

마법소녀의 변신은 아이에서 여성으로의 성숙을 상징하며, 제2차 성징기에 해당하는 10세에서 14세 소녀들이 주로 주인공으로 등장한다.[68] 이들은 어른이 된 모습으로 변신하기도 하는데, 이때 "변신한 자신과 진짜 자신의 갭" 때문에 고민하는 이중생활의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특히 연애 문제에서 외모에 현혹되기 쉬운 경향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주기도 한다.[71]

마법소녀는 주변 사람이 가지지 못한 신비한 힘을 사용하는데, 이는 초자연적인 존재에게서 받은 후천적인 힘이거나 타고난 선천적인 힘일 수 있다.[68] 마법소녀는 마법이나 마술 외에도, 닌자의 『원숭이소녀 에짱』, 사이보그의 『기적소녀 리미트짱』, 마술사의 『괴도 세인트 테일』, 가상현실에서 활동하는 『콜렉터 유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69][70] 또한, 『두 사람은 프리큐어』처럼 격투를 중심으로 하는 격투계 마법소녀도 있다.

마법소녀의 변신에는 완구 회사의 상품인 변신 완구가 자주 등장하며, 액세서리나 소품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마법소녀=액세서리" 도식은 널리 퍼져 있지만, 실제로 힘의 원천은 히로인의 순수함인 경우가 많다.[71] 하지만 『마법의 프린세스 민키 모모』나 『간호사 엔젤 릴리카 SOS』처럼 마법의 힘 자체가 고갈되는 경우도 있으며, 순수함이 때로는 마법소녀 자신의 생명을 위협하기도 한다.

4. 3. 히로인 요소

마법소녀가 등장하는 작품에는 보통 아래와 같은 설정(규칙)이 있다.[117]

  • 주인공 마법의 배경이 되는 마법세계가 존재한다.
  • 주인공은 인간세계(현실세계)에서는 마법의 비밀을 지켜야 한다. 마법세계에서는 마법사가 평범한 사람이고 누구나 마법의 존재를 알고 있으므로 그렇지 않다.
  • 주인공에게 감시 역할을 하는 수호요정이나 동물이 1~3마리 붙어 있다.
  • 주인공은 마법을 사용할 때 마법 주문과 아이템이 필요하며, 그때에는 특별한 복장(예복)으로 갈아입는 경우도 있다.
  • 주인공의 싸움은 마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격투는 그다지 일어나지 않으나 아이템에 의한 검술 등은 가끔 사용된다.
  • 가장 중요한 규칙: 일반적으로 마법소녀는 속물적이거나 소승적 이유가 아닌, 꿈과 희망같은 대승적 이유를 기반으로 활동한다.


그러나, 모든 작품이 이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초기 작품에서는 수호요정이나 동물, 싸움 등의 모티브가 등장하지 않았던 것이 많다. 또,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변신하는 것은, 대체로 《요술공주 밍키》(1982년) 이후이나, 요술공주 밍키와 그 계보의 마법소녀의 변신 자체는 《비밀의 아코짱》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특정한 모습으로 변신하는 것이 아니었다. 거기서 이어지는 (현재 주류를 이루는) 경향인 특정 복장으로 변신하는 것은 대체로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이후이다.[117]

henshin hiroin/変身ヒロイン일본어은 1990년대 초반 《세일러 문》에 의해 처음 대중화된, 특촬물(드라마나 영화)에서 차용된 개념이다.[1][9] 변신 히로인은 평범한 여학생이 "귀여운" 액세서리가 달린 "사랑스러운" 의상으로 변신하여 홀(혹은 비슷한 무기)을 사용해 마법 에너지를 방출하여 악의 세력과 싸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이러한 형식은 마법소녀가, 특히 1990년대 서구의 걸 파워 운동 당시 슈퍼히로인으로 여겨지도록 했다.[1] 서구의 슈퍼히로인인 《뱀파이어 슬레이어 버피》나 《원더우먼》과 비교되기도 하지만, 전자와 달리 "변신 히로인" 시리즈는 여성성을 무기화하고 여성 대신 어린 소녀들을 등장시킨다.[1] 마법소녀 시리즈에서 나이든 여성들은 보통 악당으로 묘사된다.[13]

마법소녀의 기본적인 요소는 히로인이 주변 사람 누구도 가지지 못한 신비한 힘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힘은 신이나 정령과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에게서 받은 후천적인 것과, 타고난 선천적인 것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68] 더 나아가 선천적인 것은 처음부터 사용할 수 있는 경우와, 성장에 따라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68] 『마법소녀 메구짱』처럼 선천적으로 초능력을 가진 종족, 일족 출신인 자가 마녀, 마법사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문자 그대로의 의미에서 마법이나 마술을 사용하는 것만은 아니며, 닌자의 『원숭이소녀 에짱』(1963년-1968년)이나 사이보그의 『기적소녀 리미트짱』(1973년-1974년)이 다른 마법소녀 작품과 함께 "변신 소녀"라는 카테고리로 취급된 사례가 있으며,[69] 초자연적인 것이 아닌 마술사의 『괴도 세인트 테일』(1994년-1996년)이나 네트워크 상의 가상현실에서 활동하는 『콜렉터 유이』(1999년-2000년)를 마법소녀로 분류하는 문헌도 있다.[70] 또한, 『두 사람은 프리큐어』(2004년-2005년)이나 『나와 히어로와 마법소녀』(2014년-2018년)처럼, 격투전을 중심으로 하는 격투계 마법소녀라고 해야 할 유형도 존재한다.

마법소녀의 나이는 대부분 10세에서 14세이지만, 이것은 제2차 성징기에 해당한다. 마법소녀의 "변신"은 아이에서 여성으로의 성숙을 상징하고 있다.[68] 어른이 되고 싶다는 것은 아이들이 자주 품는 희망이며,[68] 마법소녀는 종종 자신이 성장한 모습으로 변신하지만, 그러한 작품에서는 "변신한 자신과 진짜 자신의 갭"에 고민하는 이중 생활의 어려움을 그리며, 특히 연애가 얽히면 상황은 더욱 어려워진다. 히로인이 동경하는 남성이 자신이 변신한 모습 쪽에 반하거나 하는 것이다. 이러한 줄거리는 사람들이 외모에 현혹되기 쉬운 경향에 대한 비판이다.[71]

여아를 위한 애니메이션 작품에서는 프로그램의 스폰서가 된 완구 회사의 상품(변신 완구)을 등장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마법소녀는 마법의 아이템으로 컴팩트·스테이크·보석 등의 액세서리나, 극중에 등장하는 소품을 사용한다. "마법소녀=액세서리"라는 도식은 침투되어 있기 때문에, 완구를 발매할 필요가 없는 남성 대상 작품에서도 이러한 소품은 등장한다. 하지만, 그러한 아이템이 진정한 의미에서 힘의 원천인 것은 드물며, 히로인의 순수함이야말로 사랑과 생명의 힘을 이끌어내는 열쇠이다.[71] 그러나, 『마법의 프린세스 민키 모모』(1982년)이나 『간호사 엔젤 릴리카 SOS』(1995년-1996년)처럼, 존재하는 마법의 힘 자체가 고갈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릴리카 SOS』의 경우, 간호사 엔젤의 힘의 원천인 "녹색 백신"을 다 써 버리고, 주인공 "릴리카"가 그 재생을 위해 목숨을 버리고 소멸하는 상황에 빠지는 등, 이 순수함은 때로는 마법소녀 자신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을 품고 있는 것이다.

