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는 로마 황제를 호위하는 프라이토리아니를 통솔하는 직책으로, 제정 시대에는 친위대 사령관 역할을 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세에 권한이 축소되었고,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는 프라이토리아니가 해산되면서 군사적 요소가 제거되었다. 이후에는 제국을 4개 행정구로 나누어 통치하는 최고위 행정관으로서 사법권, 재정권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했다. 이 직책은 서로마 제국 멸망 후에도 유지되었으며, 동고트 왕국 등 게르만족 국가에서도 로마 행정 방식을 계승하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 친위대 - 프라이토리아니
프라이토리아니는 로마 황제를 경호한 정예 군단병으로, 황제와의 근접성을 이용해 권력을 남용하며 로마 제국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로마 친위대 - 도나티붐
도나티붐은 로마 제국 시대에 황제가 친위대의 충성심을 얻기 위해 지급한 금전적 보상이다. - 고대 로마의 군사 계급 - 켄투리오
켄투리오는 로마군의 백인대를 지휘하는 중·하급 장교로, 마리아누스 개혁 이후 약 80명의 병사를 지휘했으며, 경력에 따라 승진하여 높은 권위를 누리기도 했고, 신약성서에도 등장한다. - 고대 로마의 군사 계급 - 임페라토르
임페라토르는 원래 로마에서 임페리움을 받은 공직자를 뜻하는 라틴어 단어로, 전쟁에서 승리한 군 사령관의 칭호로 쓰이다가 로마 황제의 이름으로, 이후에는 황제를 의미하는 단어로 변화하여 서구어에서 황제를 뜻하는 단어의 어원이 되었다. -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 율리우스 파울루스
율리우스 파울루스는 로마 제국의 법학자로, 방대한 법률 저술을 통해 로마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알렉산더 세베루스 황제 시대에 활동하며 무죄추정의 원칙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받지만, 일부 저술의 위작 논란과 초기 생애에 대한 정보 부족이 있다. -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는 2~3세기 로마 제국의 법학자로, 파피니아누스의 제자로서 세베루스 알렉산데르 황제 시기에 근위대장관까지 지냈으나 살해되었으며, 그의 법학 이론은 로마법 대전 편찬에 큰 영향을 미쳤고, 공법과 사법의 구분을 제시하고 "원수는 법에 구속되지 않는다"라는 법 해석을 남겼다.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 |
---|---|
개요 | |
관할 | 프라이토리아니 |
종류 | 고대 로마 관직 |
임명자 | 로마 황제 |
상세 정보 | |
로마자 표기 | praefectus praetorio |
그리스어 | ἔπαρχος/ὕπαρχος τῶν πραιτωρίων |
역할 | 프라이토리아니의 지휘관 황제의 보디가드 사령관 법률 및 행정 책임자 (후기 로마 제국) |
임명 시기 | 아우구스투스 |
해체 시기 | 유스티니아누스 1세 |
주요 권한 | 군사적 권한 (초기) 사법적 권한 (후기) 행정적 권한 (후기) |
추가 정보 | 황제의 신뢰를 받는 인물 임명 막강한 권력 행사 황제 계승에 영향력 행사 |
역사 | |
기원 | 공화정 시대의 군사적 역할에서 유래 |
아우구스투스 시대 | 상설 직책으로 확립, 황제의 근위대 지휘 |
권력 강화 | 점차 사법 및 행정 권한 확대 |
콘스탄티누스 시대 | 군사적 역할 축소, 행정 역할 강화 |
해체 |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최종 해체 |
2. 역사
'''근위대장관'''(라틴어: Praefectus praetorio)은 로마 황제를 호위하는 프라이토리아니를 통솔하는 직책으로, '''근위군단장관''', 근위총감, 호위대장, 친위대장 등으로 번역된다. 제정 시대에는 1~3명의 정원이 있었으며, 주로 에퀴테스(기사 계급) 출신이 황제에 의해 임명되었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시대에는 원로원 의원도 임명될 수 있었으며, 에퀴테스 출신이 임명되면 자동적으로 원로원 의석을 얻었다. 에퀴테스는 이 직위를 통해 최고 지위에 오를 수 있었다.
