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 옵저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스 옵저버는 1992년 9월 발사된 NASA의 화성 궤도선으로, 바이킹 계획 이후 18년 만에 미국이 발사한 화성 탐사선이었다. 화성 궤도 진입을 시도하던 1993년 8월 통신이 두절되어 임무가 실패했다. 총 비용은 8억 1300만 달러로 추산되었으며, 화성 표면의 원소 및 광물학적 특성 결정, 지형 및 중력장 정의, 자기장 특성 확립 등을 목표로 했다. 실패 원인으로는 연료 가압 시스템 파손으로 인한 연료 및 가스 누출이 유력하게 제기되었으며, 이로 인해 궤도선이 회전하며 통신이 두절된 것으로 추정된다. 마스 옵저버의 실패는 이후 화성 탐사 프로그램의 결성과 화성 유인 탐사 준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우주 개발 - 자기권미부관측위성 지오테일
지오테일은 일본 JAXA 주도로 NASA, ESA 등이 협력하여 개발, 1992년 발사되어 2012년까지 지구 자기권 꼬리 부분과 태양풍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며 자기장 재연결, 플럭스 전달 현상, 플라스마 시트 등 자기권 현상 관측 자료를 제공하여 우주 기상 연구에 기여한 자기권 관측 위성이다. - 1992년 발사한 우주선 - 우리별 1호
우리별 1호는 1992년 대한민국 최초로 발사된 인공위성으로, 한국과학기술원과 서리 대학교의 협력으로 개발되었으며 아마추어 무선 중계기를 탑재하여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대한민국이 세계 22번째 위성 운영 국가가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 1992년 발사한 우주선 - STS-49
STS-49는 1992년 인데버 우주왕복선으로 발사된 NASA 미션으로, 고장난 인텔샛 603 위성 수리 및 재배치를 목표로 사상 최초 3인 동시 선외 활동을 포함한 4회의 선외 활동이 수행되었으며, 인데버의 첫 비행이자 우주왕복선 착륙 시 드래그 슈트를 처음 사용한 미션이다. - 미국의 우주 사고 - 아폴로 13호
아폴로 13호는 달 착륙을 목표로 발사되었으나, 산소 탱크 폭발 사고로 달 착륙이 취소되었지만, 승무원들은 달 착륙선을 이용하여 무사히 지구로 귀환하여 "성공적인 실패"라는 별칭을 얻은 미국의 아폴로 계획 중 세 번째 유인 우주 탐사 임무이다. - 미국의 우주 사고 -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공중분해 사고
컬럼비아 우주왕복선 공중분해 사고는 2003년 2월 1일 대기권 재진입 중 열 차폐 시스템 손상으로 인해 우주왕복선이 공중 분해되어 승무원 7명이 사망한 사고이다.
마스 옵저버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화성 지질과학 및 기후 궤도선 |
임무 유형 | 화성 궤도 탐사선 |
운영 기관 | NASA / JPL |
웹사이트 | science.nasa.gov |
COSPAR ID | 1992-063A |
SATCAT | 22136 |
임무 기간 | 1992년 9월 25일 ~ 1993년 8월 21일 (임무 실패) |
우주선 종류 | 화성 탐사선 |
우주선 버스 | 마스 옵저버 버스 (AS-4000-TIROS/DMSP 혼합형) |
제조사 | 제너럴 일렉트릭 Astro Space |
발사 질량 | 1018 kg |
전력 | 1,147 와트 |
발사 정보 | |
발사일 | 1992년 9월 25일 17:05:01 UTC |
발사 로켓 | 코머셜 타이탄 III/TOS |
발사 장소 | 케이프 커내버럴 LC-40 |
발사 계약자 | 마틴 마리에타 |
임무 정보 | |
마지막 교신 | 1993년 8월 21일 01:00 UTC |
궤도 기준 시점 | 1993년 12월 6일 (예정) |
궤도 기준 | 화성 중심 |
궤도 경사 | 92.869° |
궤도 장반축 | 3766.159 km |
궤도 이심률 | 0.004049 |
궤도 원지점 | 화성 |
화성 접근 정보 | |
유형 | 플라이바이 |
비고 | 궤도 진입 실패 |
대상 천체 | 화성 |
도착 예정일 | 1993년 8월 24일 |
프로그램 정보 | |
프로그램 | 행성 관측 프로그램 |
2. 개발 배경 및 역사
1992년 9월 25일 케ープ커내버럴 공군 기지 제40발사 시설에서 타이탄 III 로켓으로 마스 옵저버가 발사되어 예정대로 화성 궤도에 진입했다. 이는 바이킹 계획 이후 18년 만에 미국이 화성 탐사선을 발사한 것이었다.