4. 4. 로맨스와 우정

1960년대 이후 마법소녀 캐릭터의 공통된 목표 중 하나는 결혼으로 이어지는 연애였다.[13] 이성애적 로맨스는 마법소녀 시리즈에서 존재감을 가지고 부각되었지만, 세일러문 이후 작품에서는 주요 여성 캐릭터들 간의 우정에 초점을 맞추면서 남성 캐릭터의 비중이 줄어들었다.[2] 스가와 아키코(스가와 아키코/須川 亜紀子일본어)는 마법소녀물의 미래에는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를 이성애 관계보다 유리(百合, yuri) 관계를 선호하는 예시로 들어 성적 규범에 대한 반항을 포함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

5. 미디어



== 실사 드라마 ==

1989년, 이시노모리 쇼타로는 도에이 신기 코미디 시리즈의 일환으로 최초의 실사 마법소녀 시리즈인 「마법소녀 츄카나 파이파이!/魔法少女ちゅうかなぱいぱい!일본어」를 제작했다.[9] 이 작품의 인기에 힘입어 「La Belle Fille Masquée Poitrine」과 「유겐짓코 시스터즈 슈슈토리안/有言実行三姉妹シュシュトリアン일본어」을 포함한 5편의 후속작이 제작되었으며,[27] 이 모든 작품은 미소녀 시리즈/Bishōjo Seriesja-Latn로 분류된다.[9] 이 시리즈는 「수퍼전대」, 「가면라이더」, 「울트라맨」 등 어린 남자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도쿠사쓰/tokusatsuja-Latn 시리즈의 여성판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에는 「세일러 문」 및 다른 마법소녀 애니메이션과의 완구 판매 경쟁으로 인해 이 장르에 대한 관심이 감소했다.[28] 실사 마법소녀 시리즈는 2017년 「아이돌 × 전사 미라클 튠즈!」(Girls × Heroine 시리즈)를 시작으로 부활했다.[28][29]

== 상품 ==

어린 소녀들을 대상으로 한 마법소녀 시리즈는 종종 상품 라인을 통해 판매되었으며, 사이토 쿠미코는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을 "완구 상품을 위한 25분짜리 광고"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말하며 높은 제작비와 반다이의 ''세일러 문'' 및 ''프리큐어'' 참여를 강조했다.[30] 야마시타 레이코는 또한 대량 완구 생산의 예로 ''오쟈마죠 도레미''를 언급했다.[13] ''프리큐어''는 2010년 기준 높은 상품 판매 덕분에 일본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매출을 올린 프랜차이즈가 되었다.[31] ''걸즈×히어로인'' 시리즈의 경우, 쇼가쿠칸 프로젝트 매니저 사사키 레이코는 완구를 쇼에 어떻게 통합할지에 대한 시나리오를 만들어야 했다고 말했다.[32] ''비밀의 아코짱''은 상품 라인을 가진 가장 초기의 예이며 "대히트"였다.[9]

1980년대 완구는 일반적으로 밝은 색상이었고 대부분 소형 케이스 또는 막대기였으며, 때로는 캐릭터의 얼굴이 인쇄되어 있었다.[9] 1990년부터 1994년까지 완구 세트에는 변신 아이템의 일부로 펜던트와 함께 하트와 별과 같은 여성적인 모티브가 포함되기 시작했으며, 당시 대부분의 완구는 분홍색이었다.[9]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완구는 더욱 다채로워졌다.[9]

''세일러 문''의 20주년을 맞이하여 2013년, 완구 라인 제작사인 반다이는 시리즈에 등장하는 변신 아이템을 기반으로 한 화장품 라인을 출시했는데, 이는 해당 쇼와 함께 성장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했다.[33] 이후 반다이는 성인 수집가를 대상으로 하는 PROPLICA 상품 라인의 일부로 세일러 문의 문 스틱 실물 크기 복제품을 제작했으며,[34] 보석 라인도 출시했다.[35] 그 후 몇 년 동안 다른 마법소녀 프랜차이즈들은 アースミュージックアンドエコロジー일본어의 Japan Label,[36][37][38][39][40] LIZ LISA일본어,[41] サンキューマート일본어,[42][43] SuperGroupies,[44][45] 및 Favorite[46][47][48][49][50][51] 와 같은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 라인을 출시했다.

마법기사 레이어스,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마법소녀 프리티사미, 카드캡터 사쿠라, 요랑아 요랑아, 쁘띠쁘띠 뮤즈, 크리스탈요정 지스쿼드,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 괴도조커, 프리큐어 시리즈,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티티 체리등 다양한 작품들이 상품으로 출시되었다.

== 비일본 작품 ==

애니메이션 시리즈 ''Winx Club''(2004~2019)의 주인공들


일본과 마찬가지로, ''세일러 문''이 만들어낸 변신 히로인이라는 개념은 1990년대 해당 작품이 해외에서 방영될 때 유럽과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던 걸 파워 운동 덕분에 인기를 얻었다.[1] ''세일러 문''의 영향으로 서구권에서는 마법소녀가 슈퍼히로인과 관련지어지게 되었다.[1] 대표적인 예로는 이탈리아의 ''W.I.T.C.H.''(2001)과 ''Winx Club''(2004),[53][54] 프랑스의 ''Totally Spies!''(2001),[30] ''로리락''(2014),[55][56] ''Miraculous: Tales of Ladybug & Cat Noir''(2015)가 있다.[57][58]

미국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들, 예를 들어 ''파워퍼프걸''(1998),[30] ''Bee and PuppyCat''(2013),[59] ''스티븐 유니버스''(2013),[60] ''스타 vs. 힘의 힘''(2015),[54] ''Magical Girl Friendship Squad''(2020)[61]는 마법소녀 테마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언급하고 있다. ''마이 리틀 포니: 이퀘스트리아 걸스''의 등장인물들은 "풀타임 학생이자 파트타임 마법 포니 소녀"로 묘사된다.[62]

이 장르의 영향은 ''Agents of the Realm''(2014),[63] ''Zodiac Starforce''(2015),[64] ''Sleepless Domain''(2015)[65] 와 같은 서구권 만화와 그래픽 노벨에서도 볼 수 있다.

일본의 마법소녀 작품은 더빙이나 자막을 곁들여 전 세계에 수출되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에서는 Dic가 방영권을 구입한 『세일러문』을 대표로 하는 미소녀 전사 계열이 마법소녀(마법소녀/mahō shōjo일본어)의 전형적인 대표 작품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미국의 드라마 『사랑스러운 마녀 지니』도 마법소녀로 분류되지만, 주인공인 "지니"는 마법의 항아리에 갇힌 진니야(여요령)이며, 설정적으로는 일본의 『하쿠쇼몬(ハクション大魔王)』에 가깝다.

