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크로비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크로비우스는 개인명과 가족명은 기록되지 않았지만, 마크로비우스 암브로시우스 테오도시우스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고대 로마의 작가이다. 그는 《사투르날리아》와 《스키피오의 꿈》 주해를 저술했으며, 특히 후자는 중세 시대에 널리 인용되었다. 그의 저작은 역사, 신화, 철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고전 철학을 후대에 전달하는 데 기여했다. 마크로비우스의 출생지에 대해서는 여러 추측이 존재하며, 스페인, 아프리카 등 다양한 지역이 거론된다. 그의 저작은 달의 분화구와 남극의 만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 대관구장 -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는 서로마 제국의 고위 관료로 경력을 쌓아 로마의 도시 장관과 이탈리아의 프라이토리아 총독을 역임했고,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암살하고 황위에 올랐으나 75일 만에 살해당했다.
  • 라틴어 문법학자 - 로저 베이컨
    로저 베이컨은 13세기 영국의 철학자이자 과학자로 경험과 관찰을 중시하는 과학적 방법론을 강조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과 이슬람 과학의 영향을 받아 광학, 수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고 《대작》 등의 저서를 남겼으며, 후대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라틴어 문법학자 -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
    안토니오 데 네브리하는 스페인의 인문주의 학자, 문법학자, 철자법 연구가, 사전 편찬가로서, 《카스티야어 문법》을 출판하여 스페인어 발전에 기여하고 라틴-스페인어 사전과 스페인어-라틴어 어휘집을 편찬했으며 성경 연구에도 몰두했다.
  • 4세기 로마인 - 파우스타
    파우스타는 로마 황제 막시미아누스의 딸이자 콘스탄티누스 1세의 아내로 로마 제국의 황후였으나, 간통 혐의로 처형되었고 그녀의 죽음에는 여러 의혹이 있다.
  • 4세기 로마인 - 플라비우스 달마티우스
마크로비우스
기본 정보
이름암브로시우스 테오도시우스 마크로비우스
출생4세기 말 ~ 5세기 초
사망5세기
활동 시대서로마 제국
직업작가, 문법학자, 철학자
분야고전 문학, 천문학, 점성술, 꿈 해석, 형이상학
저작
주요 저서《사투르날리아》
《스키피오의 꿈 주석》
기타 저서《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차이》 (소실)

2. 이름

마크로비우스의 이름( praenomenla )과 성씨( nomen gentiliciumla )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기록된 그의 이름은 세 개의 성( cognominala )의 조합으로, 정확한 순서는 마크로비우스 암브로시우스 테오도시우스이다. 이는 《농신제》la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에 나타나 있으며, 그가 저술했으나 유실된 《De Differentiis》la의 발췌본에서도 이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13] 그는 카시오도루스와 보에티우스 모두에게 "마크로비우스 테오도시우스"로 불렸으며, 생전에는 "테오도시우스"로 알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De Differentiis》la헌사는 "테오도시우스가 그의 심마쿠스에게"(Theodosius Symmacho suola)이며, 아비아누스의 《우화》의 헌정 서한에서는 "가장 위대한 테오도시우스"(Theodosi optimela)라고 불리고 있다. 이는 후기 필사본에서 "암브로시우스 테오도시우스 마크로비우스"로 잘못 뒤바뀌었고, 제임스 윌리스는 《주석》의 자신의 판본에서 이 이름을 사용했다.[1]

3. 생애

마크로비우스에 대해 확실히 알려진 바는 적지만, 그에 대한 많은 이론과 추측이 존재한다. 그는 《사투르날리아》의 서두에서 자신이 "외국의 하늘 아래에서 태어났다"(''sub alio ortus caelo'')고 언급했으며, 그의 주요 저작 두 편 모두 아들 에우스타키우스에게 헌정되었다.[1] 앨런 캐머런은 그의 작품의 가장 초기 필사본 몇 개에서 아들의 이름이 에우스타티우스로 표기되었다고 지적한 후, 플로티누스 에우스타티우스라는 인물이 462년에 도시 장관이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플로티누스는 신플라톤주의 철학자이자 위대한 리코폴리스 출신 철학자의 열렬한 숭배자가 자신의 아들에게 지어주기에 특별히 적절한 이름일 것"이라고 관찰했다. 또한 마크로비우스의 《주해》 편집본 작업에서 멤미우스 심마쿠스와 협력한 마크로비우스 플로티누스 에우독시우스라는 인물도 있다.[1] 그의 주요 저작들로 인해 전문가들은 그가 이교도였다고 추정한다.