1993년 8월 24일 화성에 접근하여 엔진 분사를 통해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으나, 8월 21일 연료 탱크 가압 준비 도중 탐사선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 이후 지상에서 반복적으로 명령을 전송했으나 응답이 없어 탐사선은 행방불명되었다.
1994년 1월, 조사 위원회는 사고 원인 보고[1]를 통해 탐사선의 연료 가압 계통 파손으로 연료와 가스가 분출되었고, 그 반동으로 탐사선이 회전하게 된 것을 실패 원인으로 추정했다.
마스 옵저버는 교신이 끊어진 채 화성 근방을 통과하여 인공 행성이 된 것으로 추정되나, 자율적으로 궤도 진입 과정을 실행하여 화성 궤도에 진입했을 가능성도 있다.
2. 1. 개발 배경
1984년, 태양계 탐사 위원회는 화성 탐사에 대한 우선 순위가 높은 임무를 설정했다. 당시 '화성 지질/기후 궤도선'으로 명명된 이 화성 궤도선은 이미 바이킹 계획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확장할 계획이었다. 초기 임무 목표는 탐사선이 행성 자기장 데이터, 표면의 특정 스펙트럼 선 신호 감지, 1 미터/화소의 표면 이미지 및 전역 고도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었다.''마스 옵저버''는 원래 우주왕복선 궤도선에 의해 1990년에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우주왕복선 ''챌린저'' 폭발 사고 이후 다른 지연된 임무 (''갈릴레오'', 마젤란, ''율리시스'') 대신 1992년 발사로 재조정되었다. 우주선이 특정 제약 조건을 충족하도록 설계된 경우, 소모성 로켓을 사용할 가능성도 제안되었다. 발사 지연과 더불어, 예산 초과로 인해 1992년 발사 계획에 맞춰 두 개의 기기를 제거해야 했다. 개발이 진행되면서, 주요 과학적 목표는 다음과 같이 확정되었다.
- 표면 물질의 전역적인 원소 및 광물학적 특성 결정.
- 지형과 중력장을 전역적으로 정의.
- 화성 자기장의 특성 확립.
- 계절 주기에 걸쳐 휘발성 물질과 먼지의 시간적 및 공간적 분포, 풍부도, 발생원 및 소멸원 결정.
- 천체의 대기 구조와 순환 탐사.
프로그램의 총 비용은 8.13억달러로 추산된다.