특히 북미에서는 2006년 당시 토에이, 아시 프로덕션, 피에로 등의 고전적인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이 거의 공개되지 않아, 인지도는 거의 전무하다. 북미를 겨냥해 현지화된 『오자마녀 도레미』가 4Kids TV에서 방영된 예외를 제외하면, 『마법의 스테이지 팡시라라(魔法のステージファンシーララ)』 등 극히 적은 비교적 마이너한 작품이 예외적으로 심야 유료 TV에서 방영되거나, DVD 발매[110]가 된 것 외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마법의 프린세스 민키모모(魔法のプリンセス ミンキーモモ)』(소라 모모, 우미 모모)조차 공식적인 소개에는 이르지 못했고, DVD도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111] 다만 민키모모의 OVA 『꿈속의 륜무(夢の中の輪舞)』는 더빙판의 어린이용 VHS가 북미에서도 발매된 것 같지만, 일반적인 인지는 현저히 낮다.[112]

이탈리아 등 유럽 일부에서는 토에이, 아시 프로덕션, 피에로를 대표로 하는 비전투 계열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의 대부분이 일부 편집된 후 더빙 방영되었다. 따라서 이들 국가의 애니메이션 팬들은 ''mahō shōjo'' 또는 ''majokko''라는 단어를 일본어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해외에서도 『세일러문』의 영향을 받아 전투 미소녀의 흐름을 이은 마법소녀 작품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은 이탈리아 만화가 엘리자베타 구노네가 발표한 마법의 목걸이로 이세계의 가디언으로 변신하는 소녀들이 악과 싸우는 『W.I.T.C.H.』(2001~2012. 일본에서는 이이다 하루코(飯田晴子)가 만화화)이며, 프랑스의 제작사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애니메이션화했다. 일본에서 『프리큐어』가 방송 개시한 2004년에는 이탈리아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Rainbow S.r.l.이 요정으로 변신하는 마법 학원의 소녀들의 사랑과 싸움을 그린 『Winx Club』(2004~현재. 일본 미방영)을 제작했고, 지금까지 코믹스화, 영화화, 무대화도 되고 있다. 2014년에는 프랑스에서 지구에서 걸즈 밴드를 결성한 마법의 나라 공주들의 악과의 싸움을 그린 『로리락』(2014년~2017년. 일본에서는 『아이돌 프린세스★로리락(アイドルプリンセス★ロリロック)』이라는 제목으로 2024년에 방송)이 시작되었고, 모두 마법의 힘에 선택받은 십대 소녀들이 악과 싸운다는 내용이다.

2010년에는 프랑스 애니메이터 토마스 아스트뤼크(トーマス・アストリュク)의 6~5년간의 구상을 바탕으로 프랑스,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와 일본의 토에이 애니메이션(東映アニメーション)이 마법소녀 애니메이션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의 공동 제작을 발표한다. 2012년에 토에이가 모에 그림(萌え絵)풍 PV를 발표했지만, 프로젝트가 3D 제작으로 이행한 후 토에이는 손을 떼고, 2015년에 방송된 본편에서는 공동 제작사의 크레딧에만 남아 있다. 2018년에는 일본 디즈니 채널에서의 방송이 결정되었다.

2011년에는 『소녀혁명 우테나(少女革命ウテナ)』의 팬인 미국 애니메이터 레베카 슈거(レベッカ・シュガー)가 해외판 『보석의 나라(宝石の国)』라고도 할 수 있는 TV 애니메이션 『스티븐 유니버스』(2011~현재)를 카툰 네트워크(カートゥーン・ネットワーク)에서 시작했다. 2015년에는 『세일러문』 등 일본 애니메이션 팬인 미국 애니메이터 다론 네프시(ダロン・ネフシー)가 6년간의 구상 기간을 거쳐 디즈니 채널(ディズニー・チャンネル) 최초의 마법소녀 애니메이션 『악마버스터★스타 버터플라이』(2015년~현재)를 발표했고, 세일러문을 비롯한 일본 애니메이션의 오마주를 담고 있다. 이 두 작품은 단순한 어린이용 작품으로 만들어진 다른 해외 애니메이션 작품과는 달리, 어른도 즐길 수 있는 스토리성과 수수께끼 풀이 요소가 추가되어 있다.

== 아시아 ==
중국에서는 《마법천사 큐피트》가 실사 드라마로 시작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이어진 장기간 지속되는 프랜차이즈이지만, 《프리큐어》를 표절했다는 비판을 받았다.[52]

일본의 마법소녀 작품은 더빙이나 자막을 곁들여 전 세계에 수출되었다.

2008년에 중국에서는 마법의 나라에서 온 소녀와 지구인 소녀의 모험을 그린 특촬 TV 드라마 『바라라샤오모션(巴啦啦小魔仙)』이 방영되었고[113], 2011년에는 속편인 『바라라샤오모션2레인보우하트스톤(巴啦啦小魔仙2彩虹心石)』이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송되었으며[114], 이후 TV 드라마 2작, 실사 영화 3작, TV 애니메이션 5작에 이르는 장기 시리즈가 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16년에 한국산 애니메이션 마법소녀물로서, 『요정 핑크』, 『요랑아 요랑아』, 『쁘띠쁘띠 뮤즈』, 『크리스탈요정 지스쿼드』, 『시크릿 쥬쥬』, 『플라워링 하트』, 『소피 루비』, 『캐치! 티니핑』, 『티티 체리』, 『코미 마녀 라라』가 제작되어 방송되었다.

중국에서는 『꽃의 아이 룬룬(花の子ルンルン)』의 신작으로서 『꽃 요정-마법 향기 대론(花仙子-之魔法香対論)』이 등장할 예정이다.[115]

5. 1. 실사 드라마

1989년, 이시노모리 쇼타로는 도에이 신기 코미디 시리즈의 일환으로 최초의 실사 마법소녀 시리즈인 「魔法少女ちゅうかなぱいぱい!」(마법소녀 츄카나 파이파이!/魔法少女ちゅうかなぱいぱい!일본어)를 제작했다.[9] 이 작품의 인기에 힘입어 「La Belle Fille Masquée Poitrine」과 「有言実行三姉妹シュシュトリアン」(유겐짓코 시스터즈 슈슈토리안/有言実行三姉妹シュシュトリアン일본어)을 포함한 5편의 후속작이 제작되었으며,[27] 이 모든 작품은 美少女シリーズ(미소녀 시리즈/Bishōjo Seriesja-Latn)로 분류된다.[9] 이 시리즈는 「수퍼전대」, 「가면라이더」, 「울트라맨」 등 어린 남자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특촬(도쿠사쓰/tokusatsuja-Latn) 시리즈의 여성판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에는 「세일러 문」 및 다른 마법소녀 애니메이션과의 완구 판매 경쟁으로 인해 이 장르에 대한 관심이 감소했다.[28] 실사 마법소녀 시리즈는 2017년 「아이돌 × 전사 미라클 튠즈!」(Girls × Heroine 시리즈)를 시작으로 부활했다.[28][29]

5. 2. 상품

어린 소녀들을 대상으로 한 마법소녀 시리즈는 종종 상품 라인을 통해 판매되었으며, 사이토 쿠미코는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을 "완구 상품을 위한 25분짜리 광고"로 이해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말하며 높은 제작비와 반다이의 ''세일러 문'' 및 ''프리큐어'' 참여를 강조했다.[30] 야마시타 레이코는 또한 대량 완구 생산의 예로 ''오쟈마죠 도레미''를 언급했다.[13] ''프리큐어''는 2010년 기준 높은 상품 판매 덕분에 일본에서 다섯 번째로 높은 매출을 올린 프랜차이즈가 되었다.[31] ''걸즈×히어로인'' 시리즈의 경우, 쇼가쿠칸 프로젝트 매니저 사사키 레이코는 완구를 쇼에 어떻게 통합할지에 대한 시나리오를 만들어야 했다고 말했다.[32] ''비밀의 아코짱''은 상품 라인을 가진 가장 초기의 예이며 "대히트"였다.[9]