마크로비우스가 자신의 아들 에우스타키우스에게 자신의 저작을 바치는 장면. 1100년경에 제작된 마크로비우스의 《스키피오의 꿈 주해》 사본에서 발췌.


마크로비우스가 어떤 "외국의 하늘" 아래에서 태어났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추측이 있어 왔다. 테롯 글로버는 마크로비우스가 그리스 문학에 대한 깊은 지식을 바탕으로 민족적 그리스인이거나 이집트와 같은 로마 제국의 그리스어 사용 지역에서 태어났다고 본다. J. E. 샌디스는 더 나아가 마크로비우스가 그리스 속주 중 하나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루드비히 판 얀을 시작으로 다른 전문가들은 마크로비우스가 그리스 문학에 익숙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리스어보다 라틴어에 훨씬 더 능통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는 베르길리우스와 키케로에 대한 그의 열정에서 드러나며, 이들은 로마 제국의 라틴어 사용 지역이었던 북아프리카 출신설을 선호한다.[2]

학자들은 그를 《테오도시우스 법전》에 언급된 마크로비우스와 동일 인물로 보려 시도했는데, 이 인물은 스페인의 근위대 장관(399~400년)과 아프리카의 총독(410년)을 지냈다.[3] 《테오도시우스 법전》은 또한 422년의 마크로비우스라는 이름의 궁내대신(''praepositus'')을 기록하고 있다.[4] 일부 오래된 권위자들은 저자 마크로비우스를 첫 번째 인물과 동일시하며 그의 활동 시기를 399~410년으로 잡는다. 그러나 이 두 동일시에는 모두 반론이 있다. 앨런 캐머런이 지적하듯이, 첫 번째 후보의 전체 이름은 비문에서 "플라비우스 마크로비우스 막시미아누스"로 확인되며, 두 번째는 "이 시기의 궁내대신은 반드시 환관이었어야 한다"는 이유로 배제된다.[1]

그러나 마크로비우스는 자주 ''vir clarissimus et inlustris''(가장 훌륭하고 저명한 자)라는 칭호로 불렸다는 점에서, 이는 공직을 역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칭호이므로, 그의 이름이 《테오도시우스 법전》에 나타날 것이라고 합리적으로 예상할 수 있다. 더욱이 캐머런은 마크로비우스가 생전에 "테오도시우스"로 불렸다는 점을 지적하며, 그 이름을 찾던 중 430년 이탈리아의 프라이토리아 총독이었던 테오도시우스를 발견했다. 캐머런은 "이 테오도시우스에게 보내진 유일하게 남아있는 법령이 비자케나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에 특권을 부여한다는 점은 중요하다."라고 언급한다.[1]

430년 당시 고관들은 기독교도뿐이었는데,[11] 이탈리아의 근위군 사령관을 역임했다. 아들을 위해 『스키피오의 꿈 주해』와 『사투르날리아』를 썼다. 친구로는 이교도인 쿠인투스 아우렐리우스 심마쿠스에서 기독교도인 카에키나 알비누스까지 있었다.

4. 저술

마크로비우스의 주요 저술로는 《스키피오의 꿈 주해》, 《사투르날리아》, 《그리스어와 라틴어 동사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관하여》가 있다. 《스키피오의 꿈 주해》는 키케로의 《국가론》에 나오는 《스키피오의 꿈》에 대한 주석서로, 스토아학파와 신플라톤주의적 관점에서 사후 세계와 우주 구성에 대해 논한다. 이 책은 중세 시대에 널리 인용되었으며, 천문학 분야에서 태양 지름이 지구 지름의 두 배라고 언급한 것으로 유명하다.[17][18]

《사투르날리아》는 사투르날리아 축제 기간 동안 베티우스 아고리우스 프라에텍스타투스의 집에서 열린 토론을 기록한 것으로, 역사, 신화, 비평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특히 베르길리우스 연구와 신화 해석이 주목할 만하다.