3. 탐사선 설계
''마스 옵저버''는 이전의 지구 궤도용 위성 설계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우주선의 질량은 1018kg이며, 버스의 크기는 높이 1.1 미터, 너비 2.2 미터, 깊이 1.6 미터였다. RCA AS-4000 Ku-대역 위성 설계가 버스, 추진, 열 보호, 태양 전지판에 사용되었고, RCA TIROS 및 DMSP Block 50-2 위성 설계는 자세 및 관절 제어 시스템(AACS), 명령 및 데이터 처리 하위 시스템, 전력 하위 시스템에 활용되었다. 이중 추진제 구성 요소 및 고이득 안테나 등은 임무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3. 1. 구조
''마스 옵저버'' 우주선의 질량은 1018kg이었다. 버스의 크기는 높이 1.1 미터, 너비 2.2 미터, 깊이 1.6 미터였다. 이 우주선은 이전의 지구 궤도용으로 설계 및 개발된 위성 설계를 기반으로 했다. RCA AS-4000 Ku-대역 위성 설계는 우주선 버스, 추진, 열 보호 및 태양 전지판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RCA TIROS 및 DMSP Block 50-2 위성 설계는 ''마스 옵저버''의 자세 및 관절 제어 시스템(AACS), 명령 및 데이터 처리 하위 시스템, 전력 하위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에도 활용되었다. 이중 추진제 구성 요소 및 고이득 안테나와 같은 다른 요소는 임무를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3. 2. 자세 제어 및 추진 시스템
우주선은 4개의 반작용 휠과 1,346 kg의 추진제를 사용하는 24개의 반작용 엔진을 갖춘 3축 안정화 우주선이었다. 추진 시스템은 대규모 기동을 위한 고추력, 모노메틸 히드라진/사산화 질소 이중 추진제 시스템과 임무 중 작은 궤도 수정을 위한 저추력 히드라진 단일 추진제 로켓 시스템이었다. 이중 추진제 추력기 중 4개는 선미에 위치하며 궤도 수정, 화성 궤도 진입 기동 중 우주선 제어, 임무 중 대규모 궤도 수정을 위해 490 뉴턴의 추력을 제공한다. 우주선의 측면에 위치한 다른 4개는 롤 기동 제어를 위해 22 뉴턴을 제공한다. 히드라진 추력기 중 8개는 궤도 조절 기동을 제어하기 위해 4.5 뉴턴을 제공하며, 다른 8개는 반작용 휠의 오프셋 또는 "탈포화"를 위해 0.9 뉴턴을 제공한다. 우주선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지평선 센서, 6 슬릿 별 스캐너, 5개의 태양 센서가 포함되었다.3. 3. 통신 시스템
통신을 위해 탐사선에는 2축을 가진 1.5미터 포물선형 고이득 안테나가 포함되었으며, 심우주 통신망과 X-밴드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6미터 붐에 장착된 2개의 GFP NASA X-밴드 트랜스폰더 (NXT)와 2개의 GFP 명령 감지 장치 (CDU)를 사용하였다. 또한 고이득 안테나가 수납되어 있는 크루즈 단계와 고이득 안테나를 통한 통신이 제한될 경우를 대비한 비상 조치에 사용하기 위해 6개의 저이득 안테나 어셈블리와 하나의 중이득 안테나가 포함되었다. 심우주 통신망에 방송할 때 탐사선은 초당 최대 를 달성할 수 있었으며, 초당 최대 62.5바이트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었다.
3. 4. 전력 시스템
전력은 너비 7.0미터, 높이 3.7미터의 태양 전지판 6개를 통해 우주선에 공급되었으며, 궤도상에서 평균 1,147와트의 전력을 공급했다. 엄폐로 인해 태양에서 가려져 우주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42Ah 용량의 니켈-카드뮴 배터리 2개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배터리는 태양 전지판이 햇빛을 받으면 재충전되었다.3. 5. 컴퓨터 시스템
우주선의 컴퓨팅 시스템은 TIROS 및 DMSP 위성에 사용된 시스템을 재구성한 것이다. 이 반자동 시스템은 64킬로바이트 램에 최대 2,000개의 명령을 저장하고 초당 최대 12.5개의 명령을 실행할 수 있었다. 또한 명령을 통해 최대 60일 동안 우주선을 충분히 자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었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중복 디지털 테이프 레코더(DTR)가 포함되었으며, 각각 최대 187.5메가바이트를 저장하여 나중에 심우주 네트워크로 재생할 수 있었다.4. 과학 장비
마스 옵저버에는 다음과 같은 과학 장비들이 탑재되었다.