1980년대 완구는 일반적으로 밝은 색상이었고 대부분 소형 케이스 또는 막대기였으며, 때로는 캐릭터의 얼굴이 인쇄되어 있었다.[9] 1990년부터 1994년까지 완구 세트에는 변신 아이템의 일부로 펜던트와 함께 하트와 별과 같은 여성적인 모티브가 포함되기 시작했으며, 당시 대부분의 완구는 분홍색이었다.[9] 1995년부터 1999년까지 완구는 더욱 다채로워졌다.[9]

''세일러 문''의 20주년을 맞이하여 2013년, 완구 라인 제작사인 반다이는 시리즈에 등장하는 변신 아이템을 기반으로 한 화장품 라인을 출시했는데, 이는 해당 쇼와 함께 성장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했다.[33] 이후 반다이는 성인 수집가를 대상으로 하는 PROPLICA일본어 상품 라인의 일부로 세일러 문의 문 스틱 실물 크기 복제품을 제작했으며,[34] 보석 라인도 출시했다.[35] 그 후 몇 년 동안 다른 마법소녀 프랜차이즈들은 アースミュージックアンドエコロジー일본어의 Japan Label,[36][37][38][39][40] LIZ LISA일본어,[41] サンキューマート일본어,[42][43] SuperGroupies,[44][45] 및 Favorite[46][47][48][49][50][51] 와 같은 패션 브랜드와의 협업을 통해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 라인을 출시했다.

마법기사 레이어스,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마법소녀 프리티사미, 카드캡터 사쿠라, 요랑아 요랑아, 쁘띠쁘띠 뮤즈, 크리스탈요정 지스쿼드, 꼬마마법사 레미 시리즈, 괴도조커, 프리큐어 시리즈,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티티 체리등 다양한 작품들이 상품으로 출시되었다.

5. 3. 비일본 작품



일본과 마찬가지로, ''세일러 문''이 만들어낸 변신 히로인이라는 개념은 1990년대 해당 작품이 해외에서 방영될 때 유럽과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던 걸 파워 운동 덕분에 인기를 얻었다.[1] ''세일러 문''의 영향으로 서구권에서는 마법소녀가 슈퍼히로인과 관련지어지게 되었다.[1] 대표적인 예로는 이탈리아의 ''W.I.T.C.H.''(2001)과 ''Winx Club''(2004),[53][54] 프랑스의 ''Totally Spies!''(2001),[30] ''로리락''(2014),[55][56] ''Miraculous: Tales of Ladybug & Cat Noir''(2015)가 있다.[57][58]

미국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들, 예를 들어 ''파워퍼프걸''(1998),[30] ''Bee and PuppyCat''(2013),[59] ''스티븐 유니버스''(2013),[60] ''스타 vs. 힘의 힘''(2015),[54] ''Magical Girl Friendship Squad''(2020)[61]는 마법소녀 테마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언급하고 있다. ''마이 리틀 포니: 이퀘스트리아 걸스''의 등장인물들은 "풀타임 학생이자 파트타임 마법 포니 소녀"로 묘사된다.[62]

이 장르의 영향은 ''Agents of the Realm''(2014),[63] ''Zodiac Starforce''(2015),[64] ''Sleepless Domain''(2015)[65] 와 같은 서구권 만화와 그래픽 노벨에서도 볼 수 있다.

일본의 마법소녀 작품은 더빙이나 자막을 곁들여 전 세계에 수출되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에서는 Dic가 방영권을 구입한 『세일러문』을 대표로 하는 미소녀 전사 계열이 마법소녀(마법소녀/mahō shōjo일본어)의 전형적인 대표 작품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미국의 드라마 『사랑스러운 마녀 지니』도 마법소녀로 분류되지만, 주인공인 "지니"는 마법의 항아리에 갇힌 진니야(여요령)이며, 설정적으로는 일본의 『하쿠쇼몬(ハクション大魔王)』에 가깝다.

특히 북미에서는 2006년 당시 토에이, 아시 프로덕션, 피에로 등의 고전적인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이 거의 공개되지 않아, 인지도는 거의 전무하다. 북미를 겨냥해 현지화된 『오자마녀 도레미』가 4Kids TV에서 방영된 예외를 제외하면, 『마법의 스테이지 팡시라라(魔法のステージファンシーララ)』 등 극히 적은 비교적 마이너한 작품이 예외적으로 심야 유료 TV에서 방영되거나, DVD 발매[110]가 된 것 외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마법의 프린세스 민키모모(魔法のプリンセス ミンキーモモ)』(소라 모모, 우미 모모)조차 공식적인 소개에는 이르지 못했고, DVD도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111] 다만 민키모모의 OVA 『꿈속의 륜무(夢の中の輪舞)』는 더빙판의 어린이용 VHS가 북미에서도 발매된 것 같지만, 일반적인 인지는 현저히 낮다.[112]

이탈리아 등 유럽 일부에서는 토에이, 아시 프로덕션, 피에로를 대표로 하는 비전투 계열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의 대부분이 일부 편집된 후 더빙 방영되었다. 따라서 이들 국가의 애니메이션 팬들은 ''mahō shōjo'' 또는 ''majokko''라는 단어를 일본어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해외에서도 『세일러문』의 영향을 받아 전투 미소녀의 흐름을 이은 마법소녀 작품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은 이탈리아 만화가 엘리자베타 구노네가 발표한 마법의 목걸이로 이세계의 가디언으로 변신하는 소녀들이 악과 싸우는 『W.I.T.C.H.』(2001~2012. 일본에서는 이이다 하루코(飯田晴子)가 만화화)이며, 프랑스의 제작사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애니메이션화했다. 일본에서 『프리큐어』가 방송 개시한 2004년에는 이탈리아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Rainbow S.r.l.이 요정으로 변신하는 마법 학원의 소녀들의 사랑과 싸움을 그린 『Winx Club』(2004~현재. 일본 미방영)을 제작했고, 지금까지 코믹스화, 영화화, 무대화도 되고 있다. 2014년에는 프랑스에서 지구에서 걸즈 밴드를 결성한 마법의 나라 공주들의 악과의 싸움을 그린 『로리락』(2014년~2017년. 일본에서는 『아이돌 프린세스★로리락(アイドルプリンセス★ロリロック)』이라는 제목으로 2024년에 방송)이 시작되었고, 모두 마법의 힘에 선택받은 십대 소녀들이 악과 싸운다는 내용이다.

2010년에는 프랑스 애니메이터 토마스 아스트뤼크(トーマス・アストリュク)의 6~5년간의 구상을 바탕으로 프랑스,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와 일본의 토에이 애니메이션(東映アニメーション)이 마법소녀 애니메이션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의 공동 제작을 발표한다. 2012년에 토에이가 모에 그림(萌え絵)풍 PV를 발표했지만, 프로젝트가 3D 제작으로 이행한 후 토에이는 손을 떼고, 2015년에 방송된 본편에서는 공동 제작사의 크레딧에만 남아 있다. 2018년에는 일본 디즈니 채널에서의 방송이 결정되었다.

