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북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북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속하는 행정동이다. 고구려 시대에 구성현으로 시작하여 통일신라, 고려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5년 구성읍에서 분동되어 마북동으로 행정 구역이 정해졌다. 법화산 자락에 위치하며, 마북천이 흐른다. 주요 문화 유적으로는 석불입상, 민영환 묘소, 장욱진 고택 등이 있으며, 단국대학교 한국민족학연구소에 의해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고분군이 발굴되었다. 2019년 기준 인구는 약 3만 2천 명이며,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종사자 수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용인시의 행정동 - 신봉동 (용인시)
    신봉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에 속하는 행정동으로, 과거 용구현과 용인현 수진면 지역이었으며,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등의 문화재와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고, 2020년 8월 기준 38,247명이 거주한다.
  • 용인시의 행정동 - 신갈동
    신갈동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며, 경부고속도로와 영동고속도로가 분기하는 신갈 분기점과 수원 나들목이 있는 교통의 요지이고, 조선시대 현화사 터, 용인운전면허시험장, 아파트 단지, 한국민속촌 등이 위치한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영덕동
    영덕동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동으로, 영통리와 덕동 일부가 합쳐져 신설되었고, 광교신도시 조성으로 수원시 영통구 하동으로 일부 편입되기도 했으며, 용인서울고속도로 흥덕 나들목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자 흥덕지구를 중심으로 주거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다.
  • 용인시의 법정동 - 상현동
    상현동은 용인시 수지구에 있는 동으로, 일제강점기 용인군 지내면의 상리와 만현 고개에서 유래되었으며, 심곡서원, 문정공 조광조 묘 등의 문화재와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군
    양지군은 현재의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과 안성시 고삼면 일대를 관할했던 경기도의 옛 군으로, 통일신라 시대 양량부곡에서 조선시대 양지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용인군에 편입되었다.
  • 용인시의 행정 구역 - 양지면
    양지면은 본래 고구려의 사복홀현이었으나 신라 경덕왕 때 양지현으로 개명된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용구현과 합쳐졌다 분리되는 변화를 겪었고 일제강점기에는 용인군에 병합되어 내사면으로 개칭되었다가 광복 50주년을 맞아 양지면으로 환원되었으며, 현재는 영동고속도로와 국도 제42호선, 양지 나들목, 그리고 여러 레저 시설이 위치한 용인시 처인구의 면이다.
마북동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정보
면적5.39km2
행정 정보
읍면동마북동
한자 표기麻北洞
영문 표기Mabuk-dong
광역시도경기도
시군구용인시 기흥구
법정동마북동
33
343
동주민센터'[16910]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구교동로118번길 16(마북동)'
홈페이지마북동행정복지센터
인구 정보
세대12,276
세대 조사 년월2021년 9월
인구32,036
인구 조사 년월2022년 2월

2. 연혁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구성현으로 명명되었다. 757년 통일신라 경덕왕 16년 거서현으로 개칭되었다. 940년 고려 태조 23년 용구현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 광주의 임내에 속하게 되었다. 1413년 조선 태종 13년 용구와 처인을 합쳐 용인현이라 칭하였다. 1895년 고종 3년 용인현을 용인군으로 개칭하였다. 1996년 3월 1일 용인군용인시로 승격되었다. 2000년 9월 1일 구성면에서 구성읍으로 승격되었다. 2005년 10월 31일 마북동으로 분동(옛 구성읍보정동구성동, 마북동, 동백동상하동으로 행정동이 나눠 있으며 구성동에는 언남동과 청덕동이라는 법정동이 있고 동백동에는 동백동과 중동의 법정동이 있다)되었다. 2014년 4월 14일 신축 마북동주민센터로 이전, 업무를 개시하였다.

2. 1. 고대 - 고려시대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구성현으로 명명되었다. 757년 통일신라 경덕왕 16년 거서현으로 개칭되었다. 940년 고려 태조 23년 용구현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 광주의 임내에 속하게 되었다.

2. 2. 조선시대 - 근대

475년 고구려 장수왕 63년 구성현으로 명명되었다. 757년 통일신라 경덕왕 16년 거서현으로 개칭되었다. 940년 고려 태조 23년 용구현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 광주의 임내에 속하게 되었다. 1413년 조선 태종 13년 용구와 처인을 합쳐 용인현이라 칭하였다. 1895년 고종 3년 용인현을 용인군으로 개칭하였다.

2. 3. 현대

1996년 3월 1일 용인군이 도농복합시 형태의 용인시로 승격되었다. 2000년 9월 1일에는 구성면이 구성읍으로 승격되었다. 2005년 10월 31일에는 구성읍보정동, 구성동, 마북동, 동백동, 상하동으로 분동되면서 마북동이 설치되었다. 이때 구성동에는 언남동과 청덕동이, 동백동에는 동백동과 중동이 법정동으로 설치되었다. 2014년 4월 14일 신축 마북동주민센터로 이전하여 업무를 개시하였다.