제정 시대에 황제는 항상 프라이토리아니를 통제하려 했으나, 칼리굴라 암살과 클라우디우스 즉위에 영향을 미친 것처럼 제정 초기부터 프라이토리아니는 독자적인 세력으로 강한 영향력을 가졌다. 군인 황제 시대에는 필리푸스 아라부스처럼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에서 황제로 즉위하는 경우도 있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프라이토리아니의 권한은 대폭 삭감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는 프라이토리아니가 해산되고,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직무에서 군사적 요소가 제거되었다. 이후에는 갈리아, 이탈리아, 일리리쿰, 오리엔스의 4개 도(행정구) 장관으로서 황제에게 신뢰받는 고관(문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2. 1. 친위대 사령관
제정 초기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는 황제가 임명하는 친위대 지휘관이었다. 이들은 황제의 경호와 안전을 책임졌으며, 주로 기사 계급 출신이 임명되었다.[17][3]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시대부터는 원로원 의원도 임명될 수 있게 되었으며, 기사 계급 출신이 임명될 경우 원로원 의원 신분을 얻었다.[17][3]친위대의 특수한 지위로 인해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는 로마 사회에서 강력한 권력을 행사했다. 황제들은 친위대를 달래고 통제하려 했지만, 친위대들은 수많은 쿠데타를 일으켰고 빠른 황제 교체에 기여하여 로마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17][3] 군인 황제 시대에는 필리푸스 아라부스와 같이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에서 황제로 즉위하는 자도 나타났다.
2. 2. 행정관으로 전환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는 사두 정치 체제 개혁(296년경)을 통해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의 수를 늘렸다. 각 프라이펙투스는 황제의 부섭정 및 '대신'과 같은 최고위 관료로서, 군사 및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 이들은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만든 네 구역을 각각 관장했다. 이 구역들은 330년경 콘스탄티누스 1세의 아들들에게 배정된 대관구가 되었다.[17]콘스탄티누스 1세는 312년에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의 실질적인 군 지휘권을 없앴으나, 제국의 고위 민간 관료직이라는 지위는 유지했다. 프라이펙투스는 로마군의 병참을 책임지는 핵심 병참 지휘관 역할을 계속했으며, 제국의 대규모 예산을 편성하는 핵심 재정 관료이기도 했다. 331년, 콘스탄티누스 1세는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의 선고에 대한 항소를 금지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시대 이전부터는 민사 사건에 대한 사법권도 부여받았다.[17]
이에 따라 법률 지식이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의 중요한 자격 요건이 되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와 콤모두스 시대, 특히 세베루스 시대부터 파피니아누스, 울피아누스, 파울루스 등 당대 최고의 법학자들이 이 직위를 역임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에는 요안네스 카파도키스가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를 역임하는 등, 군사적 요건보다 행정적 능력이 중시되었다.[17]
395년부터 로마 (이후 라벤나)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두 개의 황궁이 있었으나, 4개의 대관구는 비키리우스들이 담당한 관구들을 통솔하는 최고 행정 단위로 남았다.[17]
2. 3. 게르만족 시기
서로마 제국이 군벌의 손에 넘어가면서, 이들은 새로운 영토에서 지지를 얻기 위해 동로마 제국의 황제의 지배권을 인정하여, 적어도 ''법적''으로는 제국을 그에게 재통일시켰으며, 총독부는 새로운 총독부의 경계를 정하는 수단으로 유지되었다.- 최초에는 플라비우스 오도아케르가, 이후에는 플라비우스 테오도리쿠스가 이탈리아 총독부를 부여받았다.
- 루이 1세는 갈리아 총독으로 인정받았다(이는 그가 갈리아 내 서고트 영토를 점령하는 구실이 되었다).
- 서고트족은 히스파니아 총독부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받았다.