2011년에는 『소녀혁명 우테나(少女革命ウテナ)』의 팬인 미국 애니메이터 레베카 슈거(レベッカ・シュガー)가 해외판 『보석의 나라(宝石の国)』라고도 할 수 있는 TV 애니메이션 『스티븐 유니버스』(2011~현재)를 카툰 네트워크(カートゥーン・ネットワーク)에서 시작했다. 2015년에는 『세일러문』 등 일본 애니메이션 팬인 미국 애니메이터 다론 네프시(ダロン・ネフシー)가 6년간의 구상 기간을 거쳐 디즈니 채널(ディズニー・チャンネル) 최초의 마법소녀 애니메이션 『악마버스터★스타 버터플라이』(2015년~현재)를 발표했고, 세일러문을 비롯한 일본 애니메이션의 오마주를 담고 있다. 이 두 작품은 단순한 어린이용 작품으로 만들어진 다른 해외 애니메이션 작품과는 달리, 어른도 즐길 수 있는 스토리성과 수수께끼 풀이 요소가 추가되어 있다.

5. 3. 1. 아시아


중국에서는 《[마법천사 큐피트|마법천사 큐피트]》(Balala the Fairies)가 실사 드라마로 시작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이어진 장기간 지속되는 프랜차이즈이지만, 《[프리큐어 시리즈|프리큐어]》를 표절했다는 비판을 받았다.[52]

일본의 마법소녀 작품은 더빙이나 자막을 곁들여 전 세계에 수출되었다.

2008년에 중국에서는 마법의 나라에서 온 소녀와 지구인 소녀의 모험을 그린 특촬 TV 드라마 『바라라샤오모션(巴啦啦小魔仙)』이 방영되었고[113], 2011년에는 속편인 『바라라샤오모션2레인보우하트스톤(巴啦啦小魔仙2彩虹心石)』이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송되었으며[114], 이후 TV 드라마 2작, 실사 영화 3작, TV 애니메이션 5작에 이르는 장기 시리즈가 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16년에 한국산 애니메이션 마법소녀물로서, 『요정 핑크』, 『요란아 요란아』, 『쁘띠쁘띠 뮤즈』, 『크리스탈 요정 Z-SQUAD』, 『시크릿 주주』, 『플라워링 하트』, 『소피 루비』, 『캐치! 티니핑』, 『티티 체리』, 『코미 마녀 라라』가 제작되어 방송되었다.

중국에서는 『꽃의 아이 룬룬(花の子ルンルン)』의 신작으로서 『꽃 요정-마법 향기 대론(花仙子-之魔法香対論)』이 등장할 예정이다[115].

5. 3. 2. 유럽 및 미국

일본과 마찬가지로, ''세일러 문''이 만들어낸 변신 히로인이라는 개념은 1990년대 해당 작품이 해외에서 방영될 때 유럽과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던 걸 파워 운동 덕분에 인기를 얻었다.[1] ''세일러 문''의 영향으로 서구권에서는 마법소녀가 슈퍼히로인과 관련지어지게 되었다.[1] 대표적인 예로는 이탈리아의 ''W.I.T.C.H.''(2001)과 ''Winx Club''(2004),[53][54] 프랑스의 ''Totally Spies!''(2001),[30] ''LoliRock''(2014),[55][56] ''Miraculous: Tales of Ladybug & Cat Noir''(2015)가 있다.[57][58]

미국의 애니메이션 시리즈들, 예를 들어 ''파워퍼프걸''(1998),[30] ''Bee and PuppyCat''(2013),[59] ''스티븐 유니버스''(2013),[60] ''스타 vs. 힘의 힘''(2015),[54] ''Magical Girl Friendship Squad''(2020)[61]는 마법소녀 테마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언급하고 있다. ''마이 리틀 포니: 이퀘스트리아 걸스''의 등장인물들은 "풀타임 학생이자 파트타임 마법 포니 소녀"로 묘사된다.[62]

이 장르의 영향은 ''Agents of the Realm''(2014),[63] ''Zodiac Starforce''(2015),[64] ''Sleepless Domain''(2015)[65] 와 같은 서구권 만화와 그래픽 노벨에서도 볼 수 있다.

일본의 마법소녀 작품은 더빙이나 자막을 곁들여 전 세계에 수출되었다.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에서는 Dic가 방영권을 구입한 『세일러문』을 대표로 하는 미소녀 전사 계열이 마법소녀(magical girl, 마법소녀/mahō shōjo일본어)의 전형적인 대표 작품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미국의 드라마 『사랑스러운 마녀 지니』도 마법소녀로 분류되지만, 주인공인 "지니"는 마법의 항아리에 갇힌 진니야(여요령)이며, 설정적으로는 일본의 『하쿠쇼몬(ハクション大魔王)』에 가깝다.

특히 북미에서는 2006년 당시 토에이, 아시 프로덕션, 피에로 등의 고전적인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이 거의 공개되지 않아, 인지도는 거의 전무하다. 북미를 겨냥해 현지화된 『오자마녀 도레미』가 4Kids TV에서 방영된 예외를 제외하면, 『마법의 스테이지 팡시라라(魔法のステージファンシーララ)』 등 극히 적은 비교적 마이너한 작품이 예외적으로 심야 유료 TV에서 방영되거나, DVD 발매[110]가 된 것 외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마법의 프린세스 민키모모(魔法のプリンセス ミンキーモモ)』(소라 모모, 우미 모모)조차 공식적인 소개에는 이르지 못했고, DVD도 상업적으로 성공하지 못했다.[111] 다만 민키모모의 OVA 『꿈속의 륜무(夢の中の輪舞)』는 더빙판의 어린이용 VHS가 북미에서도 발매된 것 같지만, 일반적인 인지는 현저히 낮다.[112]

이탈리아 등 유럽 일부에서는 토에이, 아시 프로덕션, 피에로를 대표로 하는 비전투 계열 마법소녀 애니메이션의 대부분이 일부 편집된 후 더빙 방영되었다. 따라서 이들 국가의 애니메이션 팬들은 ''mahō shōjo'' 또는 ''majokko''라는 단어를 일본어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해외에서도 『세일러문』의 영향을 받아 전투 미소녀의 흐름을 이은 마법소녀 작품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가장 먼저 만들어진 것은 이탈리아 만화가 엘리자베타 구노네가 발표한 마법의 목걸이로 이세계의 가디언으로 변신하는 소녀들이 악과 싸우는 『위치(ウィッチ -W.I.T.C.H.-)』(2001~2012. 일본에서는 이이다 하루코(飯田晴子)가 만화화)이며, 프랑스의 제작사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애니메이션화했다. 일본에서 『프리큐어』가 방송 개시한 2004년에는 이탈리아의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 Rainbow S.r.l.이 요정으로 변신하는 마법 학원의 소녀들의 사랑과 싸움을 그린 『Winx Club』(2004~현재. 일본 미방영)을 제작했고, 지금까지 코믹스화, 영화화, 무대화도 되고 있다. 2014년에는 프랑스에서 지구에서 걸즈 밴드를 결성한 마법의 나라 공주들의 악과의 싸움을 그린 『로리락』(2014년~2017년. 일본에서는 『아이돌 프린세스★로리락(アイドルプリンセス★ロリロック)』이라는 제목으로 2024년에 방송)이 시작되었고, 모두 마법의 힘에 선택받은 십대 소녀들이 악과 싸운다는 내용이다.