3. 지리

기흥구의 북서부에 위치하며 법화산 자락의 응달길 고개에서 발원하는 마북천이 무등재에서 내려와 하늘마을에서 교동마을로 흘러 남쪽의 탄천으로 흘러든다. 탄천 주위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고 상마곡 주변에 기업의 연구소가 들어서 있다.

4. 인구

마북동 성별 연령별 인구 구조
[1]

==== 인구 구성 ====

마북동의 인구는 32,533명(2019년 2월 28일 기준, 내국인)으로 용인시 전체 인구의 3.1%를 차지한다. 남자는 15,942명, 여자는 16,591명이다. 외국인은 117명이다. 마북동의 인구 비율은 농촌 지역의 특성이 나타나서 유소년 (15세 미만) 인구 비율은 14.00%로 용인시 전체 16.1%보다 낮으며 노년(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6.70%로 용인시 전체 12.2%보다 높다.[2]

==== 산업별 종사자 현황 ====

2015년 현재 마북동의 산업 총종사자 수는 9,993명이다.[3] KCC 중앙연구소와 현대자동차 기술연구소 등 기업의 연구소가 많이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수가 5,874명으로 가장 비중이 높다.[3] 그 외에 교육 서비스업 종사자가 931명, 도매및 소매업은 686명, 숙박 및 음식점업은 644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419명으로 비중이 높다.[3]

4. 1. 인구 구성

마북동의 인구는 32,533명(2019년 2월 28일 기준, 내국인)으로 용인시 전체 인구의 3.1%를 차지한다. 남자는 15,942명, 여자는 16,591명이다. 외국인은 117명이다. 마북동의 인구 비율은 농촌 지역의 특성이 나타나서 유소년 (15세 미만) 인구 비율은 14.00%로 용인시 전체 16.1%보다 낮으며 노년(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6.70%로 용인시 전체 12.2%보다 높다.[2]

4. 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5년 현재 마북동의 산업 총종사자 수는 9,993명이다.[3] KCC 중앙연구소와 현대자동차 기술연구소 등 기업의 연구소가 많이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수가 5,874명으로 가장 비중이 높다.[3] 그 외에 교육 서비스업 종사자가 931명, 도매및 소매업은 686명, 숙박 및 음식점업은 644명,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419명으로 비중이 높다.[3]

5. 문화 유적

마북동에는 석불입상(시지정 향토유적 제52호)과 석탑, 연안부부인 전씨(조선 성종의 장모이자 중종의 외조모)의 묘소가 있다. 1905년 을사늑약[4] 체결에 개탄하여 〈대한 이천만 동포에게 남기는 글〉을 남기고 자결한 충정공(忠正公) 민영환묘소(경기도 기념물 제18호)도 있다.[5] 민영환의 묘소는 본래 수지구 풍덕천1동 토월마을에 봉분 없이 평장되었으나 1942년 후손들이 현재 위치로 옮겼다고 전해진다.[5] 묘소의 신도비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제자(題字)와 민영환이 자결할 때 남긴 유서도 함께 새겨져 있다.[5]

화가 장욱진이 살았던 장욱진 고택(등록문화재 제404호)이 마북동에 있다.

5. 1. 주요 문화재

마북동에는 석불입상(시지정 향토유적 제52호)과 석탑, 연안부부인 전씨(성종의 장모이자 중종의 외조모)의 묘소가 있다. 1905년 을사늑약[4] 체결에 개탄하여 〈대한 이천만 동포에게 남기는 글〉을 남기고 자결한 민영환묘소(경기도 기념물 제18호)도 있다.[5] 민영환의 묘소는 본래 수지구 풍덕천1동 토월마을에 봉분 없이 평장되었으나 1942년 후손들이 현재 위치로 옮겼다.[5] 묘소의 신도비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 제자(題字)와 민영환이 자결할 때 남긴 유서도 함께 새겨져 있다.[5]

화가 장욱진이 살았던 장욱진 고택(등록문화재 제404호)이 마북동에 있다.

5. 2. 기타 문화 유적

법화산 자락으로 감싸안은 듯한 마북동의 하늘말(마을)에는 마북동의 고분군으로 알려진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의 고분과 보정동 요지라는 가마터가 발견되었다. 현재는 학교법인 단국대학(사학재단), 현대자동차그룹, KCC 중앙연구소 등이 소유하고 있는 사유지로 되어 있지만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 후기에 조성되었던 고분과 요지로 알려져 있다.

단국대학교 한국민족학연구소가 1996년 5월 27일부터 6월 25일까지 발굴조사한 자료에 의하면 고분군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후기로 추정되는 '마북동의 고분군1'과 고려시대 중기로 추정되는 '마북동의 고분군2'로 구분되는데 '마북동의 고분군1'(마북동 2-2번지) 유적석곽묘 7기와 토광묘 2기가 출토되었다.

통일신라 고분은 1·2호 석곽묘였고, 고려 후기시대의 고분은 3~7호 석곽묘와 8·9호 토광묘였다.