- 그리고 반달족은 아프리카 총독부에 대한 지배권을 인정받았다.
이러한 인정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등장할 때까지 유지되었으며, 그는 동고트 왕국과 반달 왕국을 멸망시켰지만, 프랑크족(둘 다 가톨릭교도였기 때문에)과 서고트족은 계속 인정했다(''제국 회복''을 계속할 힘이 부족했기 때문이지만, 친 비잔틴적인 왕, 아타나길드를 세우고 스파니아를 정복하는 데 성공했다).
3.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목록
로마 황제를 호위하는 프라이토리아니를 통솔하는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는, 제정 시기에는 1~3명의 정원이 있었으며 주로 에퀴테스(기사 계급) 출신이 황제에 의해 임명되었다. 이 직위는 에퀴테스가 오를 수 있는 최고위직 중 하나로 여겨졌다.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황제 통치 시기에는 원로원 의원도 임명될 수 있게 되었으며, 에퀴테스 출신이 임명되면 자동적으로 원로원 의석을 얻었다.[19]
제정 시대 동안 황제는 항상 프라이토리아니를 통제하려 노력했지만, 칼리굴라 암살과 클라우디우스 즉위에 영향을 미친 것처럼, 제정 초기부터 프라이토리아니는 독자적인 세력으로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군인 황제 시대에는 필리푸스 아라부스처럼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에서 황제로 즉위하는 경우도 있었다.[19]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통치 시기에 프라이토리아니의 권한은 대폭 축소되었다.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는 프라이토리아니가 해산되었고,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직무에서 군사적 요소가 제거되었다. 콘스탄티누스 사후에는 갈리아, 이탈리아, 일리리쿰, 오리엔스의 4개 도(행정구) 장관으로서 황제에게 신뢰받는 고관(문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19]
다음은 기원전 2세기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직위가 설립된 이후부터 314년 친위대가 폐지될 때까지 알려진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의 목록이다.[19][5] 이 목록은 직위를 수행한 정확한 인물들의 수, 인물들의 이름, 재임 시기 등을 기록한 사료들의 부족 때문에 불완전하다고 여겨진다. 또한, 친위대는 세야누스나 부르루스 경우처럼 한 명의 프라이펙투스의 지휘를 받기도 했으나, 로마 황제들은 공동 지휘권을 가진 프라이펙투스 두 명씩을 임명하기도 했다.[19][5]
3. 1. 율리우스-클라우디우스 왕조 (기원전 2년 – 서기 68년)
역대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 재임 기간 | 재위 황제 |
---|---|---|
푸블리우스 살비우스 아페르 | 기원전 2년 – ?? | 아우구스투스 |
퀸투스 오스토리우스 스카풀라 | 기원전 2년 – ?? | 아우구스투스 |
푸블리우스 바리우스 리구르[6] | ?? | 아우구스투스 |
루키우스 세이우스 스트라보 | ??–15 | 아우구스투스, 티베리우스 |
루키우스 엘리우스 세야누스 | 14–31 | 티베리우스 |
퀸투스 나에비우스 수토리우스 마크로 | 31–38 | 티베리우스, 칼리굴라 |
마르쿠스 아레키누스 클레멘스 (칼리굴라 시대의 프라이토리아니 | 38–41 | 칼리굴라 |
루키우스 아룬티우스 스텔라[7] | 38–41 | 칼리굴라 |
루프리우스 폴리오 | 41–44 | 클라우디우스 |
카토니우스 유스투스 | 41–43 | 클라우디우스 |
루프리우스 크리스피누스 | 43–51 | 클라우디우스 |
루키우스 루시우스 게타 | 44–51 | 클라우디우스 |
섹스투스 아프라니우스 부루스 | 51–62 | 클라우디우스, 네로 |
루키우스 파에니우스 루푸스 | 62–65 | 네로 |
가이우스 오포니우스 티겔리누스 | 62–68 | 네로 |
가이우스 님피디우스 사비누스 | 65–68 | 네로 |
3. 2. 네 명의 황제의 해 (서기 68 – 69년)
프라이펙투스 | 임기 | 황제 |
---|---|---|
코르넬리우스 라코 | 68–69 | 갈바 |
플로티우스 피르무스 | 69 | 오토 |
리키니우스 프로쿨루스 | 69 | 오토 |
푸블리우스 사비누스 | 69 | 비텔리우스 |
알페니우스 바루스 | 69 | 비텔리우스 |
유니우스 프리쿠스 | 69 | 비텔리우스 |
3. 3. 플라비우스 왕조 (서기 69 – 96년)
역대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 | 임기 | 재위 황제 |
---|---|---|
아리우스 바루스 | 69–70 | 베스파시아누스 |
마르쿠스 아레키누스 클레멘스[8] | 70–71 | 베스파시아누스 |