2010년에는 프랑스 애니메이터 토마스 아스트뤼크(トーマス・アストリュク)의 6~5년간의 구상을 바탕으로 프랑스, 한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와 일본의 토에이 애니메이션(東映アニメーション)이 마법소녀 애니메이션 『미라큘러스 레이디버그(ミラキュラス・レディバグ)』의 공동 제작을 발표한다. 2012년에 토에이가 모에 그림(萌え絵)풍 PV를 발표했지만, 프로젝트가 3D 제작으로 이행한 후 토에이는 손을 떼고, 2015년에 방송된 본편에서는 공동 제작사의 크레딧에만 남아 있다. 2018년에는 일본 디즈니 채널에서의 방송이 결정되었다.

2011년에는 『소녀혁명 우테나(少女革命ウテナ)』의 팬인 미국 애니메이터 레베카 슈거(レベッカ・シュガー)가 해외판 『보석의 나라(宝石の国)』라고도 할 수 있는 TV 애니메이션 『스티븐 유니버스(スティーブン・ユニバース)』(2011~현재)를 카툰 네트워크(カートゥーン・ネットワーク)에서 시작했다. 2015년에는 『세일러문』 등 일본 애니메이션 팬인 미국 애니메이터 다론 네프시(ダロン・ネフシー)가 6년간의 구상 기간을 거쳐 디즈니 채널(ディズニー・チャンネル) 최초의 마법소녀 애니메이션 『악마버스터★스타 버터플라이(悪魔バスター★スター・バタフライ)』(2015년~현재)를 발표했고, 세일러문을 비롯한 일본 애니메이션의 오마주를 담고 있다. 이 두 작품은 단순한 어린이용 작품으로 만들어진 다른 해외 애니메이션 작품과는 달리, 어른도 즐길 수 있는 스토리성과 수수께끼 풀이 요소가 추가되어 있다.

6. 한국의 마법소녀

한국에서는 2016년에 한국산 애니메이션 마법소녀물로서, 『요정 핑크』, 『요랑아 요랑아』, 『쁘띠쁘띠 뮤즈』, 『크리스탈요정 지스쿼드』, 『시크릿 쥬쥬』, 『플라워링 하트』, 『소피 루비』, 『캐치! 티니핑』, 『티티 체리』, 『코미 마녀 라라』가 제작되어 방송되었다.[115]

7. 비평적 분석

마법소녀 작품 중 다수는 여자 어린이를 주요 시청자로 여기며, 주인공 마법소녀는 사춘기 소녀에 대한 역할 모델의 측면을 지닌다. 주인공은 전투력보다는 헌신이나 박애정신 같은 여성적인 면으로 평가받는다. 마법소녀 작품의 주인공 대다수는 자신이 마법 세계의 공주이거나, 마법 세계의 여왕이나 왕비가 후견인이 되어 주고 있다.

소녀만화를 원작으로 하거나 미디어 믹스로 만화화된 작품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결혼이나 연애에 큰 비중을 두는 작품이 많다. 주인공보다 약간 연상이면서 여성이 볼 때 이상적인 용모와 성격을 갖춘 남성이 주인공을 보호하는 역할이나 주인공이 동경하는 대상으로서 등장한다. 이러한 점에서 현대의 마법소녀 작품 대부분은 《신데렐라》 등 고전적인 귀인 혼인담의 흐름을 잇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녀를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은 〈착한아이 작품(비전투형)〉과 〈나쁜아이 작품(전투형)〉으로 나눌 수 있다는 관점이 있다. 주인공이 아버지(혹은 사회적 규범)에 대해 어디까지나 착한 아이인가, 아니면 맞서는 나쁜 아이인가 하는 점인데, 〈나쁜아이 작품(전투형)〉의 주인공은 자립했다고도 할 수 있다. 〈착한아이 작품(비전투형)〉은 1980년대 일본의 꼬마 마녀 애니메이션에 많이 나타나고, 〈나쁜아이 작품(전투형)〉으로는 《미소녀전사 세일러문》 이후의 미소녀 전사 작품의 대부분을 들 수 있다.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와 같은 일부 작품은 특유의 설정으로 고연령층 시청자를 노리기도 한다. 마법소녀 시리즈는 1970년대부터 여성의 성적 매력 탐구에서부터 여성성의 무기화에 이르기까지 여성 권익 신장과 관련되어 왔다.[1] 이 장르는 여성의 성 역할에 대한 반항에서 보여주는 여성적인 성 역할 외에도, 전통적인 여성성과 약함 사이의 낙인이 제거됨에 따라 남성 성 역할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다.[30]

시마다 아키코(Akiko Shimada)는 2011년 논문에서 일본어에서 "소녀(shojo)"라는 단어는 항상 3인칭으로 사용되며, 어린 소녀들은 자신을 "소녀"라고 부르지 않는다고 언급한다. 이는 소녀에 대한 이야기가 제3자, 흔히 남성의 시각에서 만들어지는 방식을 반영한다.[66]