장비명 | 약칭 | 설명 | 주 연구자 및 비고 |
---|---|---|---|
화성 옵저버 카메라 | MOC | 화성의 기상, 기후 및 지구과학 연구용 카메라. | 마이클 말린/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 |
화성 궤도 레이저 고도계 | MOLA | 화성 지형 정의용 레이저 거리 측정법 장비. | 데이비드 스미스/미국 항공 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 |
열 방출 분광계 | TES | 열 적외선 방출 측정, 표면 광물 등 지도화. | 필립 크리스텐슨/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 |
압력 변조 적외선 복사계 | PMIRR | 열 적외선 및 가시 채널 이용, 대기 및 표면 관측. | 다니엘 맥클리시/제트 추진 연구소, 화성 기후 궤도선에 재통합 후 화성 정찰 궤도선에 탑재 |
감마선 분광계 | GRS | 화학 원소의 방사성 붕괴로 방출되는 감마선/중성자 스펙트럼 기록. | 윌리엄 보인턴/애리조나 대학교, 2001 화성 오디세이에 재통합 |
자력계 및 전자 반사계 | MAG/ER | 자기장 및 태양풍과의 상호작용 데이터 수집. | 마리오 아쿠나/미국 항공 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 |
전파 과학 실험 | RS | 중력장과 화성의 대기 구조 데이터 수집. | G. 타일러/스탠퍼드 대학교,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 |
화성 기구 중계 | MBR | 러시아 화성 탐사 임무 데이터 중계 계획. | 자크 블라몽/국립 과학 연구 센터,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 |
4. 1. 마스 옵저버 카메라 (MOC)
화성 옵저버 카메라('''MOC''')는 화성의 기상/기후 및 지구과학을 연구하기 위해 좁은 시야각과 넓은 시야각의 망원경 카메라로 구성되었다.목표 |
---|
- '''주 연구자:''' 마이클 말린/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http://www.msss.com/all_projects/mars-observer-moc.php 웹사이트])
-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

4. 2. 화성 궤도 레이저 고도계 (MOLA)
화성 궤도 레이저 고도계(MOLA)는 화성의 지형을 정의하는 데 사용된 레이저 거리 측정법 장비이다. 주 연구자는 미국 항공 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데이비드 스미스였다.목표 |
---|
4. 3. 열 방출 분광계 (TES)
열 방출 분광계(TES)는 세 개의 센서(마이켈슨 간섭계, 태양 반사율 센서, 광대역 복사 센서)를 사용하여 열 적외선 방출을 측정, 표면 암석, 서리의 광물 함량 및 구름의 조성을 지도화한다. 주 연구자는 필립 크리스텐슨(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이었다. 이 장비는 이후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되었다.열 방출 분광계(TES)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목표 |
---|
4. 4. 압력 변조 적외선 복사계 (PMIRR)
압력 변조 적외선 복사계(PMIRR)는 협대역 방사 채널과 두 개의 압력 변조 셀을 사용하여 열 적외선에서 대기 및 표면 방출을 측정하고, 가시 채널을 사용하여 먼지 입자와 응축물을 위도와 계절에 따라 대기 및 표면에서 측정한다. 주 연구자는 제트 추진 연구소의 다니엘 맥클리시였다. 이 장비는 화성 기후 궤도선에 재통합되었으며, 이후 화성 정찰 궤도선에서 추가 개발 및 탑재되었다.PMIRR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목표 |
---|
표면에서 80km 고도까지 대기의 3차원적이고 시간 변화하는 열 구조를 지도화한다. |
대기 먼지 부하 및 그 전반적, 수직적, 시간적 변화를 지도화한다. |
35km 이상의 고도까지 대기 중 수증기의 수직 분포의 계절적 및 공간적 변화를 지도화한다. |
대기 응축물과 구별하여 공간적 및 시간적 변화를 지도화한다. |
대기 압력의 계절적 및 공간적 가변성을 지도화한다. |
극지 방사선 균형을 모니터링한다. |
4. 5. 감마선 분광계 (GRS)
화성 표면에 포함된 화학 원소의 방사성 붕괴로 방출되는 감마선과 중성자의 스펙트럼을 기록한다. 주 연구자는 윌리엄 보인턴(애리조나 대학교/미국 항공 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이며, 2001 화성 오디세이에 재통합되었다.목표 |
---|
'''-'''도표 보기
4. 6. 자력계 및 전자 반사계 (MAG/ER)

목표 |
---|
온보드 원격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와 심우주 네트워크의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자기장의 본질과 이 필드가 태양풍과 가질 수 있는 상호 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 '''주 연구자:''' 마리오 아쿠나/미국 항공 우주국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
4. 7. 전파 과학 실험 (RS)
마스 옵저버의 전파 과학 실험(RS)은 중력장과 화성의 대기 구조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실험이다. 특히 극지방 근처의 시간적 변화에 중점을 두었다.대기 |
---|
중력 |
---|
이 실험의 주 연구자는 G. 타일러 (스탠퍼드 대학교)이며, 관련 기술은 화성 탐사선에 재통합되었다.