티베리우스 율리우스 알렉산데르[9] | 69–?? | 베스파시아누스 |
티투스 플라비우스 베스파시아누스[10] | 71–79 | 베스파시아누스 |
루키우스 율리우스 우르수스[11] | 81–83 | 도미티아누스 |
코르넬리우스 푸스쿠스 | 81–87 | 도미티아누스 |
루키우스 라베리우스 막시무스[11] | 83–84 | 도미티아누스 |
카스페리우스 아이리아누스 | 84–94 | 도미티아누스 |
티투스 플라비우스 노르바누스 | 94–96 | 도미티아누스 |
티투스 페트로니우스 세쿤두스 | 94–97 | 도미티아누스 |
3. 4. 오현제부터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서기 96 – 193년)
감찰관 | 재임 기간 | 황제 |
---|---|---|
카스페리우스 에일리안누스 | 96년–98년 | 네르바 |
섹스투스 아티우스 수부라누스 | 98년–101년 | 트라야누스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리비아누스 | 101년–117년? | 트라야누스 |
푸블리우스 아킬리우스 아티아누스[12] | 117년–120년 |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
세르비우스 술피키우스 시밀리스 | 112년–123년 | 트라야누스, 하드리아누스 |
가이우스 셉티키우스 클라루스 | 120년–123년 | 하드리아누스 |
퀸투스 마르키우스 투르보 | 120년–137년 | 하드리아누스 |
마르쿠스 페트로니우스 마메르티누스 | 138년–143년 |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
마르쿠스 가비우스 막시무스 | 138년–158년 | 하드리아누스, 안토니누스 피우스 |
가이우스 타티우스 막시무스 | 158년–160년 | 안토니누스 피우스 |
섹스투스 코르넬리우스 레펜티누스 | 160년–166년/7년 | 안토니누스 피우스 |
티투스 푸리우스 빅토리누스 | 159년–168년 | 안토니누스 피우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티투스 플라비우스 콘스탄스 | 168년경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마르쿠스 마크리니우스 빈덱스 | 168년–172년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마르쿠스 바세우스 루푸스 | 168년–177년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
푸블리우스 타루테니우스 파테르누스 | 179년–182년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콤모두스 |
섹스투스 티기디우스 페렌니스 | 180년–185년 | 콤모두스 |
페스켄니우스 니게르 | 185년경 | 콤모두스 |
마르키우스 콰르투스 | 185년 | 콤모두스 |
티투스 롱가에우스 루푸스 | 185년–187년 | 콤모두스 |
푸블리우스 아틸리우스 아에부티아누스 | 185년–187년 | 콤모두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클레안데르 | 187년–189년 | 콤모두스 |
루키우스 유니우스 베힐리우스 그라투스 유리아누스 | 188년–189년 | 콤모두스 |
레길루스 | 189년 | 콤모두스 |
모틸레누스 | 190년 | 콤모두스, 페르티낙스,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퀸투스 아에밀리우스 레투스 | 192년–193년 | 콤모두스, 페르티낙스,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티투스 플라비우스 제니알리스 | 193년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툴리우스 크리스피누스 | 193년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
3. 5. 세베루스 왕조 (서기 193 – 235년)
프라이펙투스 | 재임 기간 | 섬긴 황제 |
---|---|---|
플라비우스 유베날리스 | 193년–197년?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데키무스 베투리우스 마크리누스 | 193년–197년? |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가이우스 풀비우스 플라우티아누스 | 197년–205년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퀸투스 에밀리우스 사투르니누스 | 200년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율리아누스 | 200년경/205년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
마르쿠스 플라비우스 드루시아누스 | 204년경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
아이밀리우스 파피니아누스 | 205년–211년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