《그리스어와 라틴어 동사의 차이점과 유사성에 관하여》는 9세기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의 것으로 추정되는 요약본만이 현존한다.[17]

《스키피오의 꿈 주해》와 《사투르날리아》는 루드비히 폰 얀, 프란츠 아이센하르트, 제임스 윌리스, R. A. 카스터 등이 편집한 판본을 참조할 수 있다. 《사투르날리아》의 출처에 대해서는 H. 린케와 게오르크 비소바를 참고할 수 있으며, 문법 논문은 얀의 편집본, 하인리히 카일의 《라틴 문법학자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쇼만의 《마크로비우스에 대한 논평》을 참조할 수 있다.

4. 1. 《스키피오의 꿈》 주해

마크로비우스의 저서 중 중세 시대에 가장 널리 인용된 책은 키케로의 《국가론》 말미에 나오는 《스키피오의 꿈》에 대한 주석서였다. 이 꿈에서 스키피오 장로는 (양자) 손자에게 나타나 스토아주의와 신플라톤주의적 관점에서 사후 선인들의 삶과 우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마크로비우스는 이를 통해 코스모스의 본질을 논하며, 고전 철학의 많은 부분을 후기 중세 시대에 전달했다.[17] 천문학 분야에서 이 책은 태양의 지름이 지구 지름의 두 배라고 언급한 것으로 유명하다.[18]

『스키피오의 꿈 주석』(Commentarii in Somnium Scipionisla)은 기원전 1세기 키케로의 『국가에 관하여』 속 "스키피오의 꿈"에 대한 주석서이다. 중세 및 근세 라틴 세계에서 널리 수용되었다.

주석의 분량은 본문의 약 16배에 달한다. 주석에서는 신플라톤주의 및 신피타고라스주의 저작을 인용하면서 천구설, 지구 5대 지대설, 영혼론, 이론 등을 파고들고 있다. 또한 키케로의 철학과 정치를 통합하여 "정치적 미덕"의 개념을 제시하기도 했다.

4. 2. 《사투르날리아》

마크로비우스의 《사투르날리아》(라틴어: ''Saturnaliorum Libri Septem'', "사투르날리아의 7권")는 사투르날리아 축제 기간 동안 베티우스 아고리우스 프라에텍스타투스의 집에서 열린 토론들에 대한 기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은 역사, 신화, 비평, 고대 문화, 문법에 관한 다양한 논의를 담고 있다.[19] "이 작품은 가상의 연회에서 학자들 간의 일련의 대화 형식을 취하고 있다."[7]

마크로비우스의 《스키피오의 꿈 주해》와 《사투르날리아》의 초기 인쇄본.


특히 베르길리우스 연구와 모든 신들은 태양의 다양한 측면에 불과하다는 신화 해석이 주목할 만하다.

4. 3. 기타 저술

De differentiis et societatibus graeci latinique verbi|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차이와 유사성에 관하여la9세기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의 것으로 보이는 요약본만이 현존한다.[12]

5. 영향

달 분화구와 남극의 마크로비우스 만은 마크로비우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8]

참조

[1] 학술지 The date and identity of Macrobius 1966-11-01
[2] 서적 Macrobius: Commentary on the Dream of Scipio Columbia University 1952
[3] 문서 Codex Theodosianus
[4] 문서 Codex Theodosianus
[5] 백과사전 Macrobius, Ambrosius Theodosius
[6]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Springer 2007
[7] 웹사이트 Seven Books of the Saturnalia http://www.wdl.org/e[...] 2014-02-28
[8] 웹사이트 Gazetteer of Planetary Nomenclature http://planetaryname[...] USGS 2013-07-17
[9] 서적 Commentary on the Dream of Scipio Columbia Univ. Pr. 1952
[10] 간행물 Planetary Diagrams for Roman Astronomy in Medieval Europe, ca. 800-1500 2004
[11] 사전 マクロビウス
[12] 위키문헌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Macrobius, Ambrosius Theodosius
[13] 저널 The date and identity of Macrobius 1966-11-01
[14] 서적 Macrobius: Commentary on the Dream of Scipio Columbia University 1952
[15] 문서 Codex Theodosianus
[16] 문서 Codex Theodosianus
[17] 백과사전 Macrobius, Ambrosius Theodosius
[18] 서적 The Biographical Encyclopedia of Astronomers Springer 2007
[19] 웹인용 Seven Books of the Saturnalia http://www.wdl.org/e[...] 2014-02-28
[20] 서적 Commentary on the Dream of Scipio Columbia Univ. Pr. 1952
[21] 간행물 Planetary Diagrams for Roman Astronomy in Medieval Europe, ca. 800-1500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