4. 8. 화성 기구 중계 (MBR)
러시아 화성 '94 임무의 관통 장치와 지상 기지, 화성 '96 임무의 관통 장치, 지상 기지, 로버 및 기구에서 데이터를 반환하기 위한 증강 계획이었다.5. 임무 프로필
마스 옵저버는 1992년 9월 25일 케ープ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제40발사 시설에서 타이탄 III 로켓으로 발사되어 예정대로 화성으로 향하는 궤도에 진입했다. 바이킹 계획 이후 18년 만의 미국의 화성 탐사선이었다.
1993년 8월 24일, 화성에 접근하여 엔진 분사를 통해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으나, 8월 21일 연료 탱크 가압을 시작한 직후 탐사선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 이후 지상에서 명령을 반복 전송했지만 응답이 없었고, 탐사선은 행방불명되었다.
1994년 1월, 조사 위원회는 사고 원인 보고를 통해 탐사선의 연료 가압 계통 파손으로 연료와 가스가 분출되어 탐사선이 회전을 시작한 것이 실패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1]
마스 옵저버는 교신이 끊어진 채 화성 근방을 통과하여 인공 행성이 된 것으로 추정되나, 자율적으로 궤도 진입을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화성 궤도에 진입했을 가능성도 있다.
날짜 | 사건 |
---|---|
1992년 9월 25일 | 우주선 발사 (17:05:01 UTC) |
1993년 8월 21일 | 01:00 UTC에 우주선과의 통신 두절 |
1993년 9월 27일 | 임무 실패 선언. 추가적인 연락 시도 없음. |
5. 1. 발사 및 궤적
1992년 9월 25일 17시 05분 01초(UTC), 마스 옵저버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40번 발사대에서 상업용 타이탄 III CT-4 발사체에 실려 발사되었다. 고체 연료 전이 궤도 단계가 화성에 대한 최종 속도 5.28km/s로 11개월의 화성 전이 궤도에 우주선을 투입하면서 완전 연소 시퀀스는 34분 동안 지속되었다.1992년 8월 25일, 우주선 내에서 미립자 오염이 발견되었다. 전체 검사 후 청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8월 29일에 수행되었다. 오염의 유력한 원인은 8월 24일 플로리다 해안에 상륙한 허리케인 앤드루의 상륙 전에 우주선을 보호하기 위해 취해진 조치였다.
마스 옵저버는 1992년 9월 25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제40발사 시설에서 타이탄 III 로켓으로 발사되어 예정대로 화성으로 향하는 궤도에 진입했다. 바이킹 계획 이후 18년 만의 미국의 화성 탐사선이었다.
탐사선은 1993년 8월 24일 화성에 접근하여 엔진 분사를 통해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다. 8월 21일에는 그 준비로 연료 탱크 가압을 시작했지만, 곧 탐사선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 이후, 지상에서 명령을 반복 전송했지만 응답이 없었고, 탐사선은 행방불명되었다.