8.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Children of Sailor Moon: The Evolution of Magical Girls in Japanese Anime https://www.nippon.c[...] 2015-02-26
[2] 뉴스 What Makes Magical Girls So Popular? https://www.animenew[...] 2016-05-27
[3] 웹사이트 A Guide to Magical Girls, From Cute to Grim https://www.funimati[...] 2020-02-04
[4] 서적 Manga: Sixty Years of Japanese Comics Laurence King 2004
[5] 서적 Manga: The Complete Guide Del Rey Books 2007
[6] 간행물 キネマ旬報別冊『動画王 vol.02 スーパー魔女っ子大戦』 https://www.kinejun.[...] Kinema-Junposha.Co.Ltd 1997-07
[7] 학술지 The Making of a Magical Girl Viz Media 2003-09
[8] 뉴스 女の子が憧れた『ひみつのアッコちゃん』 大ヒットの要は「コンパクトと呪文」だった? https://magmix.jp/po[...] 2020-10-24
[9] 서적 '80s &'90s 魔女っ子おもちゃブック Graphicsha 2020-02-10
[10] 간행물 特集 魔法少女が大好き! http://www.ohtabooks[...] Ohta Publishing 2016-08-17
[11] 서적 Otaku and the Struggle for Imagination in Japan Duke University Press 2019-06-12
[12] 서적 Anime Essentials: Every Thing a Fan Needs to Know Stone Bridge Press 2004
[13] 학술지 「アニメとジェンダー」~変わる?アニメの世界 https://www.jstage.j[...] Hokkaido Sociological Association 2002
[14] 웹사이트 Three 90s Magical Girl Shows That Wanted to Be the Next Sailor Moon https://blog.vrv.co/[...] Wayback Machine 2018-10-31
[15] 뉴스 魔法少女アニメなぜ激増?『魔法使いサリー』から『魔法少女育成計画』に至る系譜を読む https://realsound.jp[...] 2016-11-18
[16] 뉴스 Pretty Cure 101: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nd Some Things You Don't https://www.animenew[...] 2020-10-30
[17] 웹사이트 【魔法少女まどか☆マギカ】魔法少女になるならどの子がいい?【人気アンケート実施中】 https://nlab.itmedia[...] 2021-02-01
[18] 웹사이트 The List - 7 Horrifying Magical Girl Anime https://www.animenew[...] 2018-07-22
[19] 뉴스 Rise of the Dark Magical Girls https://www.animenew[...] 2016-12-16
[20] 웹사이트 How ''Puella Magi Madoka Magica'' Shatters Anime Stereotypes http://www.laweekly.[...] 2012-10-22
[21] 뉴스 Cute High Earth Defense Club LOVE! Episode 9 https://www.animenew[...] 2015-03-04
[22] 학술지 Magical Girls and Atomic Bomb Sperm: Japanese Animation in 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5-10-01
[23] 뉴스 Cute High Earth Defense Club LOVE! Episodes 1-12 Streaming https://www.animenew[...] 2015-05-13
[24] 뉴스 Is This A Zombie? DVD - The Complete Series [Limited Edition] https://www.animenew[...] 2013-01-24
[25] 뉴스 Magical Girl Ore: Episode 12 https://www.animenew[...] 2018-06-20
[26] 학술지 Becoming the Labyrinth: Negotiating Magical Space and Identity in Puella Magi Madoka Magica 2016-04-06
[27] 뉴스 イナズマン&ポワトリン、冬のライダー映画に登場決定!サナギマンも復活し映画初出演! https://www.cinemato[...] 2012-09-29
[28] 뉴스 大人気シリーズ第二弾『魔法×戦士 マジマジョピュアーズ! https://realsound.jp[...] 2018-04-08
[29] 뉴스 プリキュア一強に終止符? 話題の「女児向け特撮ドラマ」担当者に聞く、子ども番組が"守るべきもの" https://www.oricon.c[...] 2019-02-27
[30] 학술지 Magic, Shōjo, and Metamorphosis: Magical Girl Anime and the Challenges of Changing Gender Identities in Japanese Societ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01-02
[31] 서적 コンテンツ2次利用市場(ライセンス市場)に係る 競争環境及び海外市場動向実態調査 http://www.kanto.met[...]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2011
[32] 뉴스 プリキュア一強に終止符? 話題の「女児向け特撮ドラマ」担当者に聞く、子ども番組が"守るべきもの" https://www.oricon.c[...] 2019-02-27
[33] 뉴스 Sailor Moon's Crystal Star Inspires Real Cosmetic for Adults https://www.animenew[...] 2013-06-04
[34] 뉴스 Bandai Revamps Sailor Moon's Moon Stick Toy for Grown-ups https://www.animenew[...] 2013-10-17
[35] 뉴스 Bandai Releases New Line of Sailor Moon Earrings https://www.animenew[...] 2014-11-29
[36] 웹사이트 about Japan Label https://emae-jp.tumb[...] 2012-03-08
[37] 뉴스 キュゥべえ柄プルオーバーなど、女性向け「まどか☆マギカ」コラボアパレル https://natalie.mu/c[...] 2014-11-14
[38] 뉴스 「CCさくら」×earth music&ecology、桜ワンピや魔法陣スカートが登場 https://natalie.mu/c[...] 2016-01-29
[39] 뉴스 「CCさくら」×earth、制服風のニットやケロちゃんが覗くトートなど6アイテム https://natalie.mu/c[...] 2018-09-19
[40] 뉴스 「おジャ魔女どれみ」×earthがコラボ、どれみたちをイメージした洋服やアクセサリー https://natalie.mu/c[...] 2020-08-27
[41] 뉴스 おジャ魔女どれみ:LIZ LISAコラボのワンピース登場 どれみのパティシエ服をイメージ https://mantan-web.j[...] 2018-05-03
[42] 뉴스 サンキューマートにおジャ魔女どれみのグッズが売ってたんだが https://www.buzzfeed[...] 2018-03-25
[43] 뉴스 Creamy Mami Character Goods Prove Showa Idols Are Forever https://www.crunchyr[...] 2019-07-11
[44] 뉴스 TVアニメ『カードキャプターさくら』の桜のバトル衣装をイメージのコラボエプロン3種&ケロちゃんとスッピーのミトンセット発売 https://www.animatet[...] 2017-05-31
[45] 뉴스 『おジャ魔女どれみ』より腕時計&バッグと春風どれみ&藤原はづき&妹尾あいこ&瀬川おんぷの4人をイメージしたランジェリーセットが登場! https://www.animatet[...] 2017-10-24
[46] 뉴스 「神風怪盗ジャンヌ」×Favoriteコラボ、桃栗学園制服やアクセスイメージしたワンピも https://natalie.mu/c[...] 2019-02-05
[47] 뉴스 「ぴちぴちピッチ」るちあ、波音、リナをイメージしたコラボワンピース3種 https://natalie.mu/c[...] 2019-02-18
[48] 뉴스 「おジャ魔女どれみ」×Favoriteコラボ、どれみたちの見習い服がワンピースに https://natalie.mu/c[...] 2019-02-19
[49] 뉴스 「東京ミュウミュウ」コラボワンピース、ミュウイチゴやカフェ制服モチーフの5種 https://natalie.mu/c[...] 2019-06-12
[50] 뉴스 「まどか☆マギカ」コラボワンピ、まどかたちの魔法少女衣装や見滝原中学校の制服も https://natalie.mu/c[...] 2019-09-05
[51] 뉴스 「CCさくら」Favoriteとのコラボ第2弾、魔法陣あしらったパーカーワンピなど https://natalie.mu/c[...] 2019-12-02
[52] 뉴스 中国産魔法少女アニメ『バララシャオモーシェン』がプリキュアっぽいような https://news.ameba.j[...] 2015-02-04
[53] 서적 Asian Popular Culture: The Global (Dis)continuity.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13
[54] 뉴스 Sailor Moon's impact on modern American animation remains undeniable https://www.avclub.c[...] 2020-09-18
[55] 웹사이트 Lolirock Arrives At Long Last to US http://www.bsckids.c[...] 2016-04-27
[56] 뉴스 Our Most Anticipated Anime Of Summer 2020 https://www.animenew[...] 2020-07-01