퀸투스 마에키우스 레투스 | 205년–215년?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카라칼라 |
발레리우스 파트루이누스 | 211년?–212년 | 카라칼라 |
그나이우스 마르키우스 루스티우스 루피누스 | 212년–217년 | 카라칼라 |
마르쿠스 오클라티니우스 아벤투스 | 215년–217년 | 카라칼라 |
마르쿠스 오펠리우스 마크리누스[13] | 214년–217년 | 카라칼라 |
울피우스 율리아누스 | 217년–218년 | 마크리누스 |
율리아누스 네스토르 | 217년–218년 | 마크리누스 |
율리우스 바실리아누스 | 218년 | 엘라가발루스 |
푸블리우스 발레리우스 코마존 | 218년–221년 | 엘라가발루스 |
플라비우스 안티오키아누스 | 221년–222년 | 엘라가발루스 |
플라비아누스 | 222년–? |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
게미니우스 크레스투스 | 222년–? |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안니우스 울피아누스 | 222년–223년/228년 |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
루키우스 도미티우스 호노라투스 | 223년–? |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
마르쿠스 에디니우스 율리아누스 | 223년–? |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
마르쿠스 아티우스 코르넬리아누스 | 230년경 |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
율리우스 파울루스 | 228년–235년 | 알렉산데르 세베루스 |
3. 6. 3세기의 위기 (서기 235 – 285년)
감찰관 | 임기 | 섬긴 황제 |
---|---|---|
비탈리아누스 | 238 | 막시미누스 트락스 |
안누리누스 | 2??–238 | 막시미누스 트락스 |
피나리우스 발렌스 | 238 | 푸피에누스; 발비누스 |
도미티우스 | 240 이전 – 2?? | 고르디아누스 3세 |
가이우스 푸리우스 사비니우스 아퀼라 티메시테우스 | 241–244 | 고르디아누스 3세 |
가이우스 율리우스 프리스쿠스 | 242–246 | 고르디아누스 3세; 필리푸스 아라비쿠스 |
필리푸스 아라비쿠스 | 243–244 | 고르디아누스 3세 |
마에키우스 고르디아누스 | 244 | 고르디아누스 3세 |
퀸투스 헤레니우스 포텐스 | 249–251 | 데키우스? |
수세시아누스 | 254–255/260 | 발레리아누스 |
실바누스 | 2?? – | 갈리에누스 |
루키우스 페트로니우스 타우루스 볼루시아누스[14] | style="text-align:center;"| | 갈리에누스 |
칼리스투스 발리스타 | 260–261 | 마크리아누스, 퀴에투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헤라클리아누스 | 268 | 갈리에누스 |
율리우스 플라키디아누스 | style="text-align:center;"| | 아우렐리아누스 |
마르쿠스 안니우스 플로리아누스 | 275–276 | 타키투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카루스 | 276–282 | 프로부스 |
루키우스 플라비우스 아페르 | 284 | 누메리아누스 |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사비누스 율리아누스 | style="text-align:center;"| | 카리누스 |
티투스 클라우디우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불루스 | 285 | 카리누스; 디오클레티아누스 |
3. 7. 사두 정치에서 콘스탄티누스 1세 (서기 285 – 324년)
wikitext프라이펙투스 | 재임 기간 | 재위 황제 |
---|---|---|
아프라니우스 한니발리아누스 | 286/292 | 디오클레티아누스 |
아스클레피아데스 | 303 | (안티오키아에서) |
폼포니우스 야누아리아누스 | 285/286 | 막센티우스 |
율리우스 아스클레피오도투스 | 290–296 | 디오클레티아누스,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
콘스탄티우스 클로루스 | ?? – ?? | 디오클레티아누스 |
만리우스 루스티키아누스 | 306–310 | 막센티우스 |
가이우스 케이오니우스 루피우스 볼루시아누스 | 309–310 | 막센티우스 |
루리키우스 폼페이아누스 | 3??–312 | 막센티우스 |
타티우스 안드로니쿠스 | 310 | 갈레리우스 |
폼페이우스 프로부스 | 310–314 | 리키니우스 |
페트로니우스 안니아누스 | 315–317 | 콘스탄티누스 1세 |
율리우스 율리아누스 | 315–324 | 리키니우스 |
유니우스 안니우스 바수스 | 318–331 | 콘스탄티누스 1세 |
참조
[1]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Abbreviations in Latin
Ares Publishers, inc.