1994년 1월, 조사 위원회가 사고 원인 보고를 했다[1]。보고에 따르면, 탐사선의 연료 가압 계통이 파손되어 연료와 가스가 분출되었고, 그 반동으로 탐사선이 회전을 시작한 것이 실패 원인으로 의심된다고 결론지었다.
마스 옵저버는 교신이 끊어진 채 화성 근방을 통과하여 인공 행성이 된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자율적으로 궤도 진입을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화성 궤도에 진입했을 가능성도 있다.
5. 2. 화성 접근 및 궤도 진입 (실패)
1992년 9월 25일 케ープ커내버럴 공군 기지의 제40발사 시설에서 타이탄 III 로켓으로 발사된 ''마스 옵저버''는 예정대로 화성으로 향하는 궤도에 진입했다. 바이킹 계획 이후 18년 만의 미국의 화성 탐사선이었다.''마스 옵저버''는 1993년 8월 24일 화성에 접근하여 엔진 분사를 통해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8월 21일, 궤도 진입 준비를 위해 연료 탱크 가압을 시작하던 중 탐사선과의 통신이 두절되었다. 이후 지상에서 명령을 반복 전송했지만 응답이 없었고, 탐사선은 행방불명되었다.
1994년 1월, 조사 위원회는 사고 원인 보고를 했다[1]。보고에 따르면, 탐사선의 연료 가압 계통이 파손되어 연료와 가스가 분출되었고, 그 반동으로 탐사선이 회전을 시작한 것이 실패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결론지었다.
''마스 옵저버''는 교신이 끊어진 채 화성 근방을 통과하여 인공 행성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자율적으로 궤도 진입을 위한 과정을 실행하여 화성 궤도에 진입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당초 계획으로는 1993년 8월 24일, ''마스 옵저버''는 180도 회전하여 이중 추진제 추력기를 점화하여 우주선의 속도를 늦추고, 고도의 타원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었다. 다음 3개월 동안, 우주선이 원점에 도달함에 따라 후속 "저궤도 이동" (TLO) 기동이 수행되어 결국 화성 주위를 약 118분 주기로 도는 거의 원형의 궤도를 얻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주 임무는 1993년 11월 23일에 시작하여 1 화성년 (약 687 지구일) 동안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었다.
6. 실종 원인
1992년 8월 21일, 화성 궤도 진입 예정 3일 전에 탐사선과의 통신이 두절되면서 마스 옵저버 탐사는 실패로 끝났다. 1994년 1월 4일 조사 위원회는 통신 손실의 가장 큰 원인으로 우주선 추진 시스템의 연료 가압 탱크 파열을 지목했다. 추진 시스템의 연료(모노메틸히드라진, MMH) 가압 측면이 파열되어 헬륨 가스와 액체 MMH가 새어 나왔고, 이로 인해 우주선이 제어 불능 상태가 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 --
조사관들은 파일럿 밸브 5와 6이 열렸을 때 산화제가 체크 밸브를 통해 새어 나와 연료와 섞였다고 추정했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마스 옵저버 관제팀이 원격 송신 장치를 꺼놓았다가 발사 직후 재부팅하지 않아 제어 불능 상태가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6. 1. 보다 자세한 원인 분석
1993년 8월 21일 01:00 (UTC), 화성 궤도 진입 예정 3일 전에, ''마스 옵저버''와의 "설명할 수 없는" 통신 두절이 발생했다. 이후 우주선과의 통신을 복구하려는 모든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1994년 1월 4일, 해군 연구소의 독립 조사 위원회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위원회는 통신 두절의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우주선의 추진 시스템에서 연료 가압 탱크의 파열을 지목했다. 초고추진제 연료가 화성으로 가는 동안 시스템의 밸브를 통과해 새어 나와 연소실에 도달하기 전에 연료와 산화제가 조기에 결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료와 가스가 새어 나오면서 높은 회전 속도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우주선이 "비상 모드"에 진입하여 저장된 명령 시퀀스가 중단되고 송신기가 켜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보고서 인용 |