[57] 웹사이트 Part Magical Girl, Part Superhero; Ladybug Arrives State-Side in Fall http://www.bsckids.c[...] 2015-07-02
[58] 웹사이트 Teen French Heroes Ladybug & Cat Noir Arrive On Nickelodeon http://comicsallianc[...] 2015-12-03
[59] 웹사이트 Bee & Puppycat's Natasha Allegri: The ComicsAlliance Interview https://comicsallian[...] 2014-08-27
[60] 뉴스 Steven Universe, Explained https://www.polygon.[...] 2016-05-11
[61] 뉴스 Review: Syfy's late-night animation block adds one winner and one misfire. https://sea.ign.com/[...] 2020-09-29
[62] 웹사이트 The Girls of Canterlot High Return to Discovery Family in Three New My Little Pony: Equestria Girls Specials to Air Throughout the Network's Annual "Summer Splash" Programming Event https://press.discov[...] 2017-05-26
[63] 웹사이트 'Agents of the Realm': She is the one named Sailor Norah https://www.cbr.com/[...] 2014-08-18
[64] 웹사이트 Zodiac Starforce #1 https://www.cbr.com/[...] 2015-08-05
[65] 웹사이트 The Price of Magic (Sleepless Domain #1) by Mary Cagle https://www.publishe[...] 2022-10-06
[66] Ph.D. Representations of Girls in Magical Girl TV Animation Programmes from 1966 to 2003 and Japanese Female Audiences' Understanding of Them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Warwick 2011-09
[67] 문서 2011년에는, 심야 애니메이션으로 어른들을 위한 시리어스한 이야기가 전개되는 애니메이션 작품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가 등장했다.
[68] 서적 The Sailor Moon Role-Playing Game and Resource Book
[69] 웹사이트 gooランキング 思い出に残る女の子の変身少女キャラクターランキング http://ranking.goo.n[...]
[70] 서적 The Sailor Moon Role-Playing Game and Resource Book
[71] 서적 The Sailor Moon Role-Playing Game and Resource Book
[72] 서적 The Sailor Moon Role-Playing Game and Resource Book
[73] 뉴스 ネットに広まる「魔女っ子は放送禁止用語」説 調査して分かった「放送で扱いにくい理由」と「一般人が納得できない理由」 https://nlab.itmedia[...] ねとらぼ 2019-03-27
[74] 서적 動画王 vol.02 スーパー魔女っ子大戦 キネマ旬報別冊
[75] 웹사이트 ミラクル少女リミットちゃん - 作品ラインナップ https://lineup.toei-[...]
[76] 웹사이트 ストーリー - ミラクル少女リミットちゃん - 作品ラインナップ https://lineup.toei-[...]
[77] 웹사이트 想い出のアニメライブラリー 第40集 ミラクル少女リミットちゃん DVD-BOX デジタルリマスター版 https://www.tc-ent.c[...]
[78] 잡지 石ノ森ヒーローの系譜【前編】 徳間書店 2010-12
[79] 뉴스 『パラッパラッパー』が発売された日。ノリノリのサウンドと特徴的な映像表現で世界的ヒット。リズムゲームの草分け的存在に【今日は何の日?】 https://www.famitsu.[...] ファミ通 2023-12-06
[80] 뉴스 あの「e-kara」がゲーム機に進化!? タカラ 「e-pitch マイクスターターセット」 https://game.watch.i[...] GAME Watch 2003-05-22
[81] 뉴스 視聴率、世帯から個人の時代 「全国で○人見た」可能に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0-03-11
[82] 잡지 【佐藤辰男×鳥嶋和彦対談】いかにしてKADOKAWAはいまの姿になったか──ライトノベルの定義は「思春期の少年少女がみずから手に取る、彼らの言葉で書かれたいちばん面白いと思えるもの」【「ゲームの企画書」特別編】 https://news.denfami[...] 電ファミニコゲーマー 2018-12-28
[83] 웹사이트 ジャングルはいつもハレのちグゥ illusion 19(24分) https://www.b-ch.com[...]
[84] 뉴스 「女装男子」が急増中 きれいならOK?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09-12-22
[85] 웹사이트 オンライン書店コンピュータ書売れ筋ランキング 2004/07/26~2004/08/01 https://enterprise.w[...] 2004-08-03
[86] 뉴스 令和にリメイクしてほしい魔法少女アニメランキング!3位「おジャ魔女どれみ」、2位「もえたん」、気になる1位は… https://www.jiji.com[...] 時事通信 2024
[87] 잡지 “病み”の自己発信 サイゾー 2017
[88] 뉴스 あれから10年、「ケータイ小説」が急速に廃れた理由とは? 現役女子高生に『恋空』を読んでもらった https://nlab.itmedia[...] ITmedia
[89] 잡지 集英社 2011-05-30
[90] 뉴스 車のCMではなく、本気のアニメを――スバルの挑戦【前編】 https://ascii.jp/ele[...] ASCII 2011-05-21
[91] 뉴스 日産、新作アニメのロボットデザインに参画 https://www.nikkei.c[...] 日経新聞 2011-10-16
[92] 웹사이트 「江崎メンヘランド・江崎びす子出馬!病みかわ党」 - 8/5 (sat) – 8/20 (sun) https://tavgallery.c[...] 2017
[93] 뉴스 病みかわいい「メンヘラチャン」×原宿「PARK」 コラボアイテム先行予約開始! https://ddnavi.com/n[...] ダ・ヴィンチ 2015-06-16
[94] 소셜미디어 サブカル❀メンヘラ女 https://x.com/Bisuko[...] 2013-12-17
[95] 뉴스 「リスカバングル」販売中止に リストカットがファッションのように扱われていると非難 https://nlab.itmedia[...] ITmedia 2015-07-01
[96] 서적 「ぴえん」という病 SNS世代の消費と承認 扶桑社 2021-12-22
[97] 뉴스 トー横キッズが歌舞伎町に居場所求める本当の訳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 2021-12-09
[98] 서적 パパ活女子 2021-11-25
[99] 뉴스 【恋愛感情を利用】“りりちゃん”と称し動画配信…男性から現金だまし取る詐欺手助けか 「頂き女子」マニュアル販売の女逮捕 https://www.fnn.jp/a[...] FNN 2023-08-24
[100] 뉴스 懲役8年6か月・罰金800万円「頂き女子りりちゃん」控訴審 “獄中日記”では… https://news.ntv.co.[...] 日テレ 2024-09-30
[101] 뉴스 中山敦支が自殺志願者の少女描く新連載でUJ登場、ジョジョのステッカーも https://natalie.mu/c[...] ナタリー 2020-04-17
[102] 뉴스 中山敦支「スーサイドガール」6巻発売でポップアップストア開催、初のサイン会も https://natalie.mu/c[...] ナタリー 2022-06-17
[103] 웹사이트 君も夢の中へ「ミュークルドリーミー」とトキメキを見つけよう! https://utaten.com/s[...] 2020-07-09
[104] 뉴스 花ゆめでW集中連載、北海道の牧場もの&地味少女が悪役に https://natalie.mu/c[...] ナタリー 2013-02-20
[105] 웹사이트 副業・兼業 https://www.mhlw.go.[...]
[106] 뉴스 優れた起業家が持つ「解像度の高さ」の正体、“深さ・広さ・構造・時間”の4つが鍵 p.2 https://diamond.jp/a[...] ダイアモンドオンライン 2023-03-01
[107] 웹사이트 【漫画】魔法少女のブラックさがバレる! 選ばれたヤンキー、労働条件の交渉を始め… https://magmix.jp/po[...] メディア・ヴァーグ 2021-01-04
[108] 뉴스 株式会社マジルミエ:ジャンプ+話題作がテレビアニメ化 お仕事×魔法少女 第1話「株式会社マジルミエへようこそ」 https://mantan-web.j[...] MANTAN 2024-10-04
[109] 웹사이트 くたびれたスーツと哀愁の背中…社会の陰で奮闘する“おじさん”に涙! SNSで大きな話題を呼んだ『魔法中年』が最高にエモかった件 https://ddnavi.com/r[...] KADOKAWA 2022-10-06
[110] 웹사이트 Fancy Lala - Complete Collection (DVD 1-6 of 6) http://www.animenews[...]
[111] 뉴스 Bandai Discontinues Collections http://www.animenews[...] 2005-01-11
[112] 웹사이트 Magical Princess Gigi http://www.amazon.co[...]
[113] 웹사이트 巴啦啦小魔仙 http://www.balala200[...]
[114] 웹사이트 巴啦啦小魔仙彩虹心石 http://balala.auldey[...]
[115] 뉴스 『花の子ルンルン』44年ぶり”新作”制作 題材にした新たな物語『花仙子-之魔法香対論』PV公開 https://www.oricon.c[...] オリコン 2024-10-25
[116] 문서 사역마
[117] 문서 애니메이션에 한하여 엄밀히는 《미소녀전사 세일러문》(1992년 3월)보다 《꽃의 천사 메리벨》(1992년 2월)이 약간 앞선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