'마북동고분군2'(마북동 산46-1번지) 유적은 지표 조사 과정에서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완형(完形)의 녹청자반구병(綠靑磁盤口甁) 1점이 수습되면서 발굴되었다. 발굴조사는 경기도박물관에 의하여 1997년 11월 28일부터 12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고려시대 석곽묘 4기와 토광묘 4기의 고분과 고려청자를 비롯해 동경(銅鏡) 등의 유물이 다수 확인되었다. (참고로 가까운 곳에 1998년 한신대학교 박물관(권오영 교수)의 지표 조사에서 확인된 고려시대의 청자 가마 터로 추정되는 '보정동 요지(寶亭洞 窯址)'가 위치한다. 남쪽에 탄천의 지류가 되고 있는 옥정천이 흐르고, 주변은 택지로 개발되고 있는 상태이다.

섬네일


또한 이곳에는 윤호의 부인이자 성종의 장모로 후에 중종의 외할머니가 되었던 연안부부인(延安府夫人) 전씨(田氏)를 모신 사당으로 현조사(顯祖祠)가 있다. 현조사는 윤씨의 종가에서 받들어온 사묘(四廟)이다. 기흥구 마북동 북쪽에 위치한 연안부부인 전씨의 비각을 지나면 몇 채 안 되는 작은 마을이 나온다. 이 마을에서 오솔길을 따라가면 현조사(顯祖)가 나오며 입구에는 신도비각과 하마비가 있다.

묘소가 있는 입구쪽에는 [大小人皆下馬]라고 쓴 하마비(下馬碑)가 있는데 산 아래로 내려오다보면 현조사(顯祖祠)가 나온다. 현조사는 부부인 전씨의 위패를 모신 사묘(四廟)형태의 가묘(家廟)로, 정면 3칸 측면 1칸에 퇴마루를 달았다.

영원부원군 윤호가 신창현감으로 있을 때 부인 전씨가 낳은 딸이 후에 성종의 계비가 된 정현왕후이다. 성종의 비는 본래 칠삭둥이 한명회의 딸이었으나 19살 때 요절하였고, 연산군의 어머니인 윤숙의가 계비가 되었으나 “음험하고 패악하다”는 이유로 폐위, 사사되었다. 그 후 윤호의 딸이 계비가 되어 전씨는 부부인의 작위를 받았다.

6. 교육 기관

wikitable

학교명종류주소웹사이트
구성초등학교공립마북로 117[http://www.guseong.es.kr/ 홈페이지]
교동초등학교공립구성2로 61[http://www.gyodong.es.kr/ 홈페이지]
마북초등학교공립마북로 67[http://mabook.es.kr/main.do 홈페이지]
구성중학교공립용인시 기흥구 마북로 71[http://www.guseong.ms.kr/ 홈페이지]
구성고등학교공립연원로 74번길 9[http://www.guseong.hs.kr/ 홈페이지]


7. 주거 시설

단지명건설사시행사주소입주비고
교동마을 쌍용쌍용건설풍산종합건설㈜2002년 3월
교동마을 현대홈타운현대건설군인공제회2003년 8월
교동마을 현대필그린고려산업개발㈜㈜유국건설2002년 1월
교동마을 LGLG건설삼보건영㈜2001년 8월
연원마을 LG㈜유신전자1999년 12월
연원마을 삼성쉐르빌삼성중공업㈜한국종합건설2002년 5월
연원마을 현대현대산업개발정광건설㈜2000년 5월
삼거마을 삼성래미안 1차삼성물산㈜ 건설부문삼호건설㈜2002년 12월
연원마을 블루밍 구성 더 센트럴벽산건설2000년 9월
구성역 해링턴플레이스효성㈜
진흥기업
이다플랜㈜2016년 11월



DL이앤씨㈜가 건설한 E편한세상 용인역플랫폼시티는 2024년 4월 입주하였고, E편한세상 마북은 2009년 11월(1차)과 2010년 11월(2차)에 입주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마북동 연령별 인구 https://estat.yongin[...] 용인시 통계바다 2018-09-29
[2] 웹사이트 용인시 월별통계 https://www.yongin.g[...] 용인시청
[3] 간행물 2015년 용인시 통계연보 https://estat.yongin[...] 용인시청 통계바다 2021-01-18
[4] 문서 우리가 을사조약을 을사늑약이라고 하는 이유는 강제로 맺은 조약이기 때문이다. 대한제국의 재정권과 외교권을 박탈한 [[1904년]] [[8월]] 제1차 한·일 협약(한일협정서)을 맺고는 [[1905년]] [[11월]] 일제는 을사늑약(乙巳勒約, 제2차 한일 협약(일본어, 第二次日韓協約), 을사년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을사조약, 을사오조약, 을사보호조약이라 부른다)을 맺었다.
[5] 뉴스 제국의 황혼 '100년 전 우리는' (223) 민영환 자결 후 솟은 血竹 http://news.chosun.c[...] 조선일보사 2010-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