[3]
EB1911
[4]
서적
Ruling the later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5]
문서
Dates from 2 BC to AD 260 based on Guy de la Bédoyère, Praetorian (New Haven: Yale Press, 2017), pp. 280-282
[6]
문서
The existence of Varius Ligur is disputed, and is only inferred from a single passage by Cassius Dio, who identifies him as Valerius Ligur. Modern historians suggest that, if Valerius Ligur was a prefect at all, he may have been mistaken for a man named Varius Ligur, who seems to have been a more likely candidate for the office. See Bingham (1997), p. 35.
[7]
서적
Death of an Emperor: Flavius Josephus (Exeter Studies in History)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8]
문서
Son of Marcus Arrecinus Clemens, who was Praetorian prefect under emperor Claudius
[9]
웹사이트
Whether Tiberius Julius Alexander held the office of Praetorian prefect is disputed, and rests on a fragment from a recovered papyrus scroll. If he did held the post, he may have done so during the Jewish wars under Titus, or during the 70s as his colleague in Rome.
[10]
문서
Son of Vespasian, the later emperor Titus
[11]
문서
Syme (1980), 66
[12]
문서
Syme (1980), 67
[13]
문서
The later emperor Macrinus.
[14]
문서
The names and dates for the years 260-285 are based on A.H.M. Jones, et alia,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ume I (AD 260-39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p. 1047
[15]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Rome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6]
서적
Abbreviations in Latin
Ares Publishers, inc.
[17]
EB1911
[18]
서적
Ruling the later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
문서
Guy de la Bédoyère, Praetorian (New Haven: Yale Press, 2917), pp. 280-282에서는 기간을 기원전 2년부터 서기 260년으로 잡았다
[20]
문서
바리우스 리구르의 존재는 논란이 되고 있는데, 그는 카시우스 디오에게서만 언급되며, 디오조차도 그를 발레리우스 리구르라고 인식하였다. 오늘날 역사가들은 발레리우스 리구르가 프라이펙투스가 맞다고 한다면, 그는 가능성이 좀 더 높은 바리우스 리구르라는 이름을 오기할 것일 수 있다고 제시한다. Bingham (1997), p. 42. 참조
[21]
서적
Death of an Emperor: Flavius Josephus (Exeter Studies in History)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2]
문서
클라우디우스 황제 시기 프라이펙투스 프라이토리오였던 마르쿠스 아르레키누스 클레멘스의 아들
[23]
웹인용
Tiberius Julius Alexander
https://www.livius.o[...]
2020-04-24
[24]
문서
베스파시아누스의 아들이며, 이후 로마 황제 티투스이다
[25]
문서
Syme (1980), 66
[26]
문서
Syme (1980), 67
[27]
문서
이후 로마 황제 마크리누스.
[28]
문서
260-285년 기간 이름들과 임기 기간은 A.H.M. Jones, et alia, [[Prosopography of the Later Roman Empire]], Volume I (AD 260-39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p. 1047을 근거로 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