---|
마스 옵저버는 사고 당시 텔레메트리를 보내지 않아 사고 원인을 단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1994년 보고서에서는 가장 유력한 설명으로 연료 가압 계통의 배관 파손을 들었다. 파손된 부위에서는 연료와 헬륨 가스가 분출되어 반동으로 탐사선이 예상치 못한 회전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탐사선은 긴급 사태 모드에 빠져 호출에 응답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태양 전지를 태양으로 향하게 할 수 없게 되어 전력 부족에 빠졌을 수도 있다. 분출물이 전자 회로에 손상을 입혔을 가능성도 있다[1]。
파손 원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가 고려되고 있다. 마스 옵저버는 모노메틸히드라진 (MMH)과 사산화 이질소 (NTO)를 추진제로 사용했다. 이것은 과산성 추진제의 일종으로, 혼합하는 것만으로 자기 점화하는 성질이 있어 엔진의 점화가 용이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러나 지구에서 화성까지 11개월의 비행 중에 NTO는 밸브를 통해 조금씩 배관 내로 누출되었다. 이 상태에서 연료 탱크를 가압했을 때, 배관 내에서 연료(MMH)와 산화제(NTO)가 혼합되어 자기 점화하여 배관이 폭발했다는 것이다[1]。
배관 파열 외에 가능성이 낮은 원인으로는 전자 회로 단락, NTO 탱크 파손, 기폭제 방출 이상 등이 언급되었다[1]。
사고 교훈으로는 비행의 중요한 국면에서의 텔레메트리가 불충분했다는 점과 인공위성 등에 사용되는 기술을 쉽게 화성 탐사선에 응용한 것 등 많은 개선점이 지적되었다[1]。
7. 실패의 교훈 및 영향
화성 탐사 프로그램은 1993년 9월 마스 옵저버의 실패 이후 공식적으로 결성되었다. 마스 옵저버는 사고 당시 텔레메트리를 보내지 않아 사고 원인을 단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1994년 보고서에서는 연료 가압 계통의 배관 파손을 가장 유력한 설명으로 들었다. 파손된 부위에서는 연료와 헬륨 가스가 분출되어 반동으로 탐사선이 예상치 못한 회전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탐사선은 긴급 사태 모드에 빠져 호출에 응답하지 않게 되었고, 태양 전지를 태양으로 향하게 할 수 없게 되어 전력 부족에 빠졌을 수도 있다. 분출물이 전자 회로에 손상을 입혔을 가능성도 있다.[1]
마스 옵저버는 모노메틸히드라진(MMH)과 사산화 이질소(NTO)를 추진제로 사용했는데, 이는 과산성 추진제의 일종으로, 혼합하는 것만으로 자기 점화하는 성질이 있었다. 지구에서 화성까지 11개월 동안 비행하면서 NTO는 밸브를 통해 조금씩 배관 내로 누출되었고, 이 상태에서 연료 탱크를 가압했을 때 배관 내에서 연료(MMH)와 산화제(NTO)가 혼합되어 자기 점화하여 배관이 폭발했다는 것이다.[1]
배관 파열 외에 가능성이 낮은 원인으로는 전자 회로 단락, NTO 탱크 파손, 기폭제 방출 이상 등이 언급되었다.[1]
사고 교훈으로는 비행의 중요한 국면에서 텔레메트리가 불충분했다는 점과 인공위성 등에 사용되는 기술을 쉽게 화성 탐사선에 응용한 것 등 많은 개선점이 지적되었다.[1]
8. 후속 탐사
화성 탐사 프로그램은 1993년 9월 마스 옵저버의 실패 이후 공식적으로 결성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에는 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화성 유인 탐사를 준비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